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049A - 컨테이너 크레인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049A
KR20220013049A KR1020200092028A KR20200092028A KR20220013049A KR 20220013049 A KR20220013049 A KR 20220013049A KR 1020200092028 A KR1020200092028 A KR 1020200092028A KR 20200092028 A KR20200092028 A KR 20200092028A KR 20220013049 A KR20220013049 A KR 2022001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sheave
hoist
sheaves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147B1 (ko
Inventor
도재일
나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1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4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adapted to operate on crane or bridge structure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g. on reinforced concrete girde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에 입설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주행부(110)와, 크레인주행부(11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붐(120-1) 및 거더(120-2)로 구성된 크레인본체(100);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210)를 구비하는 트롤리유닛(200);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210)와 함께 붐(120)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유닛(3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4호이스트쉬브와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가 한 곳에 모두 설치됨에 따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데 이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은 선박과 부두사이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하역장비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하역속도는 부두 전체 화물의 처리능력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따라서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로 급변하는 국제 물류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운반의 정밀성과 신속성이 더욱더 요구된다.
도 10은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컨테이너의 다양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종래의 크레인 구조를 살펴보면, 레일에 입설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주행부(110)와, 크레인주행부(11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붐(120-1)과 거더(120-2)로 구성된 크레인본체(100);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210)를 구비하는 트롤리유닛(200);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210)와 함께 붐(120)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헤드블록(310)을 갖춘 호이스트유닛(300)으로 구성되며, 이를 이용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시 트림(trim:컨테이너의 단변축을 중심으로 회전), 리스트(list:컨테이너의 장변축을 중심으로 회전), 스큐(skew:컨테이너의 높이축(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텐셔너시스템(rope tensioner system:X)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붐(120-1)과 거더(120-2)의 중간에 설치되고, 트림/리스트/스큐시스템(trim/list/skew:Y)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붐(120-1)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안티스네그시스템(anti-snag system:Z)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거더(120-2)의 타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유지관리시 작업자가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지보수를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2156호(2012.2.22)
본 발명은 로프텐셔너시스템과 트림/리스트/스큐시스템 및 안티스네그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장치를 붐의 일단부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에 입설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주행부와, 크레인주행부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붐과 거더로 구성된 크레인본체; 붐과 거더를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를 구비하는 트롤리유닛; 트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와 함께 붐과 거더를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유닛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유닛은,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판상의 헤드블록(310)과,
상기 붐을 기준으로 좌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1·2호이스트쉬브와,
상기 붐을 기준으로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3·4호이스트쉬브와,
상기 붐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제5·6호이스트쉬브와,
상기 붐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제7·8호이스트쉬브와,
상기 트롤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9·10·17·18호이스트쉬브와,
상기 트롤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와,
상기 제9·10·17·18호이스트쉬브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의 상면 좌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3·14호이스트쉬브와,
상기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의 상면 우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5·16호이스트쉬브와,
상기 붐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과,
상기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호이스트쉬브와 제9호이스트쉬브, 제13호이스트쉬브, 제17호이스트쉬브, 제5호이스트쉬브, 제7호이스트쉬브, 제11호이스트쉬브, 제15호이스트쉬브, 제19호이스트쉬브 및 제4호이스트쉬브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제1호이스트와이어와,
상기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호이스트쉬브와 제10호이스트쉬브, 제14호이스트쉬브, 제18호이스트쉬브, 제6호이스트쉬브, 제8호이스트쉬브, 제12호이스트쉬브, 제16호이스트쉬브, 제20호이스트쉬브 및 제3호이스트쉬브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제2호이스트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제1·2·3·4호이스트쉬브를 밀거나 당기는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출력하는 제5·6·7·8압력센서;
상기 제5·6·7·8압력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롤리유닛은,
상기 헤드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커티너리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붐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4트롤리쉬브 및 제3·4커티너리쉬브와,
상기 트롤리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7·8트롤리쉬브와,
상기 트롤리의 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5·6트롤리쉬브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5·6커티너리쉬브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의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7·8커티너리쉬브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9·10커티너리쉬브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트롤리와이어드럼과,
상기 트롤리의 좌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커티너리쉬브 및 제5커니터리쉬브를 경유해 트롤리의 좌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제1커티너리와이어와,
