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405A -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405A
KR20210155405A KR1020200071994A KR20200071994A KR20210155405A KR 20210155405 A KR20210155405 A KR 20210155405A KR 1020200071994 A KR1020200071994 A KR 1020200071994A KR 20200071994 A KR20200071994 A KR 20200071994A KR 20210155405 A KR20210155405 A KR 2021015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thistle
ju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20007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405A/ko
Publication of KR2021015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or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에 따르면, 물엉겅퀴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 후,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 5 내지 5.5kg을 물 65 내지 75리터에 소금 280 내지 320g을 희석시킨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물엉겅퀴의 줄기와 감초 30 내지 40g을 추출주머니에 담고, 무압력 저온추출기를 통해 추출하되, 상기 무압력 저온추출기에 정수 0.7 내지 1리터와 원당 15 내지 25g을 넣고 추출하는 추출단계;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과 고로쇠 시럽 및 원당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105 내지 110℃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및 살균된 혼합물을 포장하고 냉각 후,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irsium nipponicum liquid tea}
본 발명은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성인병) 발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속도가 빨라지면서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며, 가시나물 혹은 항가새라고도 한다. 높이 50~100 ㎝이고 전체에 흰털과 더불어 거미줄과 같은 털이 있다. 뿌리 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있고 줄기 잎보다 크다. 줄기 잎은 피침상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자주색에서 적색이다. 총포의 포편은 7~8열로 배열하고 안쪽일수록 길어진다. 열매는 수과이며 관모는 길이 16~19 ㎜이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 잎 엉겅퀴,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라 한다.
연한 식물체를 나물로 하고 성숙한 뿌리를 약용으로 한다. 엉겅퀴의 유효성분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써 리나린(Linarin), 히스피듈린(Hispidulin) 등을 함유하고,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으로써 써리네올(Ciryneol), 써리네온(Ciryneone) 등을 함유하며 또한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로써 파라코마린산(ρ- coumaric acid) 및 시링긴(Syring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의약적으로는 고혈압, 이뇨,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간암, 신장암, 혈액암 등의 암 치료에 꾸준히 사용되어 왔고, 엉겅퀴의 항 불안기능과 세포 분열 저해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엉겅퀴 잎과 꽃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다른 식물의 추출물보다 월등하고,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하여 균의 생육 저해와 멸균활성이 보고되어 최근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약용 식물의 약리학적 효능을 밝혀내어 이를 의약이나 기능성 식품에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엉겅퀴의 약리효능은 혈압강하작용, 항세균작용, 지혈작용, 신경세포 강화작용 및 간세포 보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간세포의 보호기능은 체내에서 알코올의 산화를 촉진시키고 지방의 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알코올에 의한 간독성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엉겅퀴는 나아신, 단백질, 당질, 베타카로틴, 비타민 A, B1, B2, B6, C, E, 식이섬유,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슘, 회분 등 다양한 유용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작용을 비롯한 숙취해소, 정력증진, 피부미용, 어혈을 풀어주고 피를 맑게 하는 효과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엉겅퀴 함유 티백차의 제조방법은 부드럽고 구수한 차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덖음과 냉각 과정을 번갈아 가지만, 덖음과정에서 엉겅퀴가 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엉겅퀴 추출물 음료는 엉겅퀴 잎 추출물 외에 액상 고과당,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사과과즙, 비타민 C, 향료 등을 배합하여 제조하나, 식품첨가물이 많이 포함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솔방울에는 비타민 A와 B,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많고 특히 쌉쌀한 맛을 내는 타닌성분이 들어있어 장벽을 튼튼하게 해준다.
