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986A -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986A
KR20220013986A KR1020200093496A KR20200093496A KR20220013986A KR 20220013986 A KR20220013986 A KR 20220013986A KR 1020200093496 A KR1020200093496 A KR 1020200093496A KR 20200093496 A KR20200093496 A KR 20200093496A KR 20220013986 A KR20220013986 A KR 2022001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beverage
refrigeran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주
전재현
Original Assignee
전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주 filed Critical 전병주
Priority to KR102020009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986A/ko
Publication of KR2022001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7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얼음의 모양이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냉매는, 용기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냉매본체와, 냉매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냉각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Drink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얼음이 수용된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얼음컵은 조각 얼음들을 별도 제조하고, 제조된 조각 얼음들을 일회용 컵에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컵 제조 방식은 얼음을 일회용 컵에 담는 과정에서 일회용 컵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될 확률이 높고, 조각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오염될 여지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얼음컵 제조 방식은 조각 얼음을 별도 제조한 후, 이를 컵에 다시 소분해야하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고, 조각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회용 컵에 직접 얼음을 얼리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얼음컵에 직접 얼음을 얼리는 방식은 단순히 물이 저장된 일회용 컵을 냉동고에 넣어 장시간 얼리는 것으로, 열전도가 늦고, 일회용 컵에 수용된 물의 내부와 외부가 거의 동시에 천천히 냉각되어 얼음을 특정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없음은 물론, 얼음컵을 제조하기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얼음의 모양이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냉매본체; 및 상기 냉매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냉각홈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냉매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이 형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이 형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제조방법은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음료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홀더에 용기본체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에 설정용량의 액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몰드를 투입하여 상기 몰드를 상기 액체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를 브라인 냉매가 저장된 냉매 탱크의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브라인 냉매에 침지시켜 상기 액체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본체를 상기 냉매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고,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본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인 냉매는 -30도 이하 -80도 이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액체가 100% 결빙되기 전에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액체가 100% 결빙된 후에 상기 몰드와 결빙된 액체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켜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홀더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 장치; 상기 용기본체를 상기 홀더에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적재장치; 상기 용기본체에 상기 액체를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투입장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몰드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몰드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하거나,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 장치; 상기 액체가 저장된 상기 용기본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냉각장치; 및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본체를 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분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상기 용기본체에 투입될 경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에 침지되어 결빙된 액체의 내부에 냉각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몰딩부;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장치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상기 액체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홈의 측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몰딩면; 및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홈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몰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몰딩면과 상기 제2 몰딩면은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몰딩면 및 상기 제2 몰딩면은 각각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는 상기 결빙된 액체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를 수용 가능한 유체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브라인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탱크; 상기 브라인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순환펌프;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교환 매체를 통해 상기 냉매 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브라인 냉매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및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매를 통해 상기 열교환 매체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냉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인 냉매에 용기본체를 침지시켜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료수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단계적으로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가 빨라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료수를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음료수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음료수가 수용된 용기본체를 브라인 냉매에 설정시간동안 침지시키는 과정만으로 용기본체에 저장된 음료수를 단시간 내에 급속으로 냉각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 가능하므로, 제조과정 및 장비들이 간소화될 수 있고, 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몰드의 형상과. 용기본체에 저장되는 음료수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다양한 맛,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냉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의 몰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이하 ‘음료용기(100)’라 함)는 용기본체(110) 및 냉매(12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음료수가 저장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10)는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역삼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본체(110)는 반드시 이의 형상 및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냉매(120)는 고체 상태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에 수용되고,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음료수의 열을 흡수해 음료수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냉매(120)는 투명한 물을 통해 제조된 얼음이거나,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음료수를 통해 제조된 얼음일 수 있다.
냉매(120)는 단일 개체로 형성된다.
즉, 냉매(120)는 복수의 조각들이 아닌, 단일 개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냉매(120)는 용기본체(110)에 대응되는 용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음료수의 외부에서 음료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냉매(120)는 냉매본체(121)와, 냉각홈(122)을 포함한다.
냉매본체(121)는 용기본체(110)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냉매본체(121)는 용기본체(110)의 내주면(IS)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SW)와, 측벽부(SW)의 하단에 배치되어 용기본체(110)의 바닥면(BS)에 지지되는 바닥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벽부(SW)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SW)는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측벽부(SW)의 두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용기(100)에 저장되는 음료수의 양 또는 음료수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냉각홈(122)은 냉매본체(121)의 내부에 형성되고,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의 일부를 저장한다.