상기 트롤리의 우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커티너리쉬브 및 제6커니터리쉬브를 경유해 트롤리의 우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제2커티너리와이어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의 후단부 좌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커티너리쉬브, 제3커티너리쉬브, 제9커티너리쉬브, 제10커티너리쉬브, 제4커티너리쉬브 및 제2커티너리쉬브를 경유해 후방 커티너리의 후단부 우측에 고정되는 제3커티너리와이어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트롤리쉬브, 제5트롤리쉬브, 제6트롤리쉬브 및 제2트롤리쉬브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제1트롤리주행와이어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트롤리쉬브, 제7트롤리쉬브, 제8트롤리쉬브, 제4트롤리쉬브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에 고정되는 제2트롤리주행와이어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를 밀거나 당기는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
상기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출력하는 제1·2·3·4압력센서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제1·2·3·4압력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를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트롤리와이어드럼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의 상부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일단부가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는 연결대(B)의 타단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본체는 연결대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의 일단은 연결대와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트롤리쉬브의 전방에는 제1·2트롤리쉬브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연결대장착부를 갖춘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장착부에는 연결대가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는 제1·2트롤리쉬브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본체는 일단이 거치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연결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커티너리쉬브의 전방에는 제1·2커티너리쉬브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연결대장착부를 갖춘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장착부에는 연결대가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는 제1·2커티너리쉬브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본체는 일단이 거치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연결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크레인주행부에는 컨테이너를 임시로 적재해 둘 수 있도록 크레인주행부로부터 붐과 나란하게 일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적재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4호이스트쉬브와 제1·2트롤리쉬브 및 제1·2커티너리쉬브가 한 곳에 모두 설치됨에 따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 및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가 하나의 유압모듈(미도시)을 통해 일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관리에 상당히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트롤리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호이스트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 내지 4호이스트쉬브와 제1 내지 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2트롤리쉬브와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2카티너리쉬브와 제1·2카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트롤리와이어드럼 및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호이스트와이어드럼 및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컨테이너의 다양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트롤리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호이스트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은 크레인본체(100)와 트롤리유닛(200), 호이스트유닛(300),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 제1∼8압력센서(500a∼500h),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d) 및 제어부(800:도 9 참조)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본체(100)는 크레인주행부(110)와 붐(120-1) 및 거더(120-2)로 구성된 것으로, 크레인주행부(110)는 레일에 입설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붐(120-1)과 거더(120-2)는 크레인주행부(11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크레인주행부(1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본체(100)에는 크레인주행부(110)의 하단부로부터 붐(120-1)과 나란하게 일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적재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컨테이너적재부(130)에 컨테이너를 임시로 적재둘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트롤리유닛(200)은 트롤리(210)와 커리너리(220,220'), 제1∼8트롤리쉬브(230a∼230h), 제1∼10커티너리쉬브(240a∼240j), 트롤리와이어드럼(250), 제1∼3커티너리와이어(260a∼260c),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 및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28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거더(120-2) 상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롤리(210)는 붐(120-1)과 거더(120-2)에 설치되어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를 매개로 붐(120-1)과 거더(12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상기 커티너리(220,220')는 트롤리(21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1∼3커티너리와이어(260a∼260c)를 매개로 트롤리(210)와 함께 이동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3커티너리와이어(260c)와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 및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를 떠받쳐 쳐지지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8트롤리쉬브(230a∼230h)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는 거더(120-2) 끝단에 붐(120-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고, 제3·4트롤리쉬브(230c,230d)는 붐(120-1) 끝단에 붐(120-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며, 제5·6트롤리쉬브(230e,230f)는 트롤리(210)의 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지막으로 제7·8트롤리쉬브(230g,230h)는 트롤리(210)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5·6트롤리쉬브(230e,230f)는 제1트롤리쉬브(230a)와 제2트롤리쉬브(230b) 사이에 배치되고, 제7·8트롤리쉬브(230g,230h)는 제3트롤리쉬브(230c) 및 제4트롤리쉬브(230d)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는 거더(120-2)의 일단부에 설치된 거치대(C)에 연결대(B1)를 매개로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2트롤리쉬브와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2트롤리쉬브와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C)는 거더(120-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부재로서, 거치대(C)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대장착부(C1,C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대장착부(C1,C2)에 연결대(B1,B2)가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장착부(C1)에 축을 매개로 회동(진자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대(B1)의 하단부에는 제1·2트롤리쉬브(230a,230b)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대장착부(C2)에 축을 매개로 회동(진자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대(B2)의 하단부에는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거치대(C)에는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의 실린더본체(410)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대(B1,B2)의 상단부에는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의 로드(420)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C)에는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d)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10커티너리쉬브(240a∼240j)는 다음과 같다.