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017A -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017A
KR20220142017A KR1020210048241A KR20210048241A KR20220142017A KR 20220142017 A KR20220142017 A KR 20220142017A KR 1020210048241 A KR1020210048241 A KR 1020210048241A KR 20210048241 A KR20210048241 A KR 20210048241A KR 20220142017 A KR20220142017 A KR 2022014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ing
temperature
fram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286B1 (ko
Inventor
나옥빈
임창근
한승철
김삼수
정연수
이범호
김강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금속재질의 판부 및 판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판부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구조체와 제1 프레임부로 구획된 판부의 타면영역에 접착되고, 전기신호의 공급에 의해 판부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판과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따라 발연판으로의 전기신호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RAPID CURING FORMWORK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거푸집에 타설되어, 수화반응을 일으키는 양생을 통해 다양한 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건설 재료이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양생 중, 일정 수준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수화 반응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전체 공사 기간이 지체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의 적정 온도유지는 무엇보다 우선 시 되고 있다.
기존의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의 온도 관리는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증기를 통해 이루어졌으나, 화석연료 사용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적인 문제와 함께 화재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온도 관리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208호(출원일: 2018.03.30., 공고일: 2018.12.2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유로를 통해 순환된 고온의 유체 또는 금속파우더의 화학반응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각 거푸집에 국소적으로 배치되는 열 전달영역을 통해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전달하여 양생과정에서 온도를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유체의 순환 또는 금속파우더의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된 열을 통해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르 열을 제공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온도 조절 및 유지가 어렵고 여전히 열 발생을 위한 추가적인 재료의 투입이 요구되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 타설영역에 국소적으로만 전달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온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의 넓은 면적에 대한 온도관리가 가능하며 열 효율성이 증대된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색 거푸집 시스템은, 일면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금속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판부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구조체; 상기 제1 프레임부로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영역에 접착되고, 전기신호의 공급에 의해 상기 판부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판;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발연판으로의 전기신호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확인된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별 타겟온도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발연판의 발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 영역 일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내측 대향면을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발연판이 접착되는 영역에 대향하는 일영역이 삭제된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판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삭제영역에 의해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영역에 접착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판부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신호를 상기 발열부에 전달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인접한 상기 판부의 타면 일영역에 부착되며 에폭시(Epoxy) 필름으로 마련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접착면의 중심영역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판부의 타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시간별 타겟온도 값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도선부분과 상기 도선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는 분기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를 각 전극부의 제1 전극부분과 제2 전극부분에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각 도선부분이 상기 판부에 접착된 상기 발연판의 제1 및 제2 전극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도선부분이 통과 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발열판은 상기 발열부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시트형태로 마련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발열판은 상기 단열부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되, 상기 단열부보다 경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필름형상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판이 접착되는 접착면을 향하는 제2 프레임부의 중심 일영역이 삭제되어 판부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 지지함에 따라, 지지면적 대비 발열판의 적용가능 면적이 크기가 증가되어,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에 대한 급열양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부의 접착 면 반대방향으로 단열부와 커버부가 