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210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210A
KR20220123210A KR1020220108363A KR20220108363A KR20220123210A KR 20220123210 A KR20220123210 A KR 20220123210A KR 1020220108363 A KR1020220108363 A KR 1020220108363A KR 20220108363 A KR20220108363 A KR 20220108363A KR 20220123210 A KR20220123210 A KR 2022012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unit
drain hole
valv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859B1 (ko
Inventor
사키 야마무라
타케시 야마카와
마사유키 모치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6Water pressure regulating means in flush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과제)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노즐 및 밸브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노즐, 밸브 유닛 및 제어부를 수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밸브 유닛은 제어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상에 전자 밸브 등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케이싱의 내저면에는, 만일 밸브 유닛 등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누수된 물을 변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싱의 후방부에 밸브 유닛을 배치하면, 케이싱의 후방부로부터 변기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긴 배수 경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배수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2-29480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상기 노즐 및 상기 밸브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노즐, 상기 밸브 유닛 및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제어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을 제어부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으로부터 변기까지의 배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저면의 경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케이싱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또한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으로부터 변기까지의 배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 유닛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와 밸브 유닛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제어부와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열교환기 유닛이 벽이 됨으로써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유닛과 상기 밸브 유닛의 접속부는 상기 열교환기 유닛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 유닛과 밸브 유닛의 접속부를 열교환기 유닛의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속부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접속부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부와 제어부사이에 열교환기 유닛이 위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이 벽이 되어 접속부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低背部)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고배부(高背部)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상면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저배부에 밸브 유닛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이 케이싱의 상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상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간극으로부터 기 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상면이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저배부에 밸브 유닛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이 케이싱의 상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상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간극으로부터 기 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1∼제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와 제 2 배수구를 갖고,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배수구를 밸브 유닛과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설된 물을, 노즐과 가깝게 설치된 제 1 배수구까지 안내하지 않아도 밸브 유닛과 가깝게 설치된 제 2 배수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으로부터 변기까지의 배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해서, 케이싱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밸브 유닛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실 장치(900)는 좌변기(변기)(800)와, 그 상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을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은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은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커버(400b)를 갖고, 내부의 공간에 노즐(473) 등의 기능부를 수납한다. 변좌(200)의 내부에는 변좌(200)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히터(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방」, 「하방」, 「전방」, 「후방」, 「우측방」 및 「좌측방」을 사용하지만, 이들의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국부 세정 기능부는 예를 들면, 노즐(473)을 포함한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변좌(200)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노즐(473)을 변기(800)의 보울(801)내로 진출시키거나, 보울(801)내로부터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보울(801)내로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뮬(세정수)을 토출하고,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또는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c)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더운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도 소프트한 수류로 온화하게 세정하는 「부드러운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부드러운 세정」과, 「비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의 설치 위치는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3개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가 생략되어 있어도 되고, 4개 이상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로 안내한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급수 호스(15), 급수 접속부(420),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의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서 형성된다.
급수 호스(15)는 급수원(10)으로부터 케이싱(4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 호스(15)는 가요성이 있는 호스이다. 급수 접속부(420)는 급수 호스(15)와 밸브 유닛(430)을 접속한다. 급수 접속부(420)는 밸브 유닛(43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밸브 유닛(430)과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밸브 유닛(430)은 관로(20a) 상에 있어서, 급수 호스(15)의 하류에 설치된다. 밸브 유닛(430)은 적어도 전자 밸브(432)을 갖는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은 전자 밸브(432)와, 전자 밸브(432)의 상류에 설치된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의 하류에 설치된 조정 밸브(433)와, 조정 밸브(433)의 하류에 설치된 역지 밸브(434)를 갖는다. 밸브 유닛(430)은 예를 들면, 관로(20a) 상에 있어서, 급수 호스(15)의 하류로부터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류까지의 사이에 설치된다. 밸브 유닛(430)은 급수 접속부(420)를 포함해도 된다.
밸브 유닛(430)의 상류측에는 스트레이너(431)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431)는 급수원(10)로부터 공급된 물에 포함되는 이물 등을 여과한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는 스트레이너(431)의 상류측에 있어서, 스트레이너(4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너(431)의 하류에는 전자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2)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고,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 밸브(432)를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로 흐른다.
