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338A - 다기능 커튼 박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커튼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338A
KR20220007338A KR1020200085450A KR20200085450A KR20220007338A KR 20220007338 A KR20220007338 A KR 20220007338A KR 1020200085450 A KR1020200085450 A KR 1020200085450A KR 20200085450 A KR20200085450 A KR 20200085450A KR 20220007338 A KR20220007338 A KR 2022000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wer
curtain box
outlet
curt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047B1 (ko
Inventor
박찬아
조정훈
박정열
윤지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제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제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0008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0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27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으로,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회전봉이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레일이 설치되면서 롤러가 배치될 수 있는 롤러 공간과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롤러 공간에 삽입되는 롤러와,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마운트;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커튼 박스 {Multi function curtain box}
본 발명은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커튼 박스에 이동형 마운트와 레일, 송풍기, 광센서, 조명부 등의 멀티 기능을 추가하여 커튼 박스의 편의성 및 효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 또는 블라인드는 창문을 가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사생활 보호 또는 내외부의 빛 차단, 실내 단열 등의 기능적인 용도와 실내 장식 등의 미적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커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이 위치된 부분의 천정에 레일을 설치한다. 상기 레일에는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커튼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커튼롤러에 커튼을 매다는 형식으로 커튼이 설치된다.
이외에도 커튼봉과 커튼봉에 결합되는 커튼막을 통해 커튼을 설치하기도 하며, 이 경우 커튼 박스가 사용될 수 있다. 커튼 박스는 창이나 출입구의 천정에 형성되며, 상기 커튼 박스 내부에 커튼봉이 결합되면서 커튼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튼 박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천정에 커튼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 커튼 박스가 설치되는 공간 이외에 천정과 커튼 박스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정과 커튼 박스 사이에서 발생하는 빈 공간에는 습기에 의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정에는 에어 커튼, 조명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커튼 박스가 천정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설치할 때 공간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커튼 박스에 이동형 마운트와 레일, 송풍기, 광센서, 조명부 등의 멀티 기능을 추가하여 커튼 박스의 편의성 및 효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회전봉이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레일이 설치되면서 롤러가 배치될 수 있는 롤러 공간과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롤러 공간에 삽입되는 롤러와,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마운트;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하우징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 외측에는 조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하우징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측면은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측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회전봉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모터에는, 광센서 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송풍을 생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면서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송풍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송풍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동 공간을 통해 송풍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송풍기는, 상기 회전봉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와 상기 송풍 토출부은 송풍 토출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송풍기 내부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는 냉풍 또는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송풍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1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2토출구와,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송풍 토출부 내부에는 상기 송풍 토출부 내부 공간을 회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통되거나,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창호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의 상부에 설치는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 사이에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토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에 결합되는 부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부착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커튼 박스의 상기 송풍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에 이동형 마운트와 레일을 구비함에 따라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무빙월처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고정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이 토출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송풍 토출부를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커튼 박스 하단부로 바람을 보내거나 창호 또는 벽체와 커튼 박스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을 보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튼 박스 하부에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창호 또는 벽체와 커튼 박스 사이의 공간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전동 모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트의 롤러가 하우징의 롤러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봉 내부에 구비되는 전동 모터와 송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토출부와 송풍 토출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토출부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공급부와 제1토출구가 연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토출부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공급부와 제2토출구가 연통되면서 하우징의 측면으로 송풍이 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토출부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공급부와 제2토출구가 연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와 판넬 사이에 제2토출구와 연통되는 관통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착 브라켓을 통해 외장재와 판넬에 하우징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통해 송풍 토출부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트의 이동 브라켓에 회전봉이 설치된 고정 브라켓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으로,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커튼 박스에 이동형 마운트와 레일, 송풍기, 광센서, 조명부 등의 멀티 기능을 추가하여 커튼 박스의 편의성 및 효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커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서는 블라인드(10)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블라인드(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기능 커튼 박스에 설치되는 것은 블라인드(1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라인드(10)가 설치되는 지점에 커튼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고정 브라켓(110), 하우징(120), 마운트(130), 전동 모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커튼 또는 블라인드(10)가 설치되는 회전봉(111)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봉(111)은 