솔잎은 성분이 매우 다양한데, 솔잎 추출물은 항균작용을 지닌 방향 성분을 비롯하여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각종 비타민과 철분이 다량 들어 있다. 이같은 구성 성분으로 솔잎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등 각종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유익하게 쓰이며, 불가(佛家)에서는 예로부터 스님들이 정신을 맑게하는 선식재료로 이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관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데, 한방 고서(古書)들을 보면 솔잎은 염증과 부기를 가라앉히고 기관지 천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서 유럽에서는 솔잎이나 솔순의 추출물로 호흡기 보호용 캔디를 만들고 있다. 솔잎차는 위나 장이 약한 사람들에게 좋다.비장과 위장이 튼튼해지고 기(氣)를 보호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송진에 들어있는 향기 성분은 피부자극, 항균, 염증제거 등의 작용과 마른 기침·신경통의 개선, 변비 완화를 위한 관장의 목적으로 먹거나 바르기도 하며, 솔방울은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방풍(Peucedanum japonicum Thunberg)은 본초학 서적에 예로부터 거풍해표(祛風解表), 승습지통(勝濕止痛), 거풍지경(祛風止痙)의 효능을 토대로 외감풍한(外感風寒), 풍열표증(風熱表}證), 풍진소양증(風疹瘙痒證), 풍한습비증(風寒濕痺證), 두통신통(頭痛身痛), 파상풍(破傷風), 골절동통(骨節疼痛), 번만협통(煩滿脇痛)의 질환에 활용되어 왔으며, 방풍의 성분과 활성에 관한 연구는 방풍에서 분리한 페닐쿠마린(phenylcoumarin) 성분의 칼슘차단제(Ca2+blocker) 작용과 파파베린(papaverine) 유사 활성, 시스-켈락톤 에스테르(cis-khellactone esters)의 혈액응고억제 활성, 켈락톤(khellactone)의 항경련 작용 및 기관지 천식에 효과, 쿠마린(coumarin) 성분의 모노아민 옥시다제(monoamine oxidase)의 억제활성, 피로쿠마린(pyrocoumarin) 성분의 혈압강하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쿠마린(coumarin) 성분의 항당뇨 활성, 대장 발암(colon carcinogenesis)의 예방효과, 스코폴레틴(scopoletin)의 항염 활성에 대해 보고되었다.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는 국화과로 생약명은 산백국(山白菊)이며, 속명은 껄큼취, 까실쑥부장이, 산쑥부쟁이라고 한다. 분포 국가는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등이고 원산지는 우리나라로 전국의 들판, 숲 가장자리에 여러해살이 형태로 자라며 키는 100cm이고 꽃색은 연한 보라이며 꽃피는 시기는 8월~10월이고 열매 맺는 시기는 10월이며 특징은 잎 끝이 뾰족하며 길이 10~14cm, 폭 3~6cm로 표면이 거칠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줄기와 잎에 잔털이 있어 까실까실한 느낌이 있다. 연한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어린 잎을 생채로 먹거나 살짝 데쳐 무쳐 먹기도 하고 나물을 뜨거운 물에 데쳐 햇볕에 말려 묵나물로 사용하거나 순을 잘게 썰어 쌀과 섞어 나물밥을 지어 먹는다.
한의에서는 뿌리가 달린 전초를 산백국이라 하여 거풍, 청열, 해독, 소담, 지해의 효능이 있고, 풍열에 의한 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 독사교상, 벌에 쏘인 자상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형개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소엽 (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 Kitagawa)의 전초로서, 알려진 성분으로서, 멘톤(menthone), 리모넨(limonene) 등의 정유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감기, 해열 진통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상술한, 엉겅퀴에 솔방울, 솔잎, 송진, 형개, 방풍, 까실쑥부쟁이 등이 포함되는 액상차는 현재 개발되지 않았고, 기관지, 감기, 관절 등에 유효성분들을 함께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액상차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847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879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432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9515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8754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은, 물엉겅퀴의 줄기추출물을 베이스로 하여, 고로쇠 시럽, 원당을 혼합하여 물엉겅퀴 액상차를 제조함으로써, 물엉겅퀴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고로쇠 시럽과 원당을 이용한 단맛이 어울어져 전 연령층이 거부감없이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저온으로 건조와 살균을 실시하며 타지않도록 덖는 건조단계를 통해 더욱 더 물엉겅퀴의 깊은 풍미를 낼 수 있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호에 따라, 송진이 포함된 솔방울을 숙성시킨 솔방울원액과 채소 우린물로 제조하는 방풍즙, 까실쑥부쟁이즙, 형개즙을 더 추가함으로써, 기관지염, 감기, 관절염 등 각종 질병면역에 필요한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에 따르면, 물엉겅퀴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 후,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 5 내지 5.5kg을 물 65 내지 75리터에 소금 280 내지 320g을 희석시킨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물엉겅퀴의 줄기와 감초 30 내지 40g을 추출주머니에 담고, 무압력 저온추출기를 통해 추출하되, 상기 무압력 저온추출기에 정수 0.7 내지 1리터와 원당 15 내지 25g을 넣고 추출하는 추출단계;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과 