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570A -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 Google Patents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570A
KR20220009570A KR1020200087911A KR20200087911A KR20220009570A KR 20220009570 A KR20220009570 A KR 20220009570A KR 1020200087911 A KR1020200087911 A KR 1020200087911A KR 20200087911 A KR20200087911 A KR 20200087911A KR 20220009570 A KR20220009570 A KR 2022000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tea
sprout
sprouted
sprou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기
Original Assignee
양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기 filed Critical 양승기
Priority to KR102020008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570A/ko
Publication of KR2022000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에 관한 것으로,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인삼 새싹을 수확하는 수확단계와, 수확한 새싹 인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새싹 인삼을 100℃ 이상으로 온도 조절된 스팀기에서 10~20분간 스팀(Steam)으로 쪄서 익히는 증숙(蒸熟)단계와, 익힌 새싹 인삼을 강제통풍으로 5~10분간 식히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새싹 인삼을 다짐기를 통해 찧는 도차(搗茶)단계와, 도차(搗茶)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다양한 모양의 편(片) 형상으로 만드는 성형단계와, 성형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새싹 인삼차는 인공조명과 인공토양, 영양액을 이용한 수경재배나 토경재배를 통해 연중생산이 가능하여 새싹 인삼의 제공이 자유롭고 인삼차로 가공되어 제공됨으로써 장기간의 저장과 유통이 가능하여 보관성을 현저히 향상시켰으며 종래 생물로만 식용하여 소비의 한계가 있었으나 차로 가공함으로써 새싹 인삼에 대한 이용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재고시킬 뿐만 아니라 홍삼 추출물보다 사포닌 함량이 많고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새싹 인삼 본연의 향과 부드러운 맛을 제공하며 대용차의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싹 인삼의 소비촉진에 의한 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ginseng tea by using sprout ginseng and the ginseng tea}
본 발명은 새싹 인삼의 잎, 줄기, 뿌리까지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새싹 인삼을 인삼차로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저장성과 유통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용차로서의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사포닌 유효성분 및 인체에 필요한 각종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과 그 인삼차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피로해소, 면역력 증강 및 혈행개선의 효능이 있어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 수천 년간 보혈 강장제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고려인삼은 효과가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품이다.
인삼의 효능과 관련된 과학적인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보고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점차 고조되어감에 따라, 인삼의 소비량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배 수확한 인삼 생산량 전체의 45% 정도는 신선한 상태의 수삼으로 유통되고, 나머지 55% 정도는 홍삼, 태극삼 및 백삼으로 가공 유통되고 있다. 인삼 가공 제품으로는 형태를 유지하는 홍삼, 태극삼 및 백삼과 같은 원형삼과, 이를 분쇄한 분말, 또는 인삼으로부터 물과 에탄올 등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한 농축액이 주류를 이루며, 제품의 사용 편이성 및 다양화를 고려한 차류, 넥타, 음료류 등이 출시되어 있고, 이외에도 인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가공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인삼 가공 제품 중 인삼 농축액은 소비자의 사용 편이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제품류로 그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는데, 특히 최근 홍삼 농축액의 시장 확대는 괄목할 만하다.
인삼은 인체의 여러 생리 기능성을 조절해주는 유용한 약용작물 중에서도 대표적인 작물이다. 그동안 인삼은 대부분 뿌리를 이용하여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인삼의 지상부인 인삼잎이 지하부인 뿌리부분 보다 사포닌 함량이 더 많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삼의 잎도 식용가능한 것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분류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관세청에서도 관세분류 품목에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인삼잎의 유용 물질 분석 및 검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 새싹 인삼이 종래의 홍삼에 비해 사포닌과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성 물질들이 뿌리보다 더욱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인삼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새싹 인삼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인삼이나 홍삼에 비해 새싹 인삼은 짧은 기간 내에 365일 채취할 수 있으므로 새싹 인삼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인삼을 이용한 제품의 수요 증대를 위해서는 인삼의 기능성은 물론 소비자의 기호성 및 사용 편이성 등이 고려된 제품의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 홍삼 농축액은 점도가 높고, 이의 포장이 주로 유리병을 이용하고 있어 사용의 편이성 측면에서 개선할 여지가 있는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삼 농축액과 포도당, 유당 등의 부원료를 혼합하여 과립화한 인삼차가 제조 유통되고 있는데, 소비층이 인삼에 익숙한 장년 및 노년층에 주로 치중되어 있다.
