KR20230030797A -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0797A KR20230030797A KR1020210112892A KR20210112892A KR20230030797A KR 20230030797 A KR20230030797 A KR 20230030797A KR 1020210112892 A KR1020210112892 A KR 1020210112892A KR 20210112892 A KR20210112892 A KR 20210112892A KR 20230030797 A KR20230030797 A KR 202300307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llector
- stones
- mining
- transfer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2—Rotatable cleaning devices, e.g. brushes, for removing the rests of vegetal material on the root-crops not yet harves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속으로부터 돌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하면서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돌을 채집하는 채집기와, 그 채집기의 후방에 돌파쇄기, 두둑성형기, 버켓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돌을 채집함과 아울러 후작업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장치에 의해 본체가 견인되면서 굴취날에 의해 돌을 채굴한 다음 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채굴이송부;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채굴과 함께 두둑을 성형하거나, 또는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파쇄하거나, 또는 채굴된 돌을 수용하는 후방작업기;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or for collecting stones from the ground, and includes a collector for collecting stones from the ground or underground while moving, and a crushing machine, a ridge forming machine, a bucket, etc. selective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to collect stones. In addition, it relates to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 machine that enables post work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a mining transport unit for mining stones by an excavation blade and then transporting them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 rear working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form a ridge together with mining, or receiving and crushing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fer unit, or accommodating the mined ston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땅속으로부터 돌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하면서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돌을 채집하는 채집기와, 그 채집기의 후방에 돌파쇄기, 두둑성형기, 버켓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돌을 채집함과 아울러 후작업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or for collecting stones from the ground, and includes a collector for collecting stones from the ground or underground while moving, and a crushing machine, a ridge forming machine, a bucket, etc. selective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to collect stones. In addition, it relates to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 machine that enables post work at the same time.
밭 등의 경작지를 개간할 때 지면이나 지중에 존재하는 돌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쟁기 등에 의해 밭으로부터 돌을 일궈낸 다음 그 일궈진 돌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채집하여 제거하게 된다.When cultivable land such as a field is cleared, stones present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must be removed. For this purpose, stones are removed from the field by a plow, etc., and then the cultivated stones are manually collected and removed.
또한, 그 채집된 돌은 그대로 버려지거나 또는 별도의 장소에 구비된 파쇄기 즉 크라샤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자갈 형태로 파쇄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llected stones are discarded as they are or are crushed into pebbles of a certain size by a crusher, that is, a crusher provided in a separate place, thereby enabling recycling.
그런데, 이러한 경작지로부터 돌을 채집하는 과정은 쟁기를 이용하여 돌을 일구고, 이를 수작업으로 채집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증대됨은 물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ocess of collecting stones from such cultivated land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manpower is required as well as an increase in working time by cultivating stones using a plow and collecting them manually.
또한, 돌을 파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쇄기가 구비된 장소까지 트럭이나 경운기 등에 의해 옮겨야 하므로, 이 또한 시간과 장비, 그리고 인력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tones are to be crushed, they must be moved to a place equipped with a crusher by a truck or cultivator, which also consumes time, equipment, and manpower.
그리고, 이러한 경작지는 물빠짐이 원할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함으로써 경작된 땅이 부패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돌을 모두 제거하게 되면, 물빠짐과 통풍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어 작물의 생육에 큰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cultivated land does not rot by making sure that the cultivated land is well drained and well ventilated. There is a problem with giving
즉, 경작지의 지중에 물이 오랫동안 고인 상태에서 부패하게 되면, 작물에도 영향을 끼쳐서 생육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water is stagnant in the soil of cultivated land for a long time and decays, it affects crops and causes a great hindrance to their growth.