전자 밸브(432)의 하류에는 조정 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밸브(433)는 관로(20a)내의 압력이나 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조정 밸브(433)는 예를 들면, 관로(20a)내의 압력을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조압 밸브이다. 조정 밸브(433)는 예를 들면, 관로(20a)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정류량 밸브이어도 된다.
*조정 밸브(433)의 하류에는 역지 밸브(434)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4)는 관로(20a)내의 압력이 저하한 경우 등에, 역지 밸브(434)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 밸브(434)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고, 생략 가능하다.
밸브 유닛(430)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갖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는 저탕(貯湯)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의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으로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의 열교환기이어도 된다. 또한, 가열부는 열교환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과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또한,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 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고, 생략 가능하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된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된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카리수이어도 된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버큠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흘리기 위한 유로와, 유로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다. 밸브 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폐쇄하고, 물의 흐름의 정지와 아울러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즉, 버큠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밸브 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또한, 버큠 브레이커(452)는 전해조 유닛(450)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20a)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 부분의 물기 제거를 촉진시킨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물기 제거를 촉진한다. 이와 같이, 버큠 브레이커(452)는 노즐(473)내의 물을 뽑아서 노즐(473)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내의 세정수나 보울(801)내에 고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버큠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부여하고, 노즐(473)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부여한다. 즉,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고 생략 가능하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水勢)(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구동부(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내에 진출하거나, 보울(801)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토수부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분무 노즐(479)은 세정수나 기능수를 미스트 형상으로 하여 보울(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트 형상의 액체를 보울(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473)에 공급하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부드러운 세정 유로(22)과,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를 접속한다. 부드러운 세정 유로(22)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를 접속한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비데 세정 토수구(474c)를 접속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 안내한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로 안내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부드러운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와 같이, 유로 스위칭부(472)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비데 세정 토수구(474c),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 밸브(432)나, 열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부(454)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구동부(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05)는 노즐(473)이나 밸브 유닛(43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변좌(200) 및 케이스 커버(400b)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변좌(200)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1-A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B1-B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C1-C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및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의 내부(즉, 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및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에 수납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 및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가 좌우 방향의 중앙측 및 전방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밸브 유닛(43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가 좌우 방향의 중앙측 및 전방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케이싱(400)의 내저면에는 밸브 유닛(430)이나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이나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변기(8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415)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는 배수 경로(415)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경로(41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밸브 유닛(43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후술의 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80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415)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400)의 저면의 경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해서,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밸브 유닛(430)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된다. 변좌(200)의 후방부는 변좌(200)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내부에 히터(210)를 갖는 변좌(200)의 하방에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히터(210)로부터의 열에 의해 밸브 유닛(430)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밸브 유닛(430)의 강도 향상을 위해 밸브 유닛(430)을 PPS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성한 경우이어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2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0%」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밸브 유닛(430)의 면적의 20%이다. 즉, 밸브 유닛(430)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치고 있는 부분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면적이, 밸브 유닛(430) 전체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면적의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5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2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전체가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밸브 유닛(430)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은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와, 조정 밸브(433)와, 역지 밸브(434)를 갖는다.
스트레이너(431)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트레이너(43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과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트레이너(43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스트레이너(431)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431)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스트레이너(43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전자 밸브(432)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밸브(432)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전자 밸브(432)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전자 밸브(432)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전자 밸브(43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은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436)를 더 갖는다. 축경부(436)는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를 접속한다. 축경부(436)의 내경은 스트레이너(431)의 내경보다 작다.
축경부(436)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경부(43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경부(436)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경부(43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축경부(436)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축경부(436)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축경부(436)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해 축경부(436)가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4)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유닛(430)과 열교환기 유닛(440)의 접속부(435)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전방측에 위치하는 저배부(410)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고배부(411)를 갖는다. 저배부(410)는 고배부(411)의 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한다. 고배부(411)는 저배부(410)의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변좌(20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고배부(411)의 상하 방향의 길이(L2)은 저배부(410)의 상하 방향의 길이(L1)보다 길다. 밸브 유닛(430)은 케이싱(400)의 저배부(410)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변좌(200)와 케이싱(400)의 이음매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단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중앙측(좌측방측)부터 우측방측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이하, 밸브 유닛(4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우측방으로부터 본 밸브 유닛(430)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좌측방으로부터 본 밸브 유닛(430)의 측면도이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짧다. 즉,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길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다. 즉,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길다.