고로쇠 시럽 및 원당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105 내지 110℃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및 살균된 혼합물을 포장하고 냉각 후,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물엉겅퀴를 태양에 자연건조하는 제1건조단계와, 상기 제1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물엉겅퀴에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20℃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2건조단계와, 상기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15℃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3건조단계와, 상기 제3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5℃의 냉풍으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4건조단계와, 상기 제4건조단계 이후에, 물엉겅퀴의 잎을 제거하는 잎제거단계와, 250 내지 300℃의 온도로 유지되는 덖음용기에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를 80 내지 100℃가 되도록 덖는 제1덖음단계와, 상기 덖음용기의 온도를 200 내지 250℃로 낮추고, 상기 물엉겅퀴의 줄기를 110 내지 120℃가 되도록 덖는 제2덖음단계 및 상기 제2덖음단계에서 물엉겅퀴의 줄기 온도가 110 내지 120℃가 되면, 덖음용기에서 꺼내어 식히는 식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덖음단계와 제2덖음단계는, 상기 덖음용기의 내부 저부로 15 내지 20℃의 차가운 공기를 투입시키면, 투입된 차가운 공기에 의해 물엉겅퀴의 줄기 표면이 타지 않고 골고루 덖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로쇠 시럽은, 고로쇠 수액을 다단계 필터로 여과시킨 후, 역삼투압 방식으로 1차 농축시키고, 감압방식으로 2차 농축시킨 다음, 농축된 고로쇠 수액을 하우징 필터에 여과시켜 당도가 50 내지 60°Bx 로 농축된 시럽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고로쇠 시럽 140 내지 150 중량부, 원당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솔방울원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솔방울원액은, 솔방울 100 중량부에, 솔잎 10 내지 20 중량부, 송진 2 내지 5 중량부, 설탕 50 내지 60 중량부, 설탕을 녹인 시럽 20 내지 30 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90 내지 100일 숙성시킨 원액이고, 상기 솔방울과 솔잎은, 흐르는 물에 1 내지 2일 담궈 겉에 뭍은 송진을 제거하고, 솔방울은 다수 등분하고, 솔잎은 잘게 잘라 끓는 물에 10 내지 15분 데친 후 건조시키고, 상기 송진은, 상기 솔방울과 솔잎을 데치면서 배출되는 송진을 사용하고, 용기에 솔방울, 시럽을 차례대로 넣고, 솔잎으로 솔방울 위를 덮어주고, 설탕으로 솔잎이 보이지 않도록 솔잎 위를 덮어 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숙성과정에서 굳은 설탕은 제거되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솔방울원액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방풍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풍즙은, 방풍 잎과 줄기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방풍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까실쑥부쟁이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까실쑥부쟁이즙은, 까실쑥부쟁이 잎과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까실쑥부쟁이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형개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형개즙은, 말린 형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100 중량부를 넣고 삶되,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이고 채소 우린물이 30 내지 40 중량부가 될때까지 끓인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형개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소 우린물은, 세척된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율피를 배보자기에 싸고, 솥에 넣어 7 내지 8시간 우려낸 물과, 우려낸 배보자기를 짜내어 채소의 원액이 혼합되고, 상기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및 율피는, 각각 1:1:1:0.5: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은, 물엉겅퀴의 줄기추출물을 베이스로 하여, 고로쇠 시럽, 원당을 혼합하여 물엉겅퀴 액상차를 제조함으로써, 물엉겅퀴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고로쇠 시럽과 원당을 이용한 단맛이 어울어져 전 연령층이 거부감없이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저온으로 건조와 살균을 실시하며 타지않도록 덖는 건조단계를 통해 더욱 더 물엉겅퀴의 깊은 풍미를 낼 수 있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기호에 따라, 송진이 포함된 솔방울을 숙성시킨 솔방울원액과 채소 우린물로 제조하는 방풍즙, 까실쑥부쟁이즙, 형개즙을 더 추가함으로써, 기관지염, 감기, 관절염 등 각종 질병면역에 필요한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은, 건조단계, 세척단계, 추출단계, 혼합물 제조단계, 살균단계 및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엉겅퀴는 물엉겅퀴를 이용한 발효 장아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엉겅퀴는 'Island Thistle'이라 하며, 섬엉겅퀴, 울릉도엉겅퀴, 엉거꾸라 하기도 한다. 품종의 학술명은 'Cirsium nipponicum Max. et Makino.'라 할 수 있다.