냉각홈(122)은 측벽부(SW)의 내면과 바닥부(B)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고, 평행 또는 역삼각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홈(122)을 형성하는 측벽부(SW)의 내면은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소정의 각도(θ1)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용기본체(110)의 내주면(IS)에 대향되는 냉각홈(122)의 측부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측에 하측을 향할수록 동일한 내경의 크긱를 가지거나,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SW)와 함께 냉각홈(122)을 형성하는 바닥부(B)의 내면도 평행 또는 역삼각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홈(122)을 형성하는 바닥부(B)의 내면은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소정의 각도(θ2)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용기본체(110)의 바닥면(BS)에 대향되는 냉각홈(122)의 바닥부(B)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동일한 내경의 크기를 가지거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B)의 내면과 측벽부(SW)의 내면은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SW)의 내면은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B)의 내면은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측벽부(SW)의 내면은 반드시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BS)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단차진 구조 또는 나선형의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B)의 내면은 반드시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BS)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단차진 구조 또는 나선형의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110) 및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는 냉매(120)를 포함한다.
냉매(120)는 음료수의 내부에서 음료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냉매(120)는 용기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용기본체(110)와 냉매(120) 사이에는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120)는 저장용기의 중심에 배치되는 기둥(pillar) 구조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이때, 냉매(120)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경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삼각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냉매(120)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울기 각도를 갖는 복수의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110) 및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는 냉매(120)를 포함한다.
냉매(120)는 음료수의 외부와 내부에서 동시에 음료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냉매(120)는 용기본체(110)의 내주면(IS)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SW)와, 측벽부(SW)의 하단에 배치되어 용기본체(110)의 바닥면(BS)에 지지되는 바닥부(B)와, 측벽부(SW)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바닥부(B)에 배치되는 기둥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측벽부(SW)와 기둥부(P) 사이에는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1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벽부(SW)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역삼각 구조로 마련되고, 기둥부(P)는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경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삼각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SW)와 기둥부(P)는 각각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울기 각도를 갖는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의 제조방법(이하 ‘음료용기(100) 제조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음료용기(100)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료용기(100) 제조방법은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200)을 통해 수행된다.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200)은 제1 컨베이어 장치(210), 용기 적재장치(220), 음료수 투입장치(230), 제2 컨베이어 장치(240), 냉각장치(250) 및 용기 분리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장치(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본체(110)를 적재 가능한 홀더(211)가 복수로 배치되고, 홀더(211)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베이어 장치(210)는 홀더(211)가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체인과, 체인에 결합되고,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체인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적재장치(220)는 용기본체(110)를 홀더(211)에 적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적재장치(220)는 용기본체(110)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그립부를 승강시켜 그립부에 파지된 용기본체(110)를 홀더(211)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수 투입장치(230)는 용기 적재장치(220)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홀더(211)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된 용기본체(110)에 음료수(W)를 투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수 투입장치(230)는 음료수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설정량만큼 음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수 공급노즐과, 음료수 공급노즐을 승강시켜 음료수 공급노즐을 용기본체(110)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시키거나, 용기본체(110)의 개구부로부터 이격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음료수 투입장치(230)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1 컨베이어 장치(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컨베이어 장치(2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몰드(241)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몰드(241)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몰드(241)를 용기본체(110)에 투입하거나, 음료수가 결빙된 후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몰드(241)를 지지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체인과, 체인에 결합되고,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체인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몰드(241)는 용기본체(110)에 투입되어 용기본체(110) 및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음료수와 함께 냉각되며, 결빙된 음료수, 즉, 냉매(120)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몰드(241)는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또는 단면이 다각형상인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수에 침지되는 냉매(12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몰드(241)는 음료수에 노출될 경우 음료수가 내부에 침투되지 않고, -30도 이하의 저온 상태에서 성질이 변형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241)는 스테인리스 강, 실리콘, 고무, 방습 처리된 목재, 플라스틱, 세라믹 등 다양한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몰드(241)는 몰딩부(241A)와 결합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241A)는 제2 컨베이어 장치(240)에 의해 음료수가 저장된 용기본체(110)에 투입된다. 