여기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하방에 있는 부품의 하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상방에 있는 부품의 상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스트레이너(431)의 하단으로부터 조정 밸브(433)의 상단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전방에 있는 부품의 전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후방에 있는 부품의 후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스트레이너(431)의 전단으로부터 조정 밸브(433)의 후단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우측방에 있는 부품의 우측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좌측방에 있는 부품의 좌측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스트레이너(431)의 우측단으로부터 전자 밸브(432)의 좌측단까지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를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짧고,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게 함으로써 종래 데드스페이스가 되고 있었던 케이싱(400)의 전방부의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 내부의 데드스페이스를 삭감하여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를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짧고,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 및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를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길게 함으로써 변좌(200)에 대향하는 밸브 유닛(430)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예를 들면,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을 저배부(410)의 보다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 내부의 데드스페이스를 보다 삭감하여 케이싱(400)을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후술의 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800)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짧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이 변좌(200)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밸브 유닛(430)의 보다 넓은 범위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케이싱(400)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비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즉, 밸브 유닛(43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높이가 높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가 낮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스트레이너(431)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낮다. 스트레이너(431)는 전자 밸브(43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의 전단은 전자 밸브(432)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높다. 조정 밸브(433)는 전자 밸브(432)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밸브(433)의 전단은 전자 밸브(432)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게 함 으로써 저배부(410)의 상면(410a)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쉽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상면(410a)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밸브 유닛(430)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간극(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의 간극)으로부터기 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다. 즉, 밸브 유닛(43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높이가 높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가 낮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측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트레이너(431)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낮다. 스트레이너(431)는 전자 밸브(432)보다 측단측(이 예에서는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의 우측단은 전자 밸브(432)의 우측단보다 측단측(우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높다. 조정 밸브(433)는 전자 밸브(432)보다 중앙측(이 예에서는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밸브(433)의 우측단은 전자 밸브(432)의 우측단보다 중앙측(좌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저배부(410)의 상면(410a)이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경우에도,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쉽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게 함으로써 상면(410a)이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는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430)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케이싱의 간극(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의 간극)으로부터 기 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20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200)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20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200)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은 밸브 유닛(43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밸브 유닛(43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후단은 밸브 유닛(43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는 열교환기 유닛(44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길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을 밸브 유닛(430)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을 높이의 제약을 보다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를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길게 할 수 있어 열교환기 유닛(440)의 저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가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긴 경우에는 열교환기 유닛(440)이 벽이 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열교환기 유닛(440)이 동결하지 않도록 동결 억제 제어를 행한다. 동결 억제 제어에 의해 열교환기 유닛(440)은 동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밸브 유닛(430)과 같이, 변좌(200)로부터의 열로 동결을 억제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유닛(440)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을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변좌(200)의 하방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변좌(200)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어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예를 들면, 저배부(410)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을 저배부(41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의 적어도 일부를 저배부(410)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열교환기 유닛(440)을 케이싱(400)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어 케이싱(400)을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과 밸브 유닛(430)의 접속부(435)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은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서 열교환기 유닛(440)과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과 밸브 유닛(430)의 접속부(435)를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속부(435)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접속부(435)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부(435)와 제어부(405) 사이에 열교환기 유닛(440)이 위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이 벽이 되고, 접속부(435)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곡면이다.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경사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해서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함으로써 저배부(410)의 스페이스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보다 배치하기 쉬워진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과 겹친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를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을 높이의 제약을 보다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서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제어부(405) 및 노즐(473)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a)는 도 9에 나타내는 D1-D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나타내는 E1-E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내저면에 배수 경로(415)를 갖는다. 배수 경로(415)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 설치된다. 케이싱(400)의 내저면(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 상의 물은 배수 경로(415)를 통해서 변기(800)로 배출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겹치지 않는다. 배수 경로(415)는 예를 들면, 제 1∼제 3 영역(415a∼415c)을 갖는다. 제 1 영역(415a)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과 겹친다.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은 제 1 영역(415a)을 통해서 변기(800)로 배출된다. 제 2 영역(415b)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열교환기 유닛(440)과 겹친다.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된 물은 제 2 영역(415b)을 통해서 변기(800)로 배출된다. 제 3 영역(415c)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노즐(473)과 겹친다. 노즐(473)로부터 누수된 물은 제 3 영역(415c)을 통해서 변기(800)로 배출된다.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은 제어부(405)의 전방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415a)의 후단 및 제 2 영역(415b)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 1 영역(415a)은 제 2 영역(415b)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어부(405)의 측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의 측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보다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의 제 1 영역(415a)에는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영역(415b)에는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 상의 물은 경사면을 따라, 좌우 방향의 중앙측을 향해서 흐른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의 제 3 영역(415c)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영역(415c) 상의 물은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을 향해서 흐른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는 배수 가이드부(416)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가이드부(416)는 밸브 유닛(430)의 전방에 설치된다. 배수 가이드부(416)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면(리브)이다.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은 배수 가이드부(416)에 의해, 배수 가이드부(416)보다 전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막는다. 바꾸어 말하면, 배수 가이드부(416)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을 좌우 방향의 중앙측으로 안내한다.
