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697A -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3697A KR20220093697A KR1020200184693A KR20200184693A KR20220093697A KR 20220093697 A KR20220093697 A KR 20220093697A KR 1020200184693 A KR1020200184693 A KR 1020200184693A KR 20200184693 A KR20200184693 A KR 20200184693A KR 20220093697 A KR20220093697 A KR 20220093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fire
- smoke
- unit
- sit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수단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모드시 데이터 릴레이방식을 나타낸 블록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모드시 데이터 릴레이방식을 나타낸 블록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모드시 데이터 릴레이방식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조기감지와 화재 유형파악이 가능한 종합 화재감지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호발신 시퀀스에 따라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사물제어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호세기에 따라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사물제어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방향이 디스플레이되는 사물제어유닛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위치에서 최적 대비경로가 디스플레이되는 사물제어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이 탈착된 상태의 사물제어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포트가 돌출된 상태의 통신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포트에 연결한 상태의 통신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0:감지부
20:무선게이트웨이
30:플랫폼 서버
31:수신부
32:데이터베이스
33:예측부
34:대응부
35:전송부
40:사물제어유닛
41:하우징
42:디스플레이부
43:스피커
44:탈부착부재
50:통신모듈
51:비상버튼
52:송수신부
53:연결포트
54:배터리
100:연기감지기
200:분석수단
210:수신기
220:제어기
230:최초화재위치판단부
240:연기농도변화데이터생성부
250:화재원인분석부
300:데이터베이스
Claims (5)
-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 연기, CO, 불꼿, 습도, 콘센트 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IoT통신칩이 내장된 감지부;
건물 내에 설치되며, 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와, 건물 내 피난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건물 내 CCTV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와이어리스 수신용 무선게이트웨이;
상기 무선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위치정보, 상기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시뮬레이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을 예측하고, 대응정보를 상기 피난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물제어유닛을 통해 알리도록 제어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건물 내에 복수로 설치되며, 스피커와, 하우징과, 최적경로 또는 최적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한 사물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무선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화재확산 시뮬레이션데이터, 상황별 시뮬레이션 최적경로데이터, 상황별 대응메뉴얼데이터, 건물 내부구조데이터, 센서위치데이터가 저장되며 학습,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화재확산 시뮬레이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판단예측데이터를 생성하는 예측부; 및
상기 상황판단예측데이터와 피난자의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별 시뮬레이션 최적경로데이터에서 최적경로를 결정하고, 상황판단예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별 대응메뉴얼데이터에서 최적 대응메뉴얼데이터를 결정하는 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아크는 콘센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아크감지콘센트를 통해 감지되며,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측; 스위치(S/W)와 부하측 사이에 연결되어 미세한 전류 검출, 직렬아크 검출, 병렬아크 검출, 접지아크 검출, 콘센트별 현재 공급되는 상용전류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기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에서 mA, mV로 검출된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부에서 변환된 복수의 신호를 받아 임펄스 파형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패턴변환, 숄더(Shoulder), 파형의 형상변화, 전압강하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는, 접속구별로 미세한 전류를 검출, 직렬아크 검출, 병렬아크 검출 및 접지아크를 검출하며, 현재 인가되는 상용전원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전기설비 관련규정에 따라 과부하 판단을 판단부에서 할 수 있도록 홀센서(Hallsensor), 변류기(CT) 또는 영상변류기(ZCT)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석부는, 콘센트몸체에 구성한 접속구별로 발생하는 정상아크는 전기기기의 기동시, 사용중, 정지시, 스위치 조작시에 발생하는 임펄스 파형의 패턴변화를 분석, 기억하여 정상적인 아크로 판단하고, 접속구별로 발생하는 합선, 혼촉, 접촉불량, 접지, 절연불량이 발생되는 불규칙적인 임펄스에서 파형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패턴변화, 숄더(Shoulder), 파형의 형상변화, 전압강하를 변수로 하여 복합적인 변수를 실시간 비교, 분석해 유해아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사물제어유닛 각각의 스피커에서 발신되는 음성의 크기와 발신 시퀀스를 제어하여 피난 방향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물제어유닛은 하우징에 구비된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감지부 또는 유도등에 탈부착되거나, 상기 감지부를 내장하고,
탈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사물제어유닛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비상시, 고립시 상기 통신모듈 내에 구비된 상황별 비상버튼을 통해 현재 상황과 위치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최적경로, 상황별 매뉴얼을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갖고,