적층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거푸집 구조체가 아닌 외부로의 열 방출을 최소화하여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발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거푸집 구조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발열판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제어유닛에 의한 거푸집 구조체 온도관리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거푸집 구조체(100), 발열판(200), 온도센서(30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발연판(200)에서 발생된 열이 거푸집 구조체(100)를 통해 거푸집 구조체(100)로 구획된 영역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발열판(200)에서 발생한 열을 통해 거푸집 구조체(100)를 가열시킨다 함은 거푸집 구조체(100)에 가해진 열에 의해 거푸집 구조체(100)로 구획된 영역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거푸집 구조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는 단일의 제1 프레임이 결합된 거푸집 구조체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도 2 (a)의 A-A′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거푸집 구조체(100)는 일면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금속재질의 판부(110), 판부(110)의 타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푸집 구조체(1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거푸집 구조체(100)가 바닥면, 벽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이음 연결된 형태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의 거푸집 구조체(100)의 판부(110)가 절곡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판부(110)는 금속재질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면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고, 후술할 발열판(200)이 부착되어 발열판(20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타설된 콘크리트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부(120)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판부(110)의 후면, 다시 말해, 지지면의 반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어, 판부(11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부(120)는, 도 1에서와 같이, 단일의 판부(110)의 후면에 복수개(120, 120′)가 연속 배치되 판부(11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부(120)에 또 다른 제1 프레임부(120′)가 이웃하여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의 제1 프레임부(120)가 판부(110)를 복수개의 직사각형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격자 프레임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120, 120′)는 제1 프레임(120, 120′)이 이루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후술할 제어유닛(400)의 연결부(430)가 통과되는 관통공(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공(H)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발연판(200)의 구성 설명 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거푸집 구조체(100)는 제1 프레임부(120)에 의해 구획된 판부(120)의 후면 영역 일부와 제1 프레임부(120)의 폭 방향의 대향면을 상호 연결시키는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부(130)는 제1 프레임부(120)의 내측 대향면을 지지하여 판부(110)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부(120)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130)는 후술할 발열판(200)이 제1 프레임부(120)에 의해 구획된 판부(110)의 후면 영역에 접착됨에 있어, 발열판(200)의 접착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판부(110)의 후면을 향하는 영역의 중심 일부가 삭제된 ‘[’형태의 바 형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발열판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a)는 발열부를 기준으로 한 전극부와 절연부의 평면 배치위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도 3 (a)의 B-B′절단면을 기준으로 한 발연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발열판(200)은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의 삭제영역에 의해 구획된 판부(110)의 타면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판부(110)를 가열할 수 있으며, 발열부(210), 전극부(220), 절연부(230), 단열부(240) 및 커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발열부(210)는 카본사, 펄프, 폴리에스테르 인조사, 카본 블랙 및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여 종이형태로 생성되며,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직사각형 형태의 면상발열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발열부(210)는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의 삭제영역이 이루는 영역에 삽입되어, 실리콘 접착제(P)를 통해 판부(110)에 접착될 수 있으며, 이때, 실리콘 접착제(P)는 발열부(210)와 판부(110)가 밀폐된 상태로 접착되지 않도록, 양 끝이 개구된 선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210)의 실리콘 접착제(P) 도포 방식은 발열부(210)와 판부(110)가 밀폐된 상태 접착될 경우, 발열부(210)가 가열될 때, 발열부(210)와 판부(110)가 이루는 공간 내의 기체가 팽창함으로 인해, 발열부(210)가 판부(110)로부터 탈락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극부(220)는 발열부(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어 발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분(222, 224)을 포함하며, 제어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신호를 발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부(220)의 제1전극부분(222)과 제2 전극부분(224)은 30cm 이상의 거리를 이루며 이격된 상태로 발열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1 전극부분(222)과 제2 전극부분(224)가 이루는 거리가 30cm 미만일 경우에는 제어유닛(400)의 발열제어 대비 발열부(210)의 가열온도가 지나치게 증가할 수 있어 발열부(210)의 발열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분(222)과 제2 전극부분(224)은 발열부(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발열부(210) 또한 3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부(230)는 전극부(220)와 인접한 판부(210)의 타면 일영역에 부착되며 에폭시(Epoxy)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230)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20)와 