도 9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417a)와 제 2 배수구(417b)를 갖는다.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에 설치된다.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은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를 통해서 변기(800)로 배출된다. 즉, 위생 세정 장치(100)를 변기(800)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보울(801)의 개구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노치이어도 된다.
제 1 배수구(417a)는 노즐(473)과 가깝게 설치되는 배수구이다. 제 2 배수구(417b)는 밸브 유닛(430)과 가깝게 설치되는 배수구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배수구(417a)와 노즐(473) 사이의 거리는 제 2 배수구(417b)와 노즐(473)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제 2 배수구(417b)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는 제 1 배수구(417a)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과 가깝게 제 2 배수구(417b)을 설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노즐(473)과 가깝게 설치된 제 1 배수구(417a)까지 안내하지 않더라도, 밸브 유닛(430)과 가깝게 설치된 제 2 배수구(417b)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80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415)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3∼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도 16에서는 변좌(2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에서는 급수 호스(15)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변기(800)의 관통 구멍(810)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F1-F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G1-G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내는 H1-H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내는 J1-J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412)를 갖는다. 케이싱(400)의 저면(400d)은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하단에 위치하는 면이다. 케이싱(400)의 저면(400d)은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를 변기(800)에 부착한 상태에서, 변기(800)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는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과 상면(412b)을 갖는다.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오목부(412)의 상단에 위치하는 면이다.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케이싱(400)의 저면(400d)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오목부(412)의 깊이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과 케이싱(400)의 저면(400d)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보다 크다.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설치된다. 급수 접속부(420)는 후방 또는 측방으로 개구한다. 즉, 급수 접속부(420)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한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설치되어 있고,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급수 호스(15)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400)에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412)를 설치하고, 급수 접속부(420)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설치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후방이나 측방을 향해서 연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기(800)로부터 분리한 위생 세정 장치(100)를 바닥이나 변기(800) 상에 가설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바닥과 케이싱(400) 사이나 변기(800)와 케이싱(400) 사이에 끼여서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의 반력에 의해 케이싱(400)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설치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요성이 있는 급수 호스(15)를 사용함으로써 변기(800)에 설치된 관통 구멍(81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하는 경우에, 관통 구멍(810)의 위치가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벗어나고 있어도,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후방이나 측방을 향해서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화하기 쉽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급수 호스(15)를 수평 방향으로 직접 접속함으로써 급수 호스(15)와 급수 접속부(420)를 접속하는 급수관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10)을 갖는 변기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호스(15)를 연직 방향으로 구부려 관통 구멍(810)에 삽입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400)은 급수 호스(15)의 일부를 구부려서 수납할 수 있는 호스 수납부(413)를 갖는다. 호스 수납부(413)는 관통 구멍(810)을 갖는 변기(800)에 설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케이싱(400)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수납하면서, 급수 호스(15)를 구부릴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이와 같이, 케이싱(400)에 급수 호스(15)의 일부를 구부려서 수납할 수 있는 호스 수납부(413)를 설치함으로써, 변기(800)에 설치되는 관통 구멍(810)의 위치 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급수 호스(15)를 관통 구멍(8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양한 변기(800)의 관통 구멍(810)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호스 수납부(413)를 설치함으로써, 변기(800)로부터 분리한 위생 세정 장치(100)를 바닥이나 변기(800) 상에 가설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바닥과 케이싱(400) 사이나 변기(800)와 케이싱(400) 사이에 끼여서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호스 수납부(413)는 오목부(412)이다. 즉, 호스 수납부(413)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호스 수납부(413)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400)의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412)를 호스 수납부(413)로 하고, 급수 접속부(420)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설치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은 케이싱(400)의 측부에 설치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412)는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오목부(412)는 예를 들면, 케이싱(400)을 좌우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등분한 경우에,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즉, 측부의 영역)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412)를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싱(400)의 내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 부근에 수납되는 노즐(473) 등의 부품과 오목부(412)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412)에 있어서, 급수 호스(15)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412)의 깊이(D2)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다. 