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561A -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 Google Patents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561A
KR20210123561A KR1020200040827A KR20200040827A KR20210123561A KR 20210123561 A KR20210123561 A KR 20210123561A KR 1020200040827 A KR1020200040827 A KR 1020200040827A KR 20200040827 A KR20200040827 A KR 20200040827A KR 20210123561 A KR20210123561 A KR 2021012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ose
user
harmful substances
inha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7694B1 (en
Inventor
최충식
Original Assignee
최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식 filed Critical 최충식
Priority to KR102020004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69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for preventing harmful materials which prevents inhalation of viruses, bacteria, fine dust, and others, provides special breathing environment to enable intake of clean air, provides sufficient air according to activities, minimizes inhalation of carbon dioxide generated by exhalation, and removes viruses and bacteria by comprising a filter part having porous antimicrobial copper. Also, a wearer simply replaces separate functional skins according to preference so that aesthetic beauty is provided, thereby improving awareness of users using the mask. Accordingly, an effect of increasing product purchasing needs of consumers is expected.

Description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본 발명은 바이러스, 세균,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흡입을 방지하고 깨끗한 공기를 섭취할 수 있도록 특별한 호흡환경을 제공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prevents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fine dust and provides a special breathing environment for ingesting clean air.

그리고 활동에 따른 공기를 충분히 제공하고 날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흡입을 최소화하며 다공성 항균동을 포함한 필터부를 구비하여 바이러스,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And it relates to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provides sufficient air according to the activity, minimizes inhalation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exhalation, and includes a filter unit including porous antibacterial copper to remove viruses and bacteria.

현대인은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로부터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로 부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하나 이상의 보호구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데, 특히, 마스크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을 도모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Modern people's health is threatened by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fine dust. At least one proper protective equipment is essential to maintain health from these harmful substances. In particular, the mask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afety from harmful substances.

일반 마스크는 면 등의 소재로 제조되고 있으며, 조직이 성긴 평면 면직물의 특성 상 면직물의 조직 간에 형성된 기공보다 작은 바이러스, 세균, 미세먼지 등과 같이 크기가 매우 작은 유해물질의 차단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general mask is made of materials such as cotton,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flat cotton fabric with coarse tissue, it is not effective in blocking harmful substances that are very small in size,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fine dust, which are smaller than the pores formed between the tissues of the cotton fabric. there was

최근에는 지름 10㎛ 미만인 미세먼지 및 지름이 2.5㎛ 미만인 초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부직포 및 필터 등을 혼용하여 필터링 성능이 개선된 보건용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health masks with improved filtering performance by mixing non-woven fabrics and filters to block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and ultra-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bacteria, and viruses is rapidly increasing.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가 갖고 있는 문제점 중 하나는 마스크가 코와 입 전체에 착용되는데, 사용자의 코와 입을 동시에 수납하기 때문에 마스크 내부 수납용적이 크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날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마스크 내부 수납공간에 모이게 되고 들숨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입하여 혈액과 폐포에 이산화탄소농도가 증가해 두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one of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mask is that the mask is worn over the nose and mouth, and since it accommodates the user's nose and mouth at the same time, the storage capacity inside the mask is large (see FIG. 13). It collects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sk, and when inhaled, carbon dioxide is inhaled again, which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blood and alveoli, causing a headache.

그리고 사용되는 마스크의 소재는 매우 잔 메시로 이루어져 숨쉬기를 힘들게 만들어 산소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 1회 호흡량을 감소시켜 호흡 빈도를 높이고 폐에서의 환기를 감소시킨다. 또한 마스크 내부에서 세균이 증식되어 호흡기로 침입하는 문재가 발생된다.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material used for the mask is made of very fine mesh, making it difficult to breathe and reducing oxygen intake. It also decreases the tidal volume, increasing the respiratory rate and reducing ventilation in the lung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multiply inside the mask and invade the respiratory tract.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정처는 일정 허가기준을 통과하면 KF80, KF94 보건용 마스크 인증마크를 부여해주고 있다. 하지만 현행 보건용 마스크 허가 기준에는 연령별 폐활량, 이산화탄소 흡입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소 섭취량 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 the Republic of Korea grants KF80 and KF94 health mask certification marks when certain approval standards are passed. However, the current health mask permit standards do not consider age-specific lung capacity, carbon dioxide intake,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oxygen intake.

