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217A -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 Google Patents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9217A KR20220129217A KR1020210033814A KR20210033814A KR20220129217A KR 20220129217 A KR20220129217 A KR 20220129217A KR 1020210033814 A KR1020210033814 A KR 1020210033814A KR 20210033814 A KR20210033814 A KR 20210033814A KR 20220129217 A KR20220129217 A KR 20220129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height adjustment
- wing
- angl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45—Knees, upper or lower leg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having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일반촬영, CT, MR, 골밀도, 초음파 촬영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무릎쿠션을 무릎 아래에 받친 후 촬영을 하게 된다. 하지만, 환자마다 체위 및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이불을 감아서 추가로 받치거나, 베개등을 추가로 받쳐 체형을 조절하여 촬영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탄성재질의 쿠션의 경우, 환자가 힘을 가하면서 눌리면 모양이 변형되어 원하는 자세가 유지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imaging, CT, MR, bone density, ultrasound, etc., generally, a knee cushion is placed under the knee before imaging. However, since each patient has a different position and body type, it is a reality to roll up a blanket to additionally support it, or to adjust the body shape by additionally supporting a pillow. However, in the case of a cush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n a patient presses a force while applying a force, the shape is deformed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desired posture.
이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9353호와 같은 촬영 보조기구(도 11 참조)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환자마다 다른 체형을 고려하도록 높이조절과 폭조절 및 각도조절이 원활히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a photographing aid (refer to FIG. 11)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79353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height adjustment, width adjustment, and angle adjustment were not smoothly performed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t body types for each patient.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djustable w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경사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경사각도를 원만한 곡선으로 유지하고자 한다.First,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In addition, we want to maintain the inclination angle as a smooth curve.
둘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Second,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셋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넓이(폭)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Third,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width (width)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로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having an angle adjustable w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 height adjustment part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respectively, a plurality of uni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ncludes a pusher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기 설정된 높이 단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be provided to be fixed in a preset height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결합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및 정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unit includes a fixed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a lifting unit moving up and down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and the lifting unit may be lifted and stopped by a driving mea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 lifting unit moving up and down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and a stopper for stopping the lift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대면 이격 배치된 고정부 및 승강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높이고정용 요철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가 승강부를 가압하여, 각 요철부가 상호 결합되어 정지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is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ace-to-face spaced apart fix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respectively, and the stopper presses the lifting unit, and each concave-convex unit is coupled to each other to stop the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에는 복수의 높이고정용 홀이 구비되고, 승강부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홀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양 홀에 함께 관통 삽입되면서 승강부가 정지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ight fixing holes, and corresponding holes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lifting units, respectively, and the stopper is inserted through both holes while the lifting unit is stopped,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홀이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에 삽입봉이 구비되어, 일 유니트의 회동홀에 타 유니트의 삽입봉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of the wing unit is provided with a rotation hole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 insertion rod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insertion rod of the other unit can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one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회동홀 또는 삽입봉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동홀에 상기 유니트의 삽입봉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부의 삽입봉에 상기 유니트의 회동홀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 hole or an insertion ro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insertion rod of the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the support part, or the rotation hole of the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od of the support part can be inser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밀대부가 전진하면서 상기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면, 아래로 접힌 유니트가 펴지면서 절첩된 날개부가 펴지며, 밀대부가 후진되면서 상기 유니트 하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펼쳐진 유니트가 아래로 접혀지면서 날개부가 절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par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a driving means, and when the pusher part advances and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the folded unit is unfolded while the folded wing part is unfolded, and the pusher part is retracted. When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is released, the wing portion may be folded while the unfolded unit is folded dow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는 높이조절부의 측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pusher parts may be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날개부 상에 탄성을 가진 쿠션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ushion member having elasticity 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로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having an angle adjustable w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each of a plurality of units coupled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n embodiment including a pusher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uni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로서,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having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upward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each of a plurality of units coupled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n embodiment including a pusher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having an angle adjustable w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복수개의 유니트로 이루어진 날개부를 통해,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경사각도도 원만한 곡선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through the wing portion made of a plurality of units, it is easy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also maintained in a smooth curve.
둘째, 높이조절부를 통해,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Secon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셋째, 밀대부를 통해,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넓이(폭)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adjust the width (width) of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through the push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날개부를 제외한 상태의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양 날개부를 제외한 상태의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가 펼쳐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종래기술로서, 무릎각도 지지장치가 환자의 무릎 아래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
Figure 3 shows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in a state except for one win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FIG. 3 .
