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155A -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 Google Patents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155A
KR20220116155A KR1020227018177A KR20227018177A KR20220116155A KR 20220116155 A KR20220116155 A KR 20220116155A KR 1020227018177 A KR1020227018177 A KR 1020227018177A KR 20227018177 A KR20227018177 A KR 20227018177A KR 20220116155 A KR20220116155 A KR 2022011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ress
crank
flange
punch
crank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36697B1 (ko
Inventor
슈 안
링광 콩
양 왕
Original Assignee
쑤저우 에스엘에이씨 프리시전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에스엘에이씨 프리시전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에스엘에이씨 프리시전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6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69Transforming the shape of formed can bodies; Forming can bodies from flattened tubular blanks; Flattening can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8Deep-drawing of cylindrical articles using consecutiv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6Deforming sheet metal, tubes or profiles by sequential impacts, e.g. hammering, beating, peen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30B1/261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by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는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구동기구는 하나의 크랭크축(1), 2개의 동일한 커넥팅 로드(2),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3),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블록(4)과 2개의 동일한 펀치(5)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 크랭크축은 베어링이 회전하여 지지하고, 크랭크축에는 제1 크랭크(11), 제2 크랭크(12),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이 설치된다. 본 연신기는 2개의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각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 중에 모두 스윙 로드와 2차 연결을 생략해 구조를 대폭 간소화 한 동시에, 원래 보유하고 있던 전부의 기능을 여전히 유지함으로써, 요소 생략을 구성하였다. 둘째, 2개의 플랜지 프레스 캠을 이용해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2 구동점이 위치가 상반되도록 배치하고, 최종적으로, 제1 모멘트(moment)와 제2 모멘트의 방향이 상반되도록 구성해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본 발명은 캔바디 연신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으로 작동하는 조건에서(연신 속도: 400회/분) 비교적 우수한 공정력과 모멘트(moment) 평형 능력을 구비하는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에 관한 것이다. 캔바디는 캔바디 형상을 갖는 금속 구성 요소를 가리키며, 예를 들면 캔의 캔바디, 배터리 케이스의 캔바디 및 캔바디 형상을 구비한 다른 금속 물품이다.
금속 캔바디는 국민들의 일상 생활과 산업에서 광범위한 용도를 갖고 있다. 비교적 전형적인 것은 캔의 캔바디 및 동력 배터리 중 리튬 배터리의 케이스이다. 이런 캔바디는 해마다 사용량이 아주 막대하며, 특히, 캔의 캔바디는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계속 향상됨에 따라, 캔의 사용량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캔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재질과 철 재질 2개가 있으며, 그 구조는 캔바디와 따기 쉬운 뚜껑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캔바디는 모두 금속 시트재를 연신기로 연신해 형성한다. 종래의 캔바디 연신기는 통상적으로 컵 진입기구, 플랜지 프레스기구, 펀치 구동기구, 연신 몰드와 캔 배출기구의 부분들이 조합을 이루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컵 진입기구는 연신 전의 캔 블랭크(미리 연신한 컵형 부재)를 수송하는 데 사용하고,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연신할 때 캔 블랭크를 단단히 압착하는 데 사용하고, 펀치 구동기구는 캔바디를 연신할 때의 스탬핑 행정을 제공하는 데 사용하고, 연신 몰드는 연신해 캔바디를 성형하는 데 사용하고, 캔 배출기구는 연신 후의 재료 언로드(unload)와 캔바디 출력에 사용한다. 캔바디 연신기의 기술 핵심은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의 설계 및 그 배치에 있다. 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시장 수요와 결합해 캔바디 연신기는 고속과 고품질이 함께 진행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는 데, 이에 따라 일 측면에서, 연신 속도(연신 속도: 400회/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것을 요구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캔바디에 대한 연신 성형을 고품질로 완성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 것은 캔바디 연신기에게 자체 공행정 중의 공정력과 모멘트(moment) 평형에 대해 아주 높은 요구를 제기하였다. 따라서, 고속으로 운행하는 조건에서 캔바디 연신기의 공정력과 모멘트 평형을 어떻게 유지시키느냐 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 난제이다.
