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55A -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55A
KR20220096455A KR1020200188894A KR20200188894A KR20220096455A KR 20220096455 A KR20220096455 A KR 20220096455A KR 1020200188894 A KR1020200188894 A KR 1020200188894A KR 20200188894 A KR20200188894 A KR 20200188894A KR 20220096455 A KR20220096455 A KR 20220096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wood
pine
lipophilic
primary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287B1 (ko
Inventor
김남희
최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
Priority to KR102020018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심재를 포함하는 항산화제에 관한 것으로, 직경 45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하는 소나무 선별단계; 선별된 소나무의 함수율을 11 내지 19%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소나무의 외피와 변재를 제거하여, 섬유질심재 및 친유성심재로 구성된 심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심재 중 섬유질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심재 추출단계; 추출된 친유성심재와 증류수를 혼합하고, 열수추출법으로 1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1차 증류추출단계; 1차 증류추출액에서 오일성분 및 불순물을 분리하고 35 내지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1차시료를 획득하는 1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1차시료를 회수하는 1차시료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THE ANTIOXIDENT COMPRISING PINE TREE CO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생성을 저감할 수 있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대는 낮은 출산율과 평균 생존나이가 높아지고 있어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 기인하여 개인의 건강이나 수명과 관련된 각종 기능성 건강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해외 건강 기능성 식품 시장은 1,289억 달러로 최근 7년간 연평균 7.2%로 성장하였고, 국내 건강 기능성 식품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4조 3000억원으로 2016년보다 약 20% 가량 성장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기능성 건강식품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 천연 항산화물질이 포함된 항산화제품이다. 항산화제품이란 신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방어하도록 돕는 물질로, 주로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C 등과 같은 폴리페놀류 물질과 그 외 다양한 물질이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활성산소가 신체에서 설정값 이상으로 생성되면 염증이 생기거나 변형된 단백질이 생겨 축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활성산소의 생성속도의 균형이 깨지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신체 노화가 이르게 오는 등 좋지않은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신체의 항산화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는데 항산화 제품은 이러한 항산화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항산화제 글로벌 시장규모는 2022년 약 41억 4,000만 달러, 우리돈으로 약 4.5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항산화제 물질 중 천연재료에서 유래된 항산화제가 시장규모를 크게 늘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제는 식품등에 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항산화제 물질은 영양제나 건강식품, 즉 약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기존 식품에 첨가하거나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연에서 유래되지 않고 자체가공을 통해 비타민 등을 뽑아내어 제조하기 때문에 섭취 과정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별개로, 소나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무로 전국 산야에서 자라고 있어 쉽게 볼 수 있는 상록 침엽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나무의 목재나 심재는 집을 짓거라 땔감으로 쓰였고, 이외 꽃가루나 솔입, 송기, 솔방울 등은 식용이나 음료제조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소나무의 껍질이나 소나무잎에는 항산화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제 제조를 위해 소나무 껍질이나 소나무잎이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10-2010-0082800호 (발명의 명칭 : 소나무로부터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을 생산하는 방법) 그러나 소나무 잎뿐만 아니라 소나무 심재에서 일반적으로 항산화제를 생성하기 힘들 뿐 아니라. 생성된 항산화제 추출효율 역시 낮은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능이 높은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추출방법은, 직경 45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하는 소나무 선별단계; 선별된 소나무의 함수율을 11 내지 19%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소나무의 외피와 변재를 제거하여, 섬유질심재 및 친유성심재로 구성된 심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심재 중 섬유질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심재 추출단계; 추출된 상기 친유성심재와 증류수를 혼합하고, 열수추출법으로 1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1차 증류추출단계; 상기 1차 증류추출액에서 오일성분 및 불순물을 분리하고 35 내지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1차시료를 획득하는 1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상기 1차시료를 회수하는 1차시료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수추출법은 상기 친유성심재 100중량% 대비 상기 증류수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하고, 95 내지 100 ℃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친유성심재에서 상기 1차 증류추출액이 추출된 잔여심재와 에탄올을 혼합하고, 용매추출법으로 2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2차 증류추출단계; 상기 2차 증류추출액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35 내지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2차시료를 획득하는 2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상기 2차시료를 회수하는 2차시료 회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추출법은 상기 친유성심재 100중량% 대비 상기 증류수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하고, 75 내지 80 ℃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제는, 상기한 항산화제 추출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의 