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645A -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Google Patents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5645A KR20210145645A KR1020200151286A KR20200151286A KR20210145645A KR 20210145645 A KR20210145645 A KR 20210145645A KR 1020200151286 A KR1020200151286 A KR 1020200151286A KR 20200151286 A KR20200151286 A KR 20200151286A KR 20210145645 A KR20210145645 A KR 20210145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omatic
- separation plate
- cloth
- bees
-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title 1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01000008220 erythropoietic protoporphyri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56837 Ap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256844 Apis mellife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611 f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6736 Urticaria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73 upper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DAuNS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IPC90ZXh0Pgo8dGV4dCB4PScxMjYuMScgeT0nMTg2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4yPC90ZXh0Pgo8dGV4dCB4PScxMzguMC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y4z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SDwvdGV4dD4KPHRleHQgeD0nMjguMicgeT0nNjIuOS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xNX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jI8L3RleHQ+Cjx0ZXh0IHg9JzM1LjA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590988 Dana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898 Ov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068 symbiosis, encompassing mutualism through parasi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벌통 내부에 자동사양기가 구비된 사양격리판에 설치하여 각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두마리의 여왕벌에 의해 많은 개체수의 벌을 번식하고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 자동사양기에서 먹이를 충분하게 공급하여 꿀벌이 건강하게 지낼수 있도록 하는 벌통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가 구비된 여왕벌 사양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2)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1)에 있어서, 상기 벌통(1)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2)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3)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되며,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가 얹혀지는 고정홈(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에는 사양격리판(3)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며, 다른실시예로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9)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19)에는 일부분이 제거된 절개부(2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에 설치된 제1자동사양기(9) 대신에 EPP 소재의 헛집매움구(11)를 설치되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살치되는 상부격리판(12)의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홈(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2)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1)에 있어서, 상기 벌통(1)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2)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3)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되며,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가 얹혀지는 고정홈(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에는 사양격리판(3)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며, 다른실시예로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9)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19)에는 일부분이 제거된 절개부(2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에 설치된 제1자동사양기(9) 대신에 EPP 소재의 헛집매움구(11)를 설치되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살치되는 상부격리판(12)의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홈(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의 벌통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내부공간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시키는 격리판 기능을 갖는 동시에 격리판의 좌우 양측에 자동사양기를 설치하여 사양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격리된 내부공간에 서식하는 두마리의 여왕벌에 의해 많은 개체수의 벌을 번식하여 각각의 봉군을 이루도록 하여 늘어난 일벌의 개체수에 의해 많은 양의 꿀벌을 채밀하여 생산양을 증대하도록 하며, 좁은 공간에서 번식 및 생존하는 많은 개체수의 봉군에게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사양격리판에 설치된 자동사양기에서 먹이를 충분하게 공급하여 꿀벌이 건강하게 지낼수 있도록 하는 벌통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고안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4037호(2015. 01. 