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368A -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 Google Patents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7368A KR20210127368A KR1020200045104A KR20200045104A KR20210127368A KR 20210127368 A KR20210127368 A KR 20210127368A KR 1020200045104 A KR1020200045104 A KR 1020200045104A KR 20200045104 A KR20200045104 A KR 20200045104A KR 20210127368 A KR20210127368 A KR 20210127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boots
- brush
- sole
- livest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 B08B1/0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업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장화를 작업 전, 후 세척하기 위한 축산용 장화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축산농가에서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되는 장화에 묻게 되는 오물, 세균 및 바이러스를 빠른 시간내에 쉽고 위생적으로 살균소독,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도록 발판에서 1차적으로 세척, 소독하고, 보관함에서 장화의 밑창과 사면에 대해 2차세척이 가능하며, 세척완료 후 장화에 대한 건조까지 진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차단방역을 시행할 수 있으며,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for washing boots that are essential to users in the livestock industry before and after work, and quickly removes dirt, bacteria and viruses that are attached to boots that are essential in livestock farms. In order to sterilize, disinfect, wash and dry easily and hygienically within a short time, it is primarily washed and disinfected on the footplate, and the sole and slopes of the boots are secondarily washed in the storage box. It relates to a raincoat washing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prevent disease, implement blocking and quarantine, and improve the environment by providing a device that ha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화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축산업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장화를 작업 전, 후 세척하기 위한 축산용 장화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boot washing apparatus, and to a livestock rain boots washing apparatus for washing boots that are essential to a user in the livestock industry before and after work.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First, looking at the prior art,
장화 또는 부츠(boots)란 신발의 한 종류로 복사뼈 위나 장딴지 이상 높이를 갖는 신발을 총칭한다. 장화는 주로 가죽이나 고무, 합성피혁으로 많이 제작되며, 작업용, 방한용, 방수용, 스포츠용, 안전용, 패션용 등 다양한 용도로 신는 신발이다. Boots or boots are a type of footwear, and collectively refer to shoes with a height above the ankle bone or higher than the calf. Boots are mainly made of leather, rubber, and synthetic leather, and are shoes worn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ork, cold weather, waterproof, sports, safety, and fashion.
작업용으로 신는 장화는 작업장에 있는 각종 이물질(흙, 먼지, 오물, 세균, 찌꺼기, 식품 재료 등)이 장화의 바닥과 겉면에 끼거나 달라붙어 더러워지기 때문에, 장화를 수시로 세척할 필요가 있다. Sinc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oil, dust, filth, germs, debris, food materials, etc.) in the workplace get stuck on or stick to the bottom and surface of the boots, it is necessary to wash the boots frequently.
예전에는 출입구에 흙떨이 융단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을 굴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던 바, 최근에는 장화를 편하게 세척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In the past, it was only a level where a worker rolled his fee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 a state in which an earthen carpet was spread out at the entrance. Recently, various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conveniently wash the boots.
또한, 일반적인 장화를 세척할 때 브러시발판 등을 이용하여 이 브러시발판 위에 신을 신은 채로 흙 등의 먼지를 비벼서 털어낸다든가, 또는 다수의 홈 및 돌기등의 요철이 다수형성된 성형발판에 신발을 털어내는 정도로 신발의 흙먼지 등을 털어내는데에 족했다. In addition, when washing general boots, use a brush footrest, etc. to brush off dust such as dirt while wearing shoes on the brush footrest, or to shake off shoes on a molded footrest with many irregularities such as multiple grooves and protrusions. It was enough to shake off the dirt and dust from the shoes.
그러나, 축산업 분야에서는 장화에 분뇨가 많이 묻게 되고, 그로 인해 오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장화에 쉽게 묻히게 된다. However, in the field of livestock industry, a lot of manure is buried in the boots, and as a result, dirt, bacteria, and viruses are easily buried in the boots.