추출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직경 45cm 미만인 소나무 심재(이하, 비교예)를 활용한 항산화제 추출수율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친유성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추출수율이 월등하게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친유성심재의 1차시료 추출수율은 일반심재의 1차시료 추출수율에 비해 약 4배 이상,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 추출수율은 일반심재의 2차시료 추출수율에 비해 약 8배 이상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 중에서도,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는 친유성심재 40g 중 8.26g이 추출되어 추출수율 21.15%로 매우 높은 추출수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친유성심재에서 추출되는 1차시료 및 2차시료의 양이 비교예의 결과에 비해 월등하게 높기 때문에, 항산화제 추출단가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사업운영 측면에서 사업성 및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친유성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항산화도는 직경 45cm 미만인 소나무 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항산화도에 비해 높은 효과가 있다. 특히, 친유성심재의 1차시료는 타 시료에 비해서 월등하게 항산화도가 높을 뿐 아니라,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 역시 추출수율이 높음과 동시에 그 항산화도가 비교예에서 추출되는 1차시료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높은 추출수율로 항산화제를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수추출과 용매추출을 통해 추출된 모든 항산화제의 항산화도가 높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에 사용되는 소나무와 일반적인 비교예의 소나무의 단면을 비교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와 일반적인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의 성분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에서 검출된 성분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와 일반적인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항산화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추출효율 역시 높은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은, 원목선별단계(S110), 건조단계(S120), 심재분리단계(S130), 친유성심재 분리단계(S140), 1차 증류추출단계(S210), 1차 여과 및 농축단계(S220), 1차시료 회수단계(S230), 2차 증류추출단계(S310), 2차 여과 및 농축단계(S320) 및 2차시료 회수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목선별단계(S110)는 심재를 추출하기 위한 원목, 즉 소나무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흉고직경 45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할 수 있다. 소나무 흉고직경이 45cm 미만인 경우, 내부의 심재에서 추출되는 폴리페놀 함량이나 항산화력 수준이 낮거나 외부로 추출되는 향이 설정기준 미만인 경우가 많고, 항산화력 수준이 낮아지기 때문에 직경 45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해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인 건조단계(S120)는, 선별된 소나무 원목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세히, 선별된 소나무 원목을 벌목한 후, 해당 원목의 함수율이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9% 사이의 값이 될 때까지 원목을 건조시킬 수 있는 단계이다. 이러한 원목의 건조를 위한 건조방법은 주로 자연건조를 활용할 수 있고, 온도는 -10 내지 40℃, 습도 45 내지 85%의 환경에서 17,520시간 이상, 대략적으로 2년 이상의 시간동안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나무 원목의 함수율이 11 내지 19% 이하로 건조될 수 있고, 이러한 소나무 원목의 경우, 나무 망치로 원목에 타격을 가하면 내부에 수분이 응축되어 맑은 종소리가 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함수율이 11 내지 19% 이하로 건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방법으로 습도측정기를 나무에 삽입시키고 습도측정설정시간만큼 대기함에 따라 나무 내부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에 사용되는 소나무와 일반 소나무의 단면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단계 및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소나무 원목의 단면과 선별단계 및 건조단계를 거치지 않은 일반 소나무 원목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육안으로도 선별단계 및 건조단계를 거친 소나무 원목의 심재가 일반 소나무 원목의 심재에 비해 훨씬 두꺼울 뿐만 아니라 색깔이 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재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이 많을수록 심재의 색깔이 짙어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선별단계 및 건조단계를 통해 심재에 함유된 항산화물질 함량이 일반 소나무 심재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재분리단계(S130)는,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소나무 원목의 외피와 변재를 제거하여 심재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세히, 소나무 원목은 내부 중심에 형성된 심재, 심재 주위를 둘러싸는 변재, 그리고 변재를 둘러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목에서 외피 및 변재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는 원목의 구성 중 심재에 대부분의 항산화 물질 및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만 별도로 분리함으로써, 활성산소 제거를 위한 항산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필요부위를 분리해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친유성심재 추출단계(S140)는 심재에서 폴리페놀 함량 및 발향성분이 포함된 친유성 심재와, 리그닌 등이 침착된 섬유질 심재를 분리하여 친유성 심재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심재 중에서도 내부에 발향성분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친유성 심재가 본 발명의 효과를 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부분이고, 섬유질 심재의 경우 단순 섬유질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 항산화 능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1차 증류추출단계(S210)는 추출된 친유성심재를 증류수를 활용하여 1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세히, 1차 증류추출단계에서는 열수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고, 추출된 친유성심재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설정시간동안 설정온도에서 1차 증류추출액의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친유성심재 100 중량% 대비 증류수는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증류처리는 95 내지 100℃의 온도조건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친유성심재 40g을 기준으로 1.5L의 증류수를 혼합하였으며, 온도조건 100℃에서 4.5시간동안 열수추출법을 수행하였다.
