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938A -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 Google Patents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938A
KR20220125938A KR1020210029858A KR20210029858A KR20220125938A KR 20220125938 A KR20220125938 A KR 20220125938A KR 1020210029858 A KR1020210029858 A KR 1020210029858A KR 20210029858 A KR20210029858 A KR 20210029858A KR 20220125938 A KR20220125938 A KR 2022012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evice
ray imaging
patient
knee joint
press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748B1 (ko
Inventor
이도병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02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7Trolley or cart-typ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하퇴부가 소정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환자의 하퇴부 무릎 아래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 거치부와 양측방으로 결합 플레이트가 구비된 보조기기 몸체;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디텍터를 수용하는 디텍터 수용홈이 형성된 디텍터 삽입부; 상기 디텍터 수용홈에서 삽탈되는 디텍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어 환자의 허벅지를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부 및 상기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촬영 보조기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의료인과 환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Mobile knee joint X-ray ancillary equipment}
본 발명은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촬영 보조기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의료인과 환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X-ray촬영은 인체의 두부, 흉부 등의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투과되는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최근 현대 사회는 급격히 고령화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노인성 질환으로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이 급격히 많아졌다.
그 중에서도, 퇴행성 질환 등으로 무릎 통증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들이 급증하였는데, 무릎관절 통증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 가장 먼저 시행되는 검사 방법이 환자의 무릎관절을 진단하기 위한 무릎관절 X-ray촬영이다.
그러나, 종래의 무릎관절 X-ray촬영 방법으로는, 기존 환자의 엎드린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진행됨으로 인하여, X-ray촬영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무릎관절을 직접 운용해야 했으므로, X-ray촬영단계에서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X-ray촬영중 환자의 몸이 움직이게 되어, 무릎관절 엑스선 영상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흔들림으로 인해 판독의 오류 또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환자용 진찰대에 구비되어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 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종래 개발된 기술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5518호 “엑스레이 촬영용 하지관절 정위치 고정장치”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7362호 “의료 목적의 영상 촬영용 하지 압박 장치”와 같은 환자의 하퇴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앞서 개발된 장치들은, 진찰대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 X-ray촬영실에서 진찰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많아지고, 의료인이 환자의 하퇴부가 아닌 다른 부위의 X-ray촬영을 수행할 경우, 진찰대에 부착된 보조기기가 거치적거림으로 인해 의료인의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환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촬영 보조기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의료인의 필요에 따라 진찰대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촬영 보조기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의료인과 환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하퇴부가 소정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환자의 하퇴부 무릎 아래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 거치부와 양측방으로 결합 플레이트가 구비된 보조기기 몸체;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디텍터를 수용하는 디텍터 수용홈이 형성된 디텍터 삽입부; 상기 디텍터 수용홈에서 삽탈되는 디텍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어 환자의 허벅지를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부 및 상기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거치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서 일측으로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이 구비된 샤프트의 반대측에서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터 삽입부는, 상기 디텍터 삽입부가 결합 플레이트에서 이루는 각도를 고정하는 삽입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허벅지 고정부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허벅지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허벅지 고정부 조절핀에 의해 허벅지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거치부는, 환자 무릎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샤프트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며, 승하강 운동을 통해 가변 거치부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가변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 실린더 및 상기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어, 가변 실린더의 승하강시, 가변 거치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 고정부는, 환자의 안쪽 허벅지를 보조기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 및 고정하는 허벅지 가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벅지 가압수단은, 상기 허벅지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이 결합된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보조기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X-ray촬영중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이물질 또는 소독약을 흡수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소독포 및 상기 소독포를 고정시키도록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는 소독포 고정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가 지면과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수단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응하는 길이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정강이를 보조기기 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강이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되, 보조기기 몸체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는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 및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의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환자의 정강이를 가압하는 정강이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은, 환자의 정강이와 맞닿는 면적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하퇴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촬영 보조기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X-ray촬영중 의료인의 업무 능률을 증진시키고, 환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누워있는 환자가 몸을 직접 움직이는 것이 아닌, 의료인이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된 가변 거치부를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보다 수월한 X-ray 촬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X-ray촬영 이후, 환자의 피부와 맞닿아 있던 보조기기 몸체의 상부를 소독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X-ray촬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허벅지뿐만이 아닌 환자의 정강이에도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X-ray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후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거치부의 각도가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텍터 삽입부와 허벅지 고정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조절부가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6 의 (a) 및 (b) 도 5 에 도시된 경사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벅지 가압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후면도이다.
