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957A -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957A
KR20220048957A KR1020210135260A KR20210135260A KR20220048957A KR 20220048957 A KR20220048957 A KR 20220048957A KR 1020210135260 A KR1020210135260 A KR 1020210135260A KR 20210135260 A KR20210135260 A KR 20210135260A KR 20220048957 A KR20220048957 A KR 20220048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eet
biosensor
base body
biosenso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캉 황
천-무 황
Original Assignee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4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39Transport arrangements specific to flat sample substrates, e.g. pusher bla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08Test strips, e.g. pap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742Type of codes
    • G01N2035/00752Type of codes bar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39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 G01N2035/0441Rotary sample carriers, i.e. carousels for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204)를 갖는 바이오센서 스트립(2); 바이오센서 스트립(20)을 수용하는 스트립시트(20), 스트립시트(20)에 장착되는 가이드시트(30), 및 스트립 시트(20)에 대해 바이오센서 스트립(2)과 가이드 시트(30)의 왕복 운동을 유발하기 위해 스트립 시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플레이트(50)를 포함하는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전자 모듈(1), 및 생리적 신호를 전자 모듈(1)에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 피스(73)를 포함하는 접촉 모듈(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DEVICE}
이 출원서는 2020년 10월 13일에 출원된 미국의 가출원 번호 제63/09081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서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7240565B2호에 개시된 혈당 측정기의 테스트 스트립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존의 트리거 메커니즘은 작동 스프링(34)을 사용하여 2개의 제어 표면(30)과 2개의 반대 표면(32)을 구동하여 검사 스트립을 배출하거나 클램핑하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한다. 미국 특허 제8057753B2호에 개시된 다른 종래의 트리거 메커니즘에서, 메모리 와이어(104)는 슬라이더(106)를 구동하여 검사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선형으로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미국 공개 번호 제20120143085A1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트리거 메커니즘에서, 푸시 버튼(46)은 바이어싱 장치(48)가 검사 스트립을 밀어내기 위해 접촉 부분(40)을 구동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데 사용된다. 미국 특허 번호 제10048247B2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트리거 메커니즘에서, 배출 버튼(16)은 액추에이터 암(32)이 스윙하도록 구동하는데 사용되고, 이에 의해 슬레드(34)의 선형 운동을 구동하여 검사 스트립이 배출된다. 미국 특허 번호 제8715571B2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트리거 메커니즘에서, 배출 버튼(16)은 액추에이터 암(32)을 트리거하여 슬레드(36)를 구동하여 2개의 가이드 레일(38,40)을 이동시켜 테스트 스트립을 배출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3956A1호에 개시된 종래의 테스트 스트립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누름-배출(push-to-eject) 메커니즘은 테스트 스트립을 삽입한 후 테스트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탄성부(111a)를 이용한다. 슬라이드 가능 이동부(103)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테스트 스트립을 밀어내는 경우, 제2 탄성부(111b)를 사용하여 테스트 스트립을를 배출한다. 미국특허 제10139391호에 개시된 다른 종래의 누름-배출 메커니즘에서, 트리거(42)가 수동으로 작동될 때 배출 요소(40)의 작동부(41)를 사용하여 시험편을 밀어낸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10040160A1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누름-배출 메커니즘에서, 작동체(50)는 바이오센서 테스트 스트립을 운반하는 패드 부분(65)을 들어올려 밀어내기 위해 기어(71)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90041631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누름-배출 메커니즘에서, 배출 버튼(11)은 시험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탄성 요소(17)와 협력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자동이든 수동이든 위에 언급된 메커니즘 중 어느 것도 바이오센서 테스트 스트립을 자동으로 삽입, 위치결정 및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서의 목적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자동으로 삽입, 배치 및 배출할 수 있는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리학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접촉 모듈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 스트립은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다.
스트립 왕복 모듈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트립 시트,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및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회전판의 회전은 스트립 시트에 대한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촉발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모듈은 전자 모듈, 및 생리적 신호를 전자 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접촉 모듈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 스트립은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다.
스트립 왕복 모듈은 베이스 몸체,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트립 시트,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및 베이스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유닛을 포함한다. 회전판의 회전은 스트립 시트에 대한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촉발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모듈은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작동 유닛에 의해 구동 가능하고, 전자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모듈에 생리적 신호를 전송하는 연장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접촉 모듈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 스트립은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다.
스트립 왕복 모듈은 베이스 몸체,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피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스트립 시트,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및 베이스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작동 유닛을 포함한다. 회전판의 회전은 스트립 시트에 대한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촉발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유닛이 초기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이동될 때, 스트립 시트의 피구동 세트는 작동 유닛의 구동 세트에 의해 구동되어 하향 이동함으로써 스트립 시트를 상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하향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스트립 시트에 삽입된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전자 모듈과 접촉한다.
접촉 모듈은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작동 유닛에 의해 구동 가능하고, 전자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모듈에 생리적 신호를 전송하는 연장편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 몸체, 스트립 시트, 및 2개의 하부 작동 시트를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부분 분해 및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접촉 모듈의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6은 접촉 모듈의 다른 단편적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바이오센서 스트립 삽입 과정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다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6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 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의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과정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7은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과정 중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배출 공정이 완료된 때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배출 공정이 완료된 때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1의 (a) 내지 (d)는 제1 실시예의 스트립 시트가 작동 유닛에 의해 승강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a) 및 (b)는 제1 실시예의 앵커 부재가 스트립 시트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이오센서 스트립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1 실시예의 회전판 및 제1 구동 스프링의 회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서에 따른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편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편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내용이 더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참조 번호 또는 참조 번호의 말단 부분은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 사이에서 반복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에 따른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실시예는 생체 유체(미도시)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된다.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바이오센서 스트립(2), 스트립 왕복 모듈, 접촉 모듈(70), 제1 구동 스프링(80), 제2 구동 스프링(90) 및 탄성 유닛(100)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 스트립(2)은 삽입 단부(201), 삽입 단부(201)에 대향하는 전도 단부(202), 삽입 단부(201)에 형성된 풀프루프 에지(203), 전도 단부(202)에 근접하게 배치된 2개의 신호 출력 단부(204), 삽입 단부(201)에 근접하게 배치된 앵커 구멍(205), 삽입 단부(201)와 전도 단부(20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코드 구멍(206), 및 신호 출력 단부(204)와 코드 구멍(206) 사이에 배치된 위치결정 구멍(207)을 갖는다.