아울러, 돌이 채집된 경작지를 이용하여 경작하는 경우에는 두둑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경작지의 돌을 일일이 채집하여 고르게 한 다음 다시 두둑성형기를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장비가 필요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크게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ultivating using the arable land where stones are collected, it is necessary to form a ridge, which requires separate equipment and reduces working time by collecting and leveling the stones of the arable land one by one and then forming the ridge again using a ridge forming machine. There is a downside to greatly increasing it.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488호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63488
(트랙터용 쟁기장치) (Plough equipment for tractors)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3231호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433231
(돌 분쇄용 크라샤 해머) (Crusher hammer for stone crushing)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850호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14850
(인삼밭 두둑 성형장치) (Ginseng Field Rid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을 채집는 채집기의 후방에 돌파쇄기, 두둑성형기, 버켓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돌을 채집함과 아울러 돌파쇄, 두둑성형, 이송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includes a break-through machine, a ridge-forming machine, a bucket, etc. at the rear of a stone-collecting machine so as to collect stones while simultaneously enabling breaking-through, ridge-forming, and transport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ing mach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는,The collector equipped with the rear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장치에 의해 본체가 견인되면서 굴취날에 의해 돌을 채굴한 다음 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채굴이송부;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상기 채굴이송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작판정지작업에 의해 두둑을 성형하는 두둑성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idge forming machin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ining transfer unit and forming a ridge by a plate stop opera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는,The collector equipped with the rear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장치에 의해 본체가 견인되면서 굴취날에 의해 돌을 채굴한 다음 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채굴이송부;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상기 채굴이송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파쇄하여 배출하는 파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rushing uni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ining transfer unit to receive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fer unit and to crush and discharge them.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는,The collector equipped with the rear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장치에 의해 본체가 견인되면서 굴취날에 의해 돌을 채굴한 다음 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채굴이송부;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상기 채굴이송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수용하는 버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ucke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ining transport unit to receive and receive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port uni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작지의 돌을 채굴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채집기의 후방에 두둑성형기, 돌 파쇄부, 버켓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둘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기 구비에 따른 비용절감 및 빠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ridge forming machine, a stone crushing unit, a bucket, etc. are selective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that mines and transfers the stones of the cultivated land to the rear, so that two or mor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advantages of cost reduction and speedy work.
후방작업기가 돌 파쇄부인 경우에는 동력에 의해 본체가 이동하면서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돌을 채굴한 다음 파쇄하여 다시 땅으로 배출함으로써 경작지의 경우에는 물빠짐과 통풍이 원할하게 되어 작물의 생육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In case the rear work machine is a stone crushing unit, the main body moves by power to mine stones from the ground or underground, then crushes them and discharges them back to the ground. In the case of cultivated land, water drainage and ventilation are smooth, which is of great help to the growth of crops. has the effect of giving
또한, 돌의 채굴과 파쇄하여 땅으로 배출하는 동작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빠른 경작은 물론, 비용과 인력 절감이 큰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mining and crushing stones and discharging them to the ground is performed by one device,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fast cultivation as well as cost and manpower reduction.
아울러, 경작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사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로 공사현장에서 지면 또는 지중으로부터 돌을 채굴하여 파쇄한 후 자갈형태로 곧바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farmland. For exa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sites, such as allowing stones to be mined from the ground or underground at a road construction site, crushed, and then discharged directly in the form of gravel.