Figure 5 shows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in a state excluding both wings.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
7A and 7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show the spread of the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rior 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is disposed below the knee of the pati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ver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group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art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unless define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무릎 부위에 대한 X-RAY, MR, CT, 골밀도 등의 영상촬영시 환자마다 무릎 굽히는 정도 및 각도가 달라서, 여러 개의 종류별 높이 및 넓이가 다른 무릎 쿠션을 구비하여 최대한 환자에 맞는 쿠션 및 베개 이불등 여러 가지를 통해 높이 및 넓이를 조절하고 있다. When taking X-RAY, MR, CT, and bone density imaging of the knee area, each patient has a different degree and angle of knee bending, so several types of knee cushions of different heights and widths are provided to fit the patient as much as possible, such as cushions, pillows, and duvets. The height and width are adjusted in various ways.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 촬영보조기구가 제시되었으나, 높이조절과 폭 조절이 동시에 원활하게 되지 못하였고, 특히 경사각도가 원만한 라운드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환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To improve this, some imaging aids have been proposed, but the height and width adjustments were not smooth at the same time, and in particular, the inclination angle was not made in a smooth round, resulting in patient discomfort.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어느 환자든 환자 병명(일반적으로 척추,골밀도,일반엑스레이 측면)에따라 무릎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영상촬영 및 치료가 가능한 구성을 제시한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imaging and treatment by adjusting the knee angle and height according to the patient's disease name (generally spine, bone density, general X-ray side) for any patient.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상하 좌우 원하는 높이와 넓이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쪽만 조절하여 발목 촬영도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 치료에서의 무릎 조절등 여러 분야의 진료시에 무릎을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조절하여 환자의 다리를 고정 및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height and width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ankle by adjusting only one s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knee to a desired height and angle during treatment in various fields such as knee control in ultrasound treatment to fix the patient's leg and take a postu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the drawings may be partially exagge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whole meaning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날개(400)부를 제외한 상태의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양 날개부(400)를 제외한 상태의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를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in a state except for one wing 400 part. Figure 5 shows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in a state excluding both wings 400.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받침부(100), 높이조절부(200), 지지부(300), 날개부(400) 및 밀대부(500)로 이루어진 제1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having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upport part 100, a height adjustment part 200, a support part 300, a wing part 400 and a pusher part 500. It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100), 높이조절부(200), 날개부(400) 및 밀대부(500)로 이루어진 제2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200), 날개부(400) 및 밀대부(500)로 이루어진 제3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econd embodiment consisting of a support part 100 , a height adjustment part 200 , a wing part 400 and a pusher part 500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ight adjustment part 200 . , may be implemented as a third embodiment consisting of the wing portion 400 and the pusher portion 500 .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로서,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100)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200);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부(300); 상기 지지부(300)의 양 단부(310)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410)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날개부(400); 및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400)의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5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having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100); a height adjustment unit 200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00 and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unit 30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 wing portion 400 coupled to both ends 310 of the support portion 300 and each of a plurality of units 410 connected so as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ncludes a pusher unit 500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of the wing unit (400).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는 기 설정된 높이 단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be fixed in a preset height unit.
높이조절부(2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may be adjusted in height in the following manner.
첫째,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받침부(100) 상에 결합된 고정부(210) 및 상기 고정부(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220)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 및 정지될 수 있다.First,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ncludes a fixed unit 21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0 and an elevating unit 220 that moves up and down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210 , The unit 220 may be lifted and stopped by a driving means (not shown).
본 방식은 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방식이며, 구동수단은 모터(motor)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is method is a method of lifting and lowering by power, and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motor and a control unit.
둘째,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받침부(100) 상에 결합된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220) 및 상기 승강부(22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식은 사용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방식이다.Seco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ncludes a fixed unit 21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0 , an elevating unit 220 and the elevating unit 220 that are vertically moved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210 . ) may include a stopper 230 for stopping. This method is a method of raising and lowering by a user's manual operation.
본 방식은 요철 구조 방식과 홀 구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method and a hole structure method.
요철 구조 방식의 경우(도 2 참조), 대면 이격 배치된 고정부(210) 및 승강부(2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높이고정용 요철부(23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30)가 승강부(220)를 가압하여, 각 요철부(231)가 상호 결합되어 정지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method (refer to FIG. 2), the height fixing concavo-convex part 231 is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ace-to-face spaced apart fixing part 210 and the lifting part 220, respectively, and the stopper 230 is raised and lowered. By pressing the portion 220, each uneven portion 231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stopped while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홀 구조 방식의 경우(미도시), 고정부(210)에는 복수의 높이고정용 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승강부(2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홀(미도시)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230)는 양 홀(미도시)에 함께 관통 삽입되면서 승강부가 정지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hole structure method (not shown), a plurality of height fixing hole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fixing unit 210, and corresponding holes (not shown)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lifting unit 220, respectively. As the stopper 230 is inserted through both holes (not shown), the lifting unit is stopp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400) 및 유니트(410)의 구조와 구현되는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implemented operation of the wing part 400 and the unit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가 펼쳐지는 것을 나타낸다.7A and 7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show the spread of the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400)는 지지부(300)의 양 단부(310)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410)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w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both ends 310 of the support part 300 ,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units 410 may be connected to be foldable.