이러한 장화는 빠른시간 내에 쉽고, 위생적으로 소독 및 세척하지 않으면,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요인이 됨과 동시에 환경적으로는 비위생적이게 된다. If these boots are not disinfected and washed easily and hygienically within a short time, it becomes a factor in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unsanitary in the environment.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10-0329726호의 '장화세척기'와, 등록번호 20-0443217호의 '장화세척기'와, 공개번호 10-2010-0115007호의 '장화 세척기' 및 공개번호 20-2020-0000476호의 '장화세척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boots washer' of registration number 10-0329726, 'boots washer' of registration number 20-0443217, 'boots washer' of publication number 10-2010-0115007, and 'boots of publication number 20-2020-0000476' Although the 'washer' is disclosed, the situation is still not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축산농가에서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되는 장화에 묻게 되는 오물, 세균 및 바이러스를 빠른 시간내에 쉽고 위생적으로 살균소독,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도록 발판에서 1차적으로 세척, 소독하고, 보관함에서 장화의 밑창과 사면에 대해 2차세척이 가능하며, 세척완료 후 장화에 대한 건조까지 진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차단방역을 시행할 수 있으며,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sterilize, disinfect, wash and dry dirt, bacteria and viruses that are attached to boots that are essential in livestock farms in a short time and easily and hygienic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s by providing a device that primarily washes and disinfects the footrest, enables secondary washing of the soles and slopes of the boots in the storage box, and can even dry the boots after washing is complete. It was completed as a technical task with a focus on providing a raincoat washing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implement and improve the environment.
이에 본 발명은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장화가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장화를 세척하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브러쉬와, 상기 장화의 세척을 위해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밑창세척솔 및 상기 세척물이 보관되는 보관함으로 구성된 장화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물 또는 소독약이 고여지도록 형성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 또는 하부에 상기 물 또는 소독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 1밸브 및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발판세척솔이 구성되고, 상기 밑창세척솔은 보관함의 상부에 위치되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footrest on which boots are seated, a shower brush spraying water for washing the boots, a deterg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detergent for washing the boots, an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n the boot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ole cleaning brush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ole of the boots and a storage box in which the washing material is stored, an internal space formed so that water or disinfectant is accumulated in the footrest, a side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or A first valv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water or disinfectant at the lower portion and a footrest cleaning brush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ole of the boots are configured, and the sole cleaning brush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box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features of a rain boots washing device for livestock.
본 발명인 축산용 장화세척장치에 따르면, 장화에 묻은 오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빠른 시간내에 쉽고 위생적으로 살균소독, 세척 및 건조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차단방역의 시행과 더불어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production can sterilize, sterilize, wash and dry the dirt, bacteria and viruses on the boots easily and hygienically in a short time, thereby preventing disease in advance, and implementing blocking prevention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with a great effect,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인 장화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장화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장화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장화세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밑창세척솔과 포집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중 밑창세척솔과 포집함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발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5에 손잡이의 구성이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장화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보조브러쉬의 구성이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추가 구성되는 순환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ts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boots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oots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ots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ole washing brush and a collecting box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ole washing brush and a collecting box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affol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is added to Figure 5;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ots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brush is added to Figure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irculation member further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인 축산용 장화세척장치는 본체(1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장화가 안착되는 발판(100)과, 상기 장화를 세척하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브러쉬와, 상기 장화의 세척을 위해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기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밑창세척솔(210) 및 상기 세척물이 보관되는 보관함(200)으로 구성된 장화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100)에는 물 또는 소독약이 고여지도록 형성된 내부공간(111)과, 상기 내부공간(111)의 측면 또는 하부에 상기 물 또는 소독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 1밸브(113) 및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발판세척솔(110)이 구성되고, 상기 밑창세척솔(210)은 보관함(200)의 상부에 위치되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s rain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has a
일반적으로 장화세척장치는 본체(1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장화가 안착되는 발판(100)과, 상기 장화를 세척하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브러쉬와, 상기 장화의 세척을 위해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기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밑창세척솔(210) 및 상기 세척물이 보관되는 보관함(200)으로 구성된다.
In general, a boot washing device includes a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발판(100)에는 물 또는 소독약이 고여지도록 형성된 내부공간(111)과, 상기 내부공간(111)의 측면 또는 하부에 상기 물 또는 소독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 1밸브(113) 및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발판세척솔(110)이 구성된다.