후방작업기가 두둑성형기인 경우에는 돌 채굴과 동시에 작물을 심기 위한 두둑을 형성함으로써 이 또한 빠른 경작은 물론, 비용과 인력 절감이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If the rear work machine is a ridge forming machine, it forms a ridge for planting crops at the same time as stone mining, so this also has a great advantage of fast cultivation as well as cost and manpower reduction.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채집기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두둑 성형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해 채집기의 후방에 파쇄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해 채집기의 후방에 버켓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보인 도.1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ib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rushing unit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bucket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채집기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두둑 성형기의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해 채집기의 후방에 파쇄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해 채집기의 후방에 버켓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보인 도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sid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idge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id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rushing unit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by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ucket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본체(100), 채굴이송부(200), 전방 이송부(400)로 이루어진 채집기(10)와, 후방작업기로서 두둑성형기(600)로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본체(100)는 측방향에서 나란히 이격된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방부위 상측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연결되도록 상하부 3점식 링크 또는 다양한 형태의 견인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며, 아울러 견인장치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20)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트랙터의 PTO 축에 연결되는 조인트 축(121), 상기 조인트 축(121)의 회전력을 방향전환하기 위한 기어박스(122), 상기 기어박스(122)의 축에 설치된 풀리(1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부위 하측에는 굴취날(300)이 전방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본체(100)가 견인되어 전진하게 되면, 땅속을 파고들면서 돌을 채굴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상기 채굴이송부(200)는 컨베이어 형태로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110)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데, 본체(100)의 전방부위 양측에서 상기 굴취날(500)의 후방부위에 가깝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스프로켓(210)과 상기 전방스프로켓(210)의 후방부위 상측에서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후방스프로켓(220)이 설치되며, 상기 전방스프로켓(210)과 후방스프로켓(220)에 각각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는 체인(230)을 갖는다.The
즉, 상기 양측의 측면 플레이트(110)에 근접하여 각각 전방스프로켓(210)과 후방스프로켓(220)이 한 쌍으로 설치되고, 그 전방스프로켓(210)과 후방스프로켓(220)이 각각 체인(230)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또한,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체인(230)에는 걸림봉(240)이 고정되는데, 상기 걸림봉(240)은 봉 형태로서, 그 양측이 상기 체인(23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41,242)가 구비되면서 체인(230)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이러한 체인(230)에 고정되는 고정부(241,242)의 구조는 일반적이므로, 별도로 설명은 하지 않는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s 241 and 242 fixed to the
아울러, 상기 걸림봉(240)은 그 상단부위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평평한 부위에 스토퍼(250)가 고정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걸림봉(240)은 기다란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250)는 그 단면이 'L' 형태로 되어 걸림봉(2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anging
상기 걸림봉(250)과 스토퍼(2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lding
상기 전방 스프로켓(210)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풀리(123)와 제1벨트(130)로 연결됨으로써 회전력을 인가받아 체인(230)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채굴이송부(200)의 전방부위와 굴취날(300)의 후방부위 사이에는 망 형태의 스크린(5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크린(500)은 채굴된 돌은 하부로 낙하시키지 않고, 돌과 함께 채굴된 흙만을 하측으로 낙하시켜 흙과 돌을 1차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상기 전방 이송부(400)는 상기 스크린(5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스크린(500) 상에 올려진 돌을 작물 이송부(200)부쪽으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전방 이송부(400)는 본체(100)의 폭방향 가로질러 봉 형태의 회전체(41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410)의 일측에는 풀리(430)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풀리(123)와 제2벨트(4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회전력을 인가받게 된다.The
또한, 상기 회전체(410)의 외측둘레로는 회전날개(420)가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체(410)가 회전할 때 회전날개(420)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스크린(500)의 상부면에 근접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그리고, 이웃하는 회전날개(420)와의 간격은 돌이 수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게 되며, 상기 풀리(123)와 풀리(430) 사이에는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풀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작물 이송부(200)와 전방 이송부(4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즉, 채굴이송부(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방 이송부(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채굴된 돌이 전방 이송부(400)에 의해 채굴이송부(200)의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아울러, 상기 체인(230)이 진동하도록 편심 회전하는 진동부(2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동부(260)는 체인(230)만을 진동시키거나 또는 본체(100)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진동부(260)도 견인장치로부터 풀리와 벨트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상기 두둑성형부(6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서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본체(10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지지프레임(61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610)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봉(6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620)의 하측에는 골과 이랑을 형성하여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작판부(630)가 고정되어 있게 된다.The
상기 작판부(6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지지봉(620)에 두둑의 일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측면판(631)이 고정되고, 이웃하는 지지봉에는 두둑의 타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측면판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측면판과 이웃하는 측면판 사이의 공간을 덮어서 두둑의 상부면을 고르게 정지할 수 있도록 정지판(63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상기의 측면판(631)은 이웃하는 지지봉(620)에 형성된 측면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마주보는 측면판(631)의 개방된 상단부위를 정지판(632)이 덮도록 고정되어 있게 된다.The
이러한 두둑성형부(600)는 본 발명에 도시된 구조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언급된 구조 또는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ridged
상기 지지프레임(610)에는 실린더(640)의 로드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1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실린더(64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실린더(640)의 압축과 신장에 의해 작판부(6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승하강하게 된다.The rod end of the
즉, 실린더(640)의 신장된 길이에 따라 작판부(630)가 하강하여 두둑의 상부면을 성형하면서 다지게 되는데, 정지판(632)이 누르는 힘이 다르게 되므로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두둑이 다져지게 되고, 두둑 성형후 이동할 때는 실린더(640)가 압축되어 작판부(630)가 승강하면서 수월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xtended length of th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돌을 채굴하고, 동시에 두둑을 성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of mining a stone and forming a ridge at the same time will be described.