본 발명에 있어서, 날개부(400)의 각 유니트(410)는 몸체부(411)의 일측에 회동홀(412)이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에 삽입봉(413)이 구비될 수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410 of the wing portion 4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hole 412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11, and an insertion rod 413 on the opposite side (Fig. 7a and 7b).
일 유니트의 회동홀(412)에 타 유니트의 삽입봉(413)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가 반복되면서 날개부(400)가 만들어진다.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ion rod 413 of the other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412 of one unit is repeated, the wing part 400 is made.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400)는 지지부(300)의 양 단부(3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w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both ends 310 of the support part 300 ,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300)의 일측에는 회동홀 또는 삽입봉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동홀에 상기 유니트의 삽입봉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부의 삽입봉에 상기 유니트의 회동홀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 hole or an insertion ro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00 so that the insertion rod of the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the support part, or the rotation hole of the unit is rotated in the insertion rod of the support part. possible to be inserted.
도 8 내지 도 10의 경우, 유니트(410a)가 지지부(300)의 단부(310)와 결합되는 실시예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300)의 단부(310)에 삽입봉(313)(도 7 참조)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삽입봉(313)이 유니트(410a)의 회동홀(41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8 to 10 , it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unit 410a is coupled to the end 310 of the support 300 . In this embodiment, an insertion rod 313 (see FIG. 7) is formed at the end 310 of the support 300, and the insertion rod 313 of the support is rotatable in the rotation hole 412 of the unit 410a. is inserted.
이하에서는 밀대부(500)에 의해 유니트(410) 및 날개부(400)가 조절되는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nit 410 and the wing portion 400 are controlled by the pusher 5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밀대부(500)는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400)의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usher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of the wing unit 400 .
밀대부(500)는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다.The push unit 500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driving means.
여기서 구동수단은 모터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원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수동조작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driving means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source including a motor and a control unit, or may be implemented by manual operation.
밀대부(500)가 전진하면서 상기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면, 아래로 접힌 유니트(410)가 펴지면서 절첩된 날개부(400)가 펴지게 된다. 또한, 밀대부(500)가 후진되면서 상기 유니트(410) 하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펼쳐진 유니트(410)가 아래로 접혀지면서 날개부(400)가 절첩되게 된다.When the pusher 500 advances and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the folded unit 410 is unfolded and the folded wing portion 400 is unfolded. 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is released while the pusher 500 is moved backward, the unfolded unit 410 is folded down and the wing portion 400 is folded.
유니트의 개수가 많을 수록 직선보다는 원만한 경사 곡선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umber of units increases, a smooth inclined curve may be formed rather than a straight line.
또한, 밀대부(500)는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더욱 다양한 경사를 도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유니트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usher units 500 may be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200 . This embodiment will be able to derive more various inclinations. In addition, this embodiment can be efficiently utilized when the number of units is large.
한편, 무릎 각도 조절에 있어서, 조인트 부분인 무릎 부위는 원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야 환자를 편하게 하며, 나아가 장시간의 자세유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하지만, 날개부의 하단에 해당되는 허벅지 부분의 경우, 곡선이 아니라 일정 길이의 직선으로 형성되어도 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knee angle adjustment, the knee portion, which is a joint part, should have a smooth curve to make the patient comfortable, and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maintain the posture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case of the thi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wing, it may be sufficient even if i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f a certain length rather than a curve.
이러한 경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400)는 일 실시예로서, 각 유니트의 길이(L)는 지지부(300)쪽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case, the w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and the length L of each unit may be provided to increase from the support part 300 to the lower end.