스트립 왕복 모듈은 베이스 본체(10), 스트립 시트(20), 가이드 시트(30), 고정 부재(40), 회전판(50) 및 작동 유닛(60)을 포함한다. 접촉 모듈(70)은 복수의 코드 비드(101)를 갖는 전자 모듈(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하우징 유닛(미도시)에 설치되며, 그 작동 유닛(60)은 하우징 유닛에서 돌출된 배출 버튼(미도시)과 연결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우징 유닛 및 배출 버튼은 실시예의 명확한 도시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스트립 왕복 모듈의 베이스 본체(10)는 전자 모듈(1)이 장착되고, 제1 단부(11), 제2 단부(12), 위치결정 폴(13), 2개의 제한 가이드부(14), 복수의 관통 홀(15), 복수의 가이드 폴(17), 2개의 전방 정지부(181), 2개의 후방 정지부(182), 2개의 피봇 폴(19)(도 2에서 하나만 볼 수 있음) 및 정지 폴(191)을 갖는다. 제2 단부(12)는 전후 방향(X)에서 제1 단부(11)와 반대이다. 위치결정 폴(13)은 제1 단부(11) 상에 배치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위치결정 구멍(207)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한 가이드부(14)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며,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 사이에 배치된다. 관통홀(15)은 제한 가이드부(14) 사이에 배치되며, 전자 모듈(1)의 코드 비드(101)가 그것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폴(17)은 전후 방향(X)에 수직인 상하 방향(Z)으로 상향 돌출된다. 전방 정지부(181)는 제1 단부(11)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에 수직인 좌우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다. 후방 정지부(182)는 제2 단부(12)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좌우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다. 피봇 폴(19)은 제1 단부(11)에 배치된다. 정지 폴(191)은 제2 단부(12)에 배치된다.
도 2, 3, 4 및 9를 참조하면, 스트립 왕복 모듈의 스트립 시트(20)는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본체(10)에 장착되고, 가이드 폴(17)의 안내 하에 베이스 본체(10)에 대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스트립 시트(20)는 상면(21), 하면(22), 삽입 홈(23), 슬라이드 홈(24), 피구동 세트(25), 풀-프루프 홈(26), 풀-프루프 스프링(261), 제1 결합 부재(27), 결합 구멍(281), 원호 홈(282), 정지편(283) 및 접합 리브(29)를 갖는다.
저면(22)과 상면(21)은 상하 방향(Z)에서 서로 대향한다. 삽입홈(23)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전단(231)과 전단(231)과 대향하는 후단(232)을 전후 방향(X)으로 갖는다. 삽입홈(23)과 슬라이드홈(24)은 상하 방향(Z)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통된다. 슬라이드 홈(24)은 직선 섹션(241), 웨지 섹션(242) 및 제한 섹션(243)을 갖는다. 직선 섹션(241)은 삽입홈(23)의 후단부(232)로부터 삽입홈(23)의 전단부(231)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웨지 섹션(242)은 직선 섹션(241)과 연결되며, 삽입홈(23)의 전단부(231)를 향하여 점차 증가하는 상하방향(Z)의 높이를 갖는다. 제한 섹션(243)은 웨지 섹션(242)과 연결되며, 삽입홈(23)에 인접하고 삽입홈(23)과 직접 연통하지는 않는다.
피구동 세트(25)는 삽입홈(23)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사다리꼴편(251)을 갖는다. 각 사다리꼴편(251)은 베이스 본체(10)를 바라보는 바닥면(252)과, 전후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며 바닥면(252)의 대향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경사면(253)을 갖는다. 풀프루프 홈(26)은 삽입 홈(23)의 전방 단부(231)에 인접하고 연통한다. 풀프루프 스프링(261)은 삽입홈(23)의 전단부(231)에 삽입되고(도 9 참조),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삽입홈(23)에 삽입하는 동안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풀프루프 에지(203)에 의해 삽입홈(23)의 전단부(231)로부터 풀프루프 홈(26) 내로 탄성적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제1 결합 부재(27)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결합 구멍(281)은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다. 원호 홈(282)은 결합 구멍(281) 주위에 배치된다. 스톱 피스(283)는 원호 홈(282)에 배치된다. 접합 리브(29)는 삽입홈(23)의 전단부(23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된다.
스트립 왕복 모듈의 가이드 시트(30)는 스트립 시트(20)에 대해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며, 스트립 시트(20)에 장착되는 시트 블록(31)과 시트 블록(31)에 연결되는 연장 피스(32)를 갖는다. 시트 블록(31)은 스트립 시트(20)의 삽입 홈(2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부(310), 슬라이드부(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스트립 시트(20)의 제1 결합 부재(27)와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311), 상기 슬라이드부(310)에 형성된 2개의 클로 슬롯(312), 상기 슬라이드부(310)의 전단과 연결되는 운반 플랫폼(313), 상기 운반 플랫폼(313)의 전방에 형성된 경사안내면(314), 및 상기 슬라이드부(3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전자 모듈(1)의 코드 비드(101)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가늘고 긴 슬롯(315)을 갖는다. 연장 피스(32)는 상부로 연장되고 T자 형상인 제1 결합부(321)를 갖는다.
스트립 왕복 모듈의 고정 부재(40)는 가이드 시트(30)에 장착되고, 스트립 시트(20)에 대해 가이드 시트(30)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갈고리 부분(41) 및 고정 부분(42)을 갖는다. 갈고리 부분(41)은 스트립 시트(20)의 슬라이드 홈(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가이드 시트(30)에 고정된 위치결정 단부(411), 위치결정 단부(411)에 대향하는 스윙가능 단부(412), 및 스윙가능 단부(412) 상에 배치된 웨지 부분(413)을 갖는다. 위치결정 단부(411)는 가이드 시트(30)의 갈고리 슬롯(312)과 각각 맞물리는 2개의 갈고리(414)를 갖는다. 고정부(42)는 갈고리 부분(41)에서 돌출된 반구형의 돌출부이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동안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가 바이오센서 스트립(2)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스트립 시트(20)의 슬라이드 홈(24)의 제한 섹션(243)을 향한 고정 부재(40)의 슬라이딩 이동 동안, 스윙가능 단부(412)는 슬라이드 홈(24)의 웨지 섹션(242)의 안내 하에 스윙하여 삽입 홈(23)으로부터 고정 부분(42)을 철회한다.