견인장치가 전진하게 되면, 본체(100)도 전진하게 되고, 굴취날(300)이 땅속을 파고들면서 돌(S)을 채굴하게 되며, 그 채굴된 돌(S)은 본체(100)의 전진에 의해 스크린(500)의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1차로 흙이 분리된다.When the traction device moves forward, the
또한, 스크린(500) 상부에서 흙과 분리된 돌(S)은 전방 이송부(400)의 회전에 후방의 채굴이송부(200) 쪽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회전하는 걸림봉(240)에 설치된 스토퍼(250)에 돌(S)이 자연스럽게 얹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tone (S) separated from the soil at the top of the
그러므로, 이송된 돌(S)은 경사진 채굴이송부(200)의 전방으로 굴러 떨어지지 않고,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잔여 흙이 분리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transferred stone (S) does not roll down in the front of the inclined
이렇게 분리된 흙은 걸림봉(240)의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며, 또한 채굴된 돌(S)은 상측으로 이송되어 별도의 버켓(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soil separat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ticking
이러한 채집기(10)에 의해 돌(S)의 채집작업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 실린더(640)를 두둑을 성형할 높이에 대응되게 신장시키게 되면, 지지프레임(610)이 하강하여 작판부(630)의 측면판(631)이 흙을 가르면서 골을 성형하여 두둑을 성형하게 되며, 정지판(632)이 두둑의 상부면을 눌러서 정지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결국, 채집기(10)에 의해 인삼 채굴시 일궈진 흙을 두둑성형기(600)에 의해 곧바로 두둑을 성형함으로써 인삼 수확과 두둑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ginseng harvesting and ridge shaping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directly shaping the ridges by the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채집기(10) 본체(100)의 후방에 돌을 파쇄시키는 파쇄부(700)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채굴이송부(200)를 통해 채굴되고 후방으로 이송된 돌(S)을 파쇄하여 다시 지중으로 배출함으로써 경작지의 물빠짐과 통풍이 원할하게 되어 작물의 생육에 큰 도움을 졸 수 있도록 한다.3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crushing
상기 채집기(10)는 지면 또는 지중에 있는 돌을 채굴하여 파쇄부(700)로 이송시키며, 상기 파쇄부(700)는 상기 채집기(10)로부터 채굴되어 이송되는 돌(S)을 투입받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곧바로 땅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상기 파쇄부(700)는 상기 채집기(10)의 후방에서 일체로 위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후방부위에서 채굴이송부(200)의 끝부위에 투입부(710)가 위치하게 되어 운반되는 돌(S)을 곧바로 투입받으며, 이를 파쇄날(720)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다음 하부로 통해 배출함으로써 파쇄된 돌을 다시 땅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러한 파쇄부(700)는 등록실용 제20-0433231호(돌 분쇄용 크라샤 해머) 등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Such a crushing
상기 파쇄날(720)에는 본체(100)의 동력전달부(120)로부터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거나, 또는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자체 구비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할 수도 있게 된다.The crushing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채집기(10) 본체(100)의 후방에 돌을 수용하는 버켓(800)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채굴이송부(200)를 통해 채굴되고 후방으로 이송된 돌(S)을 수용한 다음 돌을 배출할 장소까지 채집기(10)가 이동되면, 후방으로 회전하여 수용된 돌을 배출하게 된다.Figure 4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a
이를 위해서, 돌을 수용하면서 후방부위가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몸체(810)의 하부 양측은 상기 본체(100)의 후방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820)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양측부위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부위에서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실린더(830)에 의해 연결되며, 이때 상기 실린더(830)의 타측은 버켓(80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있다.To this end,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따라서, 채집기(10)가 돌을 배출할 장소까지 이동한 다음 실린더(830)를 신장시키게 되면, 몸체(810)는 후방으로 회전하여 수용된 돌을 배출하게 되고, 배출이 완료되면, 실린더(830)가 압축되면서 몸체(810)가 다시 원위치로 회전함으로써 계속하여 돌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이러한 버켓(800)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두둑성형기(600)가 함께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버켓(800)은 본체(100)의 후방부위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두둑성형기(600)는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돌을 채굴하여 버켓(800)에 수용시켜 분리함과 동시에 두둑성형기(800)에 의해 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Having described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본체