27 공고)에 1군 2왕벌용 벌통의 고안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일측면 하부 양측에 출입구(113)가 형성되고 각각의 출입구(113)와 연통하는 독립적인 내부공간(114)(115)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양분되는 메인벌통(110)과, 메인벌통(110)의 마주하는 내면 중앙에 가이드홈(131)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131)을 따라 격리판(132)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2마리의 왕벌이 개별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독립된 내부공간(114)(115)을 구획하며, 상기 메인벌통(110) 상단 중앙에 안착된 연결부재(133)의 하부 삽지홈(135)에 끼워지는 격리판(132)으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1군 2왕벌용 벌통은 메인벌통(110)을 격리판(132)을 이용하여 형성된 양분된 내부공간(114)(115)에 여왕벌을 각각 투입시킨 여왕벌은 산란이 증가함에 따라 벌통 내에 벌들이 가득 차는 만상군을 이루면 인위적으로 어느 하나의 여왕벌을 분봉시킨 후 벌통의 내부를 분할하던 격리판(132)을 제거하여 각각의 내부공간에서 서식하던 벌들이 모두 한무리로 합군되어 2마리의 여왕벌이 1군을 이루어 충분한 산란을 통해 많은 일벌을 양산하여 수밀작업을 증대시켜 많은 양의 꿀을 채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벌통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격리판을 사용하여 내부공간을 각각 분리하여 2마리의 여왕벌이 충분한 산란을 통해 많은 벌들을 번식한 후 격리판(135)을 제거하여 합봉된 꿀벌에 의하여 많은 양의 꿀을 채취하는 효과는 있으나, 2마리의 여왕벌에 의해 번식된 벌들을 1군으로 합군할 경우에는 사용된 격리판(132)을 제거하고 사양기를 별도로 준비하여 벌통의 내부에 새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인위적으로 많은 꿀을 채치하므로서 하나의 벌통에 서식하는 많은 개체수의 벌들의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양봉자가 수많은 벌통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벌들에게 먹이를 충분히 줄 수 없어 벌들이 먹이를 충분히 먹을 수 없으므로 인하여 죽거나 봉세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봉자가 많은 수의 벌통에 별도로 사양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벌통 내부에 2마리의 여왕벌을 격리시켜 서식하게 하는 동시에 좌우 양측에 자동사양기가 설치된 판(이하“사양격리판”이라 한다)을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내부공간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시켜 하나의 벌통 내부에 두마리의 여왕벌을 각각 서식하도록 하므로서 서로 다른 여왕벌를 따르는 벌들이 서로 싸우는 일들이 없도록 하고, 두마리의 여왕벌에 의해 많은 수의 벌을 번식하여 각각 공존하도록 하여 개체수를 늘리며, 늘어난 벌들의 개체수에 의해 많은 양의 꿀벌을 채밀하여 생산양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사양격리판에 의해 분리되어 좁은 공간에서 번식 및 서식하는 많은 개체수의 벌들에게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사양격리판에 설치된 자동사양기에서 자동으로 먹이를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벌들이 건강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고, 벌통의 내부 바닥에 쌓이는 찌꺼끼를 용이하게 제거하며, 벌들의 증가로 인하여 분리된 공간에서 서식하는 꿀벌들의 합군을 하기 위하여 사양격리판를 측벽으로 이동시켜 사양격리판을 설치시 일측의 자동사양기를 제거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거된 자동사양기 설치홈에 헛집을 짓지 못하도록 하며, 윗쪽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의 사양격리판 윗부분의 일부를 제거하여 자동사양기가 설치되는 윗면에 꿀벌이 헛집을 짓지 않도록 하여 꿀벌의 먹이활동을 위한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벌통의 계상시 사양격리판의 상단에 상부격리판을 간편하고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은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에 자동사양기가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의 상부에는 망사개포와 천 개포가 얹혀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사양격리판에 얹혀지는 망사개포와 천 개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은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에 자동사양기가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에는 일부분이 제거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양격리판의 상부에는 얹혀지는 망사개포와 천 개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는 자동사양격리판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사양격리판에 설치된 제1자동사양기 대신에 EPP 소재의 헛집매움구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다른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양격리판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의 상부에는 EPP 소재의 상부격리판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격리판의 상부에는 망사개포와 천 개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사양격리판의 고정홈과 일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벌통의 내부를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내부공간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시켜 하나의 벌통 내부에 두마리의 여왕벌을 각각 서식하도록 하므로서 서로 다른 여왕벌를 따르는 벌들이 서로 싸우는 일들이 없으며, 두마리의 여왕벌에 의해 늘어난 개체수에 의해 많은 양의 꿀벌을 채밀하여 생산양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벌들에게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사양격리판에 설치된 자동사양기에서 자동으로 먹이를 충분하게 공급하여 벌들이 건강하게 서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자동사양기의 외측 평면부와 상부끼움턱에 제거된 절개부에 의하여 단이 지게 형성되는 틈 사이로 꿀벌이 헛집을 짓지 않도록 하여 꿀벌의 먹이활동을 위한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격리판의 모서리 부분의 바닥에 쌓이는 찌꺼끼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봉세가 확장된 벌들의 합군하는 경우에 제거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에 헛집을 짓지 못하게 하고, 벌통의 계상시 사양격리판의 상단에 상부격리판을 간편하고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의 벌통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상벌통 및 2단(계상)벌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벌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벌통에 소초와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정단면도 및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에 소초와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벌통에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에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양격리판에 설치되는 헛집매움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헛집매움구가 채워진 사양격리판이 일측에 설치된 정단면도.
도 11은 도 3의 사양 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상부에 설치된 2단벌통의 내부에 상부격리판이 설치된 정단면도 및 “B”,“C”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사양 격리판과 상부격리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상벌통 및 2단(계상)벌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벌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벌통에 소초와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정단면도 및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에 소초와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벌통에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벌통에 사양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양격리판에 설치되는 헛집매움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헛집매움구가 채워진 사양격리판이 일측에 설치된 정단면도.