이하, '슬로푸드 맛의 방주(Ark of Taste)'에 등재된 물엉겅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엉겅퀴는 보통의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와 같이 국화과 식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에서 자생하는 허브식물이지만, 울릉도 성인봉을 중심으로 한 계곡 주변 또는 야산에서 유일하게 생산되고 있다.
즉, 물엉겅퀴는 경상북도 울릉군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섬엉겅퀴 또는 물엉겅퀴, 울릉엉겅퀴, 엉거꾸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엉겅퀴의 줄기는 높이가 1~3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자주빛이 돌고 털이 조금 있거나 없다. 근생엽은 일짝 마르고, 경엽은 어긋나며, 중엽은 피침상 타원형의 길이는 20~30cm이다. 끝은 뽀족하고 잎자루는 흐르거나 줄기를 쌓지 않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끝이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8~10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지름이 2~3cm의 두화가 가지와 줄기 끝에 달린다. 총포는 종협이고 자주빛이 돌며, 끝이 가시 모양이고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길이 16~20mm, 수과는 길이 3~3.5mm, 관모는 13~15mm이다. 양지바른 곳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다년생식물로 울릉도 전역에서 잘 자란다. 종자와 포기나누기로 증식한다.
엉겅퀴 잎의 가시는 길이 2~5mm로 직선 방향으로 돌출하며, 물엉겅퀴 잎의 가시는 길이 1~2mm로 가장자리로 비스듬히 달린다. 이러한 가시 특성으로 인해 물엉겅퀴 잎은 내륙 엉겅퀴에 비해 연해서 나물로 쓰기에 적합하다.
한방에서는 생약명을 대계라고 하며, 뿌리는 가을에 사용하고 잎과 줄기는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빛에 말려 사용한다. 식물체에서 나오는 휘발성 기름인 정유, 알칼로이드, 수지, 이눌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지혈, 해열, 소종에 효과가 있으며 감기, 백일해, 고혈압, 장염, 신장염, 토혈, 혈변, 산후조리, 대하증, 종기 치료제로 사용한다. 말린 식물을 물에 달여 먹거나 어린잎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먹고 있다. 울릉지역에서 4~6월, 9~10월에 연 2~5회 수확이 가능한 작물로, 줄기와 잎은 해장국, 묵나물, 쌈, 장아찌, 김치 등으로 주로 쓰이고 꽃은 기름으로 사용된다. 특히 울릉도에서는 엉겅퀴 해장국이 인기를 끌고 있다.
상술한 맛의 방주에 등재되어 있는 울릉도에서 재배된 물엉겅퀴를 이용한 발효 장아찌에 대해서 이하 제조방법을 성명한다.
건조단계는, 물엉겅퀴를 건조시키되, 다수의 단계를 거쳐 건조시킨다.
건조단계는, 제1건조단계, 제2건조단계, 제3건조단계, 제4건조단계, 잎제거단계, 제1덖음단계, 제2덖음단계, 식힘단계를 포함한다.
제1건조단계는, 채취한 물엉겅퀴를 태양에 자연건조한다. 이때, 물엉겅퀴는 부패하지 않도록 2 내지 3시간 간격으로 섞어주며, 수분량이 50%가 되도록 자연건조한다.
제2건조단계는, 제1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물엉겅퀴에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20℃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한다.
제3건조단계는,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15℃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한다.
제4건조단계는, 제3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5℃의 냉풍으로 건조 및 살균한다.
즉, 건조단계는 20℃에서 -10℃의 온도를 낮추면서 건조시킴에 따라,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단계는, -10℃ 내지 -5℃의 냉풍으로 건조된 뒤, 실온에서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부패 및 변질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건조의 마지막 제4건조단계를 통해 건조시킨다.
잎제거단계는, 제4건조단계 이후에, 물엉겅퀴의 잎을 제거한다.
제1덖음단계는, 250 내지 300℃의 온도로 유지되는 덖음용기에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를 80 내지 100℃가 되도록 덖는다.
제2덖음단계는, 덖음용기의 온도를 200 내지 250℃로 낮추고, 물엉겅퀴의 줄기를 110 내지 120℃가 되도록 덖는다.