도 8 의 (a) 및 (b) 는 도 7 에 도시된 허벅지 가압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독부가 더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소독포의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 프레임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다리 프레임 높이 조절 수단으로 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 은 정강이 가압 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14 의 (a) 및 (b) 는 도 13 의 정강이 가압 수단이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4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후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거치부의 각도가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텍터 삽입부와 허벅지 고정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보조기기 몸체(100), 디텍터 삽입부(200), 디텍터(300), 허벅지 고정부(400) 및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는, 환자의 하퇴부가 소정 각도로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기기 몸체(100)의 바람직한 형상으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기 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 몸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삼각형 몸체의 형상을 가지는 보조기기 몸체(100)의 형상은, 바람직한 하나의 형상적 예시일 뿐, 의료인의 선택에 따라 보조기기 몸체(100)가 반달형의 몸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가 이루는 삼각형의 형상에서, 보조기기 몸체(100)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경사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환자의 하퇴부의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무릎 아래 부분의 각도를 조정하는 가변 거치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거치부(110)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는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고정판(112) 및 상기 고정판(112)이 구비되었던 보조기기 몸체(100)의 반대측에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회전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113)에는, 회전판(113)이 이루는 각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113)이 샤프트(111)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회전판(113)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회전판 고정 수단(11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와 가변 거치부(110)의 재질은, MC나일론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다리 프레임(120) 및 바퀴(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 프레임(120)은,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하방에서 수직으로 연장됨으로써, 보조기기 몸체(100)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 프레임(120)은, 보조기기 몸체(100)의 하중과, 보조기기 몸체(100)에 거치되는 환자의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한 강성을 가지는 강철과 같은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130)는, 상기 다리 프레임(120)이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 각각 구비됨으로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에는, 측면 플레이트(140) 및 결합 플레이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측방에는, 앞서 상술되었던 샤프트(111)를 고정시키며, 보조기기 몸체(10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측면 플레이트(14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140)에는, 의료인이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를 쉽게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측면 플레이트(140)의 소정 위치에 의료인의 손이 거치될 수 있는 손잡이(1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4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140)의 소정 높이에서 타원형으로 길게 뚫려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의료인의 손이 결쳐질 수 있는 돌출 되어 있는 손잡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보조기기 몸체(1)에 형성된 바퀴(130)와 손잡이(141)를 통해 손쉬운 이동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에는, 이후 자세하게 서술될 디텍터 삽입부(200)와 허벅지 고정부(400)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15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기 몸체(100)의 양측방에 구비되되, 보조기기 몸체(100)가 이루는 삼각형의 하부 모서리 일측의 위치에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터 삽입부(200)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양측방에 구비되었던 결합 플레이트(150)와 결합되되, 결합 플레이트(150)에서 디텍터 삽입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텍터 삽입부(200)가 결합 플레이트(150)에서 각도가 가변된 이후, 소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디텍터 삽입부(200)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삽입부 회전 고정핀(2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터 삽입부(200)에는, 디텍터(300)를 수용할 수 있는 디텍터 수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텍터 수용홈(22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 삽입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파여진 홈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텍터(300)가 상기 디텍터 삽입부(200)에 형성된 디텍터 수용홈(220)을 따라 삽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터 삽입부(200)는, 상기 디텍터 수용홈(220)에 삽입된 디텍터(300)를 고정시키는 디텍터 고정핀(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의료인이 디텍터 삽입부(200)에 디텍터(300)를 꽂아 넣은 후, 디텍터 고정핀(230)을 삽입하여 디텍터(300)를 티텍터 삽입부(200)에서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텍터(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X-ray촬영 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디텍터(3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허벅지 고정부(40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150)의 소정 높이에서 환자의 허벅지가 위치되는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 고정부(4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허벅지의 양측방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는 허벅지 고정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 고정부재(410)는, 환자의 허벅지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환자의 허벅지를 감싸줄 수 있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 고정부(400)는, 결합 플레이트(150)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허벅지 고정부 조절핀(420)에 의해 결합 플레이트(150)에서 이격된 허벅지 고정부재(4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벅지 고정부(400)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의료인의 요구에 따라, 환자의 허벅지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목적에 맞는 X-ray 촬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기존 환자가 진찰대 위에서 