Th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판은 사용자가 장화의 세척을 위해 발을 디딤하는 것으로써, 세척이나 소독과 관련된 구성요소가 없어 그에 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었다. A commonly used footrest is a step for a user to wash boots, and there is no component related to washing or disinfection, so the effect could not be exhibit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100)에 내부공간(111)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111)에 물 또는 소독약이 고임 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세척솔(110)에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판(100)에서 세척과 소독이 1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발판세척솔(1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하부로 누름 시 완충되도록 완충부재(115)가 구성되어 있다.
A
상기 완충부재(115)로 인해 사용자가 1차적인 세척과 소독 시 상기 발판세척솔(110)이 내부공간(111)으로 누름 되어 물 또는 소독약이 장화의 외주에 묻힘 되고, 더불어 사용자가 장화를 유동하여 밑창에 묻은 이물질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ue to the
상기 밑창세척솔(210)은 보관함(200)의 상부에 위치되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밑창세척솔(210)은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장화의 밑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부에는 솔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The
상기 밑창세철솔(210)에 구성된 솔부분 외주에는 별도의 끼움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솔부분만 탈, 부착 가능토록 하였다.
A separate fitt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le part of the
또한, 상기 밑창세척솔(210)의 하부에는 완충부재(미도시)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2차적으로 세척을 위해 거치 시에 상, 하부로 완충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a buffer member (not shown) is separately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밑창세척솔(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장화에서 이탈되는 이물질과 세척물이 포집되도록 관통홈(221)이 다수개 형성된 포집함(220)이 구성되어 있다.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상기 포집함(220)의 하부에는 세척물이 배출되며 관통홈(221)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홈(22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포집함(220)은 사용자가 밑창세척솔(210)을 통해 2차적인 세척과 이물질 제거 시, 장화에서 이탈되는 이물질과 세척물이 상기 관통홈(221)을 통해 인입되도록 하였다.
The
또한, 상기 관통홈(221)을 통해 인입된 이물질과 세척물은 상기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포집함(2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세척물은 하부에 형성된 배출홈(223)을 통해 배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washing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 밑창세척솔(210)과 포집함(220)은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보관함(200)에는 밑창세척솔이 위치되도록 단턱(230)이 형성되어 있다.
A
상기 밑창세척솔(210)과 포집함(220)은 보관함(200)에 구성되되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통해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보관함(200)에 단턱(230)을 구성하여 상기 단턱(230)에 거치되도록 한 후 사용토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상기 단턱(230)은 밑창세척솔(210)과 포집함(220)을 위치시키기 위해 양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에 단턱(230)을 형성하고, 타 측에는 거치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또한, 상기 단턱(230)과 거치홈의 형성에 있어 동일선상에 형성하거나 또는 높낮이를 낮게 형성하여 상기 밑창세척솔(210)과 포집함(220)이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formation of the
상기 본체(10)의 일 측 상부에는 사용자가 세척 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120)가 구성되어 있다.
A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세척과 소독 시,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보관함(200)의 일 측에는 세척물 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밸브(203)가 구성되어 있다.
At one side of the
상기 제 2밸브(203)는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반자동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제어부재를 통해 보관함(200)에 일정 수위의 세척물이 보관되거나 또는 일정 무게의 이물질이 보관되면 상기 제 2밸브(203)를 개방토록 하여 배출하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상기 제 2밸브(203)가 자동으로 작동 시에는 세척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와, 보관함(200) 내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이 별도로 구성된다.
When the
상기 보관함(200)의 내주에는 장화의 전, 후, 좌, 우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브러쉬(240)가 구성되어 있다.
An
상기 보조브러쉬(240)는 사용자가 보관함(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밑창세척솔(210)에서 세척함과 동시에 별도로 구성된 장화세척용 세척브러쉬를 통해 세척 시에도 장화의 사면에 묻힌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시에 사용자가 직접 장화를 유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이때, 상기 보조브러쉬(240)의 솔부분은 별도의 끼움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탈, 부착이 가능토록 하였다.
At this time, a separate fitt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brush portion of the
상기 보관함(200)의 내부는 일측부 또는 중심부로 모임되도록 경사면(201)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The inside of the
상기 보관함(200)의 내부는 세척물과 이물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경사면(201)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물과 이물질이 일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였다.