현재 인삼차는 수삼 뿌리를 이용한 인삼차 및 홍삼차가 주종을 이룬다.
그러나 기존의 인삼차나 홍삼차는 5, 6년근으로 길러내는 과정과 수삼을 홍삼으로 가공하는 과정 등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음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중 생산이 불가능하고 저장성과 유통성 및 보관성이 낮아 소비의 한계가 있으며, 가격이 비싸고 맛이 써 국민들이 대중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중생산이 가능하고 저장성과 유통성 및 보관성이 좋고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인삼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863호, 2011년 09월 27일 공개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인공조명과 인공토양, 영양액을 이용한 수경재배나 토경재배를 통해 연중생산이 가능하여 새싹 인삼의 제공이 자유롭고 인삼차로 가공되어 제공됨으로써 장기간의 저장과 유통이 가능하여 보관성을 현저히 향상시켰으며 종래 생물로만 식용하여 소비의 한계가 있었으나 차로 가공함으로써 새싹 인삼에 대한 이용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재고시킬 뿐만 아니라 홍삼 추출물보다 사포닌 함량이 많고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새싹 인삼의 잎, 줄기, 뿌리까지 통째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새싹 인삼 본연의 향과 부드러운 맛을 제공하고 대용차의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며 새싹 인삼의 소비촉진에 의한 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새싹 인삼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인삼 새싹을 수확하는 수확단계와, 수확한 새싹 인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새싹 인삼을 100℃ 이상으로 온도 조절된 스팀기에서 10~20분간 스팀(Steam)으로 쪄서 익히는 증숙(蒸熟)단계와, 익힌 새싹 인삼을 강제통풍으로 5~10분간 식히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새싹 인삼을 다짐기를 통해 찧는 도차(搗茶)단계와, 도차(搗茶)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다양한 모양의 편(片) 형상으로 만드는 성형단계와, 성형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새싹 인삼차는 인공조명과 인공토양, 영양액을 이용한 수경재배나 토경재배를 통해 연중생산이 가능하여 새싹 인삼의 제공이 자유롭고 인삼차로 가공되어 제공됨으로써 장기간의 저장과 유통이 가능하여 보관성을 현저히 향상시켰으며 종래 생물로만 식용하여 소비의 한계가 있었으나 차로 가공함으로써 새싹 인삼에 대한 이용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재고시킬 뿐만 아니라 홍삼 추출물보다 사포닌 함량이 많고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싹 인삼차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싹 인삼 본연의 향과 부드러운 맛을 제공하고 대용차의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며 새싹 인삼의 소비촉진에 의한 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삼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은 수확단계와, 세척단계와, 증숙(蒸熟)단계와, 냉각단계와, 도차(搗茶)단계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수확단계는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인삼 새싹을 수확하는 단계이다.
즉, 모종삼인 인삼 묘삼을 일정 기간 재배하여 새싹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새싹 인삼은 인공조명과 인공토양, 영양액 등을 투입하여 재배하게 되며 수경재배와 토경재배 모두 가능하다.
상기 세척단계는 수확된 새싹 인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이다.
상기 증숙(蒸熟)단계는 세척된 새싹 인삼을 100℃이상으로 온도 조절된 스팀기에서 10~20분간 스팀(Steam)으로 쪄서 익히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단계는 증숙(蒸熟)단계를 통해 익혀진 새싹 인삼을 자연적인 바람이 아닌 강제적인 바람을 통해 열을 식히는 강제통풍방식으로 5~10분간 신속하게 식히는 단계이다.