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는 거더(120-2)의 끝단부에 붐(120-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고, 제3·4커티너리쉬브(240c,240d)는 붐(120-1) 끝단부에 붐(120-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며, 제5·6커티너리쉬브(240e,240f)는 후방 커티너리(220)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7·8커티너리쉬브(240g,240h)는 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9·10커티너리쉬브(240i,240j)는 전방 커티너리(220')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은 거더(120-2)의 상부(예:기계실)에 배치되게 설치되어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28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트롤리(210) 및 커티너리(220,220')가 붐(120-1)과 거더(12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게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3커티너리와이어(260a∼260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커티너리와이어(260a)는 트롤리(210)의 좌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커티너리쉬브(240g) 및 제5커니터리쉬브(240e)를 경유해 트롤리(210)의 좌측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커티너리와이어(260b)는 트롤리(210)의 우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커티너리쉬브(240h) 및 제6커니터리쉬브(240f)를 경유해 트롤리(210)의 우측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3커티너리와이어(260c)는 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 좌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커티너리쉬브(240a), 제3커티너리쉬브(240c), 제9커티너리쉬브(240i), 제10커티너리쉬브(240j), 제4커티너리쉬브(230d) 및 제2커티너리쉬브(240b)를 경유해 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 우측에 고정된다.
일 예로,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의 회전으로 트롤리(2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2커티너리와이어(260a,260b)에 의해 전·후방커티너리(220,2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후방커티너리(220,220')가 이동함에 따라 제3커티너리와이어(260c)도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트롤리주행와이어(270a)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트롤리쉬브(230a), 제5트롤리쉬브(230e), 제6트롤리쉬브(230f) 및 제2트롤리쉬브(230b)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고정된다.
상기 제2트롤리주행와이어(270b)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트롤리쉬브(230c), 제7트롤리쉬브(230g), 제8트롤리쉬브(230h), 제4트롤리쉬브(230d)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고정된다.
일 예로, 상기 트롤리(2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트롤리와이어(270b)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감기게 되고, 제1트롤리와이어(270a)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서 풀리게 된다.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280)는 구동모터(281)와 감속기(282) 및 브레이크(28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트롤리와이어드럼 및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281)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트롤리와이어드럼(250)으로 제공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상기 감속기(282)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과 구동모터(281)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8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브레이크(283)는 구동모터(281)와 감속기(28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8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제동장치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81)가 고장난 경우 트로리(210) 및 커티너리(220,220')를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감속기(282)에 기어드모터(284)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기어드모터(284)는 전동기(電動機)와 감속기를 하나로 조합한 공지의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구동모터(281)의 고장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구동력을 트롤리와이어드럼(2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기어드모터(284)가 동작하게 되면, 구동력은 감속기(282)로 전달되고, 감속기(282)와 연결된 트롤리와이어드럼(250)으로 전달되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81)가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284)를 이용해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쉽게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영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계속해서, 도 2,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 및 제어부(800)는 로프텐셔너시스템(rope tensioner system:X) 즉, 트롤리유닛(200)의 자동장력조절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는 실린더본체(410)와 로드(4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와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유압)을 전달받아 제1·2트롤리쉬브(230a,230b)와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를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d)는 실린더본체(410)가 거치대(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420)가 연결대(B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420)의 전후진에 의해 연결대(B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2트롤리쉬브(230a,230b)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상기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는 실린더본체(410)가 거치대(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420)가 연결대(B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420)의 전후진에 의해 연결대(B2)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상기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는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이를 제어부(8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일종에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800)는 제3커티너리와이어(260c,260d) 및 제1트롤리주행와이어(270a,270b)에 걸리는 장력을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로부터 각각 전달받아 이를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는데,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크거나 작은 측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800)는 해당 압력센서가 설치된 유압실린더가 동작될 수 있도록 유압장치(미도시)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해당 유압실린더의 로드(420)는 전진 또는 후진되어 해당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트롤리쉬브를 전후이동시키게 되므로 와이어의 장력은 균일하게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크레인의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호이스트유닛(300)은 헤드블록(310)과 제1∼20호이스트쉬브(320a∼320t), 호이스트와이드럼(330,330'),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 및 호스트와이드럼용 구동유닛(3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210)와 함께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상기 헤드블록(310)은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며, 일 예로 헤드블록(310)의 하부에는 컨테이너를 집거나 놓을 수 있는 스프래더(spreader)가 설치된다.