관련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지지부(300)에 결합된 유니트(도 8b의 410a)의 길이(La)보다, 하단부에 배치된 유니트(도 8의 410d)의 길이(Ld)가 더 길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 related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length (Ld) of the unit (410d in Figure 8) disposed at the lower end than the length (La) of the unit (410a in Figure 8b)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00)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longer.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300) 및 날개부(400) 상에 탄성을 가진 쿠션부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푹신한 스펀지 등의 쿠션부재를 장착하면, 환자는 더욱 편한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shion member (not shown) having elasticity on the support part 300 and the wing part 4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f a cushion member such as a soft sponge is mounted on a part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body, the patient may feel more comfortable.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일부 구성의 구비 여부의 차이점은 있으나, 당해 구성에 대한 내용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some components are provided, the contents of the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we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받침부(100), 높이조절부(200), 날개부(400) 및 밀대부(500)로 이루어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이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consisting of a support part 100 , a height adjustment part 200 , a wing part 400 , and a pusher part 500 .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100)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200);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410)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400); 및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400)의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500)를 포함한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unit 100; a height adjustment unit 200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00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unit 400 coupled to both upper ends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nd a plurality of units 410 coupled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ncludes a pusher unit 500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of the wing unit (400).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높이조절부(200), 날개부(400) 및 밀대부(500)로 이루어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이다.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shooting consisting of a height adjustment unit 200 , a wing unit 400 and a pusher unit 500 .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는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200);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410)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400); 및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400)의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500)를 포함한다.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sposed upward,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unit 400 coupled to both upper ends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nd a plurality of units 410 coupled to be foldabl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ncludes a pusher unit 500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of the wing unit (400).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밀대부(500)는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밀대부(500)가 전진하면서 상기 유니트(410)의 하면을 가압하면, 아래로 접힌 유니트(410)가 펴지면서 절첩된 날개부(400)가 펴지며, 밀대부(500)가 후진되면서 상기 유니트(410) 하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펼쳐진 유니트(410)가 아래로 접혀지면서 날개부(400)가 절첩될 수 있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pusher unit 500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driving means, and when the pusher unit 500 advances and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the As the folded unit 410 is unfolded, the folded wing portion 400 is unfolded, and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410 is released as the pusher portion 500 is moved backward, the unfolded unit 410 is folded down while The wing 400 may be fold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받침부
200 : 높이조절부
210 : 고정부
220 : 승강부
230 : 스토퍼
231 : 높이고정용 요철부
300 : 지지부
310 : 지지부의 양 단부
400 : 날개부
410 : 일 유니트
411 : 몸체부
412 : 회동홀
413 : 삽입봉
500 : 밀대부100: support unit 200: height adjustment unit
210: fixed part 220: elevating part
230: stopper 231: high fixing irregularities
300: support 310: both ends of the support
400: wing 410: work unit
411: body part 412: rotation hole
413: insertion rod 500: push rod
Claims (14)
상기 받침부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support;
a height adjustment part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respectively, a plurality of uni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and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ncludes a pusher portion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portion.
상기 높이조절부는 기 설정된 높이 단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 adjustable w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in a preset height unit.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결합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및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es a fixed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an elevating unit moving up and down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The lifting unit i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 adjustable 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stopping by the driving means.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for image shoot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 elevating unit moving up and down inside or outside the fixed unit, and a stopper for stopping the elevating unit. knee angle support.
대면 이격 배치된 고정부 및 승강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높이고정용 요철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가 승강부를 가압하여, 각 요철부가 상호 결합되어 정지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Concave and convex portions for height fixing ar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elevating portion arranged face to face, respectively,
The stopper presses the lifting part, and each uneven part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stopping.
고정부에는 복수의 높이고정용 홀이 구비되고, 승강부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홀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양 홀에 함께 관통 삽입되면서 승강부가 정지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plurality of height fixing holes are provided in the fixing unit, and corresponding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elevating unit,
The stopper is a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unit is stopped while being inserted through the both holes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상기 날개부의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홀이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에 삽입봉이 구비되어,
일 유니트의 회동홀에 타 유니트의 삽입봉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unit of the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hole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 insertion rod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portion,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rod of the other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one unit.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회동홀 또는 삽입봉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동홀에 상기 유니트의 삽입봉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부의 삽입봉에 상기 유니트의 회동홀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on hole or an insertion ro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The insertion rod of the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of the support part,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hole of the un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od of the support part.
상기 밀대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밀대부가 전진하면서 상기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면, 아래로 접힌 유니트가 펴지면서 절첩된 날개부가 펴지며,
밀대부가 후진되면서 상기 유니트 하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펼쳐진 유니트가 아래로 접혀지면서 날개부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uni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driving means,
When the pusher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as it advances, the folded unit is unfolded and the folded wing portion is unfolded,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is released while the pusher is reversed, the unfolded unit is folded downward and the wing is folded.
상기 밀대부는 높이조절부의 측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pusher parts are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상기 지지부 및 날개부 상에 탄성을 가진 쿠션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member with elasticity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and the wing part.