The inside of the
상기 본체(10)의 측면 또는 후면에는 샤워브러쉬와 연동되어 모터의 작동으로 순환하는 순환부재(300)가 구성되되 보관함(2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세척물을 흡입하는 흡입구(310)와, 상기 흡입구(310)를 통해 흡입된 세척물의 이물질을 걸름 하는 필터(320)와, 상기 필터(320)를 거쳐 흡입되는 세척물을 정화하는 정화제(331)와 혼합되는 정화조(330) 및 상기 정화조(330)에서 정화 완료된 세척물을 샤워브러쉬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구(340)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side or rear side of the
상기 순환부재(300)는 보관함(200) 내부의 세척물을 순환시켜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The
이때, 상기 세척물이 오염되어 있음으로 순환부재(300)에 구성된 필터(320)와 정화제(331)를 통해 정화시킨 후, 배출구(34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At this time, since the washing is contaminated, it is purified through the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세척완료된 장화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분사기가 구성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상기 에어분사기는 사용자가 장화의 세척과 소독 완료 후, 장화의 외주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에어분사기를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제어장치 또는 센서를 통해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air sprayer allows the user to remove the moistur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ots after washing and disinfecting the boots. was allowed to be remo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화에 묻은 오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빠른 시간내에 쉽고 위생적으로 살균소독, 세척 및 건조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차단방역의 시행과 더불어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disinfect, wash and dry the dirt, bacteria and viruses on the boots easily and hygienically in a short time, thereby preventing diseases in advance, and in addi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blocking prevention environment can be improved.
10 : 본체
100 : 발판
110 : 발판세척솔
111 : 내부공간
113 : 제 1밸브
115 : 완충부재
120 : 손잡이
200 : 보관함
201 : 경사면
203 : 제 2밸브
210 : 밑창세척솔
220 : 포집함
221 : 관통홈
223 : 배출홈
230 : 단턱
240 : 보조브러쉬
300 : 순환부재
310 : 흡입구
320 : 필터
330 : 정화조
331 : 정화제
340 : 배출구10: body
100: footboard 110: footrest washing brush 111: internal space
113: first valve 115: buffer member 120: handle
200: storage box 201: inclined surface 203: second valve
210: sole cleaning brush 220: collection box 221: through groove
223: discharge groove 230: stepped 240: auxiliary brush
300: circulation member 310: inlet 320: filter
330: septic tank 331: purifying agent 340: outlet
Claims (6)
상기 발판(100)에는 물 또는 소독약이 고여지도록 형성된 내부공간(111)과, 상기 내부공간(111)의 측면 또는 하부에 상기 물 또는 소독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 1밸브(113) 및 장화의 밑창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발판세척솔(110)이 구성되고,
상기 밑창세척솔(210)은 보관함(200)의 상부에 위치되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A body 10 is configured, and the body 10 includes a footrest 100 on which boots are seated, a shower brush spraying water for washing the boots, and a detergent supply for supplying detergent for washing the boots; , In the boot washing device consisting of a sole cleaning brush 210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ole of the boot and a storage box 200 in which the washing material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ootrest 100 has an internal space 111 formed so that water or disinfectant is stored, a first valve 113 configured to discharge the water or disinfectant to the side or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111, and the sole of the boot The footrest washing brush 110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The sole washing brush (21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box (200), the rain boots washing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발판세척솔(1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하부로 누름 시 완충되도록 완충부재(115)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a buffer member 115 is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washing brush 110 to be buffered when the user presses it downward.
상기 밑창세척솔(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장화에서 이탈되는 이물질과 세척물이 포집되도록 관통홈(221)이 다수개 형성된 포집함(220)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ole washing brush 210, a collection box 22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221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materials separated from the boots is configured.
상기 보관함(200)에는 밑창세척솔이 위치되도록 단턱(2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box (200) is formed with a step (230) so that the sole washing brush is located.