이러한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는 보호용 마스크 가이드라인을 통해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숨쉬기를 힘들게 만들어 폐와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만성적인 호흡기, 심장질환 또는 다른 의학적 문제가 있는 경우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경계해야 한다. 보건용 마스크가 착용자의 호흡을 더욱 곤란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라고 밝혔다. For this reas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have stated in their guidelines for protective masks that “wearing a medical mask can make breathing difficult and put strain on the lungs and heart.” In addition,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said, “If you have chronic respiratory, heart disease or other medical problems, you should be wary of wearing a medical mask. This is because a medical mask can make breathing more difficult for the wearer.”

2015년 싱가포르 국립대병원은 KF94 보건용 마스크에 해당하는 N95(미국 기준) 마스크를 임신 27~32주 임신부 20명을 상대로 실험해보니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평소보다 호흡량이 23%, 산소 섭취량 13.8%, 이산화탄소 배출량 17.7% 감소했다고 밝혔다. In 2015,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Singapore tested an N95 (U.S. standard) mask equivalent to the KF94 health mask on 20 pregnant women from 27 to 32 weeks of pregnancy. , reported a 17.7% reduction in carbon dioxide emissions.

2019년 대한민국 환경부가 의뢰한 “미세먼지 마스크 건강피해 저감효과 분석 및 향후 추진계획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 건강한 성인남녀 41명이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와 착용하지 않은 경우로 나눠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24㎍/㎥~48㎍/㎥의 수준에서 17일간 실험을 진행한 결과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했고, 오히려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면 착용하지 않을 때보다 산소 섭취량이 5% 감소했고, 어린이의 경우 산소 섭취량이 10.6% 감소, 분당 환기량은 8%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According to the 2019 research report “Analysis of the health damage reduction effect of fine dust masks and preparation of future plan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2019, 41 healthy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divided into those who wore masks and those that did not. As a result of a 17-day experiment at an average concentration of 24㎍/㎥ to 48㎍/㎥, it did not produce a significant result in blocking fine dust. In children, oxygen intake decreased by 10.6% and ventilation per minute decreased by 8%.

이는 숨을 쉴 때 마스크가 외부로부터 공기를 폐 속으로 빨아들이고 폐로부터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을 방해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This means that when you breathe, the mask can negatively affect your health by interfering with the process of sucking in air from the outside into your lungs and expelling it out of your lungs.

또 한 가지 문제점은 사람 안면의 형상은 각각이기 때문에, 안면의 형상에 맞지 않아 유해물질이 입과 코 틈새로 유입되고, 신체 활동을 하면 유해물질 차단율이 크게 감소한다는 점이다. 프랑스 식품환경위생노동청(ANSES)의 전문가위원회가 실시한 ‘대기 환경과 관련된 위험성 평가’ 연구결과 마스크의 유해물질 차단율이 실험실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라도 실제로 사용하는 조건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nother problem is that since the shape of a person's face is different, harmful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gaps between the mouth and nose because they do not fit the shape of the face, and the blocking rate of harmful substances is greatly reduced during physical activity. As a result of a study on 'Ambient Environment-Related Risk Assessment' conducted by the expert committee of the French Food, Environment, Sanitation and Labor Agency (ANSES), it was found that the mask's blocking rate of harmful substances was very effective in the laboratory, but not in actual use conditions.

실험실에서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의 차단율이 95~99%라 해도 실제 외부환경에서 사용할 때는 효과가 60%대로 감소하거나 심지어는 0%가 되어 실생활에서 유해물질 차단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Even if the blocking rate of the mask that blocks harmful substances in the laboratory is 95~99%, when used in the actual external environment, the effectiveness decreases to the 60% or even 0%, so there is no effect of blocking harmful substances in real life.

또 다른 문제점은 기존 마스크들을 사용하면 피부 트러블로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면 마스크 내 발생한 습기와 피부 온도 상승으로 피지 분비가 많아져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Another problem is that using existing masks can cause discomfort due to skin problems. If the existing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mask and the increase in skin temperature increase the secretion of sebum, causing skin troubles.