엎드린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진행되어 온 무릎관절 X-ray 접선 검사 방식에서 무릎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켜주며, 환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시켜 주는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X-ray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조절부가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고, 도 6 의 (a) 및 (b) 도 5 에 도시된 경사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거치부(110)는, 가변 거치부(1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 무릎의 높이, 즉, 환자의 하퇴부가 이루는 각도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 조절부(500)는, 가변 실린더(510) 및 슬라이딩 가이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실린더(510)는, 상기 가변 거치부(110)가 이루는 최상단 위치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서술되었던 샤프트(111)의 하부에서 수직하도록 결합되어, 가변 거치부(110)의 경사도, 즉, 가변 거치부(110)가 이루는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11) 또는 가변 실린더(510)에는, 가변 거치부(110)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측정 센서는,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구비되는 가변 거치부(110)가 이루는 최상단의 높이를 도출해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 실린더(51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실린더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가변 거치부(110)의 높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기계적 수단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실린더(510)는, 의료인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스위치(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은, 전자 스위치를 조작하는 의료인의 요구에 따라 신속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상술된 전자 스위치는,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일 종류로써, 전자 스위치의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의료인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제어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스위치는, 앞서 상술되었던 높이 측정 센서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의료인이 전자 스위치로 하여금 가변 거치부(110)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 높이를 설정할 경우, 상기 가변 실린더(510)와 연동된 전자 스위치가 기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의료인이 요구하는 목표 높이로 가변 거치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20)는, 상기 가변 거치부(110)의 최하단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판(112)과 회전판(113)이 보조기기 몸체(100)와 맞닿아 있는 단부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어, 가변 거치부(110)의 상승 또는 하강시, 고정판(112)과 회전판(113)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판(112)과 회전판(113)의 각각의 단부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520)에 삽입되어, 고정판(112)과 회전판(113)이 보다 원활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바퀴(5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판(112) 또는 회전판(113) 중 하나의 판은 보조기기 몸체(100)와 고정되어 가변 실린더(510)의 동작에도 슬라이딩 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판(112) 또는 회전판(113) 중 하나의 판만이 보조기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기기 몸체(100)는, 환자의 발이 위치되는 부분, 즉, 회전판(113)이 구비되는 위치의 하방에서 보조기기 몸체(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의 소정 길이, 바람직하게는 수평 프레임의 중단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가 제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변 거치부(110)와 경사 조절부(500)로 하여, 환자의 하퇴부 각도가 조절되는 와중에 환자의 발이 회전판(113)의 하방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에 걸쳐짐으로 인하여 의료인이 환자의 하퇴부 각도를 조절하는데 있어 장애가 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누워있는 환자가 X-ray촬영시 무릎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해 몸을 직접 움직이는 것이 아닌, 가변 거치부(110)가 이루는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환자가 X-ray 촬영시 느끼는 통증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벅지 가압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후면도이고, 도 8 의 (a) 및 (b) 는 도 7 에 도시된 허벅지 가압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벅지 고정부(400)는, 환자의 허벅지 안쪽을 보조기기 몸체(100)의 외측, 측면의 방향으로 가압하고, 고정하는 허벅지 가압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벅지 가압수단(600)은,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0)은, 환자의 허벅지가 거치되어 있던 허벅지 고정부(400)가 이루는 최상단 높이에서, 보조기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벅지 가압수단(600)이 환자의 허벅지를 압박한 상태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0)은,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1),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 및 탄성 부재(61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1)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은, 앞서 서술된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0)의 중단이 분할되되, 서로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1)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의 결합부에는, 탄성 부재(61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613)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은, 환자의 허벅지 내측을 거치하여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의 전체적인 형상이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1)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613)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1)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이 수축됨으로써,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612)과 맞닿아 있던 환자의 허벅지를, 허벅지 고정부(400)의 방향으로 압박함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환자의 허벅지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X-ray촬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독부가 더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며, 도 10 은 소독포의 예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X-ray촬영 중,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이물질(혈액, 소독약)을 흡수하는 소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독부(700)는, 소독포(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독포(710)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소정 위치에는, 소독포(7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소독포 고정 고리(7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독포(710)에는, 