상기 제1∼20호이스트쉬브(320a∼320p)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2호이스트쉬브(320a,320b)는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120-2)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제3·4호이스트쉬브(320c,320d)는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120-2)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4호이스트쉬브(320a∼320d)는 트롤리유닛(200)의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제1 내지 4호이스트쉬브와 제1 내지 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4호이스트쉬브(320a∼320d)는 거더(120-2)의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대(A)에 연결대(B)를 매개로 설치되는데, 여기서 지지대(A)는 거치대(C)에 인접되게 거더(120-2)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지대(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결대(B)가 배치되어 상단부가 축을 매개로 회동(진자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대(B)의 하단부에는 제1∼4호이스트쉬브(320a∼320d)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거치대(C)에는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d)의 실린더본체(610)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대(B)의 일측에는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d)의 로드(620)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거치대(C)를 매개로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가 거더(120-2)의 일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5·6호이스트쉬브(320e,320f)는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120)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제7·8호이스트쉬브(320g,320h)는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120)의 타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9·10·17·18호이스트쉬브(320i,320j,320q,320r)는 트롤리(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320k,320l,320s,320t)는 트롤리(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13·14호이스트쉬브(320m,320n)는 제9·10·17·18호이스트쉬브(320i,320j,320q,320r)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310)의 상면 좌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5·16호이스트쉬브(320o,320p)는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320k,320l,320s,320t)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310)의 상면 우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계속해서,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은 붐(12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거더(120-2)의 상부(예:기계실)에 배치된다.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은 거더(120-2)의 상부에 배치되게 설치되어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헤드블록(31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호이스트와이어(340a)는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호이스트쉬브(320a)와 제9호이스트쉬브(320i), 제13호이스트쉬브(320m), 제17호이스트쉬브(320q), 제5호이스트쉬브(320e), 제7호이스트쉬브(320g), 제11호이스트쉬브(320k), 제15호이스트쉬브(320o), 제19호이스트쉬브(320s) 및 제4호이스트쉬브(320d)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고정된다.
상기 제2호이스트와이어(340b)는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호이스트쉬브(320b)와 제10호이스트쉬브(320j), 제14호이스트쉬브(320n), 제18호이스트쉬브(320r), 제6호이스트쉬브(320f), 제8호이스트쉬브(320h), 제12호이스트쉬브(320l), 제16호이스트쉬브(320p), 제20호이스트쉬브(320t) 및 제3호이스트쉬브(320c)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고정된다.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은 구동모터(351,351')와 감속기(352) 및 브레이크(353,35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호이스트와이어드럼 및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351,351')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력을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으로 제공해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상기 감속기(352)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과 구동모터(351,351')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51,35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브레이크(353,353')는 구동모터(351,351')와 감속기(352)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51,35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제동장치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51,351')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라도 사용은 가능한데, 만일 구동모터(351,351')가 모두 고장인 경우에는 호이스트(300)를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구동모터(351,351') 중 어느 하나에 기어드모터(354)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기어드모터(354)는 전동기(電動機)와 감속기를 하나로 조합한 공지의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구동모터(351,351')의 고장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구동력을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기어드모터(354)가 동작하게 되면, 구동력은 기어드모터(354)가 설치된 구동모터(351,351')를 통해 감속기(352)로 전달되고, 감속기(352)와 연결된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으로 전달되어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51,351')가 모두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354)를 이용해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쉽게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영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호이스트유닛(300)의 동작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의 구동모터(351,351')가 구동되어 감속기(352)를 매개로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에 감기게 되고,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가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에 감김에 따라 헤드블록(310)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면,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이 구동모터(351,351')에 의해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에 