스트립 왕복 모듈의 회전판(50)은 스트립 시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결합 부재(51), 절곡편(52), 후크부(53), 접촉부(54), 제2 결합부(55), 제1 연결구멍(56) 및 직립 탭(57)을 갖는다. 결합 부재(51)는 스트립 시트(20)의 결합 구멍(28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절곡편(52)은 스트립 시트(20)의 원호 홈(282)으로 연장되어 스트립시트(20)의 정지편(283)과 맞물려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회전판(50)의 상하운동을 억제한다. 접촉부(54)는 결합 부재(51)를 둘러싼다. 제2 결합부(55)는 가이드 시트(30)의 제1 결합부(321)에 결합되며, 후크부(53)와 반대된다. 제1 연결 구멍(56)은 후크부(53)와 제2 결합부(55) 사이에 배치된다. 직립 탭(57)은 접촉부(54)의 주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판(50)의 제2 결합부(55)는 가이드 시트(30)의 제1 결합부(321)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U자형 홈이다. 회전판(50)은 원래 위치(도 1 참조)와 회전 위치(도 12 참조)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동안, 가이드 시트(3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회전판(50)이 원래 위치에서 회전 위치로 제1 회전 방향(D1)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스트립 왕복 모듈의 작동 유닛(60)은 베이스 바디(10)에 대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작동 유닛(60)은 상부 작동 시트(61), 2개의 하부 작동 시트(62) 및 구동 세트(63)를 포함한다. 상부 작동 시트(61)는 베이스 본체(10)의 전방 정지부(181)와 후방 정지부(182)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돌출편(611), 돌출 핀(612), 절개 슬롯(613), 정지 표면(614) 및 제2 연결 구멍(615)을 갖는다. 돌출편(611)은 베이스 본체(10)를 향하여 돌출되고, 작동 유닛(6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후크부(53)와 맞물린다(도 1 참조). 돌출 핀(612)은 베이스 본체(10)를 향하여 돌출되고 돌출편(611)에 근접한다. 절개 슬롯(613)은 돌출 핀(612)에 근접하고, 회전판(50)의 직립 탭(57)이 그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정지 표면(614)은 절개 슬롯(613) 옆에 배치되며, 이에 대해 회전판(50)의 직립 탭(57)이 맞닿도록 제공된다. 하부 작동 시트(62)는 상부 작동 시트(61)에 연결되고 베이스 본체(10)와 스트립 시트(20) 사이에 연결된다. 하부 작동 시트(62)는 전후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각각의 제한 가이드부(14)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가이드 탭(621) 및 스프링 후크(622)를 갖는다. 구동 세트(63)는 하부 작동 시트(62)에 연결되고 사다리꼴편(251) 중 대응하는 하나에 근접한 복수의 하부 구동 부재(63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구동 부재(631)는 롤러이다. 작동 유닛(60)이 초기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이동되면(도 14 참조) 스트립 시트(20)의 피구동 세트(25)는 작동 유닛(60)의 구동 세트(63)에 의해 구동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의해 스트립 시트(20)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스트립 시트(20)에 삽입된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전자 모듈(1)에 접촉된다.
도 5 및 도 6을 추가로 참조하면, 접촉 모듈(70)은 베이스 몸체(10)에 장착되고, 전자 모듈(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작동 유닛(60)에 의해 회동 구동된다. 작동 유닛(6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접촉 모듈(70)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으로부터 분리된다. 작동 유닛(60)이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접촉 모듈(70)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전자 모듈(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바이오센서 스트립(2)과 접촉한다.
접촉 모듈(70)은 본체(71), 2개의 금속 전도편(72), 2개의 연장편(73), 2개의 토션 스프링(74) 및 연장 스프링(75)을 더 포함한다.
본체(71)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몸체(10)의 회동 폴(19)에 각각 회동되는 2개의 스윙암(711)과, 이 스윙암(711)을 연결하는 연결봉(712)을 갖는다. 금속 전도편(72)은 본체(71)의 연결봉(712)에 내장되어 전기적으로 전도되며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금속 전도편(72)은 본체(71)의 연결 로드(712)로부터 돌출된 접촉부(721)를 갖는다. 연장편(73)은 금속 전도편(7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71) 외부로 연장된다. 각각의 연장편(73)은 금속 전도편(72) 각각에 연결되고 슬롯(734)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731), 바이오센서 스트립(2)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 단부(735)를 갖는 연장 부분(732), 및 베이스 부분(731)과 연장 부분(732)을 상호연결하는 연결 부분(733)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74)은 스윙암(711)과 베이스 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71)를 바이오센서 스트립(2) 쪽으로 편향시켜 그에 의해 구동 유닛(6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금속 전도편(72)의 접촉부(721)와 바이오센서 스트립(2) 사이의 접촉이 보장된다. 각각의 토션 스프링(74)은 전자 모듈(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레그, 및 금속 전도성 피스(72) 각각의 접촉 부분(7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레그를 갖는다. 연장 스프링(75)은 본체(71)와 작동 유닛(60)의 하부 작동 시트(62) 중 하나의 스프링 후크(622)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구동 스프링(80)은 회전판(50)과 작동 유닛(60)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스프링(80)은 토션스프링이고, 스프링 본체(81), 및 상기 스프링본체(8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판(50)의 제1 연결 구멍(56)과 작동 유닛(60)의 제2 연결 구멍(615)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레그(82,83)를 갖는다.
제2 구동 스프링(90)은 베이스 몸체(10)의 제1단부(11)와 작동 유닛(60)의 하부 작동 시트(62) 중 다른 하나의 스프링후크(622) 사이에 연결된다. 작동 유닛(60)이 고정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동된 후(도 23 참조), 제2 구동 스프링(90)은 작동 유닛(60)이 배출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구동 스프링(90)은 인장 스프링이다.