중국 특허 CN102581107A는 발명 명칭이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이고 출원 번호가 201210040629.X인 발명 특허건을 공개하였다. 이 특허는 두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가 하나의 크랭크축을 공동으로 사용한 후 대칭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배치해 스윙 로드, 슬라이드 블록, 펀치 등 부재의 운동 중 공정력과 모멘트 및 캔바디의 성형과정에서 발생한 반작용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어 크랭크축이 베어링을 지지하는 부하를 뚜렷하게 줄이고 베어링의 설계 및 가공 요구를 낮추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 특허는 두 세트의 펀치기구의 대칭성 배치를 통해 공정력과 모멘트 측면에서 뚜렷한 효과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아래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구조가 복잡하고 운동 부재가 많다. 이 특허의 방안은 두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각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는 모두 크랭크축, 메인 커넥팅 로드, 스윙 로드, 서브 커넥팅 로드,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과 펀치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스윙 로드는 스탬핑 행정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크랭크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서브 커넥팅 로드는 슬라이드 블록과 가이드 레일의 압력각을 줄일 수 있어 슬라이딩기구가 정확하고 안정되는 데 이롭지만, 스윙 로드와 서브 커넥팅 로드가 있어 설비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하고, 기구가 복잡해지게 하고, 운동 부재가 많아지게도 한다.
둘째, 설비는 전체 배치와 힘을 받는 측면에서 여전히 결함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의 도 5에 도시된 첫 번째 배치를 이용해 설계할 경우, 2개의 스윙 로드가 운동과정에서 대칭성을 유지하므로, 설비는 수평 방향의 공정력과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지만, 수직 방향에서는 평형을 이루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자가 중첩된다. 특허의 도 9에 도시된 두 번째 배치를 이용해 설계할 경우, 공정력과 모멘트의 차원에서 관찰하면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기본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구조가 아주 복잡해지고 좌측 및 우측 연신 작업장이 수직방향에서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구조가 더 간단하고 공정력과 모멘트의 평형에 이로운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연구 과제로 되었다.
본 발명은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를 제공하며, 그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공정력과 모멘트(moment)의 평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이용한다.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는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구동기구가 혁신을 이룬 점은,
베어링이 회전하여 지지하고 제1 크랭크, 제2 크랭크, 제1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이 설치된 하나의 크랭크축;
즉, 제1 커넥팅 로드와 제2 커넥팅 로드인 2개의 커넥팅 로드;
즉, 제1 슬라이드 레일과 제2 슬라이드 레일인 2개의 슬라이드 레일;
즉, 제1 슬라이드 블록과 제2 슬라이드 블록인 2개의 슬라이드 블록;
즉, 제1 펀치와 제2 펀치인 2개의 펀치;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데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크랭크는 제1 커넥팅 로드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1 커넥팅 로드의 다른 일단은 제1 슬라이드 블록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블록은 제1 슬라이드 레일에 장착하고 제1 슬라이드 레일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침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1 슬라이드 블록은 제1 펀치와 고정해 연결한다.
상기 제2 크랭크는 제2 커넥팅 로드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2 커넥팅 로드의 다른 일단은 제2 슬라이드 블록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블록은 제2 슬라이드 레일에 장착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참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2 슬라이드 블록은 제2 펀치와 고정해 연결한다.
상기 제1 크랭크, 제1 커넥팅 로드, 제1 슬라이드 블록, 제1 슬라이드 레일, 제1 펀치 및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은 크랭크축의 일단 측에 위치해 제1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제2 크랭크, 제2 커넥팅 로드, 제2 슬라이드 블록, 제2 슬라이드 레일, 제2 펀치 및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은 크랭크축의 다른 일단 측에 위치해 제2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1 구동점을 가지며,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2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2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2 구동점을 가진다.