감겨 있던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가 풀림에 따라 헤드블록(310)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3,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와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 및 제어부(800)는 트림/리스트/스큐시스템(trim/list/skew:Y)과 안티스네그시스템(anti-snag system:Z) 즉, 컨테이너의 자세제어시스템 및 컨테이너의 걸림으로 인한 부하제거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는 실린더본체(610)와 로드(6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유압)을 전달받아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를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는 실린더본체(610)가 거치대(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620)가 연결대(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620)의 전후진에 의해 연결대(B)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상기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는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이를 제어부(8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일종에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트림/리스트/스큐시스템(trim/list/skew:Y)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가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가 당겨지거나 이완됨에 따라 헤드블록(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trim:컨테이너의 단변축을 중심으로 회전), 리스트(list:컨테이너의 장변축을 중심으로 회전), 스큐(skew:컨테이너의 높이축(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시하게 되며, 결국 헤드블록(310)의 자세가 변화됨에 따라 스프래더(spreader)를 매개로 연결된 컨테이너의 자세가 변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크레인운전자는 컨테이너(컨테이너 선박)의 하역(荷役)작업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안티스네그시스템(anti-snag system:Z)은 운전자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에 컨테이너와 같은 구조물에 걸렸을 경우 컨테이너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처리방법이다.
일 예로, 상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에 컨테이너가 구조물에 걸리게 되면, 이때 간섭이 생긴 쪽에 설치된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에는 장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고,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가 당겨짐에 따라 해당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가 걸려있는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의 로드(620)는 실린더본체(610)로 인입되며, 로드(620)의 인입으로 인해 실린더본체(610)에 내설된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는 이러한 장력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함은 물론 해당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로부터 유압이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게 릴리프밸브(미도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릴리프밸브(미도시)의 개방으로 인해 해당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가 이동함에 따라 제1·2호이스트와이어(340a,340b)에 걸려있던 장력은 감소하게 되므로 컨테이너는 처음보다 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걸린 부위를 회피할 수 있게 되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의 브레이크(353,353')가 구동모터(351,351')를 제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가 기울어진 상태로 정지되면, 크레인운전자는 운전실의 조작반을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수평상태로 맞춰주고,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컨테이너의 전복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작업안전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4호이스트쉬브(320a∼320d)와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가 한 곳에 모두 설치됨에 따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와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 및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d)가 하나의 유압모듈(미도시)을 통해 일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관리에 상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크레인본체 110: 크레인주행부 120-1: 붐
120-2: 거더 130: 컨테이너적재부 200: 트롤리유닛
210: 트롤리 220,220': 커티너리
230a∼230h: 제1∼8트롤리쉬브 240a∼240j: 제1∼10커티너리쉬브
250: 트롤리와이어드럼 260a∼260c: 제1∼3커티너리와이어
270a,270b: 제1·2트롤리주행와이어 280: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
281: 구동모터 282: 감속기 283: 브레이크
284: 기어드모터 300: 호이스트유닛 310: 헤드블록
320a∼320t: 제1∼20호이스트쉬브 330,330': 호이스트와이드럼
340a,340b: 제1·2호이스트와이어 350: 호스트와이드럼용 구동유닛
351,351': 구동모터 352: 감속기
353,353': 브레이크 354: 기어드모터
400a,400b: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
400c,400d: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
500a∼500h: 제1∼8압력센서 800: 제어부
600a∼600d: 제1∼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
X: 로프텐셔너시스템 Y: 트림/리스트/스큐시스템
Z: 안티스네그시스템

Claims (10)

  1. 레일에 입설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주행부(110)와, 크레인주행부(11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붐(120-1)과 거더(120-2)로 구성된 크레인본체(100);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210)를 구비하는 트롤리유닛(200);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210)와 함께 붐(120-1)과 거더(120-2)를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유닛(300)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유닛(300)은,
    상기 트롤리(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판상의 헤드블록(310)과,
    상기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120-2)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1·2호이스트쉬브(320a,320b)와,
    상기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거더(120-2)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3·4호이스트쉬브(320c,320d)와,
    상기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120)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제5·6호이스트쉬브(320e,320f)와,