탄성 유닛(100)은 베이스 몸체(10)와 스트립 시트(20) 사이에 장착되며, 스트립 시트(20)를 상부에서 하부로 탄력적으로 하방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유닛(100)은 복수의 토션 스프링(110)을 포함한다. 각각의 토션 스프링(110)은 베이스 몸체(10)에 슬리빙(sleeved)되는 스프링 몸체(111), 스프링 몸체(111)의 일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몸체(10)에 접하는 제1 레그(112), 및 스프링 몸체(111)의 타단에 연결되고 스트립 시트(20)에 접하는 제2 레그(113)를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협력의 기능, 기술적 수단 및 의도된 효과에 대한 추가 이해를 위해,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동 세부사항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실시예가 완전히 조립되고 바이오 센서 스트립(2)이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회전판(50)은 원래 위치에 있고 가이드 시트(30)는 베이스 몸체(10)의 제1 단부(11)에 근접하여 그것의 연장편(32)은 스트립 시트(20)의 접촉 리브(29)에 대해 접촉한다. 작동 유닛(60)의 돌출편(611)은 후크부(53)에 맞닿아 작동 유닛(60)이 베이스 몸체(10)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초기 위치에 있는다. 도 32a를 더 참조하면, 이번에는, 스트립 시트(20)의 슬라이드홈(24)의 구성으로 인해 삽입 홈(24) 위에 그리고 슬라이드홈(24)의 제한 섹션(243)에 배치된 웨지 부분(413)과 함께 고정 부재(40)가 절곡되고, 그에 따라 삽입 홈(23)의 전방 단부(231)가 방해받지 않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단부(201)가 그것을 통해 고정 부분(42)의 위치를 통과할 준비가 된다. 도 31(a)를 더 참조하면, 이번에는, 스트립시트(20)의 사다리꼴편(251)은 하부 구동 부재(631)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그에 따라 스트립시트(20)가 상부에 위치하며, 접촉 모듈(70)의 각각의 연장편(73)의 슬라이딩 단부(735)가 수축 위치에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삽입하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단부(201)가 먼저 스트립 시트(20)의 삽입홈(23)의 전단부(231)로 들어간다. 그런 다음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풀프루프 에지(203)는 풀프루프 스프링(261)과 접촉하게 되고 풀프루프 스프링(261)을 풀프루프 홈(26으로 밀어 넣어)(도 9 참조),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이 계속되는 것을 허용한다.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면(즉, 풀프루프 에지(203)가 풀프루프 스프링(261)과 접촉하지 않음), 풀프루프 스프링(261)에 의해 차단되어 삽입을 계속할 수 없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약 1/4(즉, 전체 길이의 1/4)이 삽입 홈(23)에 들어갈 때까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삽입 홈(23) 안으로 계속 밀어 넣으면, 삽입 단부(201)는 가이드 시트(30)의 경사진 가이드 면(314)의 안내 하에 운반 플랫폼(313) 위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가이드 시트(30)에 맞닿는다.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단부(201)는 가이드 시트(30)를 밀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부재(40)를 그것과 함께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고, 고정 부재(40)의 웨지 부분(413)은, 스트립 시트(20)의 슬라이드 홈(24)의 웨지 섹션(242)의 안내 하에, 삽입 홈(23)으로 하강한다(즉, 스윙가능 단부(412)가 아래쪽으로 스윙하고 고정 부재(40)의 갈고리 부분(41)이 곧게 펴진다. 그 다음, 고정 부분(42)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위치 결정 구멍(207)과 결합되어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고정 부재(40)와 가이드 시트(30) 사이에 고정된다.
가이드 시트(30)가 제2 단부(12)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 시트(30)는 제1 결합부(321)와 제2 결합부(55) 사이의 결합을 통해 회전판(50)을 제1 회전 방향(D1)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고, 또한 제1 구동 스프링(80)을 구동하여 제1 회전 방향(D1)으로 회전시킨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약 1/3(전체 길이의 1/3)이 삽입홈(23)에 삽입될 때까지 삽입이 계속되면, 회전판(50)의 회전이 제1 구동 스프링(80)의 동작을 작동시켜 회전판(50)이 제1 회전 방향(D1)으로 더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를 밀어 더 후방으로 이동시켜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후방으로 더 끌어당긴다.
구체적으로, 회전판(50)이 회전하는 동안 제1 연결 구멍(56)은 회전판(50)의 회전 중심(즉, , 걸림 부재(51))과 제2 연결 구멍(615)에 의해 정의된 가상의 직선(L)(도 33 참조)과 정렬되고, 이 때, 제1 연결 구멍(56)과 제2 연결 구멍(615)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고, 제1 구동 스프링(80)의 레그(82)와 레그(83) 사이의 거리도 최소가 된다(제1 구동 스프링(80)은 전체 동작 동안 가장 큰 탄성에너지를 보유한다). 도 12, 도 13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1 연결 구멍(56)이 제2 연결 구멍(615)과 결합 부재(51)에 의해 정의된 가상의 직선(L)과 정렬되기 전에, 제1 연결 구멍(56)이 가상 직선(L)의 한쪽에 배치되고 제1 연결 구멍(56)과 제2 연결 구멍(615)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제1 연결 구멍(56)이 가상 직선(L)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며 더 이상 제2 연결 구멍(615) 및 결합 부재(51)와 정렬되지 않고, 제1 연결 구멍(56)과 제2 연결 구멍(615)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기 시작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정렬 순간을 지나는 동안, 전술한 제1 연결 구멍(56)의 이동 및 제1 연결 구멍(56)과 제2 연결 구멍(615) 사이의 거리 변화로 인해 제1 구동 스프링(80)이 급격한 압축 손실을 겪고 제1 연결 구멍(56)의 이동(즉, 결합 부재(51)에 대한 제1 연결 구멍(56)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것의 탄성 에너지를 방출하고 반동하기 시작하는 반발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정렬 순간 이후에는 사용자가 정렬 순간 이전에 느꼈던 탄성이 사라지고 제1 구동 스프링(80)의 편향력(biasing force)에 의해서만 제1 연결 구멍(56)의 회전이 구동될 수 있다. 제1 구동 스프링(80)이 제1 회전 방향(D1)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는 계속해서 회전판(50)에 의해 구동되어 베이스 몸체(10)의 제2 단부(12)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 시트(30)가 베이스 몸체(10)의 정지 폴(191)에 의해 멈춰질 때까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삽입 홈(23) 내로 더 이끈다. 즉, 제1 구동 스프링(80)이 정렬의 순간 이후에 다시 반동하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더 이상 바이오센서 스트립(2)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고, 나머지 삽입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이 완료된 후, 회전판(50)의 후크부(53)는 더 이상 작동 유닛(60)의 돌출편(611)을 막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어 작동 유닛(60)이 제2 구동 스프링(90)과 제 1구동 스프링(80)의 합동 편향력에 의해 베이스 몸체(10)의 제1단부(1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배출버튼(미도시)이 그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되 상기 이동은 작동부(60)가 고정 위치에서 베이스 몸체(10)의 전방 정지부(181)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계속된다. 베이스 몸체(10)의 가이드 폴(17)의 안내 및 위치 제한 효과로 인해 스트립 시트(20)는 특정 범위 내에서만 베이스 몸체(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도 31(b) 참조), 작동 유닛(60)의 이동에 따라, 연장 스프링(75)은 평형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접촉 모듈(70)의 본체(71)에 가해지는 그것의 인장력을 감소시킨다. 이후 본체(71)의 연결봉(712)이 스트립 시트(20)의 접합 리브(29)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본체(71)가 토션 스프링(74)의 편향력에 의해 피봇되는 것이 허용된다. 동시에, 접촉 모듈(70)의 연장편(73)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신호 출력단(204)을 향해 이동한다.