또 다른 문제점은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 시 필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1회용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1회 사용 후 매번 폐기해야하기 때문에 폐기물의 발생양이 많아지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Another problem is that i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Most of the health masks have a problem in that the filter performance is lowered during washing, and because of this, their use is limited and they have to be discarded every time after one us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waste is increase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

한편,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 유해물질 제거 효율 및 공기 투과도를 달성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나노구조체 기반의 엠브레인 필터들이 개발되고 있다. 나노입자(nanoparticle), 나노와이어(nanowire) 등을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기반 소재들은 기존의 상용화된 직물 섬유 소재보다 표면적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유해물질 차단이 용이하게 되어 보다 우수한 필터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nanostructure-based Embrain filter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achieve air permeability and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viruses. Nanostructure-based materials including nanoparticles, nanowires, etc. have a much larger surface area than conventional commercially available textile fiber materials.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졌고,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흡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호흡이 편하고 깨끗한 공기를 섭취할 수 있도록 특별한 호흡환경을 제공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that not only blocks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fine dust, but also provides a special breathing environment so that breathing is comfortable and clean air is ingested. will provid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활동에 따른 공기를 충분히 제공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that sufficiently provides air according to the activity.

또한, 날숨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흡입을 최소화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that minimizes inhalation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exhalation.

또한, 사용자 입은 자연스럽게 다물게 하고, 마스크와 코 주위 피부를 통한 외부공기 유입이 완벽히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is configured to close the user's mouth naturally and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rough the mask and the skin around the nose.

또한 다공성 항균동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바이러스,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is configured to remove viruses and bacteria by providing a filter unit containing porous antibacterial copper.

또한 세척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that can be washed and reused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기능적인 스킨을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므로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제공되고, 그 결과 사용자의 사용인지도가 상승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users can easily replace and use separate functional skin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esthetic beauty is provided, and as a result,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increases user awareness of use, is provided.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전면에 사용자의 코가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코돌출홈(113)과 입이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입돌출홈(116), 사용자의 아래 입술을 받쳐주는 입술받침부(119)와 아래턱이 인입 고정되는 턱받침부(114)와 얼굴피부에 밀착 접촉되어 피부 순응성을 갖는 좌우 밀착면(123)과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 12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부(120)와 상기 좌우 밀착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사용자 머리에 배치되는 좌우 밴드부재(140)와 상기 코돌출홈(113)을 통해 돌출되는 코와 접촉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필터부(139)를 통해서만 외부환경과 간접 통기되도록, 상기 코돌출홈(113)과 일체로 결합되어 코덮개바디(135), 미간밀폐부(131),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에 의해 코 주위를 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직 코만 배치되는 내부기체공간(134)이 구성되는 코 덮개부(130) 및 사용자 입을 덮어 입을 보호하기 위한 입덮개부(3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which is opened to protrude the user's nose, and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which is opened to protrude the mouth of the user, support the user's lower lip. It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lip support part 119 and the chin support part 114 to which the lower jaw is inserted and fixed,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skin and have skin conformability, and the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arts 121 and 122 A filter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nd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and is provided separately without contact with the nose protrud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disposed on the user's head and the nose protruding groove 113 In order to be indirectly ventilat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only through the part 139, i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so that the nose cover body 135, the interstitial sealing part 131, the sealing cushion 132, the nose/mouth separation wall By sealing around the nose by 133, the nose cover part 130 having an internal gas space 134 where only the nose is disposed therein and the mouth cover part 300 for covering the user's mouth and protecting the mouth are additionally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입술받침부(119)와 턱받침부(114)는, 사용자 아래입술과 하악(submaxilla)을 밀폐식으로 받쳐주거나 덮어 상부 방향으로 끌어 당겨줌으로써 사용자 입이 자연스럽게 다물어지도록 유도하여 구강호흡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ip support part 119 and the chin support part 114 airtightly support or cover the user's lower lip and the lower jaw (submaxilla) and pull it upward to induce the user's mouth to close naturally, thereby preventing oral breath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o so.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착용자 머리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흘러내림 방지기능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사용자 좌우귀 상부 측두부에 각각 배치되는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down prevention function is additionally formed so as not to flow down from the wearer's head.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when the user wears a ma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upper temporal portion of the user's left and right ears.