크랭크축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펀치 구동기구와 제2 펀치 구동기구는 크랭크축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삼아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전체의 받는 힘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크랭크는 제2 크랭크의 꺽는 방향과 상반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은 크랭크축에 상대되게 고정해 연결하고, 이와 동시에,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2 구동점은 위치가 상반되며; 작동 상태에서, 제1 커넥팅 로드가 제1 크랭크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1 연신력으로, 제2 커넥팅 로드가 제2 크랭크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2 연신력으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1 플랜지 프레스력으로,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2 플랜지 프레스력으로 정의하며,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제1 연신력과 제2 연신력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1 모멘트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 프레스력과 제2 플랜지 프레스력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2 모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모멘트와 제2 모멘트의 방향이 상반되어 상기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의 관련 내용을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1. 상기 방안에서, 상기 캔바디 연신기는 조립 완성품으로서, 구조 구성 상에서 박스, 두 세트의 금형, 두 세트의 컵 진입기구와 두 세트의 캔 배출기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이 이룬 혁신은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에서 구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이런 기구는 종래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안에서 상세하게 기재하여 소개하지 않으며, 이 것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2. 상기 방안에서, 상기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캔바디를 연신할 때 캔 블랭크를 단단히 압착하는 기구(캔 블랭크의 바닥부 가장자리 위치에 대한 압착)를 가리킨다. 캔바디 연신기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 부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프레스기구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식은 본 발명의 혁신 내용에 대한 표현과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방안은 플랜지 프레스기구의 명사만 제공하고 그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식은 명시하지 않았다.
3. 상기 방안에서, 상기“크랭크축(1)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평면에 해당된다. 상기“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평면에 해당된다.
4. 상기 방안에서, 상기“플랜지 프레스력”은 캔바디를 연신하는 과정에서 캔 블랭크를 단단히 압착하는 데 이용되는 공정력을 가리키며, 기구가 운동하는 과정에서의 관성력은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연신력”은 캔바디를 연신하는 과정에서 캔 블랭크를 연신하는 데 사용하는 공정력을 가리키며, 기구가 운동하는 과정에서의 관성력은 포함하지 않는다.
5.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는 크랭크축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은 제1 크랭크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은 제2 크랭크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다.
6.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은 크랭크축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 크랭크는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크랭크는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설계 원리와 구상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공정력과 모멘트의 평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캔바디 연신기의 구조 설계 중에 아래의 2개 측면에서 개선과 혁신을 이룬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CN102581107A, 도 5에 도시된 방안)는 각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에서 모두 스윙 로드와 2차 연결을 생략하고 메인 커넥팅 로드의 다른 일단을 직접 슬라이드 블록에 회전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캔바디 연신기 구조 중에서 가장 중요한 펀치 구동기구가 간소화를 이루도록 한다.
둘째, 크랭크축의 구조 설계 중에서, 제1 크랭크에 대해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이 설계되고 제2 크랭크에 대해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이 설계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에 작용하는 플랜지 프레스력과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에 작용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을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도록 설계한다. 최종적으로, 제1 모멘트와 제2 모멘트의 방향이 상반되는 기술 조치를 이용해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을 응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에 비해 아래의 장점과 효과를 이룬다.