본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다. 본 예에서는 깊이(D2)는 오목부(412)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측방(예를 들면, 우측방)이어도 된다. 이 경우, 깊이(D2)는 오목부(412)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412)의 깊이(D2)를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게 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구부려 배치하는 경우에도, 급수 호스(15)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의 폭(W2)은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넓어진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다. 이 예에서는 폭(W2)은 오목부(412)의 좌우 방향의 길이이다. 즉, 이 예에서는 오목부(412)의 전단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오목부(412)의 후단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에서는 오목부(412)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은 전방 부분과, 전방 부분의 후방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방 부분보다 긴 후방 부분을 갖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측방이어도 된다. 이 경우, 폭(W2)은 오목부(412)의 전후 방향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412)의 폭(W2)을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을 향해서 넓게 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오목부(412)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접속부(420)의 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의 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의 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를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구부리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 접속부(420)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변기(800)의 관통 구멍(810)에 대하여, 급수 호스(15)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측단(400e)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측단(400e)과 급수 접속부(420)의 좌우 방향의 거리는, 예를 들면 20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를 케이싱(400)의 측단(400e)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호스 수납부(413)를 케이싱(400)의 측단(400e)과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810)을 갖지 않는 변기(800)에 설치하는 경우에, 급수 호스(15)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호스 수납부(413)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관통 구멍(810)을 갖는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하는 경우,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810)이 개구하는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 구멍(81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810)보다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810)보다 측방(측단(400e)측)에 설치된다. 급수 접속부(420)와 관통 구멍(810)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면,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의 측방에는 커버 부재(4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419)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예에서는 커버 부재(419)는 오목부(412)의 후방 및 측방을 덮고 있다. 커버 부재(419)는 예를 들면, 오목부(412)의 측방만을 덮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변기(80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8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419)를 분리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오목부(412)의 측방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변기(80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8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419)를 부착함으로써 오목부(412)의 측방을 은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 접속부(420)를 사용자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19)를 분리함으로써 호스 수납부(413)(오목부(412))는 후방 또는 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향해서 개방된다. 즉,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는 케이싱(400)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호스 수납부(413)를 후방 또는 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향해서 개방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호스 수납부(413)의 후방 또는 측방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기(800)에 관통 구멍(8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배치할 수 있다. 즉, 관통 구멍(810)을 갖는 변기(800) 및 관통 구멍(810)을 갖지 않는 변기(800) 모두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급수 호스(15)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오목부(412)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14)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부(414)는 예를 들면, 급수 호스(15)의 상방이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14)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이 있는 급수 호스(15)가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된 상태에서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14)는 예를 들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414)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412)의 상면(412b)에 의해 급수 호스(15)를 안내함으로써 급수 호스(15)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눌러서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14)는 커버 부재(419)와, 커버 부재(419)에 대향하는 오목부(412)의 측면(412c)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부재(419) 