상기 도차(搗茶)단계는 강제 냉각된 새싹 인삼을 다짐기를 통해 찧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단계는 위의 도차(搗茶)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다양한 모양의 편(片)으로 만드는 단계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사각편 형상인 경우 편(片)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 약1~3cm이고 두께는 약 0.2~0.5cm이며, 원형편 형상인 경우 편(片)의 크기는 직경이 약1~3cm이고 두께는 약 0.2~0.5cm이다.
이러한 성형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거쳐 새싹 인삼차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은 제1실시예와 제조방법은 동일하나 인삼 새싹의 잎과 줄기만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새싹 인삼의 뿌리부분을 제거하고 새싹 인삼의 잎과 줄기만을 이용함으로써 인삼 고유의 쓴맛을 최소화하여 음용시의 거부감을 줄임으로써 대중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새싹 인삼차는 인공조명과 인공토양, 영양액을 이용한 수경재배나 토경재배를 통해 연중생산이 가능하여 새싹 인삼의 제공이 자유롭고 인삼차로 가공되어 제공됨으로써 장기간의 저장과 유통이 가능하여 보관성을 현저히 향상시켰으며 종래 생물로만 식용하여 소비의 한계가 있었으나 차로 가공함으로써 새싹 인삼에 대한 이용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재고시킬 뿐만 아니라 홍삼 추출물보다 사포닌 함량이 많고 우수한 약리기능 및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새싹 인삼 본연의 향과 부드러운 맛을 제공하며 대용차의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싹 인삼의 소비촉진에 의한 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산업 창출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인삼 새싹을 수확하는 수확단계;와,
    수확한 새싹 인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새싹 인삼을 100℃ 이상으로 온도 조절된 스팀기에서 10~20분간 스팀(Steam)으로 쪄서 익히는 증숙(蒸熟)단계;와,
    익힌 새싹 인삼을 강제통풍으로 5~10분간 식히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새싹 인삼을 다짐기를 통해 찧는 도차(搗茶)단계;와,
    도차(搗茶)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다양한 모양의 편(片) 형상으로 만드는 성형단계;와,
    성형단계를 거친 새싹 인삼을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삼 새싹의 잎과 줄기만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인삼차
KR1020200087911A 2020-07-16 2020-07-16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KR20220009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11A KR20220009570A (ko) 2020-07-16 2020-07-16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11A KR20220009570A (ko) 2020-07-16 2020-07-16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70A true KR20220009570A (ko) 2022-01-25

Family

ID=8004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11A KR20220009570A (ko) 2020-07-16 2020-07-16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5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63B1 (ko) 2009-01-09 2011-09-27 전현철 인삼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63B1 (ko) 2009-01-09 2011-09-27 전현철 인삼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1513A (zh) 富硒富锌玛卡种植方法及其制品
CN102498857B (zh) 一种通过诱导提高活性多糖含量的黄秋葵种植方法
KR101829355B1 (ko)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
Bashir et al. Moringa oleifera, a potential miracle tree; a review
CN106258736A (zh) 一种百香果组培苗分段座果的栽培方法
CN102960481B (zh) 一种紫鹃茶的培育种植加工方法
KR20220009570A (ko)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의 제조방법 및 그 인삼차
CN104370612A (zh) 龙眼树苗培养基
CN108059519A (zh) 一种绿叶素组合物的制备方法
CN110692426A (zh) 一种椿茶的制作方法
CN1418532A (zh) 茼蒿菜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07258439A (zh) 一种百香果种植方法
CN106233991A (zh) 一种提高百香果糖分的种植方法
CN106258740A (zh) 一种百香果温室栽培方法
CN1418531A (zh) 豌豆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15819153A (zh) 一种玫瑰花渣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418510A (zh) 甜椒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13728906A (zh) 一种川芎芽苗菜的室内培育方法
CN1418520A (zh) 秋葵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418522A (zh) 西瓜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Githinji et al. Sweet Potato Yield and Consumer Preference for Thirteen Varieties Grown Organically in Virginia
CN1418525A (zh) 红薯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418503A (zh) 苦瓜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418512A (zh) 菜心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CN107011003A (zh) 西红柿栽培喷施营养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