110 : 측면 플레이트
120 : 동력전달부
130,140 : 벨트
200 : 채굴이송부
210,220 : 스프로켓
230 : 체인
240 : 걸림봉
241,242 : 고정부
250 : 스토퍼
260 : 진동부
300 : 굴취날
400 : 전방이송부
410 : 회전체
420 : 회전날개
430 : 풀리
500 : 스크린
600 : 두둑성형부
610 : 지지프레임
620 : 지지봉
630 : 작판부
640 : 실린더
700 : 파쇄부
720 : 파쇄날
800 : 버켓100: body
110: side plate
120: power transmission unit
130,140: Belt
200: mining transfer unit
210,220: sprocket
230: chain
240: hanging rod
241,242: fixed part
250: stopper
260: vibration unit
300: excavation blade
400: forward transfer unit
410: rotating body
420: rotary blade
430: pulley
500: screen
600: rib forming part
610: support frame
620: support bar
630: arranging department
640: cylinder
700: crushing unit
720: crushing blade
800: Bucket
Claims (9)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작판정지작업에 의해 두둑을 성형하는 두둑성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ridge forming machin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ridge by a plate stop operation.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파쇄하여 배출하는 파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A crushing uni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receive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fer unit and to crush and discharge them;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수용하는 버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bucke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receive and receive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fer unit.
상기 본체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채굴이송부로부터 채굴되어 공급되는 돌을 공급받아 이를 수용하는 버켓;
상기 본체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작판정지작업에 의해 두둑을 성형하는 두둑성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A mining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stone to the rear through a conveyor after the main body is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a bucket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stones mined and supplied from the mining transfer unit;
A collector equipped with a rear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ridge forming machine provid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ridge by a plate stop operation.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면서 굴취날에 의해 돌을 채굴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 배치되어 전후방에 대해 무한궤도로 설치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양측이 고정되면서 체인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봉을 구비한 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봉의 외측방향에는 이송되는 돌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걸림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ining transfer unit
A body that mines stones by an excavation blade while being towed by a traction device located in the front;
Chai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stalled in endless tracks for the front and rear, and rotated by power, and a plurality of hanging bars that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in while both sides are fixed to the chain It consists of a; conveying unit provided,
A collector with a rear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so that the stones to be transported do not escape backward.