상기 본체(10)의 일 측 상부에는 사용자가 세척 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12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ot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with a handle (120) that a user can hold when washing
상기 본체(10)의 측면 또는 후면에는 샤워브러쉬와 연동되어 모터의 작동으로 순환하는 순환부재(300)가 구성되되 보관함(2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세척물을 흡입하는 흡입구(310)와, 상기 흡입구(310)를 통해 흡입된 세척물의 이물질을 걸름 하는 필터(320)와, 상기 필터(320)를 거쳐 흡입되는 세척물을 정화하는 정화제(331)와 혼합되는 정화조(330) 및 상기 정화조(330)에서 정화 완료된 세척물을 샤워브러쉬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구(3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ide o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 circulation member 300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shower brush and circul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box 200 to suck the washing water. The septic tank 330 and the septic tank are mixed with a filter 320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shing wate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310, and a purifying agent 331 that purifies the washing water sucked through the filter 320 ( Boots washing apparatus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utlet 340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purified in 330) through a shower brus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104A KR102354237B1 (en) | 2020-04-14 | 2020-04-14 |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104A KR102354237B1 (en) | 2020-04-14 | 2020-04-14 |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7368A true KR20210127368A (en) | 2021-10-22 |
KR102354237B1 KR102354237B1 (en) | 2022-01-20 |
Family
ID=7827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5104A Active KR102354237B1 (en) | 2020-04-14 | 2020-04-14 |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42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7664Y1 (en) | 2022-05-26 | 2024-01-18 | 육문균 | A Boots clea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3280A (en) * | 1991-03-12 | 1993-05-21 | Haneda Seisakusho:Kk | Washing device for boots |
KR19990083977A (en) * | 1999-09-03 | 1999-12-06 | 최우식 | Water-Saving Portable Washer |
JP2007105374A (en) * | 2005-10-17 | 2007-04-26 | Nissetsu Sangyo Kiki Co Ltd | Dirt removing device, dirt removing mat, and dirt removing method |
KR20100115007A (en) * | 2009-04-17 | 2010-10-27 | 김종석 | A high boots washing device |
-
2020
- 2020-04-14 KR KR1020200045104A patent/KR1023542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3280A (en) * | 1991-03-12 | 1993-05-21 | Haneda Seisakusho:Kk | Washing device for boots |
KR19990083977A (en) * | 1999-09-03 | 1999-12-06 | 최우식 | Water-Saving Portable Washer |
JP2007105374A (en) * | 2005-10-17 | 2007-04-26 | Nissetsu Sangyo Kiki Co Ltd | Dirt removing device, dirt removing mat, and dirt removing method |
KR20100115007A (en) * | 2009-04-17 | 2010-10-27 | 김종석 | A high boots wash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4237B1 (en) | 2022-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88438B1 (en) | Step-in/step out overshoe | |
US7725974B2 (en) | Shoe and foot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 |
KR101846157B1 (en) | Washing device for shoes | |
US5950269A (en) | Boot and shoe sole cleaner | |
KR101201802B1 (en) | Portable pet foot clean machine | |
CN210204667U (en) | Sole cleaning device | |
US20120090550A1 (en) | Device for cleaning and caring for hooves or claws of livestock | |
CN208960524U (en) | A movable disinfection channel | |
US5371958A (en) | Shower sandal | |
CA2403518C (en) | Shoe-clean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removing mud, snow and dirt from the soles | |
KR102354237B1 (en) | Boots washing equipment for livestock | |
KR200492499Y1 (en) | Boots cleaner | |
US11752526B1 (en) | Shoe sole cleaning device | |
KR20060102000A (en) | Shoe Washer | |
KR102676744B1 (en) | Livestock boots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heated wire | |
KR20100115007A (en) | A high boots washing device | |
CA2060581A1 (en) | Device for cleaning footwear | |
KR20120081305A (en) | Cleanable hiking boots | |
CN107183834B (en) | A siphon-type self-cleaning dust-removing shoe sole, a dust-removing shoe with the sole, and a cleaning method for the sole or the dust-removing shoe | |
KR101435555B1 (en) | Shoes cleaning device | |
KR20110011025U (en) | Inner sole of before shoes | |
CN215128251U (en) | Wet type door-entering pad capable of cleaning sole | |
FI110989B (en) | Apparatus for washing and disinfecting rubber boots | |
KR101647813B1 (en) | A shoe for cleaning foot | |
CN215838922U (en) | Automatic all-dimensional boot washing device for cultiv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