및 오목부(412)의 측면(412c)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414)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412)의 측방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419)와 커버 부재(419)에 대향하는 오목부(412)의 측면(412c)에 의하여 급수 호스(15)를 안내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좌우 방향으로 구부려서 접속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의 내부에 있어서, 오목부(4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의 하단은 오목부(412)의 상면(412b)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412)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5)를 케이싱(400)의 내부에 있어서 오목부(412)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어부(405)를 밸브 유닛(4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때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이 제어부(405)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변기(800)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예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하게 설계 변경을 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함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15 급수 호스, 20 도수부,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부드러운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210 히터, 300 변기 뚜껑, 400 케이싱, 400a 케이스 플레이트, 400b 케이스 커버, 400d 저면, 400e 측단, 401 전원 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10 저배부, 410a 상면, 411 고배부, 412 오목부, 412a 측면, 412b 상면, 412c 측면, 413 호스 수납부, 414 가이드부, 415 배수 경로, 415a∼415c 제 1∼제 3 영역, 416 배수 가이드부, 417a, 417b 제 1, 제 2 배수구, 419 커버 부재, 420 급수 접속부, 430 밸브 유닛, 431 스트레이너, 432 전자 밸브, 433 조정 밸브, 434 역지 밸브, 435 접속부, 436 축경부, 440 열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 452 버큠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 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 474b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 474c 비데 세정 토수구, 476 노즐 구동부, 478 노즐 세정부, 479분무 노즐, 500 조작부, 800 변기, 801 보울, 900 화장실 장치

Claims (11)

  1.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상기 노즐 및 상기 밸브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노즐, 상기 밸브 유닛 및 상기 제어부를 수납하는 케이싱과,
    변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제어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케이싱에는 물을 좌우 방향의 중앙측을 향해 흘려, 변기로 배출하는 배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밸브 유닛과 겹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유닛과 상기 밸브 유닛의 접속부는 상기 열교환기 유닛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와 제 2 배수구를 갖고,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고,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와 제 2 배수구를 갖고,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와 제 2 배수구를 갖고,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저부에 설치된 제 1 배수구와 제 2 배수구를 갖고,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노즐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2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배수구와 상기 밸브 유닛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220108363A 2019-07-05 2022-08-29 위생 세정 장치 KR102530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6038 2019-07-05
JP2019126038A JP6979175B2 (ja) 2019-07-05 2019-07-05 衛生洗浄装置
KR1020200050476A KR20210004814A (ko) 2019-07-05 2020-04-27 위생 세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476A Division KR20210004814A (ko) 2019-07-05 2020-04-27 위생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210A true KR20220123210A (ko) 2022-09-06
KR102530859B1 KR102530859B1 (ko) 2023-05-10

Family

ID=71607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476A KR20210004814A (ko) 2019-07-05 2020-04-27 위생 세정 장치
KR1020220108363A KR102530859B1 (ko) 2019-07-05 2022-08-29 위생 세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476A KR20210004814A (ko) 2019-07-05 2020-04-27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1784B2 (ko)
EP (1) EP3760798A1 (ko)
JP (1) JP6979175B2 (ko)
KR (2) KR20210004814A (ko)
CN (1) CN112177121B (ko)
TW (1) TWI7761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04A (ja) 2001-03-30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3139403A (ja) * 2001-10-31 2003-05-14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4196629A (ja) * 2013-03-29 2014-10-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20180022545A (ko) * 2016-08-24 2018-03-0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738A (en) * 1981-03-17 1983-06-28 Toto, Ltd. Body part cleansing device
AU1590895A (en) * 1994-02-10 1995-08-29 Toto Ltd. Toilet attachment with easily detachable seat
JP4814453B2 (ja) 2001-08-24 2011-11-16 Totoウォシュレットテクノ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100939144B1 (ko) * 2002-01-15 2010-01-28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EP1536075A4 (en) * 2002-08-29 2010-07-28 Panasonic Corp HYGIENE WASHING DEVICE
WO2004079275A1 (ja) * 2003-03-0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US8495770B2 (en) * 2003-04-28 2013-07-30 Panasonic Corporation Nozzle device and hygienic washing device
US7920779B2 (en) * 2003-12-10 2011-04-05 Panason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7284285B2 (en) * 2005-02-01 2007-10-23 Saverio Scalzi Toilet and bidet system