도 16 및 도 17을 도 2 및 도 31(b)와 함께 참조하면, 구동 유닛(60)이 베이스 몸체(10)의 제1 단부(11)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구동 세트(63)의 하부 구동 부재(631)(즉, 롤러) 각각은 각 사다리꼴 조각(251)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경사면(253)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해 스트립 시트(20)의 각 사다리꼴 조각(251)의 바닥면(252) 아래로 롤링된다. 하부 구동 부재(631)가 사다리꼴편(251)으로부터 분리되면, 탄성유닛(100)의 시트 토션 스프링(110)의 편향력을 받은 스트립 시트(20)가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베이스 몸체(10)의 상부 표면에 대한 삽입 홈(23) 내에서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가압한다. 그 결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코드 구멍(206)이 코드 비드(101)에 대해 가압되어 전자 모듈(1)(예를 들어, 그 위에 장착된 자동 코딩 모듈)을 작동시키고, 베이스 몸체(10)의 위치결정 폴(13)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위치결정 구멍(207)과 맞물리며, 그에 따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베이스 몸체(10)에 대해 위치된다.
이 때, 작동 유닛(60)은 스트립 시트(20)와 접촉하지 않고(그 구성요소들은 작은 간극에 의해 이격됨), 그에 따라 작동 유닛(60)은 스트립 시트(20)의 영향을 받지 않고 베이스 몸체(10)에 대해 이동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동시에, 접촉 모듈(70)의 연장 스프링(75)이 그것의 평형 위치에 도달하고, 본체(71)의 회전에 의해 연장편(73) 각각의 슬라이딩 단부(735)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신호 출력 단부(204) 중 각각의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연장편(73)의 탄성과 토션 스프링(74)의 편향력에 의해, 각각의 연장편(73)의 슬라이딩 단부(735)는 접촉하는 동안 신호 출력 단부(204)의 각각의 하나에서 약간 미끄러지며 접촉을 방해할 수 있는 임의의 잠재적인 산화물 층, 보호 층 또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마찰을 생성하고, 그에 의해 연장편(73)과 신호 출력단(204) 사이의 전기 전도가 보장된다. 이 때,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이 완료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전자 모듈(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전자 모듈(1)이 작동하여 생리적 신호(전류 값)를 전달하여 상응하는 혈당값을 얻는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배출하면, 배출 버튼(미도시)이 전후 방향(X)을 따라 눌러져 작동부(60)를 구동하여 베이스 몸체(10)의 제2 단부(12)를 향하게 하고 확장 스프링(75)를 그것의 평형 위치에서 당겨 빼낸다. 연장 스프링(75)의 편향력이 토션 스프링(74)의 편향력을 압도하기 시작할 때, 접촉 모듈(70)의 본체(71)는 후방으로 회동하고 각각의 연장편(73)의 슬라이딩 단부(735)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신호 출력 단부(204)의 각각의 하나로부터 멀어지도록 잡아당기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작동 유닛(60)의 하부 구동 부재(631)는 스트립 시트(20)의 사다리꼴편(251) 각각의 경사면(253)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촉되고 하부 구동 부재(631)에 의해 스트립 시트(20)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사다리꼴편(251) 각각의 바닥면(252)을 향해 롤링된다(도 31(c) 및 도 31(d) 참조).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배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작동 유닛(60)이 베이스 몸체(10)의 제2 단부(12)를 향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연장 스프링(75)은 본체(71)의 스윙 암(711)이 베이스 몸체(10)의 제1 단부(11)에 맞닿을 때까지(본체(71)의 과회전 방지) 접촉 모듈(70)의 본체(71)를 계속 잡아당기고 각각의 연장편(73)의 슬라이딩 단부(735)는 수축된 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하부 구동 부재(631) 각각이 사다리꼴편(251) 각각의 바닥면(252)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스트립 시트(20)가 상부로 완전히 들어올려진다(도 31(a) 참조).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베이스 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전자 모듈(1)은 그것의 원래의 상태로 리셋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작동 유닛(60)이 베이스 몸체(10)의 제2 단부(12)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부 작동 시트(61)의 돌출 핀(612)이 회전판(50)의 접촉부(54)에 맞닿아 밀리고, 작동 유닛(60)의 후방 이동은 회전판(50)을 구동하여 제1 회전 방향(D1)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D2)으로 회전시키고,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스트립 시트(20)의 삽입 홈(23) 밖으로 밀어내도록 구동시킨다. 이 때, 제1 구동 스프링(80)이 제2 회전 방향(D2)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제1 구동 스프링(80)의 전술한 동작이 다시 작동되어 회전판(50)이 제2 회전 방향(D2)으로 더 회전하도록 그리고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를 앞으로 더 밀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을 전방으로 더 밀도록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구멍(56), 제2 연결 구멍(615), 및 결합 부재(51)가 다시 한번 서로 정렬되면, 제1 구동 스프링(80)의 반발 효과가 다시 발생하고 제1 구동 스프링(80)이 다시 반동하고 그것의 탄성 에너지를 방출하여 제1 연결 구멍(56)과 제2 연결 구멍(615)의 이동을 촉진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나머지 배출 과정은 자동적인 것이 된다.