1. 본 발명은 각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 중에서 모두 스윙 로드와 2차 연결을 생략하였다. 실제의 효과를 살펴볼 경우, 구조를 대폭 간소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원래 보유하고있던 전부의 기능을 여전히 유지해 발명 혁신의 차원에서 요소 생략을 구성하였으므로, 돌출된 실질적 특징을 갖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CN102581107A, 도 5에 도시된 방안)에 있어서, 스윙 로드는 스탬핑 행정을 확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크랭크의 반경을 줄일 수 있고, 서브 커넥팅 로드는 슬라이드 블록과 가이드 레일의 압력각을 줄일 수 있어 슬라이딩기구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데 이롭지만, 스윙 로드와 서브 커넥팅 로드가 있어 설비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하고, 기구가 복잡해지게 하고, 운동 부재가 많아지게도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에 대한 설계를 관찰할 경우, 스윙 로드와 2차 연결은 펀치 구동기구 중에서 생략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본 발명은 구조 설계 측면에서 대담하게 혁신을 이루었는 데, 이 것은 물론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 아니다. 스윙 로드와 서브 커넥팅 로드를 생략하면 유발되는 받는 힘 및 평형 문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플랜지 프레스 캠을 설치하여 통해 극복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크랭크축의 구조 설계 중에 특별히 의도적으로 제1 플랜지 프레스 캠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이 설치되었다. 이런 설계는 펀치 구동기구의 받는 힘 및 평형에 대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펀치 구동기구가 캔바디 연신기의 핵심이고 그 또한 힘을 많이 받고 타력이 큰 운동기구로서, 특히 고속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연신 속도: 400회/분) 전체 설비의 공정력과 모멘트의 평형 문제가 특별하게 두드러지고, 그가 설비의 사용 수명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신의 품질과 효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CN102581107A)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첫 번째 배치 설계는 2개의 스윙 로드가 운동과정에서 대칭성을 유지하므로, 설비는 수평방향(도 5에 도시된 횡방향, 본 발명에 기재된“크랭크축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의 좌우방향에 상대됨)의 공정력과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지만, 수평면 내(본 발명에 기재된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의 좌우방향에 상대됨)에서는 제1 커넥팅 로드가 제1 크랭크에 가하는 연신력과 제2 커넥팅 로드가 제2 크랭크에 가하는 연신력이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며 제1 모멘트가 형성되어 크랭크축과 지지하는 베어링이 받는 힘이 평형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스윙 로드를 생략한 후, 스탬핑 행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크랭크의 반경을 증가시켰는 데, 이 것은 모멘트의 평형문제가 특히 두드러지도록 하고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충격과 부하가 커지게 한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개의 플랜지 프레스 캠을 이용해 제1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의 제2 구동점이 위치가 상반되도록 배치하고, 최종적으로,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모멘트와 제2 모멘트의 방향이 상반되도록 구성해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CN102581107A)가 크랭크축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전체의 받는 힘이 평형을 유지하는 장점을 받아들이고,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CN102581107A)가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지 못하는 단점도 극복해 뚜렷한 효과를 이룸으로써,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3. 본 발명은 지반없는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캔바디 연신기는 대형 연신 설비에 속하고, 특히, 고속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연신 속도: 400회/분) 설비의 공정력과 모멘트가 강하고 진동이 크므로, 통상적으로 모두 지반을 구비해 장착해야 한다. 이 경우, 1미터의 깊이로 피트를 파 비교적 큰 콘크리트 지반을 부어 다지고, 최종적으로, 캔바디 연신기를 콘크리트 지반에 고정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 완성품의 설계 중에 힘과 모멘트의 평형 요소를 충분히 검토해 제조한 설비는 지반없는 장착을 실현할 수 있어 장착 공사에 아주 큰 편리를 가져오는 동시에, 장착 원가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 구동기구의 원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축의 원리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펀치 구동기구의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축의 입체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실시예: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이 캔바디 연신기는 박스, 두 세트의 금형, 두 세트의 플랜지 프레스기구, 두 세트의 컵 진입기구, 두 세트의 펀치 구동기구와 두 세트의 캔 배출기구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본 발명이 이룬 혁신은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에서 구현되고, 나머지 구조 또는 기구는 모두 종래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하게 기재하여 소개하지 않으며, 이 것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구동기구는 아래의 구성 요소들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하나의 크랭크축(1)(도 2 및 도 4 참조): 이 크랭크축(1)은 베어링이 회전하여 지지하고 제1 크랭크(11), 제2 크랭크(12),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이 설치된다. 상기 제1 크랭크(11)과 제2 크랭크(12)은 크랭크축(1)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은 제1 크랭크(11)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제2 크랭크(12)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다(도 2 참조).
