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171A -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171A
KR20220040171A KR1020200123079A KR20200123079A KR20220040171A KR 20220040171 A KR20220040171 A KR 20220040171A KR 1020200123079 A KR1020200123079 A KR 1020200123079A KR 20200123079 A KR20200123079 A KR 20200123079A KR 20220040171 A KR20220040171 A KR 2022004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terminal
current power
acquisition device
power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877B1 (ko
Inventor
조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파워
Priority to KR102020012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의 전류를 취득함에 있어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압전류를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되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High voltage current power acquisi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의 전류를 취득함에 있어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압전류를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되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전류가 충진되는 전원장치는 일측에 전류의 충전 및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을 위한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자들은 통상적으로 볼트형태로 구성되며 너트에 의하여 전원장치의 외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연결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단자의 외면에 홀더를 부착하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일예로 자동차의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단자의 외면에 홀더를 설치하고 차량과 홀더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터리와 자동차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자동차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고압전류를 취득이 필요한 경우, 배터리의 단자부분에 리드선에 형성된 집게를 물림하는 형태로 고압전류를 취득하고 이웃하는 자동차와 연결하여 고압전류를 공급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집게 또는 클립을 배터리와 연결하여 전원을 취득하는 구성이 개재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9390호(공개일: 2000년 04월 06일)배터리 점프선 홀더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홀더의 몸체 내부에 리드선과 연결된 도전클립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도전클립의 단부에 물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가이드턱이 형성되어 훅크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되고, 그 외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지지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훅크의 단부에 내측으로 물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도전클립에 형성된 물림턱과 대향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2-0070301호(공개일: 2012년 06월 29일) 차량용 배터리 충전 안내장치는, 방전시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에 형성되는 포스트단자; 및 상기 포스트단자에 연결되고, 통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점프선의 집게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830418호(등록일: 2018년 02월 12일)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는, 배터리의 포스트단자가 결합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포스트단자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포스트단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각 단부에 굴절되어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편부; 및 상기 결속편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속편부를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편부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너트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상기 너트부재가 나사 결합시 상기 포스트단자의 둘레를 압박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자의 표면에 집게 또는 클립을 물림하여 고압전류를취득하는 경우 단자의 표면에 집게 또는 클립이 물리는 과정에서 스파크에 의하여 단자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단자의 손상에 의하여 나사산이 손상됨으로써 차 후 너트의 분리가 어렵고, 홀더와의 밀착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 불규칙한 연결상태에 의하여 배터리나 자동차에 전류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없어 배터리의 수명단축이나 자동차의 전자계통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표면에 복잡한 구조의 홀더를 체결하고 상기 홀더에 집게를 물려 연결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홀더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단자와의 착탈이 어려워 신속하게 단자와의 결합 또는 분리가 어렵고, 착탈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요구되는 등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9390호(공개일: 2000년 04월 06일) "배터리 점프선 홀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0301호(공개일: 2012년 06월 29일) "차량용 배터리 충전 안내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830418호(등록일: 2018년 02월 12일)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의 전류를 이웃하는 다른 장치로 공급하기 위하여 취득함에 있어서 단자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압전류를 안정적으로 취득할 수 있어 균일한 형태의 고압전류를 공급함으로서 배터리의 수명단축 및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되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전류장치에 형성된 단자에 결합되어 고압전류를 취득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일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돌출부와 타측에 내측으로 걸림돌기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더가 형성되고, 내측에 다각형태의 장착홈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장착홈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암나사공과 연통되는 각형의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1보호너트 및 상기 제1보호너트의 제1수용홈에 끼움되며 내측에 제2암나사공이 형성된 각형의 제2보호너트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가이더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과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더의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결합링 및 내부에 결속편이 관통공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접속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편의 내측에는 단자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되어 하우징을 미끄러짐 없이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의 전류를 취득함에 있어서, 단자의 내측에 밀착되는 결속편이 형성된 접속단자부와 단자의 외측에 밀착되어 단자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너트의 구성을 통하여 단자 표면을 보호할 수 있어 단자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접지상태의 유지를 통하여 고압의 전류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취득할 수 있어 배터리와 같은 고압전류 취득대상 장치의 수명단축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압의 전류가 공급되는 장치에도 균일한 고압전류를 제공할 수 있어 자동차의 경우 전자계통의 오류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지름의 암나사공을 갖는 제1보호너트와 제2보호너트가 서로 포개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단자의 크기(자동차의 경우 중장비, 화물차에 설치되는 대형 배터리의 단자지름은 12mm이고, 일반 승용차에 설치되는 소형 배터리의 지름은 8mm임.)