상기 소독포 고정 고리(72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고리 삽입 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독포(710)의 재질은, 의료인이 보조기기 몸체(100)를 소독하기 위한 소독약과, 환자에서 발생되는 혈흔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고 흡수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소독액과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포(71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기 몸체(100)에 구비되었던 회전판(113)이 위치되는 소독포(710)의 면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A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판(112)이 구비되는 위치의 소독포(700)의 양 측면은 제거된 상태로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T'자 형의 형상(A2)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소독포(710)가 앞서 서술되었던 허벅지 고정부(400)를 가리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환자의 X-ray촬영 이후, 환자의 피부와 맞닿아 있던 보조기기 몸체(100)를 소독하고,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혈액의 처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 프레임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고, 도 12 의 (a) 및 (b) 는 다리 프레임 높이 조절 수단으로 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1)가 지면과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800)은, 상기 보조기기 몸체(100)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구비되는 압력 실린더(810)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실린더(810)가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는, 다리 프레임(120)에 구비되었던 바퀴(130)와 동일한 직경의 센터 바퀴(8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실린더(810)에는, 의료인이 발로 밟아 압력 실린더(810)의 작동를 조절할 수 있는 페달(8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되었던 이동부에서 서술되었던 다리 프레임(120)은, 상기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800)으로 인해 보조기기 몸체(100)가 지면과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변형될 수 있도록, 제 1 다리 프레임(820)과 제 2 다리 프레임(830)으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다리 프레임(820)과 제 2 다리 프레임(830)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도록 구비되어, 지면과 가까이 위치한 제 1 다리 프레임(820)이, 보조기기 몸체(100)와 결합된 제 2 다리 프레임(830)을 수용하는 깊이를 달리하여, 상기 압력 실린더(810)에 의해 높이가 달리지는 보조기기 몸체(100)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다리 프레임(1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환자가 누워있는 진찰대의 높이에 맞도록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은 정강이 가압 수단이 구비된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의 예시도이고, 도 14 의 (a) 및 (b) 는 도 13 의 정강이 가압 수단이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환자의 정강이를 보조기기 몸체(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강이 가압 수단(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900)은,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 및 정강이 가압부재(9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환자의 하퇴부가 위치되는 보조기기 몸체(100)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이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150)에는,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의 결합 플레이트(150)에서 회전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각도 고정핀(9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은,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에 형성된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 고정핀(912)과, 고정핀 체결홀(913)을 통해,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 역시, 길이 조절을 위해 앞서 서술되었던 제 1 다리 프레임(820)과 제 2 다리 프레임(830)과 마찬가지로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의 중단이 분할되되,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앞서 서술한 내용과 기술내용이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강이 가압부재(920)는,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강이 가압부재(920)는,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910)의 단부에서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강이 가압부재(920)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가압부재 각도 고정핀(92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강이 가압부재(920)는, 환자의 정강이와 맞닿도록 구비되되, 환자의 정강이와 맞닿는 면적이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9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만일, 정강이 가압부재(920)가 환자의 정강이와 맞닿는 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될 경우, 환자의 정강이가 효과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정강이를 누를 경우,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정강이 가압부재(920)에는 함몰부(9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는, 허벅지 고정부(400)를 이용하여 환자의 허벅지뿐만이 아닌, 정강이 가압 수단(900)으로 하여, 환자의 정강이에도 고정력을 형성함으로써, X-ray촬영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100 : 보조기기 몸체 110 : 가변 거치부
111 : 샤프트 112 : 고정판
113 : 회전판 114 : 회전판 고정 수단
120 : 다리 프레임 130 : 바퀴
140 : 측면 플레이트 141 : 손잡이
150 : 결합 플레이트 200 : 디텍터 삽입부
210 : 삽입부 회전 고정핀 220 : 디텍터 수용홈
230 : 디텍터 고정핀 300 : 디텍터
400 : 허벅지 고정부 410 : 허벅지 고정부재
420 : 허벅지 고정부 조절핀 500 : 경사 조절부
510 : 가변 실린더 520 : 슬라이딩 가이드
530 : 슬라이딩 바퀴 600 : 허벅지 가압수단
610 :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611 :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612 :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613 : 탄성 부재
700 : 소독부 710 : 소독포
711 : 고정 고리 삽입 홀 720 : 소독포 고정 고리
800 :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 810 : 압력 실린더
811 : 센터 바퀴 812 : 페달
820 : 제 1 다리 프레임 830 : 제 2 다리 프레임
900 : 정강이 가압 수단 910 :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
911 : 프레임 각도 고정핀 912 : 정강이 가압수단 프레임 고정핀
913 : 고정핀 체결홀 920 : 정강이 가압부재
921 : 가압부재 각도 고정핀 921 : 함몰부

Claims (10)

  1. 환자의 하퇴부가 소정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환자의 하퇴부 무릎 아래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 거치부와 양측방으로 결합 플레이트가 구비된 보조기기 몸체;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디텍터를 수용하는 디텍터 수용홈이 형성된 디텍터 삽입부;
    상기 디텍터 수용홈에서 삽탈되는 디텍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어 환자의 허벅지를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부 및