상기 받침부의 일 측에 상향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support;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each of a plurality of units coupled to be foldable; and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t includes a pusher part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part.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개의 각 유니트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 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upward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w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each of a plurality of units coupled to be foldable; and
Knee angle support device for image taking with an angle-adjustable w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to be stretch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ncludes a pusher portion provid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of the wing portion.
상기 밀대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밀대부가 전진하면서 상기 유니트의 하면을 가압하면, 아래로 접힌 유니트가 펴지면서 절첩된 날개부가 펴지며,
밀대부가 후진되면서 상기 유니트 하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펼쳐진 유니트가 아래로 접혀지면서 날개부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부를 가진 영상촬영용 무릎각도 지지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2 or 13,
The push uni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driving means,
When the pusher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as it advances, the folded unit is unfolded and the folded wing portion is unfolded,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is released while the pusher is retracted, the unfolded unit is folded downward and the wing is fol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814A KR102478253B1 (en) | 2021-03-16 | 2021-03-16 |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814A KR102478253B1 (en) | 2021-03-16 | 2021-03-16 |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9217A true KR20220129217A (en) | 2022-09-23 |
KR102478253B1 KR102478253B1 (en) | 2022-12-16 |
Family
ID=8344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3814A KR102478253B1 (en) | 2021-03-16 | 2021-03-16 |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8253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01662A (en) * | 2009-11-10 | 2011-05-26 |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 Rack for imaging knee joint |
KR20130108239A (en) * | 2010-06-04 | 2013-10-02 | 에프제이알 에스지피에스 에스.에이. | Device for measuring knee laxity |
KR101680870B1 (en) * | 2015-10-26 | 2016-11-29 | 박종석 | Medical bed |
KR102001571B1 (en) * | 2018-07-31 | 2019-07-18 | 한상호 | Leg support apparatus for assisting in open surgeries |
KR102179353B1 (en) | 2019-02-27 | 2020-11-16 |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Radiographic assistant device for patella imaging and radiographic method using the same |
-
2021
- 2021-03-16 KR KR1020210033814A patent/KR1024782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01662A (en) * | 2009-11-10 | 2011-05-26 |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 Rack for imaging knee joint |
KR20130108239A (en) * | 2010-06-04 | 2013-10-02 | 에프제이알 에스지피에스 에스.에이. | Device for measuring knee laxity |
KR101680870B1 (en) * | 2015-10-26 | 2016-11-29 | 박종석 | Medical bed |
KR102001571B1 (en) * | 2018-07-31 | 2019-07-18 | 한상호 | Leg support apparatus for assisting in open surgeries |
KR102179353B1 (en) | 2019-02-27 | 2020-11-16 |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Radiographic assistant device for patella imaging and radiographic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8253B1 (en) | 2022-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634568T2 (en) | BED WITH A SHARK-REDUCING SWIVEL JOINT AND STAGE PLATFORM | |
US7419176B2 (en) | Stand-up wheelchair | |
US6907631B2 (en) | Adjustable profiling beds | |
BRPI0418890B1 (en) | Patient Lifting Device | |
KR101954311B1 (en) | Spine Traction Apparatus | |
LU101692B1 (en) | Orthopedic posture supporting and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
DE102009004604B4 (en) | Lying system for abdomen with step support | |
KR102451511B1 (en) | supine and lateral position operating table | |
JP2022534298A (en) | A multi-functional healthcare seat device for achieving hugging support, decompression, immobilization, spinal protection and spinal correction using body weight | |
KR20220129217A (en) | Kne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imaging with Angle Adjustable Wing element | |
US4648389A (en) | Patient treatment table | |
CN108309607B (en) | Medical intelligent spine nursing bed | |
JP3003091B2 (en) | Assisted wheelchair for patient mounting and stretcher for patient mounting | |
HU230016B1 (en) | Headrest for massage table | |
CN206852453U (en) | The pillow of adjustable-angle | |
US6003175A (en) | Lateral decubitus positioning device with a detachable limb support | |
CN106309049A (en) | Multifunctional insulation nursing bed | |
JP2000139977A (en) | Lumbago therapeutic chair | |
KR101110067B1 (en) | Raising machine for spine treatment | |
CN210301524U (en) | Foot stool for lifting lower limbs | |
CN216676216U (en) | Head and neck position adjusting device | |
CN219439771U (en) | Medical bed convenient to adjust | |
CN214968155U (en) | Burn branch of academic or vocational study is with shank lifting frame | |
CN212651233U (en) | Head and neck malignant tumor positioning calibrator and base thereof | |
CN210582918U (en) | Medical turn-over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