2개의 동일한 커넥팅 로드(2): 즉, 제1 커넥팅 로드(21)와 제2 커넥팅 로드(22)이다(도 1 및 도 3 참조).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3): 즉, 제1 슬라이드 레일(31)과 제2 슬라이드 레일(32)이다(도 1 참조).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블록(4): 즉,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제2 슬라이드 블록(42)이다(도 1 및 도 3 참조).
2개의 동일한 펀치(5): 즉, 제1 펀치(51)와 제2 펀치(52)이다(도 1 및 도 3 참조).
여기에서,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1 커넥팅 로드(21)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1 커넥팅 로드(21)의 다른 일단은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블록(41)은 제1 슬라이드 레일(31)에 장착하고 제1 슬라이드 레일(31)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레일(31)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침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1 슬라이드 블록(41)은 제1 펀치(51)와 고정해 연결한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제2 크랭크(12)는 제2 커넥팅 로드(22)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2 커넥팅 로드(22)의 다른 일단은 제2 슬라이드 블록(42)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블록(42)은 제2 슬라이드 레일(32)에 장착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32)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레일(32)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참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2 슬라이드 블록(42)은 제2 펀치(52)와 고정해 연결한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제1 크랭크(11), 제1 커넥팅 로드(21), 제1 슬라이드 블록(41), 제1 슬라이드 레일(31), 제1 펀치(51) 및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은 크랭크축(1)의 일단 측에 위치해 제1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한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제2 크랭크(12), 제2 커넥팅 로드(22), 제2 슬라이드 블록(42), 제2 슬라이드 레일(32), 제2 펀치(52) 및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의 다른 일단 측에 위치해 제2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한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1 구동점을 가지며,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2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과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2 구동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체적인 구조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종래기술을 이용해도 본 발명의 실시와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이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를 구동하여 캔바디를 연신하기 전에 캔 블랭크의 가장자리를 단단히 압착하는 임무를 실시할 수만 있다면 된다.
크랭크축(1)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즉, 도 1에 도시된 평면)에서, 상기 제1 펀치 구동기구와 제2 펀치 구동기구는 크랭크축(1)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삼아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1)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전체의 받는 힘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도 1 참조).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즉, 도 2에 도시된 평면)에서,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2 크랭크(12)의 꺽는 방향과 상반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에 상대되게 고정해 연결하고, 이와 동시에,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의 제2 구동점은 위치가 상반되며; 작동 상태에서, 제1 커넥팅 로드(21)가 제1 크랭크(11)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1 연신력(F1)으로, 제2 커넥팅 로드(22)가 제2 크랭크(12)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2 연신력(F2)으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으로,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으로 정의하며,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제1 연신력(F1)과 제2 연신력(F2)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1 모멘트(moment)(N1)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과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2 모멘트(N2)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의 방향이 상반되어 상기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도 1 참조).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황 및 구조 변화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랭크(11)와 제2 크랭크(12)는 크랭크축(1)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은 제1 크랭크(11)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제2 크랭크(12)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크랭크(12)는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심지어 다른 배치형식으로 변경할 수도 있지만, 본질 상에서 상기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의 방향이 상반되도록 요구하며,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모멘트를 평형시키는 역할만 할 수 있으면 된다.
2. 상술한 실시예에서, 2개의 플랜지 프레스 캠을 이용해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의 제2 구동점이 위치가 상반되도록 배치하고, 최종적으로,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의 방향이 상반되도록 구성해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캔바디 연신기가 작동할 때 크랭크축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전체 모멘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의 방향이 상반되는 것은 필수 조건이지만,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가 완전히 상쇄하는 여부는 필수 조건이 아니며, 이 것은 구체적인 설계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완전한 상쇄를 이루는 것은 가장 바람직한 선택이지만, 일부를 상쇄시키는 방안을 선택하도록 허용하고, 최종적으로, 종합적인 효과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3. 상술한 실시예에서, 2개의 동일한 커넥팅 로드(2), 즉, 제1 커넥팅 로드(21)와 제2 커넥팅 로드(22)를 이용한다.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레일(3), 즉, 제1 슬라이드 레일(31)과 제2 슬라이드 레일(32)을 이용한다. 2개의 동일한 슬라이드 블록(4), 즉,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제2 슬라이드 블록(42)을 이용한다. 2개의 동일한 펀치(5), 즉, 제1 펀치(51)와 제2 펀치(52)를 이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커넥팅 로드(21)와 제2 커넥팅 로드(22)는 외형이 다를 수 있고, 일부 사이즈가 다를 수도 있다.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제2 슬라이드 블록(42)은 외형이 다를 수 있고, 일부 사이즈가 다를 수도 있다.