회전에 의해 상기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봉(111)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121)과 레일(126)이 설치되면서 롤러(131)가 배치될 수 있는 롤러 공간(122)과 커튼 또는 블라인드(10)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123)이 구비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은 커튼 박스의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내부 천정(30)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창호(20)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19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은 천정(30)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알루미늄 압출재 또는 전기도금강판(EGI)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20)은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천정(30)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21)은 상기 사각관 형상의 내부 공간이 되며, 상기 내부 공간(121)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 상기 회전봉(111), 상기 마운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공간(122)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관 형상의 상면에서 일부 돌출된 공간으로, 상기 롤러 공간(122)에는 상기 레일(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공간(123)은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중 일부 열려있는 공간이 되며,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는 상기 이동 공간(123)을 통과하면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트(130)는 상기 롤러 공간(122)에 삽입되는 롤러(131)와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13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마운트(130)를 통해 상기 회전봉(111)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상기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트(130)의 상기 롤러(131)는 상기 롤러 공간(122)에 끼워지면서 상기 롤러 공간(122)에 구비된 상기 레일(126)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롤러(131)가 상기 레일(126)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마운트(130)는 상기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13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브라켓(13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 브라켓(132)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상기 이동 브라켓(132)에 설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봉(111)이 상기 하우징(120)에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131)와 상기 레일(126)을 통해 상기 마운트(130)를 상기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상기 마운트(13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봉(111)도 상기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126)에는 상기 롤러(131)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126)에서 움직이는 상기 롤러(1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126)에서 움직이는 상기 롤러(1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면, 상기 고정부는 다양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는 지정된 지점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외측에는 조명부(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150)는 야간 간접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발광 LED 조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방출하는 다양한 조명장치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외측에 상기 조명부(150)를 구비함에 따라 커튼 또는 블라인드(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동 모터(140)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동 모터(140)는 상기 회전봉(111)을 회전시켜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동 모터(140)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전동 모터(140)는 상기 회전봉(1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봉(111)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동 모터(140)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봉(1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160)와 상기 광센서(160)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6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모터(140)는 상기 광센서(160)에서 감지되는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제어부(161)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 모터(140)에는 광센서 수신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 수신부(141)는 상기 제어부(161)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센서(160)에서 감지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면,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광센서 수신부(141)에 신호를 보내, 커튼 또는 블라인드(10)가 풀리도록 상기 전동 모터(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광센서(160)에서 감지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면,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광센서 수신부(141)에 신호를 보내, 커튼 또는 블라인드(10)가 감기도록 상기 전동 모터(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모터(140)는 상기 광센서(160) 및 상기 제어부(161)와 연동되어 커튼 또는 블라인드(1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동 모터(140)는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조절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전동 모터(140)의 회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광센서(160)에서 감지된 신호 통해 상기 전동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광센서(16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광센서 수신부(14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광센서(160) 및 상기 전동 모터(14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a), 도 3(b),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송풍기(170)와 송풍 토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70)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송풍(바람)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기(170)는 상기 회전봉(1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송풍기(170)는 바람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170) 내부에는 열전소자(1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70)는 외부 기온 조건에 따라 냉풍 또는 열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기(170)와 연결되면서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을 상기 하우징(12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18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을 상기 하우징(12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송풍 토출부(180)에서 토출되는 송풍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이동 공간(123)을 지나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 하부에서 에어 커튼이 형성될 있다.
도 3(a), 도 3(b),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송풍 토출관(171)을 통해 상기 송풍기(1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은 상기 송풍 토출관(171)을 통해 상기 송풍 토출부(180)로 이동된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2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에는 송풍이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 토출부(180)에는 복수 개의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1토출구(182),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2토출구(183), 상기 송풍기(170)와 연통되는 공급부(184)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84)는 상기 송풍기(170) 및 상기 송풍 토출관(171)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 토출부(180)로 송풍이 유입되는 지점이다.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은 상기 송풍 토출관(171)을 지나서 상기 공급부(184)로 유입된다.