제1 구동 스프링(80)의 반동 효과 후에, 사용자가 더 이상 베이스 몸체(10)의 제2 단부(12)를 향해 작동 유닛(60)을 밀기 위해 배출 버튼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지만, 사용자의 밀어내기 움직임은 종종 그 관성으로 인해 작동 유닛(60)이 배출 위치에서 베이스 몸체(10)의 후방 정지부(182)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계속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배출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배출 버튼을 끝까지 누를 필요가 없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작동 유닛(60)이 배출 위치에 있고 사용자가 아직 배출 버튼을 해제하지 않은 경우, 바이오센서 스트립(2)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약 1/4이 여전히 스트립 시트(20)의 삽입 홈(23)에 있는 위치에 있다. 이 때, 회전판(50)의 직립 탭(57)이 작동 유닛(60)의 정지 표면(614)에 맞닿아, 회전판(50)의 회전이 정지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고정 구멍(205)은 여전히 고정 부재(40)의 고정 부분(42)과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운동 관성에 의해 스트립 시트(20) 밖으로 우발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배출 버튼을 해제하면, 배출 버튼 및 작동 유닛(60)은 제2 구동 스프링(90)에 의해 구동되어 베이스 몸체(10)의 제1 단부(11)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시간 동안, 작동 유닛(60)의 정지 표면(614)은 회전판(50)의 직립탭(57)에서 이탈되고, 그에 따라 회전판(50)이 제1 구동 스프링(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되어 가이드 시트(30)가 스트립 시트(20)의 접합 리브(29)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그것의 회전을 계속한다. 한편, 고정 부재(40)의 웨지 부분(413)은 스트립 시트(20)의 웨지 섹션(242)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즉, 스윙가능 단부(412)가 위쪽으로 스윙하고 고정 부재(40)의 갈고리 부분(41)이 구부러짐), 고정 부재(40)의 고정 부분(42)은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위치 결정 구멍(207)을 결합해제한다(도 31(d) 참조).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베이스 몸체(10)의 제1 단부(11)를 향한 작동 유닛(60)의 이동은 작동 유닛(60)의 돌출편(611)이 회전판(50)의 후크부(53)에 부딪힐 때 최종적으로 멈춘다. 그런 다음 연장 스프링(75)은 평형 위치를 향해 약간 이동하고 본체(71)에 가해지는 그것의 인장력을 감소시켜, 본체(71)가 토션 스프링(74)에 의해 약간 회전되어 연장 부재(73) 각각의 슬라이딩 단부(735)를 수축된 위치로 다시 돌아오게 한다. 이 시점에서, 배출 과정이 완료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은 스트립 시트(20)에서 꺼내어질 준비가 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이들간의 차이점은 제2 실시예에서 탄성 유닛(100')이 베이스 몸체(10)와 나사식으로 맞물리고 스트립 시트(20)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110'), 및 나사(110')에 각각 슬리브된(sleeved) 복수의 압축 스프링(111')을 포함한다는 것에 있다. 각각의 압축 스프링(111')은 스트립 시트(20) 및 개별 나사(110')에 대해 각각 접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다. 압축스프링(111')의 배치로 인해, 탄성 유닛(100')은 작동 유닛(60)(도 34에 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구동 부재(631)가 스트립 시트(20)로부터 분리될 때 스트립 시트(20)를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제3 실시예에서 하부 구동 부재(631") 각각은 하부 작동 시트(62")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된 사다리꼴 돌출부이고 각각의 사다리꼴 조각(251)에 형상이 대응한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이, 하부구동부재(631)는 스트립시트(20)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스트립 시트(20)의 사다리꼴편(251) 아래로 각각 슬라이딩될 수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요약하면,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개시된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 및 그에 상응하는 이점이 다음과 같이 나열된다.
1. 스트립 시트(20)의 풀프루프 홈(26) 및 풀프루프 스프링(261)의 배치 및 설계 덕분에,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2.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가이드 시트(30)와 고정 부재(4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여전히 원하는 구조적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구성요소의 몰딩 설계가 단순화되고 생산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3. 회전판(50)과 가이드 시트(30)의 구성 및 이들 사이의 결합에 의해 회전판(50)의 회전을 가이드 시트(30)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삽입 및 배출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시트(30)가 맞닿도록 마련되는 접촉 리브(29)의 배치로 인해, 회전판(50)이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보장된다.
4. 회전판(50)의 직립 탭(57)과 작동 유닛(60)의 정지 표면(614)의 구성으로 인해, 회전판(50)의 회전이 정지되어 배출 과정의 끝 근처에서 고정 부재(40)의 고정 부분(42)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고정 구멍(205)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고,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운동 관성에 의해 스트립 시트(20) 밖으로 우발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5. 베이스 몸체(10)의 가이드 폴(17)의 위치 제한 효과에 의해, 베이스 몸체(10)에 대한 스트립 시트(20)의 상하 이동이 정확하게 유지된다.
6. 삽입 과정이 완료되면, 베이스 몸체(10)의 위치 결정 폴(13)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위치결정 구멍(207)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바이오센서 스트립(2)이 실수로 힘에 의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7. 본체(71), 금속 전도편(72) 및 연장편(73)(본체(71)는 금속 전도편(72)이 내장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금속 전도편(72) 및 연장편(73)은 시트(sheet) 형 또는 릴(reel) 형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구리를 스탬핑하여 하나의 피스로 형성됨) 덕분에, 2개의 금속 전도편(72)(또는 2개의 연장편(73))이 서로 이격되는 것이 보장되고 큰 구조적 강도가 제공된다.
8. 슬롯(734) 및 연장편(73)의 전체 구성 및 재료 특성으로 인해, 연장편(73)은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고, 연장편(73)의 슬라이딩 단부(735) 각각과 바이오센서 스트립(2)의 개별 신호 출력 단부(204) 사이의 연결이 보장된다.
9. 베이스 몸체(10)의 4개의 모서리 각각의 (패스너를 둘러싸는) 슬리브 구조는 베이스 바디(10)가 다양한 형태 및 모델의 하우징 유닛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 유닛의 설계에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10. 마지막으로, 토션 스프링(74)과 연장편(73)의 구성으로 인해, 슬라이딩 단부(735)는 잠재적인 산화층, 보호층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접촉 간섭을 피하고 연장편(73)과 신호 출력 단부(204) 사이의 전기 전도가 보장된다.