에 따라 보호너트를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용량 및 크기로 이루어진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전류를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단자에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로어져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히,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부와 단자를 덮어 커버하는 하우징이 분리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서 취득장치와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장치와 연결된 접속부가 흔들리거나 회전하더라도 하우징의 결합된 상태가 자연적으로 풀림을 방지됨으로써 취득장치의 안적적인 체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중 결속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중 결속판의 평면도 및 A-A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가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중 결속판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중 결속판의 평면도 및 A-A선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가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이하, '취득장치'라 한다)(100)는 크게 단자(200)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자연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어 단자(200)의 외면에 밀착되는 접속단자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돌출부(11)의 외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기 편리하도록 복수 개의 리브(12)가 형성되며 타측에 내측으로 걸림돌기(13)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더(14)가 형성되고, 내측에 다각형태의 장착홈(15)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6)와, 상기 몸체(16)의 장착홈(15)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암나사공(171)과 연통되는 각형의 제1수용홈(172)이 형성된 제1보호너트(17)와, 상기 제1보호너트(17)의 제1수용홈(172)에 끼움되며 내측에 제2암나사공(181)이 형성된 각형의 제2보호너트(18)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상기 가이더(14)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21)과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더(14)의 걸림돌기(13)에 걸림되는 결합링(22)이 형성되며 내부에 결속편(23)이 관통공(21)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23)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부(24)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20)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링(22)이 하우징(10)의 가이더(14) 내부로 끼움되어 장착홈(15)의 외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가이더(1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3)에 결합링(22)이 걸림되어 자연적인 이탈이 방지되며, 사용자가 접속단자부(20)를 억지 이탈시킴으로써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6)와 접속단자부(2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접속단자부(20) 내부에 형성되는 결속편(23)은 구리와 같이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부(24)와 결속편(23)을 접속단자부(20)의 내부에서 연결하여 고압전류가 결속편(23)과 접속부(24)를 통하여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취득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가이더(14) 내측으로 접속단자부(20)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취득장치(100)를 단자(200)의 상부에 위치시키면 접속단자부(20)의 결속편(23) 걸림돌기(231)가 단자(200)의 볼트부분에 밀착되며, 상기와 같이 밀착된 상태에서 취득장치(100)를 하향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결속편(23)이 단자(200)의 하부로 억지 이동하고 동시에 단자(200)의 상단부가 제2보호너트(18)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단자(200)의 상단부가 제2보호너트(18)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6)를 회전시키면 제2보호너트(18)와 단자(200)의 볼트부분이 나사체결되며 결합되고 동시에 하부의 접속단자부(20)는 하우징(10)과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억지로 볼트의 나사부분을 넘어 하향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16)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보호너트(18)가 회전하며 단자(200)의 볼트부분과 나사체결되고 계속 회전하여 취득장치(100)가 하향 이동함으로서 하부의 접속단자부(20)의 관통공(21) 부분으로 단자(200)의 너트부분이 수용됨과 동시에 결속편(23)의 일면이 너트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부에서 제2보호너트(18)가 회전하며 밀착된 상태를 조임함으로서 결속편(23)과 단자(200)의 불트부분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부로 노출된 단자(200)의 볼트 부분을 제2보호너트(18)가 보호함으로써 단자(200)의 불트부분과 너트부분이 스파크나 외부 충격에 변형됨이 없이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 후 단자(200)의 너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나사산의 변형이 방지되어 원활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더욱이, 취득장치(100)와 결합되는 단자(200)의 볼트 크기가 12mm의 대형인 경우 제2보호너트(18)를 분리하여 제2보호너트(18)에 형성된 제2암나사공(181) 보다 큰 12mm의 지름을 갖는 제1암나사공(171)이 형성된 제1보호너트(17)에 단자(200)를 상기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결합함으로서 대형의 장치에도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간편하게 취득장치와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취득장치(100)를 단자(200)에 연결하고 취득장치(100)의 일측으로 노출된 접속부(24)에 집게 또는 클립등이 형성된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단자의 훼손 없이 안전하게 고압전류를 취득할 수 있으며, 더욱이, 견고하게 안정된 형태로 단자와 취득장치(100)가 연결됨으로서 전류의 취득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단축 및 전류가 공급되는 장치의 과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의 전류를 취득함에 있어서, 단자의 내측에 밀착되는 결속편이 형성된 접속단자부와 단자의 외측에 밀착되어 단자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너트의 구성을 통하여 단자 표면을 보호할 수 있어 단자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접지상태의 유지를 통하여 고압의 전류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취득할 수 있어 배터리와 같은 고압전류 취득대상 장치의 수명단축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압의 전류가 공급되는 장치에도 균일한 고압전류를 제공할 수 있어 자동차의 경우 전자계통의 오류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다른 지름의 암나사공을 갖는 제1보호너트와 제2보호너트가 서로 포개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단자의 크기(자동차의 경우 중장비, 화물차에 설치되는 대형 배터리의 단자지름은 12mm이고, 일반 승용차에 설치되는 소형 배터리의 지름은 8mm임.)에 따라 보호너트를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용량 및 크기로 이루어진 배터리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내장된 장치로부터 고압전류를 취득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콤팩트한 사이즈로 단자에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로어져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히,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부와 단자를 덮어 커버하는 하우징이 분리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서 취득장치와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장치와 연결된 접속부가 흔들리거나 회전하더라도 하우징의 결합된 상태가 자연적으로 풀림을 방지됨으로써 취득장치의 안적적인 체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돌출부 12 : 리브