상기 공급부(184)로 유입되는 송풍은 상기 제1토출구(182)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토출구(183)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에는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 공간을 회전하는 블레이드(18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부(184)와 상기 제1토출구(182)가 연통되거나 상기 공급부(184)와 상기 제2토출구(183)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85)는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를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185)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부(184)와 상기 제1토출구(182)가 연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공급부(184)와 제2토출구(183)는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 방향으로는 송풍이 토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방향으로만 송풍이 토출된다.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을 향하여 송풍이 토출되면,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이동 공간(123)을 상기 송풍이 통과하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에어 커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부(184)와 상기 제2토출구(183)가 연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공급부(184)와 제1토출구(182)는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 방향으로는 송풍이 토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 방향으로만 송풍이 토출된다.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열려있는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의 공간을 통해 송풍이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창호(20)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19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장재(191)는 창호(20)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재(191)의 상부에 판넬(19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은 천정(3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에 동시에 결합되는 부착 브라켓(125)에 결합되면서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20)을 설치하는 경우,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습기가 채워지면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상기 블레이드(185)를 회전시켜 상기 제2토출구(183)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함에 따라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송풍을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에서 상기 송풍이 토출되는 지점은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에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은 상기 송풍 토출관(171)-상기 송풍 토출부(180)-상기 제2토출구(183)를 지나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빈 공간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 사이에는 관통부(19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193)는 상기 제2토출구(18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93)는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판넬(192)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속이 비어있는 관통박스일 수 있다. 상기 관통부(193)는 스팬드럴 송풍 토출구 관통박스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토출구(183)를 통해 토출된 송풍은 상기 관통부(193)를 지나서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송풍의 토출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토출구(182)로 토출되는 송풍은 에어 커튼 기능을 하며, 상기 블레이드(18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토출구(183)로 토출되는 송풍은 창호(20) 또는 벽체와 상기 외장재(191) 및 상기 판넬(19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부에는, 상기 송풍 토출부(180) 내측벽에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격벽(186)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86)은 송풍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격벽(186)은 슬롯 따내기(Notching)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다음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창호(20)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상기 외장재(191)와 상기 외장재(191)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판넬(192)에 상기 부착 브라켓(125)을 결합한다. 이후 상기 부착 브라켓(125)에 상기 하우징(120)을 결합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롤러 공간(122)에는 상기 마운트(13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부착 브라켓(125)의 외측에는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의 외측에도 상기 부착 브라켓(125)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와 홈을 통해 상기 부착 브라켓(125)에 상기 하우징(12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착 브라켓(125)에 상기 하우징(120)을 결합한 이후,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을 열어서 상기 송풍 토출부(180)를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과 측면은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이 열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과 측면 사이에는 스프링(1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4)은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상기 송풍 토출부(180)와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설치된 이후 상기 스프링(124)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이 닫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24)은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20)에는 제1결합부(1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 토출부(180)에는 제2결합부(18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127)는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가로바와, 상기 제1가로바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상향바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127)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187)는 상기 송풍 토출부(180)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제2가로바와 상기 제2가로바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하향바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187)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송풍 토출부(180)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127)와 상기 제2결합부(187)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87)의 상기 제2하향바를 상기 제1결합부(127)의 홈에 끼우고, 상기 제1결합부(127)의 상기 제1상향바를 상기 제2결합부(187)의 홈에 끼우면서 상기 송풍 토출부(180)를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 토출부(180)는 상기 하우징(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결합부(187)를 상기 제1결합부(127)에 대하여 상향 이동시키면 상기 송풍 토출부(180)를 상기 하우징(1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20)에 상기 송풍 토출부(180)를 결합한 이후에는, 상기 송풍 토출관(171)을 상기 송풍 토출부(180)에 연결한다. 