식힘단계는, 제2덖음단계에서 물엉겅퀴의 줄기 온도가 110 내지 120℃가 되면, 덖음용기에서 꺼내어 식힌다.
제1덖음단계와 제2덖음단계는, 덖음용기의 내부 저부로 15 내지 20℃의 차가운 공기를 투입시키면, 투입된 차가운 공기에 의해 물엉겅퀴의 줄기 표면이 타지 않고 골고루 덖어진다.
즉, 덖는 과정에서 덖음용기의 높은 온도로 인해 건조된 물엉겅퀴의 줄기가 탈수 있으나, 차가운 공기를 투입시킴에 따라, 줄기 표면의 탄화를 방지하고, 내부까지 골고루 덖어질 수 있다.
세척단계는, 건조 후,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 5 내지 5.5kg을 물 65 내지 75리터에 소금 280 내지 320g을 희석시킨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세척한다.
이때, 세척단계를 통해, 덖는 과정에서 탄 부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된 줄기에 소금물이 흡수된다.
추출단계는, 세척된 물엉겅퀴의 줄기와 감초 30 내지 40g을 추출주머니에 담고, 무압력 저온추출기를 통해 추출하되, 무압력 저온추출기에 정수 0.7 내지 1리터와 원당 15 내지 25g을 넣고 추출한다.
혼합물 제조단계는,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과 고로쇠 시럽 및 원당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고로쇠 시럽은, 고로쇠 수액을 다단계 필터로 여과시킨 후, 역삼투압 방식으로 1차 농축시키고, 감압방식으로 2차 농축시킨 다음, 농축된 고로쇠 수액을 하우징 필터에 여과시켜 당도가 50 내지 60°Bx 로 농축된 시럽이다.
이러한 고로쇠 시럽은 인공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천연 고로쇠 수액으로만 이루어지고, 고로쇠 수액의 성분에 변화가 없다.
이때,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고로쇠 시럽 140 내지 150 중량부, 원당(原糖)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살균단계는, 혼합물을 105 내지 110℃에서 살균한다.
보관단계는, 살균된 혼합물을 포장하고 냉각 후, 보관한다.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물엉겅퀴 액상차를 제조하고, 박스포장 후 출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의 혼합물은, 솔방울원액, 방풍즙, 까실쑥부쟁이즙 및 형개즙을 더 포함한다.
솔방울원액은, 솔방울 100 중량부에, 솔잎 10 내지 20 중량부, 송진 2 내지 5 중량부, 설탕 50 내지 60 중량부, 설탕을 녹인 시럽 20 내지 30 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90 내지 100일 숙성시킨 원액이다.
솔방울원액 제조방법은, 먼저, 채취한 솔방울과 솔잎을 흐르는 물에 1 내지 2일 담궈 겉에 뭍은 송진을 제거한다. 송진을 제거하는 이유는, 오염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때, 솔방울과 솔잎의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비빌 수 있다.
그리고, 솔방울은 다수 등분하고, 솔잎은 잘게 잘라 끓는 물에 10 내지 15분 데친 후 건조시킨다. 솔방울을 다수 등분하고, 솔잎을 잘게 자르는 이유는 송진이 잘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솔방울원액에 포함되는 송진은 솔방울과 솔잎을 데치면서 배출되는 송진을 사용한다.
그리고, 데친 솔방울, 시럽을 용기에 차례대로 넣고, 솔잎으로 솔방울 위를 덮어주고, 설탕으로 솔잎이 보이지 않도록 솔잎 위를 덮어 균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숙성과정에서 굳은 설탕은 제거한다. 당을 최대한 적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솔방울원액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방풍즙은, 방풍 잎과 줄기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다.
이때,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방풍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까실쑥부쟁이즙은, 까실쑥부쟁이 잎과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다.
이때,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까실쑥부쟁이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형개즙은, 말린 형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100 중량부를 넣고 삶되,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이고 채소 우린물이 30 내지 40 중량부가 될 때까지 끓인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다.
이때,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형개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방풍즙, 까실쑥부쟁이즙 및 형개즙에 사용하는 채소 우린물은, 세척된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율피를 배보자기에 싸고, 솥에 넣어 7 내지 8시간 우려낸 물과, 우려낸 배보자기를 짜내어 채소의 원액이 혼합된 물이다. 통양파에서 단맛이 우러나와 혼합물에 단맛을 가미할 수 있다.