4. 상술한 실시예는 플랜지 프레스기구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식을 설명하지 않았는 데, 그 이유는 캔바디 연신기에 있어서,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필수적인 구성 부분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체적인 구조와 형식이 본 발명의 혁신 내용에 따른 표현과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방안은 플랜지 프레스기구의 명사만 제공하고 그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식은 명시하지 않았다. 실제적으로 어떤 플랜지 프레스기구를 이용하느냐 하는 것은 본 발명과 무관하며, 이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크랭크축(1)의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 및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과 매칭해 작동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해 본 발명의 기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5.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연신력(F1)은 제1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고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은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에 대응되며, 단, 제1 펀치 구동기구와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연신된 동일 캔 블랭크에 작용한다. 제2 연신력(F2)은 제2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고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에 대응되며, 단, 제2 펀치 구동기구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연신된 다른 동일 캔 블랭크에 작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과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을 교환하고, 즉,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에 대응되는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2 펀치 구동기구에 대해 세트화 작업을 진행하고, 이와 동시에,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1 펀치 구동기구에 대해 세트화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기술 구성 및 특징에 불과하고, 그 목적은, 이 기술을 숙지하는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에 의해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 실질에 의해 실시한 모든 등가적 변화 또는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 크랭크축
11: 제1 크랭크
12: 제2 크랭크
13: 제1 플랜지 프레스 캠
14: 제2 플랜지 프레스 캠
2: 커넥팅 로드
21: 제1 커넥팅 로드
22: 제2 커넥팅 로드
3: 슬라이드 레일
31: 제1 슬라이드 레일
32: 제2 슬라이드 레일
4: 슬라이드 블록
41: 제1 슬라이드 블록
42: 제2 슬라이드 블록
5: 펀치
51: 제1 펀치
52: 제2 펀치
F1: 제1 연신력
F2: 제2 연신력
F3: 제1 플랜지 프레스력
F4: 제2 플랜지 프레스력
N1: 제1 모멘트(moment)
N2: 제2 모멘트

Claims (3)

  1. 펀치 구동기구와 플랜지 프레스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구동기구는,
    베어링이 회전하여 지지하고, 제1 크랭크(11), 제2 크랭크(12),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이 설치된 하나의 크랭크축(1);
    제1 커넥팅 로드(21)와 제2 커넥팅 로드(22)인 2개의 커넥팅 로드(2);
    제1 슬라이드 레일(31)과 제2 슬라이드 레일(32)인 2개의 슬라이드 레일(3);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제2 슬라이드 블록(42)인 2개의 슬라이드 블록(4);
    제1 펀치(51)와 제2 펀치(52)인 2개의 펀치(5);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들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1 커넥팅 로드(21)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1 커넥팅 로드(21)의 다른 일단은 제1 슬라이드 블록(41)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블록(41)은 제1 슬라이드 레일(31)에 장착하고 제1 슬라이드 레일(31)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1 슬라이드 레일(31)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침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1 슬라이드 블록(41)은 제1 펀치(51)와 고정해 연결하며;
    상기 제2 크랭크(12)는 제2 커넥팅 로드(22)의 일단과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제2 커넥팅 로드(22)의 다른 일단은 제2 슬라이드 블록(42)과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블록(42)은 제2 슬라이드 레일(32)에 장착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32)에 상대되게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며, 제2 슬라이드 레일(32)은 상기 캔바디 연신기의 받참대에 상대되게 고정되고, 제2 슬라이드 블록(42)은 제2 펀치(52)와 고정해 연결하며;