상기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의 일부 없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서수 표시가 있는 실시예 등에 대한 참조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서의 실시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 내용을 합리화하고 다양한 발명적 측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특징이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으로 함께 그룹화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해야 하고, 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적절한 경우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사항과 함께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고려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동등한 배치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2)

  1.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된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로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트립 시트,
    상기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및
    상기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판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은 상기 스트립 시트에 대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상기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유발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접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모듈은,
    전자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생리적 신호를 상기 전자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편을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왕복 모듈은
    베이스 몸체로서, 상기 접촉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가이드 시트 상에 장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이동가증하게 장착되고, 상기 접촉 모듈을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회동하게끔 구동하도록 구성된 작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제1 구동 스프링, 및 제2 구동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상기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로의 삽입 동안, 상기 가이드 시트는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에 의해 눌러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후방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이드 시트의 상기 후방 이동은 상기 회전판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끔 구동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기 회전은 상기 제1 구동 스프링 및 상기 제2 구동 스프링의 동작을 작동시켜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고정 위치로의 전방 이동을 제공하여 상기 스트립 시트를 상기 전후 방향에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하부 위치로 하방 이동시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상기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작동 유닛의 전방 이동은 상기 접촉 모듈을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회동하게끔 구동시키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상기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내로 삽입될 때 그리고 상기 작동 유닛 및 상기 스트립 시트가 각각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 유닛은 후방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스트립 시트를 상방 이동시키고 상기 접촉 모듈을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하게끔 구동하고;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후방 이동은 상기 회전판의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구동하고, 상기 가이드 시트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전방 이동을 구동하며; 및
    상기 회전판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1 구동 스프링의 동작을 작동시켜 상기 회전판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더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가이드 시트 및 상기 고정 부재를 밀어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전방으로 더 철회시키도록 전방으로 더욱 이동하는,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스트립 시트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내부로의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을 위한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외측에 배치된 피구동 세트를 갖고;
    상기 가이드 시트는 상기 스트립 시트에 대하여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 결합부를 갖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트립 시트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시트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 동안 상기 가이드 시트 및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가이드 시트의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된 제2 결합부를 갖고, 원위치 및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삽입 동안의 상기 가이드 시트의 상기 후방 이동은 상기 회전판을 상기 원위치에서 상기 회전 위치로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판이 상기 원위치에 있을 때 초기 위치에 있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 위치에 있으며;
    상기 작동 유닛은 구동 세트를 갖고;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트립 시트의 상기 피구동 세트는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구동 세트에 의해 구동되어 하방 이동하고, 그에 의해 상기 스트립 시트가 상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하방 이동하며,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립 시트 내로 삽입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상기 전자 모듈과 접촉하고;
    상기 접촉 모듈은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과 접촉하여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상기 전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링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작동 유닛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판의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회전 위치로의 상기 제1 회전 방향의 회전은 상기 제1 구동 스프링의 동작을 작동시켜 상기 작동 유닛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의 후방 이동은 상기 회전판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의 회전을 구동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스프링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원위치를 향하여 더욱 회전하도록 구동하게끔 동작하고; 및
    상기 제2 구동 스프링은 상기 작동 유닛과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구동 스프링은 상기 작동 유닛을 상기 배출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전방 이동하도록 구동하게끔 동작 가능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시트를 상기 하부 위치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하방 편향시키는 탄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복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 각각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서 슬리브된 스프링 몸체, 상기 스프링 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에 맞닿는 제1 레그, 및 상기 스프링 몸체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립 시트에 맞닿는 제2 레그를 포함하는,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스트립 시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나사; 및
    상기 나사에 각각 슬리브된 복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 각각은 상기 스트립 시트 및 상기 나사 중 개별 나사에 대해 각각 접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시트의 상기 삽입 홈은 전방 단부 및 상기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전방 단부와 반대되는 후방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립 시트는 슬라이드 홈을 더 갖고, 상기 삽입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며 서로 연통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삽입 홈의 상기 후방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홈의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 섹션,
    상기 직선 섹션과 연결되고 상기 삽입 홈의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하여 점차 증가하는 상기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웨지 섹션, 및
    상기 웨지 섹션과 연결되고 상기 삽입 홀에 인접하고 상기 삽입 홈에 직접 통하지는 않는 제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갈고리 부분을 더 갖고,
    상기 갈고리 부분은
    상기 가이드 시트에 고정된 위치결정 단부,
    상기 위치결정 단부에 대향하는 스윙가능 단부, 및
    상기 스윙가능 단부 상에 배치된 웨지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상기 제한 섹션으로의 상기 고정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동안, 상기 스윙가능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상기 웨지 섹션의 안내 하에 스윙하여 상기 삽입 홈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분을 철회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갈고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인,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은 풀프루프 에지를 갖고;
    상기 스트립 시트는
    상기 삽입 홈의 상기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연통하는 풀프루프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상기 전방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상기 삽입 홈에 삽입하는 동안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상기 풀프루프 에지에 의해 상기 삽입 홈의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풀프루프 홈 내로 탄성적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 풀프루프 스프링을 더 갖는,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시트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가이드 시트의 상기 제1 결합부는 T자 형상이고; 및
    상기 회전판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U자형 홈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시트는 결합 구멍, 상기 결합 구멍 주변의 원호 홈, 및 상기 원호 홈에 배치된 정지편을 더 갖고; 및
    상기 회전판은 상기 결합 구명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원호 홈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지편과 맞물려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른 상기 회전판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절곡편을 더 갖는, 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향하는 후크부를 더 갖고;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편을 더 가지며; 및
    상기 돌출편은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크부와 맞물리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접촉부를 더 갖고,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핀을 더 가지며,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배출 동안,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돌출 핀은 상기 회전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해 맞닿고 그에 따라 상기 작동 유닛의 후방 이동이 상기 회전판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 구멍을 더 갖고,
    상기 작동 유닛은 제2 연결 구멍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이고, 스프링 몸체, 및 상기 스프링 몸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구멍에 각각 결합하는 2개의 레그를 갖는, 장치.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시트의 상기 피구동 세트는 복수의 사다리꼴편을 갖고, 상기 사다리꼴편 각각은 상기 베이스 몸체를 향하는 하부 표면, 및 상기 하부 표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후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대향하는 2개의 경사 표면을 가지며;
    상기 작동 유닛은 상부 작동 시트, 및 상기 상부 작동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상기 스트립 시트 사이에 연결된 2개의 하부 작동 시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구동 세트는 상기 하부 작동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꼴편의 대응하는 하나와 근접한 복수의 하부 구동 부재를 갖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동 부재 각각은 롤러인,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동 부재 각각은 돌출부이고 상기 사다리꼴편과 형상이 대응되는, 장치.
  1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은 위치결정 구멍을 더 갖고; 및
    상기 베이스 몸체는 제1 단부, 상기 전후방향에서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 시트가 상기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상기 위치결정 구멍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폴을 갖는, 장치.