금소재질로 마련되는 판부(110)를 절연시킴으로써, 제어유닛(400)으로부터 전극부(220)에 공급될 때, 판부(110)에 전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단열부(240)는 발열부(210)의 외면을 감싸며 발열부(210)에 접착되는 시트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부(24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로 마련되어 발열부(210)의 외측면(=접착면의 반대면) 방향으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판부(110)의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단열부(240)는 발열부(210)의 외측면 방향으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발열부(210)의 외측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며, 발열부(210)의 두께보다 15배 내지 20배의 두께를 가지는 순수 폴리에스터(열전도율 0.0041W/mk)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50)는 단열부(240)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되, 단열부(240)가 이루는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되, 단열부(240)보다 경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필름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25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단열부(240) 및 발열부(2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온도센서(300)는 거푸집 구조체(10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300)는 발열판(200)이 접착된 영역과 인접한 판부(110)에 접촉하여 판부(1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에서의 제어유닛에 의한 거푸집 구조체 온도관리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유닛(400)은 온도센서(300)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따라 발열판(200)으로의 전기신호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확인부(410), 제어부(420) 및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410)는 온도센서(300)와 연결되어 거푸집 구조체(100)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확인부(410)로부터 확인된 거푸집 구조체(100)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시간별 타겟온도 값에 따라 발열부(210)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가열을 통한 콘크리트의 양생은 전치, 승온, 유지, 냉각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제어부(420)는 약 2시간동안 발열부(210)에 전기신호를 공급하지 않고 대기한다. 이후, 약 2시간동안, 발열부(210)의 발열에 의해 판부(110)가 타겟온도 값에 도달하도록 발열부(210)를 발열시키는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420)는 확인부(410)를 통해 확인된 판부(11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열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확인부(410)로부터 확인되는 판부(110)의 온도는 발열부(210)의 열전도에 의한 것이므로, 제어부(420)는 확인부(410)로부터 확인된 판부(110)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 발열 세기를 줄여 열전도에 의한 승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20)는 약 4시간동안 판부(4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발열부(210)의 발열세기 및 발열 주기를 제어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발열부(210)에 의해 가열된 판부(110)의 잔열에 의해 보온양생이 이루어지도록 발열부(210)의 전기신호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연결부(430)는 한 쌍의 케이블 형태로 마련되며, 제어부(420)에 연결되는 도선부분(432)와 도선부분(432)로부터 분기되어 전극부(220)와 연결되는 분기부분(434)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를 각 전극부(220)의 제1 전극부분(222)과 제2 전극부분(224)에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30)는 도선부분(432)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되, 분기부분(434)에 도선부분(432)를 통해 공급된 전기가 분기되어 공급되므로, 각 분기부분(434)이, 도 1에서와 같이, 발열판(200,200′)의 각 제1 전극부분(222)과 제2 전극부분(224)에 연결될 경우, 각 발연판(200,200′)과 제어부(420)는 병렬형태로 연결되어, 두 발열판(200,20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발열판(200 또는 200′)에는 이상 없이 전기신호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프레임부(120)와 이웃한 또 다른 제1 프레임부(120′)에는 제어부(420)에 연결된 도선부분(432)가 내부영역에 접착된 각 발열판(200, 200′)의 전극부(220)의 인접 위치에 위치되면서, 분기부분(434)가 전극부(220)로부터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접착된 발열판(200, 200′)의 전극부(220)에 인접한 제1 프레임부(120, 120′)의 측면에 도선부분(432)가 통과 거치되는 관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선부분(432)가 관통공(H)에 삽입 거치된 상태에서 각 발열판(200)의 전극부(220)와 연결되는 분기부분(434)를 통해 제어부(420)로부터 공급된 전기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연결부(430)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됨에 따라, 연결부(430)가 장비와의 걸림 등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발열판(200)과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판이 접착되는 접착면을 향하는 제2 프레임부의 중심 일영역이 삭제되어 판부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프레임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 지지함에 따라, 지지면적 대비 발열판의 적용가능 면적이 크기가 증가되어,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에 대한 급열양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부의 접착 면 반대방향으로 단열부와 커버부가 적층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거푸집 구조체가 아닌 외부로의 열 방출을 최소화하여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발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거푸집 구조체
110: 판부
120, 120′: 제1 프레임부
130, 130′: 제2 프레임부
200: 발열판
210: 발열부
220: 전극부
222: 제1 전극부분
224: 제2 전극부분
230: 절연부
240: 단열부
250: 커버부
300: 온도센서
400: 제어유닛
410: 확인부
420: 제어부
430: 연결부
432: 도선부분
434: 분기부분
H: 관통공
S: 구획영역
P: 실리콘 접착제

Claims (7)

  1. 일면이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향하는 금속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판부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구조체;