    상기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거치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서 일측으로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이 구비된 샤프트의 반대측에서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삽입부는,
    상기 디텍터 삽입부가 결합 플레이트에서 이루는 각도를 고정하는 삽입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허벅지 고정부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허벅지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허벅지 고정부 조절핀에 의해 허벅지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거치부는,
    환자 무릎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샤프트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며, 승하강 운동을 통해 가변 거치부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가변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 실린더 및
    상기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어, 가변 실린더의 승하강시, 가변 거치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고정부는,
    환자의 안쪽 허벅지를 보조기기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 및 고정하는 허벅지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가압수단은,
    상기 허벅지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이 결합된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과 제 2 가압수단 수평 프레임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보조기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X-ray촬영중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이물질 또는 소독약을 흡수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의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소독포 및
    상기 소독포를 고정시키도록 보조기기 몸체에 구비되는 소독포 고정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가 지면과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조기기 몸체 높이 조절수단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응하는 길이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는,
    환자의 정강이를 보조기기 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강이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되, 보조기기 몸체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는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 및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 프레임의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환자의 정강이를 가압하는 정강이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강이 가압 수단은,
    환자의 정강이와 맞닿는 면적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KR1020210029858A 2021-03-08 2021-03-08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Active KR10246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58A KR102467748B1 (ko) 2021-03-08 2021-03-08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58A KR102467748B1 (ko) 2021-03-08 2021-03-08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38A true KR20220125938A (ko) 2022-09-15
KR102467748B1 KR102467748B1 (ko) 2022-11-16

Family

ID=8328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58A Active KR102467748B1 (ko) 2021-03-08 2021-03-08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60288A (zh) * 2024-03-11 2024-04-12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体位架及医疗设备
KR20250060642A (ko) 2023-10-26 2025-05-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무릎 엑스선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285A (ja) * 2002-12-18 2006-04-0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器具保持部を備えた手術用ドレープ
US20090003532A1 (en) * 2007-06-27 2009-01-01 Weber Adam J Lower-torso assembly of a treatment couch useable in an X-ray environment
JP2011101662A (ja)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膝関節撮像用架台
KR20130108239A (ko) * 2010-06-04 2013-10-02 에프제이알 에스지피에스 에스.에이. 무릎 이완 측정 장치
KR101525503B1 (ko) * 2014-10-15 2015-06-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암 헤드 커버
KR20200104539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285A (ja) * 2002-12-18 2006-04-0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器具保持部を備えた手術用ドレープ
US20090003532A1 (en) * 2007-06-27 2009-01-01 Weber Adam J Lower-torso assembly of a treatment couch useable in an X-ray environment
JP2011101662A (ja)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膝関節撮像用架台
KR20130108239A (ko) * 2010-06-04 2013-10-02 에프제이알 에스지피에스 에스.에이. 무릎 이완 측정 장치
KR101525503B1 (ko) * 2014-10-15 2015-06-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암 헤드 커버
KR20200104539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60642A (ko) 2023-10-26 2025-05-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무릎 엑스선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7860288A (zh) * 2024-03-11 2024-04-12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体位架及医疗设备
CN117860288B (zh) * 2024-03-11 2024-05-10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体位架及医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48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9141B (zh) 乳房计算机断层摄影系统
JP4008040B2 (ja) 小型で堅牢な昇降メカニズムを有する患者テーブルを含む医療機器
WO2011063715A1 (zh) 骨科机器人导航装置及定位系统
KR20220125938A (ko) 이동용 무릎관절 엑스선 촬영 보조기기
JP2000342639A (ja) 手術・診断装置
US9386958B2 (en)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camera
KR102022477B1 (ko) 방사선영상 촬영을 위한 검사용 카세트 트레이 일체형 병실 침대
US20210251566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20422A (ko) 방사선 영상 촬영용 테이블
US12285273B2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6040504B2 (ja) X線撮影装置
US9579074B2 (en)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for detecting X-rays from outside the oral cavity
CN211188037U (zh) 一种智能无创跟骨复位辅助机器人
JP7267301B2 (ja) 立位及び座位の患者のための下部シェルフを備えたx線撮影システム
JP2013244146A5 (ko)
KR100719347B1 (ko) 수술도구 위치 설정용 3자유도 직교형 수술로봇
JP6283871B2 (ja) X線撮影装置
CN113069303B (zh) 一种胸外科手术辅助医疗床
CN111821060B (zh) 基于宠物诊断和手术的一体化设备
CN211271987U (zh) 一种用于骨外科手术的复合式医疗器材
CN113679424A (zh) 一种心脏超声检查装置
CN221357545U (zh) 一种用于手术室护理的下肢辅助固定架
CN219307272U (zh) 一种便于调节的手术支架
CN110623811A (zh) 一种智能无创跟骨复位辅助机器人
CN202526495U (zh) 脊柱改良弓形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