한편, 마스크(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착용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 밀착부(20)와 일체로 구성되며 사용자 귀에 거는 식으로 배치되는 좌우 귀걸이부(149)가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 대신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mask 10 to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the left and right earring parts 149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20 and are arranged in such a way as to be hung on the user's ears instead of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 can be used

한편, 상기 코 덮개부(130)는 필터부(139), 코덮개바디(135), 미간밀폐부(131),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에 의해 코 주위를 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직 코만 배치되는 내부기체공간(13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nose cover part 130 seals around the nose by the filter part 139 , the nose cover body 135 , the interbrow sealing part 131 , the sealing cushion 132 , and the nose / mouth separating wall 133 . By doing 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gas space 134 in which only the nose is disposed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밀폐쿠션(132)은 사용자 인중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132b)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부(132c)는 중앙부(132b)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aling cushion 132 has a central portion 132b high and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132c relatively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132b in ord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eal shape in an approximately "⌒" shape. do it with

또한, 상기 밀폐쿠션(132)은 사용자 인중과 면접촉을 통해 밀폐력을 강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폭이 1mm 내지 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aling cushion 13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1mm to 40mm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aling force and improve the fit through the user's pharyngeal and surface contact.

그리고, 상기 코 덮개부(130)는 코클립(nose clip)(1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nose cover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se clip (nose clip) (136).

한편, 상기 필터부(139)는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을 위한 다공성 항균동(139a)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139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antibacterial copper (139a) for antibacterial and sterilization against viruses and bacteria is additionally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유해물질 차단 필터(139b)는 그 두께가 두께가 0.1 내지 10mm이고, 크기는 10 내지 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armful substance blocking filter 139b has a thickness of 0.1 to 10 mm and a size of 10 to 80 mm.

또한, 상기 유해물질 차단 필터(139b)는 그 형상이 원형이거나 또는 사각형,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armful substance blocking filter (139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made of a circle, a square, or a polygon.

한편, 상기 입 덮개부(300)는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이미지나 문양이 인쇄되고 상기 좌우밴드부재(140)에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uth cover part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mage or a pattern is printed for aesthetic beauty,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or to be permanently fixed.

그리고 사용자의 안면에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가 착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크의 좌우 밴드부재(140)가 각각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머리를 두를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s a method in which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s worn on the user's face,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of the mask are gripped, respectively, the support part 114 of the mask i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mandible. ) step in close contact with the chin; and fixing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having sufficient elasticity to put the head on the user's head.

또한 사용자의 안면에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가 착용되는 방법으로서,상기 마스크의 좌우 귀걸이(149)가 각각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턱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귀에 걸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좌우 귀걸이(149)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s a method in which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s worn on the user's face,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of the mask are respectively gripped, the chin rest 114 of the mask i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mandible Adhering to the chin; and fixing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to the user's ear having sufficient elasticity to be hung on the ear.

본 발명은 바이러스, 세균,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흡입을 방지하고 깨끗한 공기를 섭취할 수 있도록 특별한 호흡환경을 제공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prevents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fine dust and provides a special breathing environment so that clean air can be ingested.

그리고 활동에 따른 공기를 충분히 제공하고 날숨시 이산화탄소 흡입을 최소화하며 다공성 항균동을 구비하여 바이러스,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which provides sufficient air according to the activity, minimizes inhalation of carbon dioxide during exhalation, and has a porous antibacterial copper to remove viruses and bacteria.

그리고, 산소 섭취량을 향상시켜 기존의 보건용 마스크의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한다. And, by improving the oxygen intake, it is intended to solve the side effects of the existing health mask.

그리고, 사용자는 별도의 기능적인 스킨을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므로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여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인지도가 향상되어 결국 소비자의 제품구매욕이 상승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In addition, since users can easily replace and use separate functional skin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it is expected that the user's awareness of using the mask will increase by providing aesthetic beauty, which will eventually increase th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4는 얼굴 부위 중에서 코와 본 발명에 따른 코 덮개부의 착용 위치의 대응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A-A'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C-C'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미간밀폐부를 나타내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nose and a wearing position of a nose cov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face parts.
5 is a view showing a nos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cisal incis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5 .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aling part between the eyebrows in FIG. 5 .
9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uth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ly used mask.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beverages can be consumed whil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구성] [Entire configur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he terms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써,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채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technical terms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외측면으로, 얼굴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내측면이라 하고,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로 또는 비착용 상태로 상관없이 좌측 방향을 좌측, 우측 방향을 우측, 위쪽 방향을 상부, 아래쪽 방향을 하부라 칭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referred to as the outer surface,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acial skin is referred to as the inner surface, and the left direction is left and right regardless of whether the mask 10 is worn or not. The right and upper directions are referred to as upper, and the lowe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lowe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대략",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As used herein, the term "approximately", to the extent used herein, is used in a sense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to prevent undue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used for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피부 순응성(skin conformability)"은 피부에 부작용이나 자극이 없고, 피부에 닿는 촉감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kin conformability" means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or irritation to the skin, and the skin feels good to the touch.