1차 여과 및 농축단계(S220)에서는 1차 증류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 증류추출액의 오일성분인 화수와 에센셜 오일을 분리하고 불순물을 여과하며, 여과된 1차 증류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농축단계는 35 내지 40℃에서 감압을 활용하여 설정시간동안 압력을 설정범위만큼 낮추면서 농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1차 증류추출액이 농축되어 1차시료가 획득될 수 있다.
1차시료 회수단계(S230)는 획득된 1차시료를 회수하는 단계로 이는 단순 회수단계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2차 증류추출단계(S310)는 1차증류추출액이 추출되고 남은 친유성심재, 즉 잔여심재를 에탄올을 활용하여 2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세히, 2차 증류추출단계에서는 용매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고, 1차증류추출액이 회수되고 남은 친유성심재에 에탄올을 혼합하고 설정시간동안 설정온도에서 2차 증류추출액의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친유성심재 100 중량% 대비 에탄올은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증류처리는 75 내지 80℃의 온도조건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최초 친유성심재 40g에서 1차증류추출액이 제외된 친유섬심재, 즉 잔여친유성심재에 1.5L의 에탄올을 혼합하였으며, 온도조건 78.4℃에서 4.5시간동안 용매추출법을 수행하였다.
2차 여과 및 농축단계(S320)에서는 2차 증류추출단계에서 추출된 2차 증류추출액에서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2차 증류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이다. 2차 여과 및 농축단계에서는 화수 및 에센셜 오일과 같은 오일성분의 분리는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농축단계는 35 내지 40℃에서 감압을 활용하여 설정시간동안 압력을 설정범위만큼 낮추면서 농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 증류추출액이 농축되어 2차시료가 획득될 수 있다.
2차시료 회수단계(S330)는 획득한 2차시료를 회수하는 단계로 이는 단순 회수단계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상기한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된 1차시료 및 2차시료를 포함하는 항산화제에 대한 성분분석과 항산화 능력에 대한 비교실험데이터를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와 직경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의 성분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에서 검출된 성분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와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심재를 포함한 항산화제(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를 포함한 항산화제(이하,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소나무심재는 모두 40g 정량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조단계에서 1차 증류추출단계, 1차 여과 및 농축단계, 1차시료 회수단계, 2차 증류추출단계, 2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2차시료 회수단계는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1차 증류추출단계에서 열수추출에 사용된 증류수는 1.5L이고, 열수추출을 위한 온도조건과 시간조건은 각각 ℃와 4.5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마찬가지로, 2차 증류추출단계에서 용매추출에 사용된 에탄올은 1.5L이고, 용매추출을 위한 온도조건과 시간조건은 각각 ℃와 4.5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전체 시료는 총 4가지로 추출되었으며, 시료는 실시예 1차시료, 실시예 2차시료, 비교예 1차시료, 비교예 2차시료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심재와 비교예 소나무 심재의 정보는 표 1과 같다.
분류 실시예 소나무 비교예 소나무
흉고직경 75 cm 35 cm
추정수령 70년 이상 70년 이상
건조기간 3년 이상 1년 이상
함수율 15 ± 4 % 24 ± 3 %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교 실험은 크게 (1) 생성된 항산화제(시료)의 추출수율 비교, (2) 생성된 항산화제의 성분 비교분석, (3) 생성된 항산화제의 래디컬 소거능 비교분석의 3가지로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해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1) 추출수율 비교데이터
실시예와 비교예의 추출양과 추출수율은 아래 표 2와 같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차시료의 추출수율은 11.24%로 비교예 1차시료의 추출수율인 2.64%보다 약 4배 이상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실시예 2차시료의 추출수율은 21.15%로 2차시료의 추출수율은 2.605%보다 약 8배 이상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1차시료 및 2차시료 추출수율이 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동일한 무게의 소나무심재로부터 더 많은 양의 항산화제를 추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류 추출 후 무게(g) 추출수율(%)
실시예 1차시료 2.1206 11.24
실시예 2차시료 1.0581 2.64
비교예 1차시료 8.4610 21.15
비교예 2차시료 1.0420 2.61
(2) 생산된 항산화제의 성분 비교분석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들에 대한 성분분석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LC) 방법을 수행하였다. 분석기기는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G1322A Degasser, G1312A Bin pump, G1329A Autosampler, G1315B Detector)를 사용하였고, 분석용 컬럼은 Phenomenex Synergi Hydro-RP 로 4. 6㎛ × 150 mm × 4 ㎛을 사용하였고, 주입되는 시료의 양은 10 ㎕, 컬럼의 온도는 30℃로 실험조건을 수행하였으며, 이동 상 유속은 0.7mL/min, 검출기의 성분파장은 205nm, 254nm, 280nm, 330nm 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기분석 설정을 위해 컬럼에 2가지 용매로 acetonitrile(이하, ACN)과 trifluoroacetic acid(이하, TFA)를 주입하였고, ACN의 함량을 10% 수준에서 30분에 걸쳐서 100%까지 올려줬다가 35분까지 해당 함량을 유지하였다가 37분까지 10%로 내린 뒤 3분간 유지하여 40분까지 안정화시켰다. 이 단계에서 TFA는 ACN 대비 0.02% 함량으로 추가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1차시료와 2차시료에서 1번과 2번 파장의 픽이 확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반대로 비교예의 1차시료와 2차시료에서는 어떠한 파장의 픽도 확인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액상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이하, LC-MS법)을 활용하여 1번과 2번 파장의 피크값에 대한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피크값 별 분석결과 검출된 화학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1번 피크값의 화학구조는 pinosylvin으로 확인되었고, 2번 피크값의 화학구조는 pinosylvin methyl ether로 확인되어 실시예의 1차시료 및 2차시료, 즉 실시예의 항산화제에서는 pinosylvin 성분이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항산화제에서는 pinosylvin 성분이 검출된데 반하여 비교예의 소나무 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에서는 pinosylvin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생성된 항산화제의 래디컬 소거능 비교분석