그리고, 몰딩부(241A)는 용기본체(110)에 투입될 경우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에 침지된다. 이에,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가 냉각장치(250)에 의해 결빙되면, 몰딩부(241A)는 결빙된 음료수의 내부에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냉각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몰딩부(241A)는 용기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C)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몰딩부(241A)는 음료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C)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몰딩부(241A)가 용기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될 냉매(120), 즉, 결빙될 음료수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몰딩부(241A)는 냉매(120)의 내형 또는 외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몰딩면은 냉매(120)의 내형을 형성하는 제1 몰딩면(M1) 및 제1 몰딩면(M1)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몰딩면(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딩면(M1)과, 제2 몰딩면(M2)은 냉매(120)의 내형, 즉, 냉각홈(122)을 평행 또는 역삼각 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수직으로 배치되거나, 경사진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몰딩면(M1)은 몰드(24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점차 작아지는 냉각홈(122)의 측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몰딩면(M2)은 몰드(24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기본체(110)의 중심축(CA) 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점차 작아지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는 냉각홈(122)의 바닥부(B)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몰딩면(M1)과 제2 몰딩면(M2)은 몰드(24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몰딩면(M1)은 몰드(24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2 몰딩면(M2)은 몰드(24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몰딩면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형상의 냉매(120)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241B)는 몰딩부(241A)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컨베이어 장치(240)에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의 몰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몰드(241)는 발열부(24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241C)는 몰딩부(241A)의 내부에 배치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241C)는 열선 또는 몰딩부(241A)의 내벽에 부착되는 메탈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수가 100% 결빙되어 몰드(241)의 표면에 붙어있을 경우, 몰드(241)의 내부에 마련된 발열부(241C)가 발열하여 몰드(241)와 결빙된 음료수, 즉, 냉매(120)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몰드(241)의 표면에 붙어있던 냉매(120)가 미세하게 용해되어 몰드(2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몰딩부(241A)의 내부에는 유체 수용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수용홈(G)에는 결빙된 음료수, 즉, 냉매(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수가 100% 결빙되어 몰드(241)의 표면에 붙어있을 경우, 몰드(241)의 내부에 형성된 유체 수용홈(G)에 냉매(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를 투입한다. 이를 통해, 몰드(241)와 결빙된 음료수, 즉, 냉매(120)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되고, 이에 몰드(241)의 표면에 붙어있던 냉매(120)가 미세하게 용해되어 몰드(2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장치(250)는 음료수가 저장된 용기본체(110)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장치(250)는 냉매 탱크(250), 순환펌프(252), 열교환기(253) 및 냉동기(25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250)는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장치(250)의 내부에는 -30도 이하 -80도 이상의 온도로 설정되고, 음료수 및 몰드(241)가 내부에 수용된 용기본체(110)가 침지되는 브라인 냉매(R)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인 냉매(R)는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에틸렌글리콜, 프로핀글리콜, 에틸알콜, R-11 등 다양한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순환펌프(252)는 냉매 탱크(250)와 연결된 배관라인에 배치되고, 배관라인 내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냉매 탱크(250)에 저장된 브라인 냉매(R)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253)는 내부에 배관라인이 통과되도록 배관라인의 일 구간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배관라인을 유동중인 브라인 냉매(R)와 열교환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열교환기(253)는 브라인 냉매(R)의 열을 흡수하여 브라인 냉매(R)를 설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동기(254)는 열교환기(253)의 일 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253)를 통과하면서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브라인 냉매(R)와 열교환 된 열교환 매체와 열교환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냉동기(254)는 열교환 매체의 열을 흡수하여 열교환 매체를 설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용기 분리장치(260)는 냉각장치(250)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 컨베이어 장치(24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된 홀더(211)로부터 용기본체(110)를 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분리장치(260)는 홀더(2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본체(110)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지수단과, 파지수단을 승강 및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음료용기(100)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적재장치(220)가 제1 컨베이어 장치(210)에 배치된 홀더(211)에 용기본체(110)를 적재한다(S110).
용기본체(110)가 홀더(211)에 적재되면, 음료수 투입장치(230)가 용기본체(110)에 설정용량의 음료수(W)를 투입한다(S120). 예를 들어, 음료수 투입장치(230)를 통해 용기본체(110)에 투입되는 음료수는 음용 가능한 모든 액체 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즉, 음료수는 투명한 물뿐만 아니라, 색상 및 점성을 가지는 음료수 또는 젤리 등과 같이 반고체 상태의 음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에 설정용량의 음료수가 투입되면, 제1 컨베이어 장치(210)가 용기본체(110)가 적재된 홀더(211)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제1 컨베이어 장치(21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 장치(240)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몰드(241)를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투입하여 음료수에 침지시킨다(S130).
몰드(241)가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에 침지되면, 제1 컨베이어 장치(210)가 용기본체(110)를 브라인 냉매(R)가 저장된 냉매 탱크(250)의 내부로 이송하고, 용기본체(110)를 브라인 냉매(R)에 설정시간동안 침지시켜 음료수를 냉각시킨다(S140).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 컨베이어 장치(240)가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다(S150).