사람은 비강과 구강을 통해 호흡을 한다. 하지만 구강을 통해 호흡을 하면 많은 건강상 문제점이 발생된다. 구강호흡을 하게 될 경우, 비강 호흡을 했을 때 보다 산소 포화도의 수치가 낮아지며, 낮아진 산소 포화도로 인해 면역력은 낮아지고 혈압과 심박동수가 높아질 수 있다. 구강호흡은 호흡기 질환의 원인으로도 밝혀지고 있다. 만성 호흡기 질환자 90%가 자신도 모르게 구강호흡을 하고 있으며, 이는 구강 호흡을 할 때 코털과 섬모와 같은 여과 장치가 없어 세균감염이나 천식, 비염 등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고, 또 수면 중 구강호흡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을 야기할 수 있고 얕은 수면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성장호르몬의 불균형은 발육과 성장을 더디게 만들고 집중력 저하 및 학습 부진을 초래할 수 있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습관화된 구강호흡으로 인해 인중부분이 길어지고 턱은 좁아지며 아래턱이 후방으로 치우치는 아데노이드 말상과 같은 안면 발달장애나 치아 부정 교합을 겪을 수 있다. Humans breathe through the nose and mouth. However, breathing through the mouth can cause many health problems. In the case of oral breathing, the level of oxygen saturation is lower than that of nasal breathing, and the lowered oxygen saturation may lower immunity and increas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Mouth breathing has also been identified as a cause of respiratory diseases. It is known that 90% of people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re breathing through the mouth without knowing it, because there is no filtering device such as nose hairs and cilia when breathing in the mouth, making them vulnerable to bacterial infection, asthma, rhinitis, etc. It can cause snoring and sleep apnea and lead to shallow sleep, and the resulting imbalance of growth hormone can slow growth and growth, and lead to poor concentration and poor learning. In the case of growing children, due to habituated oral respiration, the pharyngeal part is lengthened, the chin is narrowed, and the lower jaw is tilted backwards.

본 발명자는 연구를 지속하던 중, 비강호흡을 위한 코 전용공간인 코 덮개부(130)를 형성하고 노출되는 입을 가리기 위한 입 덮개부(300)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호흡이 매우 편하고, 날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흡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매우 뛰어나고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를 발명하게 되었다. While continuing the study, the present inventor forms the nose cover 130, which is a dedicated space for the nose for nasal breathing, and additionally configures the mouth cover portion 300 to cover the exposed mouth, so breathing is very comfortable, and occurs when exhaling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that can minimize the inhalation of carbon dioxide, is very comfortable to wear, and gives aesthetic beauty was invented.

[1.1] 좌우 밀착부[1.1]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는, 좌우 밀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ask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left and right contact portions 120 .

여기서,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폴리에틸렌(PE),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부작용이 없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얼굴피부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외기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특성상 인체에 착용하면 그에 맞도록 기능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ere,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ilicone, elastomer, polyethylene (PE),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etc. Preferably, there is no side effect on the skin, excellent elasticity, and the face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air, it is most preferable to be made of silicone, which is formed to maintain its function when worn on the human body due to its characteristics.

여기서,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좌우 밀착면(123),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 122), 코돌출홈(113), 턱받침부(114), 입돌출홈(116), 입술받침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includ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arts 121 and 122, nose protrusion groove 113, chin support part 114, mouth protrusion groove 11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p support portion (119).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중앙에 위치한 코돌출홈(113), 입돌출홈(116), 턱받침부(114)를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면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과 우측이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피부 순응성(skin conformability)을 갖으며, 부드러운 촉감을 주며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비자극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re symmetrical from top to bottom with respect to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 and the chin support part 114 located in the center. In this embodimen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have exactly the same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have skin conformability, give a soft touch, and provide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that are non-irritating to the user's facial skin and have no side effects.