이후 실시예의 1차시료 및 2차시료를 포함하는 항산화제와 비교예의 1차시료 및 2차시료를 포함하는 항산화제에 대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비교분석법을 수행하여 항산화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의 농도별 측정된 항산화도는 아래 표 3과 도 5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시료농도
(ppm)
항산화도 (%)
실시예
1차시료
실시예
2차시료
비교예
1차시료
비교예
2차시료
1,000 94.5 90.2 91.8 43.3
500 91.2 70.0 84.9 30.8
250 73.3 50.3 69.3 16.6
125 53.6 37.4 50.1 14.7
표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실시예 1차시료의 항산화도는 비교예 1차시료의 항산화도에 비해 모든 시료농도에서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용매추출에 의해 추출된 실시예 2차시료의 항산화도 역시 비교예 2차시료의 항산화도에 비해 모든 구간에서 2배 이상으로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실시예 1차시료는 모든 시료와 비교하여도 항산화도가 월등하게 높게 나왔을 뿐만 아니라, 용매추출에 의해 추출된 실시예 2차시료는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비교예 1차시료와 비교하여도 항산화도가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에 따라 추출된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일반적인 소나무 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 추출수율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친유성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추출수율이 월등하게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친유성심재의 1차시료 추출수율은 약 4배 이상,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 추출수율은 약 8배 이상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는 친유성심재 40g 중 8.26g이 추출되어 추출수율 21.15%로 매우 높은 추출수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소나무심재에서 추출되는 1차시료 및 2차시료의 양이 월등하게 높음에 따라 항산화제 추출단가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사업운영측면에서 사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친유성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항산화도는 일반적인 소나무 심재를 활용한 항산화제의 항산화도에 비해 높은 효과가 있다. 특히, 친유성심재의 1차시료는 타 시료에 비해서 월등하게 항산화도가 높을 뿐 아니라, 친유성심재의 2차시료 역시 추출수율이 높음과 동시에 그 항산화도가 비교예의 소나무에서 추출되는 1차시료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높은 추출수율로 항산화제를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수추출과 용매추출을 통해 추출된 모든 항산화제의 항산화도가 높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직경 45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하는 소나무 선별단계;
    선별된 소나무의 함수율을 11 내지 19%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소나무의 외피와 변재를 제거하여, 섬유질심재 및 친유성심재로 구성된 심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심재 중 섬유질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심재 추출단계;
    추출된 상기 친유성심재와 증류수를 혼합하고, 열수추출법으로 1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1차 증류추출단계;
    상기 1차 증류추출액에서 오일성분 및 불순물을 분리하고 35 내지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1차시료를 획득하는 1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상기 1차시료를 회수하는 1차시료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추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법은 상기 친유성심재 100중량% 대비 상기 증류수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하고, 95 내지 100 ℃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추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심재에서 상기 1차 증류추출액이 추출된 잔여심재와 에탄올을 혼합하고, 용매추출법으로 2차 증류추출액을 추출하는 2차 증류추출단계;
    상기 2차 증류추출액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35 내지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2차시료를 획득하는 2차 여과 및 농축단계; 및
    상기 2차시료를 회수하는 2차시료 회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추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법은 상기 친유성심재 100중량% 대비 상기 증류수 200 내지 5,000 중량%로 혼합하고, 75 내지 80 ℃에서 0.5 내지 8시간동안 증류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추출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KR1020200188894A 2020-12-31 2020-12-31 소나무 심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KR10262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94A KR102620287B1 (ko) 2020-12-31 2020-12-31 소나무 심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94A KR102620287B1 (ko) 2020-12-31 2020-12-31 소나무 심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55A true KR20220096455A (ko) 2022-07-07
KR102620287B1 KR102620287B1 (ko) 2024-01-02

Family

ID=8239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94A KR102620287B1 (ko) 2020-12-31 2020-12-31 소나무 심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6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대산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13B1 (ko) * 2006-01-12 2007-06-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산뽕나무 줄기 심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항노화화장료 조성물