도 11은 도 3의 사양 격리판이 설치된 벌통의 상부에 설치된 2단벌통의 내부에 상부격리판이 설치된 정단면도 및 “B”,“C”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사양 격리판과 상부격리판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하나의 벌통 내부에 2마리의 여왕벌을 격리시켜 서식하게 하는 동시에 좌우 양측에 자동사양기가 설치된 판(이하“사양격리판”이라 한다)을 소초와 소초 사이에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2개의 내부공간에 각각 격리시켜 서식되는 여왕벌에 의해 벌들의 산란을 증대시켜 벌꿀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좁은 공간에서 번식 및 서식하는 많은 개체수의 벌들이 먹이가 부족하거나,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사양격리판에 설치된 자동사양기에서 먹이를 자동으로 충분하게 공급하여 벌들이 건강하게 지낼수 있도록 하고, 벌통의 내부 바닥에 쌓이는 찌꺼끼를 용이하게 제거하며, 개체수가 많아진 경우 독립적인 내부공간을 합친 상태에서는 사양격리판을 일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일측의 자동사양기가 제거된 자동사양기 설치홈에 벌들이 헛집을 짓지 못하도록 하며, 자동사양기와 상부끼움턱의 절개부에 의하여 단이 지게 형성되는 틈 사이로 꿀벌이 헛집을 짓지 않도록 하여 꿀벌의 먹이활동을 위한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고, 벌통을 계상할 경우에는 상단 벌통에 설치되는 격리판을 사양격리판의 상단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망사개포와 천개포를 움직이지 않도록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벌통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각체의 벌통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벌통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에 대한 구성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나의 벌통(1)의 내부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두개로 형성된 내부공간(30)(40)에 2마리의 여왕벌을 격리시켜 각각 서식할 수 있도록 벌통(1)의 내부에 소초(2)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사이에 좌우 양측에 꿀벌에게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제1, 제2자동사양기(9)(10)가 설치된 사양격리판(3)이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양격리판(3)은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9)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19)에는 일부분이 제거된 절개부(20)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사양격리판(3)은 익스팬디드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소재”라 한다)로 이루어지며,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도록 간격유지구(13')가 형성된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가 얹혀지는 고정홈(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에는 사양격리판(3)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양격리판(3)의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된다.
상기 EPP소재는 스티로폼(EPS)보다 복원력이 탁월하며 무독성으로 100%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써 자동차 부품이나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쓰이는 첨단 소재로 깨짐성,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며 강도가 강하다.
상기 고정구(8)는 사양격리판(3)의 상부끼움턱(19) 또는 상부격리판(12)의 고정홈(6)(6')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눌러 고정시키는 것으로 원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구(8)는 사양격리판(3)의 상부끼움턱(19)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눌러 고정시키는 앞침이나 스테플러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체수가 많아진 경우에는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주어야 하므로 내부공간(30)과 내부공간(40)을 합치는 경우에는 사양격리판(3)을 일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일측의 제1자동사양기(9)를 제거하고, 제거된 제1자동사양기(9) 대신에 벌들이 헛집을 짓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거된 제1자동사양기(9)의 자동사양기 설치홈(10)에는 EPP 소재의 헛집매움구(11)가 설치된다.