[6] The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topper has an 'L' shape,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hanging bar via a hinge.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판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작판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판부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The rib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4,
a plate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ear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ylinder, one side of which is install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plate part to raise and lower the plate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llector equipped with.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용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기가 구비된 채집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or 4, wherein the bucket,
an accommodat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 cylinder having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otate the receiving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ollected coll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892A KR102783196B1 (en) | 2021-08-26 | 2021-08-26 |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892A KR102783196B1 (en) | 2021-08-26 | 2021-08-26 |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797A true KR20230030797A (en) | 2023-03-07 |
KR102783196B1 KR102783196B1 (en) | 2025-03-17 |
Family
ID=855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2892A Active KR102783196B1 (en) | 2021-08-26 | 2021-08-26 |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83196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3311U (en) * | 1986-10-15 | 1988-04-26 | ||
JPH09105137A (en) * | 1995-08-16 | 1997-04-22 | Deere & Co | Bucket link for excavator and service car with bucket link thereof |
KR19990008242U (en) * | 1998-11-27 | 1999-02-25 | 강재성 | Rotorator-mounted patter molding machine |
JP2008182963A (en) * | 2007-01-30 | 2008-08-14 | Kudo Noki:Kk | Unnecessary material-removing unit in field for potato |
KR20100029745A (en) * | 2007-05-21 | 2010-03-17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On-site system construction assist tool |
JP2013169179A (en) * | 2012-02-21 | 2013-09-02 | Iseki & Co Ltd | Root vegetable harvester |
KR20180080521A (en) * | 2017-01-04 | 2018-07-12 | 임주생 | Harvesters for root crop |
-
2021
- 2021-08-26 KR KR1020210112892A patent/KR1027831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3311U (en) * | 1986-10-15 | 1988-04-26 | ||
JPH09105137A (en) * | 1995-08-16 | 1997-04-22 | Deere & Co | Bucket link for excavator and service car with bucket link thereof |
KR19990008242U (en) * | 1998-11-27 | 1999-02-25 | 강재성 | Rotorator-mounted patter molding machine |
JP2008182963A (en) * | 2007-01-30 | 2008-08-14 | Kudo Noki:Kk | Unnecessary material-removing unit in field for potato |
KR20100029745A (en) * | 2007-05-21 | 2010-03-17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On-site system construction assist tool |
JP2013169179A (en) * | 2012-02-21 | 2013-09-02 | Iseki & Co Ltd | Root vegetable harvester |
KR20180080521A (en) * | 2017-01-04 | 2018-07-12 | 임주생 | Harvesters for root cro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83196B1 (en) | 2025-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243447Y (en) | Multifunctional film cleaning machine | |
US4655297A (en) | Convertible spreader grader assembly | |
CN110121962B (en) | Saline-alkali soil comprehensive improvement device | |
CN203120453U (en) | Tuberous type crop harvester | |
CN213368556U (en) | Agricultural device for improving soil in agriculture | |
CN112956295B (en) | Corn seed sowing method in polluted soil after backfilling | |
CN109287156A (en) | It is a kind of soil can be carried out screening tiling field soil turn over engagement positions | |
CN214852633U (en) | A land leveling machine | |
CN103947366B (en) | American ginseng seedling cutting harvester | |
CN108513845B (en) | Vibrating soil and stone separation covering device | |
CN205510861U (en) | Self -propelled screw dish harvester | |
CN204579016U (en) | A kind of tractor-drawn ridge culture peanut used plastic collection device | |
KR20190010973A (en) |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ellfish | |
CA2075829A1 (en) | Agricultural implement for separating & crushing rocks | |
CN205005483U (en) | Potato takes off native harvester | |
CN201097484Y (en) | Travelling soil screening machine | |
CN215898413U (en) | Potato combine harvester | |
WO1998000002A1 (en) | Earth clearing apparatus | |
CN207754009U (en) | A kind of agricultural land soil rubble pickup chopping and returning device | |
KR20230030797A (en) | Collector having the rear working machine | |
CN117581660B (en) | Pit land reclamation device for open-pit mining | |
CN107347353A (en) | A kind of full-automatic sweet potato harvesting equipment | |
CN117280935A (en) | Dig adjustable vibrating rhizome class medicinal material harvester of degree of depth | |
CN208850135U (en) | Double ridge shaping high-efficiency environment friendly film layers | |
CN117322297A (en) | Integrated grass square salix psammophila pla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