13 : 걸림돌기 14 : 가이더
15 : 장착홈 16 : 몸체
17 : 제1보호너트 18 : 제2보호너트
20 : 접속단자부
21 : 관통공 22 : 결합링
23 : 결속편 24 : 접속부

Claims (3)

  1. 고압전류장치에 형성된 단자에 결합되어 고압전류를 취득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100)는, 일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돌출부(11)와 타측에 내측으로 걸림돌기(13)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더(14)가 형성되고, 내측에 다각형태의 장착홈(15)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6)와, 상기 몸체(16)의 장착홈(15)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암나사공(171)과 연통되는 각형의 제1수용홈(172)이 형성된 제1보호너트(17) 및 상기 제1보호너트(17)의 제1수용홈(172)에 끼움되며 내측에 제2암나사공(181)이 형성된 각형의 제2보호너트(18)로 구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가이더(14)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21)과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더(14)의 걸림돌기(13)에 걸림되는 결합링(22) 및 내부에 결속편(23)이 관통공(21)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23)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부(24)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접속단자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23)의 내측에는 단자(1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걸림돌기(2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돌출부(11) 가장자리에 돌출부(11)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되어 하우징(10)을 미끄러짐 없이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리브(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KR1020200123079A 2020-09-23 2020-09-23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KR10246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79A KR102465877B1 (ko) 2020-09-23 2020-09-23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79A KR102465877B1 (ko) 2020-09-23 2020-09-23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71A true KR20220040171A (ko) 2022-03-30
KR102465877B1 KR102465877B1 (ko) 2022-11-11

Family

ID=8094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79A KR102465877B1 (ko) 2020-09-23 2020-09-23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8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273U (ko) * 1995-12-29 1997-07-31 차량의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KR0127039Y1 (ko) * 1993-12-07 1998-10-15 전성원 축전지 단자 접속구
KR19980078374A (ko) * 1997-04-28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배터리의 단자 연결 구조
KR20000019390A (ko) 1998-09-10 2000-04-06 김영렬 배터리 점프선 홀더
KR20090006548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터미널용 캡
KR20120070301A (ko)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 충전 안내장치
KR101830418B1 (ko) 2017-09-18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KR20180051623A (ko) * 2015-10-17 2018-05-16 다임러 아게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39Y1 (ko) * 1993-12-07 1998-10-15 전성원 축전지 단자 접속구
KR970047273U (ko) * 1995-12-29 1997-07-31 차량의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KR19980078374A (ko) * 1997-04-28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배터리의 단자 연결 구조
KR20000019390A (ko) 1998-09-10 2000-04-06 김영렬 배터리 점프선 홀더
KR20090006548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터미널용 캡
KR20120070301A (ko)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 충전 안내장치
KR20180051623A (ko) * 2015-10-17 2018-05-16 다임러 아게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KR101830418B1 (ko) 2017-09-18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877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5486A (en) Quick disconnect battery installation and charging system
US8338710B2 (en) Short-preventing shield for wire harness terminals
KR101472537B1 (ko) Usb 단자 구비형 배터리
US9728867B2 (en) Magnetic coupling systems
US8372534B2 (en) Connector for battery pack
US6932650B1 (en) Fused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993540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 bodies and removable caps
US20120214042A1 (en)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s
US9929478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with connectors of different shape for positive and negative cables
US7785158B1 (en) Electrode connection platform
US11217916B2 (en) Automotive booster cable system
CA2342895A1 (en) Electric storage battery connector assembly
US5013259A (en) Remote auxiliary terminal assembly
US5021013A (en) Battery cable connector
US10938131B1 (en) Insert for a battery terminal for increased retention
US3783439A (en) Battery charger adapter
KR20220040171A (ko)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US20130316599A1 (en) Connector for terminating to a terminal post
CN203288681U (zh) 快装式蓄电池接线端子
CN215418667U (zh) 一种铅酸电池化成用连接线
JP7504860B2 (ja) 電気自動車または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ためのバッテリ充電器
US20200185692A1 (en) Compression clamp battery connection system
CN112154575B (zh) 用于电池模块电连接插头以及对应的布线套件
CN212136572U (zh) 高压连接件和电池包
US11626649B2 (en) Wedge battery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