또한, 단상의 벌통(1) 상부에 바닥판이 없는 벌통(2)을 2단으로 설치(계상)시 벌통(1)의 내부에 설치된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부격리판(12)은, EPP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는 고정홈(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사양격리판(3)의 고정홈(6)과 일치되도록 돌출부(7')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자동사양기(9)(9')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통상의 자동사양기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번호 10-2024104호(등록 공고일자 2019. 09. 2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자동사양기를 사용하거나 여러 형상으로 변경되어 있는 자동사양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 16은 제1, 제2자동사양기(9)(9')에 설치된 호스(15)가 설치되는 호스 설치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벌통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가 구비된 여왕벌 사양격리판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출입구(17)를 통하여 벌들이 들락날락하는 하나의 벌통(1)의 내부에 소초(2)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2마리의 여왕벌을 각각 키울 수 있도록 벌통(1)의 내부가 격리되게 2개의 공간으로 마련하기 위하여 벌통(1)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소초(2)의 사이에 좌우 양측에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 끼워져 있는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된 사양격리판(3)을 끼워 넣으면 간격유지구(13')가 형성된 걸림턱(13)이 벌통(1)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려서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2개의 내부공간(30)(40)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사양격리판(3)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소초(2)의 사이에 설치되어 벌통(1)의 내부가 2개의 내부공간(30)(40)으로 격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부공간(30)과 내부공간(40)에 각각 여왕벌을 투입하거나 생기게 한 후 여왕벌이 산란하여 유충을 성충으로 성장시켜 봉세를 확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여왕벌과 봉세가 확장된 벌들은 소초(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사양격리판(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가 벌통(1)의 바닥에 밀폐되게 안착되어 격리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벌들이 아래쪽의 내부공간(30)에서 내부공간(40)으로, 또는 내부공간(40)에서 내부공간(30)으로 서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사양격리판(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가 바닥에 닿여 있는 상태에서는 좌우 양측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벌통의 내부 청소시 바닥에 쌓여 있는 벌집 부스러기, 벌 사체 등의 찌꺼기가 양측의 공간에 끼이더라도 철사등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는 고정홈(6)에 놓여져 있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가 고정구(8)의 눌림에 의해 틈새가 없이 밀착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위쪽에도 벌들이 내부공간(30)에서 내부공간(40)으로, 또는 내부공간(40)에서 내부공간(30)으로 벌들이 서로 이동을 못하여 각각의 내부공간(30)(40)에서 만 각각 서식하게 되므로 상호 간의 세력 다툼에 의한 충돌과 싸움없이 동시에 각각 서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각의 내부공간(30)(40)에서 서식하는 벌들의 봉세가 왕성하여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제1, 제2자동사양기(9)(9')에 설치된 호스(15)를 통하여 자동으로 먹이와 물이 각각의 제1, 제2자동사양기(9)(9')로 공급되어 벌들에게 먹이와 물을 편리하고 충분하게 제공하여 건강하게 공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벌통(1)의 독립적인 내부공간(30)(40)에 서식하는 벌들의 봉세가 강화되어 봉군의 세력이 불어나 합봉을 위하여 내부공간(30)(40)을 합치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30)(40)중에 서식하는 한마리의 여왕벌을 제거하고 사양격리판(3)에 설치되어 있는 일측의 제1 자동사양기(9)를 제거한다.
상기 제1 자동사양기(9)가 제거된 자동사양기 설치홈(10)에 헛집매움구(11)로 매움하여 벌들이 불필요한 헛집을 짓지 못하도록 하는 사양격리판(3)을 벌통(1)의 일측에 설치하여 합쳐진 내부공간(30)(40)에 서식하는 벌들은 넓은 공간을 사용하게 되며 제2자동사양기에서 자동으로 공급되는 먹이를 충분하게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도 5,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사양격리판(3)의 상부끼움턱(19)이 자동사양기(9)의 외측 평면부와 동일한 면으로 평평하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동사양기(9)의 상부와 상부끼움턱(19) 사이에 꿀벌들 습성 상 헛집을 짓게 되어 자동사양기(9)의 출입구가 좁아지게 되어 꿀벌들이 자동사양기(9)의 먹이 활동하는 데 따른 지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4, 도 6,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9)의 상부끼움턱(19)과, 자동사양기(9)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19)에 일부분이 제거되는 절개부(20)에 의하여 단이 지게 형성되는 틈 사이로는 꿀벌들의 습성 상 꿀벌이 헛집을 짓지 않게 되므로 꿀벌들의 출입이 자유로워 먹이활동을 충분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단상 벌통(1)의 독립적인 내부공간(30)(40)에 벌들의 봉세가 강화되어 봉군의 세력이 크게 불어나 장소의 제한을 받게되어 합봉을 위하여 내부공간을 합치는 경우에는 도 11,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벌통(1)의 상부에 2단 벌통(18)을 설치한 후 벌통(1)에 설치된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6)에 상부격리판(1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7')를 대칭되게 밀착 결합하므로서 상부격리판(12)을 사양격리판(3)의 상단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격리판(12)의 고정홈(6')에 얹혀진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는 고정구(8)의 눌림에 의해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움직이지 않도록 간편하게 조립하여 내부공간(30)(4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벌통(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EPP 소재로 이루어지는 사양격리판(3)과 상부격리판(12)에 의해 추운 날씨에는 벌통(1)을 보온하는 작용도 하게 되는 것이다.