구체적으로,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음료수가 100% 결빙되기 전에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음료수가 100% 결빙된 후에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음료수가 95% 이상 98% 이하로 결빙되는 시간(예컨대,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음료수가 100% 결빙되는 시간(예컨대,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음료수가 100% 결빙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할 경우, 몰드(241)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전에 몰드(241)와 결빙된 음료수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켜 결빙된 음료수, 즉, 냉매(120)를 몰드(24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음료수가 100% 결빙된 경우, 몰드(241)의 내부에 배치된 발열부(241C)를 작동시켜 몰드(241)의 외면에 붙어있는 냉매(120)에 열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몰드(241)의 외면에 붙어있던 냉매(120)를 미세하게 용해시켜 냉매(120)를 몰드(24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 장치(240)는 발열부(241C)를 작동시키는 대신에 몰드(241)의 내부에 형성된 유체 수용홈(G)에 냉매(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를 투입하여 유체의 온도가 몰드(241)의 외면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몰드(241)의 외면에 붙어있던 냉매(120)를 미세하게 용해시켜 냉매(120)를 몰드(24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몰드(241)가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제1 컨베이어 장치(210)가 홀더(211)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켜 홀더(211)에 적재된 용기본체(110)를 냉매 탱크(250)의 외부로 이송하고, 용기본체(110)가 냉매 탱크(250)의 외부로 이송되면 용기 분리장치(260)가 홀더(211)로부터 용기본체(110)를 분리시킨다(S160).
이하에서는, 본 음료용기(100)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음료수 동결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참고로, 음료용기(100)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음료수 동결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음료용기(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실험은 브라인 냉매(R)의 온도 조건과, 결빙된 음료수로부터 몰드(241)를 제거하는 조건을 달리하여 제1 실험과 제2 실험을 수행하였고, 제1 실험과 제2 실험에서 음료수의 동결이 종료되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제1 실험과 제2 실험은 브라인 냉매(R)가 -75도, -70도, -60도, -50도, -40도, -30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각각 수행된다.
제1 실험은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가 98%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제거하였고, 제2 실험은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가 100%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가열하여 동결된 음료수에 열을 가하고 몰드(241)를 제거하였다.
제1 실험과 제2 실험에서, 용기본체(110)에 투입되는 음료수는 중량 180g, 온도 5 도인 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10)에 투입되어 물에 침지되는 몰드(241)는 두께 1.5T인 SUS 304 소재로 설정되고, 몰드(241)의 내부에는 20초 동안 몰드(241)를 가열하는 220V 1.5KW 사양의 히터가 배치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10)가 침지되는 브라인 냉매(R)는 식용에틸 알콜로 설정된다.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98%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제거할 경우, 용기본체(110) 내에서 10분 이내에 얼음이 제조되었다. 특히, 브라인 냉매(R)의 온도가 -60도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용기본체(110) 내에서 5분 이내에 얼음이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01
하기의 [표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100%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가열하여 100% 동결된 물, 즉, 얼음에 열을 가하고 몰드(241)를 제거할 경우, 용기본체(110) 내에서 11분 이내에 얼음이 제조되었다. 특히, 브라인 냉매(R)의 온도가 -70도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용기본체(110) 내에서 5분 이내에 얼음이 제조되었다.
Figure pat00002
전체적인 비교결과에서,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98%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제거하는 경우와,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100%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가열하여 얼음에 열을 가하고 몰드(241)를 제거하는 경우 모두 10분 내외의 시간 안에 용기본체(110) 내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98%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제거하는 경우와,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100% 동결된 상태에서 몰드(241)를 가열하여 얼음에 열을 가하고 몰드(241)를 제거하는 경우 모두, 브라인 냉매(R)의 온도를 -70도 이하로 유지할 경우, 5분 내에 용기본체(110)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냉동공간에서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일반적인 냉각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브라인 냉매(R)에 용기본체(110)를 침지시키기 때문에,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이 단시간 내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단계적으로 급속 냉각되어 신속히 얼음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본체(110) 내에서 결빙되는 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인 냉매(R)에 용기본체(110)를 침지시켜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음료수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단계적으로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가 빨라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음료수를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음료수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음료수가 수용된 용기본체(110)를 브라인 냉매(R)에 설정시간동안 침지시키는 과정만으로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음료수를 단시간 내에 급속으로 냉각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 가능하므로, 제조과정 및 장비들이 간소화될 수 있고, 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몰드(241)의 형상과. 용기본체(110)에 저장되는 음료수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다양한 맛,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냉매(1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음료용기
110. 용기본체
IS. 내주면
BS. 바닥면
120. 냉매
121. 냉매본체
SW. 측벽부
B. 바닥부
P. 기둥부
122. 냉각홈
200.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
210. 제1 컨베이어 장치
211. 홀더
220. 용기 적재장치
230. 음료수 투입장치
240. 제2 컨베이어 장치
241. 몰드
241A. 몰딩부
M1. 제1 몰딩면
M2. 제2 몰딩면
G. 유체 수용홈
241B. 결합부
241C. 발열부
250. 냉각장치
251. 냉매 탱크
R. 브라인 냉매
252. 순환펌프
253. 열교환기
254. 냉동기
260. 용기 분리장치
W. 음료수

Claims (20)

  1.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냉매본체; 및
    상기 냉매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냉각홈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음료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음료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되는, 음료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의 내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음료용기.