또한,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및 율피는, 각각 1:1:1:0.5: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채소 우린물을 제조할 때, 말린 사과, 말린 배를 더 추가하여 단맛을 가미할 수 있다.
<실시예 1>
건조 후,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 5 내지 5.5kg을 물 65 내지 75리터에 소금 280 내지 320g을 희석시킨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세척하였다.
세척된 물엉겅퀴의 줄기와 감초 36g을 추출주머니에 담고, 무압력 저온추출기를 통해 추출하되, 무압력 저온추출기에 정수 1리터와 원당 21g을 넣고 추출하였다.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쇠 시럽 140 내지 150 중량부, 원당 90 내지 110 중량부, 솔방울원액 10 내지 15 중량부, 방풍즙 10 내지 15 중량부, 까실쑥부쟁이즙 10 내지 15 중량부, 형개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 즉, 물엉겅퀴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채소 우린물을 제조할 때, 말린 사과, 말린 배를 통마늘과 같은 비율로 더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물엉겅퀴 액상차를 성인남녀 각 10명씩을 대상으로 색, 풍미, 맛, 기호도에 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평가방법은 10(아주 좋음) ~ 0(아주나쁨)으로 실시하고 평균점수로 나타내었다.
풍미 기호도 평균
실시예 1 7.8 6.6 6.8 8.0 7.3
실시예 2 7.9 7.1 9.1 9.1 8.3
[표 1]과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대한 전체적인 관능평가는 긍적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 2>는 말린 사과와 말린 배를 이용하여 즙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단맛이 증가함에 따라 <실시예 1>보다 전체적인 관능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은, 물엉겅퀴의 줄기추출물을 베이스로 하여, 고로쇠 시럽, 원당을 혼합하여 물엉겅퀴 액상차를 제조함으로써, 물엉겅퀴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고로쇠 시럽과 원당을 이용한 단맛이 어울어져 전 연령층이 거부감없이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저온으로 건조와 살균을 실시하며 타지않도록 덖는 건조단계를 통해 더욱 더 물엉겅퀴의 깊은 풍미를 낼 수 있다.
게다가, 기호에 따라, 송진이 포함된 솔방울을 숙성시킨 솔방울원액과 채소 우린물로 제조하는 방풍즙, 까실쑥부쟁이즙, 형개즙을 더 추가함으로써, 기관지염, 감기, 관절염 등 각종 질병면역에 필요한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물엉겅퀴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 후,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 5 내지 5.5kg을 물 65 내지 75리터에 소금 280 내지 320g을 희석시킨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물엉겅퀴의 줄기와 감초 30 내지 40g을 추출주머니에 담고, 무압력 저온추출기를 통해 추출하되, 상기 무압력 저온추출기에 정수 0.7 내지 1리터와 원당 15 내지 25g을 넣고 추출하는 추출단계;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과 고로쇠 시럽 및 원당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105 내지 110℃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및
    살균된 혼합물을 포장하고 냉각 후,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물엉겅퀴를 태양에 자연건조하는 제1건조단계와,
    상기 제1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물엉겅퀴에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20℃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2건조단계와,
    상기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15℃의 온도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3건조단계와,
    상기 제3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0 내지 -5℃의 냉풍으로 건조 및 살균하는 제4건조단계와,
    상기 제4건조단계 이후에, 물엉겅퀴의 잎을 제거하는 잎제거단계와,
    250 내지 300℃의 온도로 유지되는 덖음용기에 잎이 제거된 물엉겅퀴의 줄기를 80 내지 100℃가 되도록 덖는 제1덖음단계와,
    상기 덖음용기의 온도를 200 내지 250℃로 낮추고, 상기 물엉겅퀴의 줄기를 110 내지 120℃가 되도록 덖는 제2덖음단계 및
    상기 제2덖음단계에서 물엉겅퀴의 줄기 온도가 110 내지 120℃가 되면, 덖음용기에서 꺼내어 식히는 식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덖음단계와 제2덖음단계는, 상기 덖음용기의 내부 저부로 15 내지 20℃의 차가운 공기를 투입시키면, 투입된 차가운 공기에 의해 물엉겅퀴의 줄기 표면이 타지 않고 골고루 덖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쇠 시럽은, 고로쇠 수액을 다단계 필터로 여과시킨 후, 역삼투압 방식으로 1차 농축시키고, 감압방식으로 2차 농축시킨 다음, 농축된 고로쇠 수액을 하우징 필터에 여과시켜 당도가 50 내지 60°Bx 로 농축된 시럽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고로쇠 시럽 140 내지 150 중량부, 원당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솔방울원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솔방울원액은, 솔방울 100 중량부에, 솔잎 10 내지 20 중량부, 송진 2 내지 5 중량부, 설탕 50 내지 60 중량부, 설탕을 녹인 시럽 20 내지 30 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90 내지 100일 숙성시킨 원액이고,
    상기 솔방울과 솔잎은, 흐르는 물에 1 내지 2일 담궈 겉에 뭍은 송진을 제거하고, 솔방울은 다수 등분하고, 솔잎은 잘게 잘라 끓는 물에 10 내지 15분 데친 후 건조시키고,
    상기 송진은, 상기 솔방울과 솔잎을 데치면서 배출되는 송진을 사용하고,