    상기 제1 크랭크(11), 제1 커넥팅 로드(21), 제1 슬라이드 블록(41), 제1 슬라이드 레일(31), 제1 펀치(51) 및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은 크랭크축(1)의 일단 측에 위치해 제1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제2 크랭크(12), 제2 커넥팅 로드(22), 제2 슬라이드 블록(42), 제2 슬라이드 레일(32), 제2 펀치(52) 및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의 다른 일단 측에 위치해 제2 펀치 구동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와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1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1 구동점을 가지며,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제2 펀치 구동기구에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과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는 구동하도록 연결해 제2 구동점을 가지며;
    크랭크축(1)의 축선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펀치 구동기구와 제2 펀치 구동기구는 크랭크축(1)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삼아 대칭되게 배치되며;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2 크랭크(12)의 꺽는 방향과 상반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에 상대되게 고정해 연결하고, 이와 동시에,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의 제1 구동점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의 제2 구동점은 위치가 상반되며; 작동 상태에서, 제1 커넥팅 로드(21)가 제1 크랭크(11)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1 연신력(F1)으로, 제2 커넥팅 로드(22)가 제2 크랭크(12)에 가하는 연신력은 제2 연신력(F2)으로, 제1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으로, 제2 플랜지 프레스기구가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에 가하는 플랜지 프레스력은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으로 정의하며, 크랭크축(1)의 축선을 지나는 평면에서, 제1 연신력(F1)과 제2 연신력(F2)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1 모멘트(moment)(N1)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 프레스력(F3)과 제2 플랜지 프레스력(F4)은 서로 평행되고 방향이 상반되어 제2 모멘트(N2)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모멘트(N1)와 제2 모멘트(N2)의 방향이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11)와 제2 크랭크(12)는 크랭크축(1)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은 제1 크랭크(11)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제2 크랭크(12)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바디 연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과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은 크랭크축(1)의 축방향에서 인접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크랭크(11)는 제1 플랜지 프레스 캠(13)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2 크랭크(12)는 제2 플랜지 프레스 캠(14)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바디 연신기.
KR1020227018177A 2019-11-11 2020-03-31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Active KR102736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92484.6 2019-11-11
CN201911092484.6A CN110877069B (zh) 2019-11-11 2019-11-11 高速平衡双向双冲罐体拉伸机
PCT/CN2020/082559 WO2021093254A1 (zh) 2019-11-11 2020-03-31 高速平衡双向双冲罐体拉伸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55A true KR20220116155A (ko) 2022-08-22
KR102736697B1 KR102736697B1 (ko) 2024-12-02

Family

ID=6972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177A Active KR102736697B1 (ko) 2019-11-11 2020-03-31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5888A1 (ko)
EP (1) EP4059628A4 (ko)
KR (1) KR102736697B1 (ko)
CN (1) CN110877069B (ko)
BR (1) BR112022008970A2 (ko)
WO (1) WO2021093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069B (zh) * 2019-11-11 2020-12-11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高速平衡双向双冲罐体拉伸机