상기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갖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 서버와 통신연결되어 상황메시지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전송가능하고, 상기 상황별 매뉴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연물 소스 종류별로 시간에 따른 연기입자농도를 측정한 다수의 화재종류별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연기감지기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시간에 따른 연기입자농도 변화인 연기농도변화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화재종류별데이터와 매칭하여 화재원인을 분석하는 분석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기감지기는 측정된 연기입자 농도를 분석수단의 수신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기감지기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연기감지기로 특정주기로 릴레이 브로드캐스트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연기감지기 각각의 위치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분석수단은,
상기 복수의 연기감지기 중 연기농도가 설정된 임계값이상이라고 측정된 최초 연기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최초위치를 판단하는 최초화재위치판단부와,
상기 최초 연기감지기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시간에 따른 연기입자농도 변화인 연기농도변화데이터를 생성하는 연기농도변화데이터생성부와,
상기 연기농도변화데이터와 다수의 화재종류별데이터를 매칭하여, 최초화원을 판단하는 화재원인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원인분석부는 상기 연기농도변화데이터와 다수의 화재종류별데이터간에 피크값, 피크값 도달시간, 피크값까지의 기울기를 대비하여 최초화원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정상모드시, 특정주기로 상기 복수의 연기감지기에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명령을 전송하고,
화재발생모드시, 상기 연기농도변화데이터를 획득할 때까지, 상기 최초 연기감지기에만 브로드캐스트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최초 연기감지기에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명령의 빈도를 그외 연기감지기의 명령빈도보다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693A KR20220093697A (ko) | 2020-12-28 | 2020-12-28 |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693A KR20220093697A (ko) | 2020-12-28 | 2020-12-28 |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697A true KR20220093697A (ko) | 2022-07-05 |
Family
ID=8240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693A Ceased KR20220093697A (ko) | 2020-12-28 | 2020-12-28 |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369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53663A (zh) * | 2024-03-26 | 2024-04-30 |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消防关联性的消防预警系统 |
KR102679589B1 (ko) * | 2024-04-01 | 2024-07-01 | 이영희 | 실시간으로 비화재보 발생 가능성과 시기를 예측 및 전달하는 소방설비 감지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133B1 (ko) | 2010-08-30 | 2011-06-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스 및 화재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
KR101454203B1 (ko) | 2014-07-16 | 2014-11-04 | 주식회사 태강전기 | 저전류 아크 검출 시스템 |
KR101665407B1 (ko) | 2016-02-03 | 2016-10-13 | 주식회사테크블루 |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693A patent/KR20220093697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133B1 (ko) | 2010-08-30 | 2011-06-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스 및 화재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
KR101454203B1 (ko) | 2014-07-16 | 2014-11-04 | 주식회사 태강전기 | 저전류 아크 검출 시스템 |
KR101665407B1 (ko) | 2016-02-03 | 2016-10-13 | 주식회사테크블루 |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53663A (zh) * | 2024-03-26 | 2024-04-30 |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消防关联性的消防预警系统 |
CN117953663B (zh) * | 2024-03-26 | 2024-05-28 |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消防关联性的消防预警系统 |
KR102679589B1 (ko) * | 2024-04-01 | 2024-07-01 | 이영희 | 실시간으로 비화재보 발생 가능성과 시기를 예측 및 전달하는 소방설비 감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195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 |
US6737967B2 (en) | Wireless walk through test system | |
KR102580356B1 (ko) |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 |
KR101439860B1 (ko) |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 |
KR101807264B1 (ko) |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 |
KR101828994B1 (ko) |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 |
CN209821986U (zh) | 火灾监控系统 | |
KR101725802B1 (ko) |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275994B1 (ko) |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 |
KR101817940B1 (ko) | 듀얼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KR20220093697A (ko) | IoT 무선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대응시스템 | |
CN109166266A (zh) | 智能消防报警系统及方法 | |
KR102335676B1 (ko) |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 |
KR101145414B1 (ko) |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 |
CA3039709A1 (en) | Autonomous commissioning and inspection of alarm systems | |
KR20090080273A (ko) |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 |
JP2024120104A (ja) | 火災監視システム | |
KR101868115B1 (ko) | 재난발생 자동 검지 및 피난 관제 통신 시스템 | |
KR102112691B1 (ko) | 화재 감지 시스템 | |
JP6399572B1 (ja) |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 |
KR20090080282A (ko) |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 |
KR20220151587A (ko) |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 |
KR101807261B1 (ko) |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 |
KR100632445B1 (ko)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 |
KR101993291B1 (ko) | 지진을 감지하여 시설물에 방재 조치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