  8.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냉매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이 형성되는, 음료용기.
  9.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음료수를 저장 가능한 냉각홈이 형성되는, 음료용기.
  10.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음료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홀더에 용기본체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에 설정용량의 액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몰드를 투입하여 상기 몰드를 상기 액체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본체를 브라인 냉매가 저장된 냉매 탱크의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브라인 냉매에 침지시켜 상기 액체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본체를 상기 냉매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고,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본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 냉매는 -30도 이하 -80도 이상의 온도로 설정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액체가 100% 결빙되기 전에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액체가 100% 결빙된 후에 상기 몰드와 결빙된 액체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켜 상기 몰드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 제조 시스템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홀더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 장치;
    상기 용기본체를 상기 홀더에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적재장치;
    상기 용기본체에 상기 액체를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투입장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몰드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몰드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하거나,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 장치;
    상기 액체가 저장된 상기 용기본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냉각장치; 및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용기본체를 분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용기본체에 투입될 경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에 침지되어 결빙된 액체의 내부에 냉각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몰딩부;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장치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액체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0.1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홈의 측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몰딩면; 및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홈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몰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몰딩면과 상기 제2 몰딩면은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딩면 및 상기 제2 몰딩면은 각각 상기 몰드의 중심축에 대하여 1도 이상 89도 이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의 내부에는 상기 결빙된 액체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유체를 수용 가능한 유체 수용홈이 형성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브라인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탱크;
    상기 브라인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순환펌프;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교환 매체를 통해 상기 냉매 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브라인 냉매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및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매를 통해 상기 열교환 매체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냉동기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KR1020200093496A 2020-07-28 2020-07-28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3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96A KR20220013986A (ko) 2020-07-28 2020-07-28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96A KR20220013986A (ko) 2020-07-28 2020-07-28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86A true KR20220013986A (ko) 2022-02-04

Family

ID=8026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496A KR20220013986A (ko) 2020-07-28 2020-07-28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9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9018C (zh) 用于冷冻、贮存和解冻生物制药材料的系统和方法
US4565073A (en) Freezing frame for a plasma container
KR100193357B1 (ko) 급냉 장치
US9677808B2 (en) Apparatus for making, storing and minimizing melting of spherical pieces of ice
CN1685186A (zh) 冷冻、混合和解冻生物制药材料的系统和方法
EP1994339A2 (en) Ice holding device
GB2402995A (en) Freezing liquids
EP2119987B1 (en) Refrigerator provided with rapid cooling compartment for beverages
KR100261982B1 (ko) 냉장고
KR20220013986A (ko) 음료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112830A (ja) 生物学的溶液を凍結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90048024A (ko)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
GB2303692A (en) Rapid chilling system
US9414610B2 (en) Egg chiller and method of use
US20200149804A1 (en) Supercooling agitating beverage container
EP3879978A1 (en) Insulator for preventing container damage and rupture caused by freezing of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biological materials
KR20190047913A (ko) 아이스팩
US20170082356A1 (en) Rapid Cooling Dock
JP2006204690A (ja) 生鮮食品用保冷台
CN108463119A (zh) 饮料制品及一种在饮料容器中生产饮料的方法和装置
US10989468B2 (en) Rapid cooling dock
KR200356408Y1 (ko) 고형얼음컵 성형몰드
CN219199645U (zh) 冰箱
CN216347339U (zh) 灵活高效的冷冻复融装置
EP3318824A1 (en) A mould and a method of using a mould for use in cooling the contents of beverage bot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