또한 좌우 밀착부(120)는, 상이한 2중 또는 다중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상이한 두께로 구성하는 이유는 그 두께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면(123)과 이와 반대로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입술받침부(119),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 122), 턱받침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게 하면, 착용감이 향상되고 두께에 따른 신축성이 다르게 되고, 마스크(10)를 착용하였을 때에 쓸데없이 훼손되는 일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contact portions 12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ouble or multiple thicknesses. The reason why it is configured in such a different thickness is to allow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That is,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include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formed in a thin thickness, and the lip support part 119,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arts 121 and 122, and a chin support part, which are formed to be somewhat thick on the contrary. (114) is included.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earing comfort is improved and the elastic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there is no needless damage when the mask 10 is wor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밀착면(123)은, 바람직하게는 기체 투과성과 함께 자외선, 바람, 액체 불투과성을 가진다. 그리고 특정부분을 제외하고 양호하게 비교적 얇고, 양호하게 5mm 미만, 더욱 양호하게 0.1mm 내지 3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피부에 대한 공기순환 즉, 공기 투과성을 얻을 수 있어, 피부호흡을 쓸데없이 저해할 우려도 없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preferably have gas permeability as well as ultraviolet, wind, and liquid impermeability.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preferably relatively thin, preferably less than 5 mm, more preferably 0.1 mm to 3 mm, except for certain parts. In this way, air circulation to the skin, that is, air permeability can be obtained, and there is also no possibility of unnecessarily impeding skin respi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상부 윤곽부(121)는 상기 일단은 코돌출홈(113)를 구성하고 타단은 좌우 밴드부재(140)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높게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upper contour portions 121 have one end constituting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nd are arranged higher and higher as they move from one end to the other. .

이러한 구성의 상부 윤곽부(121)는, 사용자의 눈을 덮지 않도록 브래지어의 와이어와 유사한 방식과 기능으로 사용자의 눈 바로 아래피부를 상부방향으로 받쳐주는 식으로 눈 바로 아래피부에 밀폐식으로 위치한 다음, 좌우 관자놀이를 따라 피부에 밀착 배치된다. 그렇게 하면, 얼굴피부에 상부 윤곽부(121)가 밀착 접촉되므로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 upper contour portion 121 of this configuration is sealed to the skin just below the eyes in a manner similar to the wire of a bra so as not to cover the user's eyes and supports the skin directly under the user's eyes in an upward direction. ,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long the left and right temples. In doing so, since the upper contour portion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ski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gap is not generated and the outside air is prevented from permeating.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하부 윤곽부(122)는, 일단은 턱받침부(114)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 밴드부재(140)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높게 형성되어 배치된다. The left and right lower contour portions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one end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chin rest 114,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nd are formed increasingly higher as they move from one end to the other. and placed

이러한 구성의 상기 좌우 하부 윤곽부(122)는 끌어당김 힘이 작용할 때, 사용자 좌우 하악(submaxilla)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렇게 하면, 하악을 받쳐주고, 상부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어 입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contour portions 122 of this configuration, the user's left and right mandibles are entirely covered and maintained in a closely arranged state. This will support the mandible and pull it upwards, preventing the natural opening of the mouth.

또한, 사용자 좌우 하악(submaxilla)을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지되므로 얼굴 피부에 하부 윤곽부(122)가 밀착 접촉되므로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mandibles of the user are kept in close contact as a whole, the lower contour portion 1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face, so that a gap is not formed, there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external air.

여기서, 특히 상기 좌우 상/하 윤곽부들(121, 122)은, 좌우 밀착면(123)의 보존이나 훼손 방지 기능을 하도록 좌우 밀착면(123)보다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윤곽부들(121, 122)은 얼굴피부와 밀착 접촉하기 위해 두께를 동일하게 하거나, 차이를 두어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ortions 121 and 122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thicker than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in order to preserve or prevent damage to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contour portions 121 and 122 may be manufactured with the same thickness or different thicknesses in ord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skin,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전면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정렬되도록 순서대로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 턱받침부(11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은 마스크(10) 착용시, 상기 좌우 밀착부(120) 전면(前面)에 당기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코 와 입이 당기는 압력을 받지 않도록, 또는 코와 입이 좌우 밀착부(12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을 제외한 상기 좌우 밀착부(120)에는 당김 밀착력이 가해지는 바,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to 4,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have a nose protrusion groove 113, a mouth protrusion groove 116, and a chin support part 114 in order so that they are aligned from top to bottom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Consists of.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apply pulling pressur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when the mask 10 is worn, so that the nose and mouth do not receive pulling pressure, Alternatively, the nose and mouth are configured not to contact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 A pulling adhesive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except for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돌출홈(116) 일측에 입술받침부(119)가 추가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p support part 119 is additionally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