이를 통해 상기 송풍기(170)에서 생성된 송풍을 상기 송풍 토출부(180)로 이동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에 상기 송풍 토출부(180)를 결합한 이후 상기 회전봉(111)이 설치된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상기 마운트(130)의 상기 이동 브라켓(132)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상기 마운트(130)의 상기 이동 브라켓(132)에 결합시킨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124)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을 닫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외장재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부착 브라켓을 통해 하우징이 외장재와 판넬에 결합되고, 내부 천정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면서 천정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에 이동형 마운트와 레일을 구비함에 따라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무빙월처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롤러와 레일을 통해 고정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회전을 통해 송풍이 토출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송풍 토출부를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커튼 박스 하단부로 바람을 보내거나 창호 또는 벽체와 커튼 박스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을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커튼 박스 하부에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창호 또는 벽체와 커튼 박스 사이의 공간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전동 모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 박스는 하우징에 야간 간접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발관 LED 조명이 설치된 조명부를 구비함에 따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고정 브라켓 111...회전봉
120...하우징 121...내부 공간
122...롤러 공간 123...이동 공간
124...스프링 125...부착 브라켓
126...레일 127...제1결합부
130...마운트 131...롤러
132...이동 브라켓 140...전동 모터
141...광센서 수신부 150...조명부
160...광센서 161...제어부
170...송풍기 171...송풍 토출관
172...열전소자 180...송풍 토출부
181...토출구 182...제1토출구
183...제2토출구 184...공급부
185...블레이드 186...격벽
187...제2결합부 191...외장재
192...판넬 193...관통부

Claims (15)

  1.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회전봉이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레일이 설치되면서 롤러가 배치될 수 있는 롤러 공간과 커튼 또는 블라인드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롤러 공간에 삽입되는 롤러와,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마운트;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감거나 풀을 수 있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 외측에는 조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측면은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측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모터에는, 광센서 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송풍을 생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면서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송풍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송풍 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동 공간을 통해 송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회전봉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와 상기 송풍 토출부은 송풍 토출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내부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는 냉풍 또는 열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1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제2토출구와,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토출부 내부에는 상기 송풍 토출부 내부 공간을 회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통되거나,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창호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의 상부에 설치는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에 설치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 사이에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와 상기 판넬에 결합되는 부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부착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 박스.
KR1020200085450A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커튼 박스 Active KR10248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450A KR102481047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커튼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450A KR102481047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커튼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338A true KR20220007338A (ko) 2022-01-18
KR102481047B1 KR102481047B1 (ko) 2022-12-26

Family

ID=8005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450A Active KR102481047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커튼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0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373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101184582B1 (ko) * 2012-02-02 2012-09-21 모던인테크(주) 다기능 커튼 레일
KR101861595B1 (ko) * 2017-12-13 2018-06-29 윤영상 전동식 롤 블라인드
KR20180101014A (ko) * 2017-03-03 2018-09-12 노진호 전산실의 열 유동 차단장치
KR102029672B1 (ko) *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전기집진 방식의 블라인드형 공기청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373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101184582B1 (ko) * 2012-02-02 2012-09-21 모던인테크(주) 다기능 커튼 레일
KR20180101014A (ko) * 2017-03-03 2018-09-12 노진호 전산실의 열 유동 차단장치
KR101861595B1 (ko) * 2017-12-13 2018-06-29 윤영상 전동식 롤 블라인드
KR102029672B1 (ko) *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전기집진 방식의 블라인드형 공기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047B1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700B2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having a service position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US20070209764A1 (en) Fire-alarm-controlled roller shutter
KR102481047B1 (ko) 다기능 커튼 박스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1896260B1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US9074419B2 (en) Window covering multi-lift system
US10550621B2 (en) Sliding window for a building and home-autom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sliding window
KR101849298B1 (ko) 풍력발전 기능을 갖는 온열 블라인드 장치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102032838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JP501557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を備えた窓シャッター装置
KR20190063598A (ko)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KR100874612B1 (ko) 방화 차양장치
JP4165702B2 (ja) 開閉装置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WO2001077472A1 (en) Window assembly
KR102773121B1 (ko)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JPH0736074Y2 (ja) 組合せブラインド
JP3765001B2 (ja) 延焼防止外壁用防火シートシヤツター装置
JP7386068B2 (ja) センサ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