  1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 모듈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로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회동되는 2개의 스윙 암, 및 상기 스윙 암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된 2개의 금속 전도편으로서, 전기적으로 도전성이고, 서로 이격되며, 상기 금속 전도편 각각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접촉부를 갖는, 금속 전도편;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금속 전도편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연결된 2개의 연장편; 및
    2개의 토션 스프링으로서, 각각이 상기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일 레그 및 상기 금속 전도편 각각의 상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레그를 갖는, 토션 스프링을 갖고;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본체를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 쪽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되고, 그에 의해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금속 전도편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 사이의 접촉이 보장되는,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 각각은 상기 금속 전도편 각각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연장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과 상기 연장 부분을 상호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갖고, 상기 베이스 부분에는 슬롯이 형성된, 장치.
  21.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된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로서,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트립 시트,
    상기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상기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은 상기 스트립 시트에 대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상기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촉발하는, 회전판,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유닛에 의해 구동 가능한 접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모듈은
    전자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모듈에 상기 생리적 신호를 전송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접촉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2. 생체 유체의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된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오서,
    상기 생리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를 갖는 바이오센서 스트립;
    스트립 왕복 모듈로서,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피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스트립 시트,
    상기 스트립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시트,
    상기 스트립 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은 상기 스트립 시트에 대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 및 상기 가이드 시트의 왕복 운동을 촉발하는, 회전판,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세트를 포함하는 작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스트립 시트의 상기 피구동 세트는 상기 작동 유닛의 상기 구동 세트에 의해 구동되어 하향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립 시트를 상부 위치에서 상기 하부 위치로 하향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립 시트에 삽입된 상기 바이오센서 스트립이 상기 전자 모듈과 접촉하는, 스트립 왕복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유닛에 의해 구동 가능한 접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모듈은,
    전자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모듈에 상기 생리적 신호를 전송하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10135260A 2020-10-13 2021-10-12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KR20220048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90814P 2020-10-13 2020-10-13
US63/090,814 2020-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957A true KR20220048957A (ko) 2022-04-20

Family

ID=8107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260A KR20220048957A (ko) 2020-10-13 2021-10-12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52643B2 (ko)
KR (1) KR20220048957A (ko)
CN (1) CN114354908A (ko)
TW (2) TWI792606B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2757B4 (de) 2004-05-07 2006-11-02 Lre Technology Partner Gmbh Streifenauswerfer
US20060133956A1 (en) 2004-12-09 2006-06-22 Kenichi Hamanaka Test strip holder
CN101432619A (zh) 2006-01-22 2009-05-13 爱科来株式会社 具有废弃机构的分析装置
US20090041631A1 (en) 2007-01-26 2009-02-12 Biomedix Taiwan Co., Ltd. Ejection device for biosensor detector
CN101629948B (zh) * 2008-07-18 2014-08-20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密码模块、生物传感器及其操作系统
US8057753B2 (en) 2010-02-04 2011-11-15 Lifescan Scotland Limited Test strip ejection mechanism
US8505819B2 (en) * 2010-10-29 2013-08-13 Tyson Bioresearch, Inc. Methods of increasing coding information for biosensors and devices for same
US20120143085A1 (en) 2010-12-02 2012-06-07 Matthew Carlyle Sauers Test element ejection mechanism for a meter
US9279799B2 (en) * 2011-11-14 2016-03-08 Tyson Bioresearch, Inc. Methods of improving auto-coding capabilities for biosensors and devices for same
US8715571B2 (en) 2012-06-29 2014-05-06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Test strip ejector for medical device
US9494569B2 (en) 2013-02-07 2016-11-15 Roche Diabetes Care, Inc. Test strip ejector for medical device
US11435340B2 (en) * 2014-06-09 2022-09-06 Biometry Inc. Low cost test strip and method to measure analyte
TWI614497B (zh) 2014-11-05 2018-02-11 泰博科技股份有限公司 退片結構以及具有退片功能的連接器
TWI628438B (zh) * 2016-09-13 2018-07-01 華廣生技股份有限公司 一種分析物量測模組
CN107818275B (zh) * 2016-09-13 2021-01-26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析物量测模块
CN107817337B (zh) * 2016-09-13 2020-09-22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析物量测模块
TWI642934B (zh) * 2017-01-25 2018-12-01 華廣生技股份有限公司 試片讀取裝置
US11416416B2 (en) 2019-01-13 2022-08-16 Ememory Technology Inc. Random code generator with non-volatile memory
CN112294300A (zh) 2019-08-02 2021-02-02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生物传感器的植入装置及其植入方法
TWM595756U (zh) * 2020-02-17 2020-05-21 合世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生物感測試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9868A (zh) 2022-08-01
CN114354908A (zh) 2022-04-15
TWI803016B (zh) 2023-05-21
US12025628B2 (en) 2024-07-02
US20220113323A1 (en) 2022-04-14
US11852643B2 (en) 2023-12-26
US20220113324A1 (en) 2022-04-14
TWI792606B (zh) 2023-02-11
TW202214182A (zh) 2022-04-16
CN114354725A (zh) 2022-04-15
CN114354908A8 (zh) 202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4685A1 (en) Stapler with leaf spring actuation mechanism
US4163997A (en) Cassette accepting and ejecting device
CN111374728B (zh) 一种传动机构的控制方法
KR20220048957A (ko) 생리적 신호 모니터링 장치
JP2517552B2 (ja) 磁気テ−プカセツト装置
US5215230A (en) Trigger mechanism for glue gun
JP2023101386A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S5927017B2 (ja) カセツト装脱装置
US7072139B2 (en) Cartridge locking mechanism for magnetic tape apparatus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N114354725B (zh) 生理讯号检测装置
CA2574774C (en) Spring actuated stapler
US4510540A (en) Cassette ejection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GB2050676A (en) Tape recorders of the casette type
EP0907175A1 (en) Recording medium loading device
JP2760623B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装置
JPS6029063Y2 (ja) テ−ププレヤにおけるレバ−操作機構
JP3236886B2 (ja) 電気機器接続装置
JPS6038779B2 (ja) テ−ププレ−ヤ−におけるカセットの装着制御装置
JPS5971160A (ja) テ−ププレヤにおけるオ−トイジエクト機構
JPH0249009Y2 (ko)
KR920005436Y1 (ko) 테이프레코더의 헤드착설판 동작제어장치
JP2816278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装置
JP2647644B2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4240404B2 (ja) カード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