    상기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붐(120)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제7·8호이스트쉬브(320g,320h)와,
    상기 트롤리(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1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9·10·17·18호이스트쉬브(320i,320j,320q,320r)와,
    상기 트롤리(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붐(120)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320k,320l,320s,320t)와,
    상기 제9·10·17·18호이스트쉬브(320i,320j,320q,320r)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310)의 상면 좌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3·14호이스트쉬브(320m,320n)와,
    상기 제11·12·19·20호이스트쉬브(320k,320l,320s,320t)의 하부에 배치되게 헤드블록(310)의 상면 우단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5·16호이스트쉬브(320o,320p)와,
    상기 붐(12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거더(120-2)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과,
    상기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호이스트쉬브(320a)와 제9호이스트쉬브(320i), 제13호이스트쉬브(320m), 제17호이스트쉬브(320q), 제5호이스트쉬브(320e), 제7호이스트쉬브(320g), 제11호이스트쉬브(320k), 제15호이스트쉬브(320o), 제19호이스트쉬브(320s) 및 제4호이스트쉬브(320d)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고정되는 제1호이스트와이어(340a)와,
    상기 좌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호이스트쉬브(320b)와 제10호이스트쉬브(320j), 제14호이스트쉬브(320n), 제18호이스트쉬브(320r), 제6호이스트쉬브(320f), 제8호이스트쉬브(320h), 제12호이스트쉬브(320l), 제16호이스트쉬브(320p), 제20호이스트쉬브(320t) 및 제3호이스트쉬브(320c)를 경유해 우측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에 고정되는 제2호이스트와이어(340b)와,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330,33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를 밀거나 당기는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출력하는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
    상기 제5·6·7·8압력센서(500e,500f,500g,500h)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유닛(200)은,
    상기 헤드블록(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트롤리(210)와,
    상기 트롤리(210)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커티너리(220,220')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120-2)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붐(120-1)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4트롤리쉬브(230c,230d) 및 제3·4커티너리쉬브(240c,240d)와,
    상기 트롤리(210)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7·8트롤리쉬브(230g,230h)와,
    상기 트롤리(210)의 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5·6트롤리쉬브(230e,230f)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220)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5·6커티너리쉬브(240e,240f)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7·8커티너리쉬브(240g,240h)와,
    상기 전방 커티너리(220')의 전단부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9·10커티너리쉬브(240i,240j)와,
    상기 거더(120-2)의 상부에 배치되는 트롤리와이어드럼(250)과,
    상기 트롤리(210)의 좌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커티너리쉬브(240g) 및 제5커니터리쉬브(240e)를 경유해 트롤리(210)의 좌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제1커티너리와이어(260a)와,
    상기 트롤리(210)의 우측 전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커티너리쉬브(240h) 및 제6커니터리쉬브(240f)를 경유해 트롤리(210)의 우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제2커티너리와이어(260b)와,
    상기 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 좌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커티너리쉬브(240a), 제3커티너리쉬브(240c), 제9커티너리쉬브(240i), 제10커티너리쉬브(240j), 제4커티너리쉬브(240d) 및 제2커티너리쉬브(240b)를 경유해 후방 커티너리(220)의 후단부 우측에 고정되는 제3커티너리와이어(260c)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트롤리쉬브(230a), 제5트롤리쉬브(230e), 제6트롤리쉬브(230f) 및 제2트롤리쉬브(230b)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고정되는 제1트롤리주행와이어(270a)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트롤리쉬브(230c), 제7트롤리쉬브(230g), 제8트롤리쉬브(230h), 제4트롤리쉬브(230d)를 경유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고정되는 제2트롤리주행와이어(270b)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280)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를 밀거나 당기는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
    상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에 각각 내설되어 압력을 측정해 출력하는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제1·2·3·4압력센서(500a,500b,500c,500d)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 및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를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350)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330,330')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51,351')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330,330')과 구동모터(351,351')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51,35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330,33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352)와,
    상기 구동모터(351,351')와 감속기(35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51,35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353,3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51,35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51,351')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354)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용 구동유닛(280)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81)와,
    상기 트롤리와이어드럼(250)과 구동모터(281)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8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트롤리와이어드럼(25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282)와,