JP3931920B1 (ja) * 2006-02-13 2007-06-20 東陶機器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WO2007114298A1 (ja) * 2006-03-31 2007-10-11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405729B2 (ja) * 2007-03-12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US8701222B2 (en) * 2007-05-15 2014-04-2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EP2397614B1 (en) * 2009-02-12 2016-09-07 Toto Ltd. Hygiene cleaning device
JP5741857B2 (ja) * 2009-08-06 2015-07-0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601570B2 (ja) *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2305903A1 (en) * 2009-09-28 2011-04-06 Toto Ltd.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JP5633267B2 (ja) * 2009-09-30 2014-12-0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569778B2 (ja) * 2010-02-09 2014-08-1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4756404B1 (ja) * 2010-06-18 2011-08-2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2407602B1 (en) * 2010-07-16 2020-02-12 Toto Ltd. Sanitary washing apparatus
JP5093762B2 (ja) * 2010-07-28 2012-12-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946013B2 (ja) * 2011-10-28 2016-07-05 Toto株式会社 電子機器
JP5327727B2 (ja) * 2012-02-14 2013-10-3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DE102012112752A1 (de) * 2012-12-20 2014-06-26 Duravit Aktiengesellschaft WC mit einem WC-Körper sowie einer Duscheinrichtung
ES2831778T3 (es) 2013-03-04 2021-06-09 Panasonic Ip Man Co Ltd Dispositivo de boquilla y dispositivo de lavado sanitario que lo utiliza
WO2015037199A1 (ja) * 2013-09-10 2015-03-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028003B2 (ja) * 2013-11-26 2016-11-16 科勒▲諾▼▲維▼▲達▼株式會▲社▼ 温水洗浄装置内のノズルアセンブリ
JP6274601B2 (ja) * 2014-02-28 2018-02-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58021B2 (ja) * 2015-03-27 2019-08-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96944B2 (ja) * 2015-06-05 2019-10-3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17910B2 (ja) * 2015-07-30 2019-12-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6571457B2 (ja) * 2015-08-31 2019-09-04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JP6714817B2 (ja) * 2016-01-12 2020-07-0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447889B2 (ja) * 2017-02-02 2019-01-09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930128B2 (ja) * 2017-02-14 2021-09-01 株式会社アイシン 衛生洗浄装置
JP6669995B2 (ja) * 2017-06-02 2020-03-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20786B2 (ja) * 2017-06-02 2019-12-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65832B2 (ja) * 2017-06-02 2020-03-1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14459B2 (ja) * 2017-06-02 2019-12-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73133B2 (ja) * 2017-06-02 2019-09-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284070B1 (ja) * 2017-09-28 2018-02-2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274593B1 (ja) * 2017-09-28 2018-02-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TWI736795B (zh) * 2017-09-28 2021-08-21 日商Toto股份有限公司 衛生洗淨裝置
US20200347583A1 (en) * 2017-11-23 2020-11-05 Oblamatik Ag Device comprising a controllable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alve
US20190225521A1 (en) * 2018-01-24 2019-07-25 Stephan HEATH Systems, apparatus, and/or methods for providing liquid treatme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disinfection, filtration and/or purification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US10907334B2 (en) * 2018-06-01 2021-02-0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741219B1 (ja) * 2019-06-14 2020-08-19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6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39850B2 (ja) * 2019-07-05 2021-09-2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36447B2 (ja) * 2019-07-05 2021-09-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98048B2 (ja) * 2019-11-29 2023-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DE102020206713A1 (de) * 2020-05-28 2021-12-02 Diehl Aerospace Gmbh Toilettenanordnung für eine Flugzeugkabine eines Flugzeugs, Flugzeug mit der Toiletten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Trocknung einer Standfläche in der Toilettenanordn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04A (ja) 2001-03-30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3139403A (ja) * 2001-10-31 2003-05-14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4196629A (ja) * 2013-03-29 2014-10-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20180022545A (ko) * 2016-08-24 2018-03-0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76144B (zh) 2022-09-01
US11591784B2 (en) 2023-02-28
CN112177121A (zh) 2021-01-05
TW202102752A (zh) 2021-01-16
KR102530859B1 (ko) 2023-05-10
JP6979175B2 (ja) 2021-12-08
EP3760798A1 (en) 2021-01-06
KR20210004814A (ko) 2021-01-13
CN112177121B (zh) 2022-04-05
US20210002882A1 (en) 2021-01-07
JP2021011719A (ja)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298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10720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25802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530859B1 (ko) 위생 세정 장치
KR20230002244A (ko) 위생 세정 장치
JP7300114B2 (ja) 衛生洗浄装置
JP7501338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