    상기 제1 프레임부로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영역에 접착되고, 전기신호의 공급에 의해 상기 판부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판;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발연판으로의 전기신호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확인된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별 타겟온도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발연판의 발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 영역 일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내측 대향면을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발연판이 접착되는 영역에 대향하는 일영역이 삭제된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삭제영역에 의해 구획된 상기 판부의 타면영역에 접착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판부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신호를 상기 발열부에 전달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인접한 상기 판부의 타면 일영역에 부착되며 에폭시(Epoxy) 필름으로 마련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접착면의 중심영역에 선형으로 도포되는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판부의 타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상기 거푸집 구조체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시간별 타겟온도 값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도선부분과 상기 도선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는 분기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를 각 전극부의 제1 전극부분과 제2 전극부분에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각 도선부분이 상기 판부에 접착된 상기 발연판의 제1 및 제2 전극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도선부분이 통과 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상기 발열부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시트형태로 마련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상 거푸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상기 단열부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되, 상기 단열부보다 경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필름형상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KR1020210048241A 2021-04-14 2021-04-14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KR10262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41A KR102620286B1 (ko) 2021-04-14 2021-04-14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41A KR102620286B1 (ko) 2021-04-14 2021-04-14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17A true KR20220142017A (ko) 2022-10-21
KR102620286B1 KR102620286B1 (ko) 2023-12-29

Family

ID=838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41A KR102620286B1 (ko) 2021-04-14 2021-04-14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16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KR101913280B1 (ko) * 2017-11-08 2018-10-30 주식회사 한영아이엔씨 탄소섬유발열 갱폼
KR20200082749A (ko) * 2018-12-31 2020-07-08 서보산업 주식회사 발열갱폼과 이것의 제조방법
KR102151095B1 (ko) * 2018-10-01 2020-09-02 이준용 갱폼 히팅 구조
KR20200134926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한영아이엔씨 아이오티를 적용한 스마트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16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 패널을 구비한 거푸집
KR101913280B1 (ko) * 2017-11-08 2018-10-30 주식회사 한영아이엔씨 탄소섬유발열 갱폼
KR102151095B1 (ko) * 2018-10-01 2020-09-02 이준용 갱폼 히팅 구조
KR20200082749A (ko) * 2018-12-31 2020-07-08 서보산업 주식회사 발열갱폼과 이것의 제조방법
KR20200134926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한영아이엔씨 아이오티를 적용한 스마트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86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2073A1 (zh) 电池单元、电池模组及电池包
WO2015056739A1 (ja) 二次電池
US20190229386A1 (en) Stored Electrical Energy Source Having Cooling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for Emergency Cooling
WO2009093365A1 (ja) 被加熱材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EP3046177B1 (en) Battery-pack case
WO2021248952A1 (zh) 一种加热片及电池模组
US20200370762A1 (en) Graphene heating element
US20150255836A1 (en) Heat pipe assembly having heating/cooling functions, battery module for eco-friendly vehicl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battery module
CN108923099A (zh) 一种新型动力电池模组及其装配工艺
US20020088840A1 (en) Heated filling device
US11987009B2 (en) Heater for sealing process of secondary battery
KR20220142017A (ko) 급열양생 거푸집 시스템
US20210391585A1 (en) Solid oxide electrochemical system having integrated heating means
US6797224B2 (en) Heated filling method
KR102014114B1 (ko) 다수의 평면 구역에 적합한 평판형 히터 장치
CN117413404A (zh) 具有冷却和加热的密封电池模块
JP2010210177A (ja) 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
KR100793937B1 (ko) 로의 내화물 건조 보조장치
CN114537716A (zh) 点阵式热源温度一致性控制方法及系统
KR100704242B1 (ko) 일방향 차열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판넬형 가열히터
JP7509765B2 (ja) 加熱手段が組み込まれた固体酸化物型電気化学システムの温度制御のための方法
IT201800006642A1 (it) Modulo di alimentazione elettrica e metodo per assemblarlo
JPH09245809A (ja) 燃料電池の冷却装置
KR20200029222A (ko) 순간온수장치
US20230313544A1 (en)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uring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