    상기 구동모터(281)와 감속기(28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8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2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282)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81)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284)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의 상부에는 지지대(A)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A)에는 일단부가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B)가 설치되며,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320a,320b,320c,320d)는 연결대(B)의 타단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3·4호이스트쉬브용 유압실린더(600a,600b,600c,600d)의 실린더본체(610)는 연결대(B)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C)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620)의 일단은 연결대(B)와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트롤리쉬브(230a,230b)의 전방에는 제1·2트롤리쉬브(230a,230b)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연결대장착부(C1)를 갖춘 거치대(C)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장착부(C1)에는 연결대(B1)가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B1)의 하단부에는 제1·2트롤리쉬브(230a,230b)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트롤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a,400b)의 실린더본체(410)는 일단이 거치대(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20)는 연결대(B1)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의 전방에는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연결대장착부(C2)를 갖춘 거치대(C)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장착부(C1)에는 연결대(B2)가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B2)의 하단부에는 제1·2커티너리쉬브(240a,240b)가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커티너리쉬브용 유압실린더(400c,400d)의 실린더본체(410)는 일단이 거치대(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20)는 연결대(B2)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주행부(110)에는 컨테이너를 임시로 적재해 둘 수 있도록 크레인주행부(110)로부터 붐(120)과 나란하게 일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적재부(13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
KR1020200092028A 2020-07-24 2020-07-24 컨테이너 크레인 KR10243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28A KR102437147B1 (ko) 2020-07-24 2020-07-24 컨테이너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28A KR102437147B1 (ko) 2020-07-24 2020-07-24 컨테이너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49A true KR20220013049A (ko) 2022-02-04
KR102437147B1 KR102437147B1 (ko) 2022-08-26

Family

ID=8026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028A KR102437147B1 (ko) 2020-07-24 2020-07-24 컨테이너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84A1 (ko)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전단 믹싱 장치
CN117163844A (zh) * 2023-11-01 2023-12-05 江苏政田重工股份有限公司 船用液压回转起重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147A (ja) * 1998-11-06 2000-05-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2332188A (ja) * 2001-05-10 2002-11-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アンチスナッグ装置
KR20090073380A (ko) * 2007-12-31 2009-07-03 김성수 컨테이너 크레인용 스프레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2156B1 (ko) 2010-04-08 2012-02-22 한국과학기술원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20160062480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레인의 비상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147A (ja) * 1998-11-06 2000-05-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2332188A (ja) * 2001-05-10 2002-11-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アンチスナッグ装置
KR20090073380A (ko) * 2007-12-31 2009-07-03 김성수 컨테이너 크레인용 스프레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2156B1 (ko) 2010-04-08 2012-02-22 한국과학기술원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20160062480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레인의 비상 구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84A1 (ko)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전단 믹싱 장치
CN117163844A (zh) * 2023-11-01 2023-12-05 江苏政田重工股份有限公司 船用液压回转起重机
CN117163844B (zh) * 2023-11-01 2024-03-19 江苏政田重工股份有限公司 船用液压回转起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147B1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486B1 (en) Integrated balanced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7353959B2 (en) Variable-speed load-dependent drive and hoist system
KR102437147B1 (ko) 컨테이너 크레인
CN208037868U (zh) 一种桥梁护栏模板安拆及转运装置
US71528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container handling device
US4277053A (en) Lifting and handling equipment unit, especially for shipside operations
CN1221462C (zh) 起重机机构的安置结构
CN201080414Y (zh) 集装箱多用途装卸门机
CN111824972B (zh) 起重机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2385064B1 (ko)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CN215854813U (zh) 一种新型运输绞车
CN2176357Y (zh) 万向钢绳吊运机
CN108792943B (zh) 一种具有同轴并列卷扬的起吊装置及起重机和工程机械
CN112499451A (zh) 自平衡伸缩式集装箱旋转吊具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CN219384550U (zh) 一种低碳智能多功能集装箱门式起重机
JP5149615B2 (ja) ホイスト制御装置及び揚重設備
CN219526040U (zh) 一种用于集装箱门式起重机的小车行走回转机构
CN213202190U (zh) 一种卷扬式启闭机
CN110642154A (zh) 起重机
CN220011898U (zh) 一种新型刚柔导向起升吊运装置
CN215711276U (zh) 吊装工装
CN219363021U (zh) 岸边集装箱起重机减摇装置
CN215592420U (zh) 一种电动缸辅助起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