CN111922193B (zh) * 2020-08-19 2022-12-23 台州市鼎棒模具有限公司 一种冲孔落料模具
CN112145643A (zh) * 2020-08-31 2020-12-29 广东泰吉鑫机械有限公司 双连杆机构
CN114603030B (zh) * 2022-03-04 2024-03-12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高速罐体拉伸成型设备的联动式拉伸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1107A (zh) * 2012-02-22 2012-07-18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双向双冲罐体拉伸机
CN105008253A (zh) * 2013-03-12 2015-10-28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用于立式制罐机的罐体拿取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138A (en) * 1977-10-28 1979-11-06 Standun, Inc. Can bodymaker having improved ram support and drive
US5546785A (en) * 1995-05-05 1996-08-20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rank mechanism for can body maker apparatus
KR100458711B1 (ko) * 2002-06-04 2004-12-03 주식회사 심팩 2단 크랭크축을 갖는 크랭크 프레스
US7434442B2 (en) * 2006-08-16 2008-10-14 Werth Advanced Packaging Innovations, Ltd. Container bodymaker
JP2011212701A (ja) * 2010-03-31 2011-10-27 Aisin Aw Co Ltd クランクプレス
CN102431154B (zh) * 2010-09-29 2014-01-15 浙江宏振机械模具集团有限公司 塑料拉吹机双向同步升降开合模机构
CN102275320B (zh) * 2011-08-31 2015-11-18 南京理工大学 高速压力机
CN204735681U (zh) * 2015-05-26 2015-11-04 南京农业大学 一种平衡式高速精密压力机驱动机构
CN104998946A (zh) * 2015-08-14 2015-10-28 南通茂溢机床有限公司 一种开式可倾压力机
CN205020681U (zh) * 2015-09-28 2016-02-10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罐身成型机的冲杆导向结构
CN205949593U (zh) * 2016-05-20 2017-02-15 南京农业大学 一种双滑块动态平衡机构
CN207372191U (zh) * 2017-06-29 2018-05-18 苏州斯莱克智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罐罐身成型机
CN107351433B (zh) * 2017-07-14 2023-08-08 苏州斯莱克智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罐罐身成型机的冲杆驱动机构
CN208373940U (zh) * 2018-07-06 2019-01-15 东泰机械工业(香港)有限公司 一种四连杆式冲床
CN209334574U (zh) * 2019-01-07 2019-09-03 温州衡联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冲铆机
CN110877069B (zh) * 2019-11-11 2020-12-11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高速平衡双向双冲罐体拉伸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1107A (zh) * 2012-02-22 2012-07-18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双向双冲罐体拉伸机
CN105008253A (zh) * 2013-03-12 2015-10-28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用于立式制罐机的罐体拿取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8970A2 (pt) 2022-08-02
CN110877069B (zh) 2020-12-11
EP4059628A4 (en) 2023-11-29
WO2021093254A1 (zh) 2021-05-20
CN110877069A (zh) 2020-03-13
US20220395888A1 (en) 2022-12-15
KR102736697B1 (ko) 2024-12-02
EP4059628A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6155A (ko) 고속 평형 양방향 더블 펀칭의 캔바디 연신기
WO2013123730A1 (zh) 双向双冲罐体拉伸机
CN110053287B (zh) 一种圆钢壳拉伸全伺服压力机
CN102275320B (zh) 高速压力机
CN208438715U (zh) 一种双向拉伸薄膜装置
US20210370385A1 (en) Forming assembly for bodymaker and bodymaker including same
JPH02303700A (ja) クランク軸を備えた機械、特に打抜き機における重力平衡装置
CN202427791U (zh) 双向双冲罐体拉伸机
CN107351433B (zh) 一种金属罐罐身成型机的冲杆驱动机构
CN110294442A (zh) 一种全自动易拉罐封口装置
KR20200017701A (ko) 노칭 프레스
CN213592710U (zh) 一种凸轮轴夹持装置
CN208797112U (zh) 一种圆柱电池封口装置
CN211839729U (zh) 一种高速平衡双向双冲罐体拉伸机
US11338351B2 (en) Cam driven multi-output bodymaker
KR102205931B1 (ko) 위치결정 기능을 구비한 단조 프레스 장치
US11766711B2 (en) Redraw assembly for bodymaker
CN210706248U (zh) 一种一片式纸箱成型机
CN2457743Y (zh) 碱锰电池封口机
CN109203536B (zh) 一种双杠杆高速精密冲床机构
CN217370182U (zh) 一种铝制两片罐薄壁深冲装置
CN202490854U (zh) 平拉矫直机
CN220827213U (zh) 一种升罐机构
CN207990028U (zh) 一种新型机械加工用减震底座
CN207417234U (zh) 一种热收缩包装机的装线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