KR20100025992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소나무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100082800A (ko) 2008-06-18 2010-07-1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차의 동적 특성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19574A (ko) * 2010-08-26 2012-03-07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13B1 (ko) * 2006-01-12 2007-06-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산뽕나무 줄기 심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항노화화장료 조성물
KR20100082800A (ko) 2008-06-18 2010-07-1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차의 동적 특성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5992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소나무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120019574A (ko) * 2010-08-26 2012-03-07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LSSON et al., Induction of discolored wood in Scots pine (Pinus sylvestris). Tree Physiology. 2002, Vol. 22, pp. 331-338 1부.* *
Venugopal et al., Phenolic compounds in Scots pine heartwood: are kelo trees a unique woody substrat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16, Vol. 46, pp. 225-233* *
그러나 소나무 잎뿐만 아니라 소나무 심재에서 일반적으로 항산화제를 생성하기 힘들 뿐 아니라. 생성된 항산화제 추출효율 역시 낮은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6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대산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87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vat et al.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unds from several commercial peach cultivars
de la Cerda‐Carrasco et al.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of pomaces from four grape varieties (Vitis vinifera L.)
Sefton et al. Volatile norisoprenoid compounds as constituents of oak woods used in wine and spirit maturation
Akhavan et 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uices from ten Iranian pomegranate cultivars depend on extraction
Bouaziz et al. Oil content, phenolic profiling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unisian olive drupes
Scordino et al. Phenolic Characterization of S icilian Yellow Flesh Peach (P runus persica L.) Cultivar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JP200903555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の豊富な抽出物、及び関連する調製方法
Mozetič et al. Determination of polyphenols in white grape berries cv. Rebula
KR20220096455A (ko) 소나무 심재가 포함된 항산화제 및 이를 추출하는 방법
Cotea et al.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 in grape seeds.
Moniruzzaman et al. Phenolic acid and flavonoid composition of Malaysian honeys
Pérez-Bonilla et al.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live wood extracts
Keskin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biochemical compounds of Vitis vinifera L.(cv.‘Katıkara’) and Vitis labrusca L.(cv.‘Isabella’) grown in Black Sea Coast of Turkey
Marhuenda et al. Melatonin and hydroxytyrosol-rich wines influence the generation of DNA oxidation catabolites linked to mutagenesis after the ingestion of three types of wine by healthy volunteers
Perra et al. Application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to grape by-products as a circular economy model to provide phenolic compounds enriched ingredient
Silva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fresh and processed mango (Mangifera indica L, cv.“Maria”) pulps: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volatiles,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Moroșanu et al. Assessment of major volatile and phenolic compounds from ‘Fetească regală’wine samples after pre-fermentative treatments using GC-MS Analysis and HPLC analysis
CN104203226A (zh) 从针叶木种中分离类黄酮二氢槲皮素(紫杉叶素)的方法
EP1395539B1 (en) A method for isolating phenolic substances or juvabiones from wood comprising knotwood
Jalili et al. Comparative phenolic profile of Persian walnut (Juglans regia L.) leaves cultivars grown in Iran
KR20080004758A (ko)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갖는 감태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Ramanauskienė et al. Analysis of content of phenolic acids in Lithuanian propol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echnique
Rasheed et al.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pineapple fruit
Barbieri et al. Recent amendment to product specification of brisighella PDO (Emilia‐Romagna, Italy): Focus on phenolic compounds and sensory aspects
Mahmutovic et al. Correlation of total secondary sulfur compounds, total phenol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the Ramsons and Garl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