1 : 벌통 2 : 소초 3 : 사양격리판
4 : 망사개포 5 : 천 개포 6,6' : 고정홈
7,7' : 돌출부 8,21 : 고정구 9 : 제1자동 사양기
9' : 제2자동 사양기 10,10' : 자동사양기 설치홈 11 : 헛집매움구
12 : 상부격리판 13 : 걸림턱 13' : 간격유지구
14 : 걸림홈 15 : 호스 16 : 호스 설치홈
17 : 출입구 18 : 2단 벌통 19 : 상부끼움턱
20: 절개부 30, 40 : 내부공간
4 : 망사개포 5 : 천 개포 6,6' : 고정홈
7,7' : 돌출부 8,21 : 고정구 9 : 제1자동 사양기
9' : 제2자동 사양기 10,10' : 자동사양기 설치홈 11 : 헛집매움구
12 : 상부격리판 13 : 걸림턱 13' : 간격유지구
14 : 걸림홈 15 : 호스 16 : 호스 설치홈
17 : 출입구 18 : 2단 벌통 19 : 상부끼움턱
20: 절개부 30, 40 : 내부공간
Claims (5)
-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2)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1)에 있어서,
상기 벌통(1)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2)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3)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가 얹혀지는 고정홈(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에는 사양격리판(3)에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내부에 다수개의 소초(2)가 설치된 통상의 벌통(1)에 있어서,
상기 벌통(1)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된 소초(2)의 사이에는 사양격리판(3)이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은 EPP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꿀벌이 통과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자동사양기 설치홈(10)(10')에는 제1, 제2자동사양기(9)(9')가 설치되고,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사양기(9)의 윗쪽에 형성되는 상부끼움턱(19)에는 일부분이 제거된 절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는 얹혀지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1)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격리판(3)의 하부에는 돌출부(7)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격리판(3)에 설치된 제1자동사양기(9) 대신에 EPP 소재의 헛집매움구(11)를 설치하여 벌이 헛집을 짓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격리판(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6)의 상부에는 EPP 소재의 상부격리판(12)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격리판(12)의 상부에는 망사개포(4)와 천 개포(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8)가 설치되는 고정홈(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사양격리판(3)의 고정홈(6)과 일치되는 돌출부(7')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62269 | 2020-05-25 | ||
KR1020200062269 | 2020-05-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5645A true KR20210145645A (ko) | 2021-12-02 |
Family
ID=7886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1286A KR20210145645A (ko) | 2020-05-25 | 2020-11-12 |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564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037Y1 (ko) | 2004-11-05 | 2005-01-27 | 한경섭 | 1군 2왕벌용 벌통 |
-
2020
- 2020-11-12 KR KR1020200151286A patent/KR2021014564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037Y1 (ko) | 2004-11-05 | 2005-01-27 | 한경섭 | 1군 2왕벌용 벌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9018B1 (ko) |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 |
US20160227745A1 (en) | Beehive system | |
US10039268B2 (en) | Comb formation guide for placement between beehive frames | |
KR200374037Y1 (ko) | 1군 2왕벌용 벌통 | |
KR102125495B1 (ko) |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 |
KR101203167B1 (ko) |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 |
EP2888934A1 (en) |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 |
KR20210145645A (ko) |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 |
KR101090622B1 (ko) | 양봉용 사양기 | |
KR200223548Y1 (ko) | 3 단식 계상 벌통 | |
KR20110015488A (ko) | 이중바닥 벌통 | |
KR101820068B1 (ko) |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 |
CN111418526B (zh) | 一种中蜂蜂箱、割蜜刀及巢脾过箱条 | |
US4546509A (en) | Multiple queen beehive | |
AT399980B (de) | Doppelstocktrogbeute für die zweivölkerbetriebsweise zur gänzlichen schwarmunterbindung | |
US4455699A (en) | Pollen trap for double queen colony with queen excluder | |
KR200490070Y1 (ko) |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 |
KR20190142052A (ko) | 1군 2 왕벌 생육을 위한 벌통 식별 기능을 갖는 벌통 출입구용 구획장치 | |
KR102044366B1 (ko) |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 |
KR102373654B1 (ko) |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 |
GB2506641A (en) | Beehive with slotted base | |
CN212087625U (zh) | 新型分体式蜜蜂巢框 | |
RU139052U1 (ru) | Ульевая рамка с составным верхним бруском | |
WO2012011881A2 (en) | A beehive base and roof for standard beehive body | |
RO128080B1 (ro) |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