    용기에 솔방울, 시럽을 차례대로 넣고, 솔잎으로 솔방울 위를 덮어주고, 설탕으로 솔잎이 보이지 않도록 솔잎 위를 덮어 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숙성과정에서 굳은 설탕은 제거되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솔방울원액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방풍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풍즙은, 방풍 잎과 줄기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방풍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까실쑥부쟁이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까실쑥부쟁이즙은, 까실쑥부쟁이 잎과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로 갈은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까실쑥부쟁이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형개즙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형개즙은, 말린 형개 100 중량부에 채소 우린물 100 중량부를 넣고 삶되,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이고 채소 우린물이 30 내지 40 중량부가 될때까지 끓인 후, 배보자기로 짜내어 건더기를 제거한 즙이고,
    상기 혼합물은, 추출된 물엉겅퀴 줄기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형개즙 10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소 우린물은, 세척된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율피를 배보자기에 싸고, 솥에 넣어 7 내지 8시간 우려낸 물과, 우려낸 배보자기를 짜내어 채소의 원액이 혼합되고,
    상기 통마늘, 통양파, 통파, 밤 및 율피는, 각각 1:1:1:0.5:0.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KR1020200071994A 2020-06-15 2020-06-15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Ceased KR20210155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4A KR20210155405A (ko) 2020-06-15 2020-06-15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4A KR20210155405A (ko) 2020-06-15 2020-06-15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05A true KR20210155405A (ko) 2021-12-23

Family

ID=7917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94A Ceased KR20210155405A (ko) 2020-06-15 2020-06-15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40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71B1 (ko) 2006-09-18 2007-10-19 한덕영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090095155A (ko) 2008-03-05 2009-09-0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130058791A (ko)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는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40087546A (ko) 2012-12-31 2014-07-09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배수완급조절이 가능한 도로화분
KR20190014326A (ko) 2017-08-02 2019-02-12 농업회사법인(유)서광목장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71B1 (ko) 2006-09-18 2007-10-19 한덕영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090095155A (ko) 2008-03-05 2009-09-0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130058791A (ko)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는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40087546A (ko) 2012-12-31 2014-07-09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배수완급조절이 가능한 도로화분
KR20190014326A (ko) 2017-08-02 2019-02-12 농업회사법인(유)서광목장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610267B1 (ko) 갯방풍이 첨가된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20180024531A (ko) 녹차와 병풀,싸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찜굴비의 제조방법
KR20120134750A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220013715A (ko) 유자식초를 이용한 저염 장아찌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391737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 방법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210155405A (ko) 물엉겅퀴 액상차 제조방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20090116527A (ko) 제주조릿대 새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제주조릿대 새잎 차
KR20210155046A (ko) 물엉겅퀴 발효 장아찌 제조방법
KR102653395B1 (ko) 단호박을 함유한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2575784B1 (ko) 유자 외과피를 이용한 술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자술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7880B1 (ko) 연줄기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101112071B1 (ko) 가지를 포함하는 약용 세정조성물
KR102115998B1 (ko) 마가목 액기스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마가목 액기스
KR102150004B1 (ko)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707768A (zh) 一种香水梨脆片
KR102057711B1 (ko) 허브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139150A (ko) 영채와 갓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220064494A (ko) 천연 기능성분을 함유한 블랙보리 디카페인 커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