상기 입술받침부(119)는, 일상생활 중에 입술이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술을 받쳐주는 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미세먼지, 오염물질 등이 입을 통해 몸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다. The lip support part 119 is formed in such a way as to support the lips in order to prevent the lips from opening involuntarily during daily life.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fine dust, pollutants, etc. from penetrating into the body through the mouth.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턱받침부(114)는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을 자연스럽게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사용자 하악 전(front)턱이 인입되도록 요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n support unit 114 is configured to naturally support the user's front jaw. For this reason, it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such that the user's mandible front jaw is drawn in.

이와 같이 턱 받침부(114)가 구성됨으로서, 턱 받침부(114)는 끌어올리는 힘에 대응하여 고정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하악을 받쳐주는 “턱받침”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마스크(10)가 상부로 과도하게 편향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이 턱 받침부(114)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서 달성된다. 그러면, 일상생황 중에 구강근육 이완 및 중력에 의해 밑으로 처지는 하악 전(front)턱을 받쳐주어 입이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s the chin support part 114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chin support part 114 performs a fixing role in response to the pull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a "chin support" role for supporting the mandible. This structure is achiev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user's mandible front chin to the chin support part 114 so that the mask 10 is not excessively deflected upward. The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uth from opening involuntarily by relaxing the oral muscles and supporting the mandibular front jaw that sags downward by gravity during daily life.

[1.2] 좌우 밴드부재[1.2] Left and right band membe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는 좌우 밀착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좌우 밴드부재(140)를 포함한다. 좌우 밴드부재(140)는, 마스크(10)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얼굴에 착용하기 위해 좌우 1개의 스트랩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cludes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left and right straps to easily and stably wear the mask 10 on the face.

여기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폴리에틸렌(pe),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ilicone, elastomer, polyethylene (pe),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머리 상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by a fastening member on the user's head.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명확하게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긴 스트랩 형태로 일단은 좌우 밀착부(1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자유단(140a)은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벨크로 또는 버클 등 체결부재에 의해 사용자 머리 상에 고정될 수 있다. Preferably, although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not clearly defined, one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in the form of a long strap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the free end 140a is the user's It can be fixed on the user's hea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Velcro or a buck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 자유단(140a)은 버클, 슬립 등의 이음조절부재가 더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e end 140a of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joint adjustment member such as a buckle or a slip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머리상에서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내측면에 사용자 모발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ir on the inner surface to prevent the user's head from flowing down.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입 덮개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공(142)이 적어도 하나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detachable hole 142 so that the mouth cover part 3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귀 상부에 걸쳐 착용되고, 좌우 한 개씩 밴드부재만을 이용해 머리에 둘러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may be worn over the user's ea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worn around the head using only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또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머리를 둘러 착용되도록 신축성이 뛰어나게 형성되고, 착용감 향상 및 사용자 모발과 면접촉 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폭이 2mm 내지 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have excellent elasticity to be worn around the user's head, and have a width of 2mm to 50mm in order to improve the fit and prevent the user's hair from flowing down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user's hair.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10) 착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귀 상부 측두부 부위에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sk 10 is worn, as shown in FIG. 4 ,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disposed in the upper temporal region of the user's ear.

이러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의 구조적 구성과 마스크 착용시 착용 배치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nd the wearing arrangement when wearing the mask have the effect of being worn simply and stably.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마스크(10)를 착용하면, 좌우 밴드부재가 사용자 귀 상부 측두부 부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므로, 덮개부가 사용자 코 주위의 피부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로써 외부의 유해물질이 내부기체공간으로 유입이 방지되어 사용자는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맑은공기를 섭취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are stably arranged in the upper temporal region of the user's ear, the cover part is closely attached to the skin around the user's nose. This prevents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nal gas space, so that the user has the effect of ingesting the fresh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1.3] 코 덮개부[1.3] Nose co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는 코돌출홈(113)과 일체화 구성되는 코 덮개부(130)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cludes a nose cover part 130 tha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nose protrusion groove 113 .

상기 코 덮개부(130)는 덮개부 바디(135),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 미간밀폐부(131) 및 필터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불투명 또는 투명,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nose cover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body 135, an airtight cushion 132, a nose / mouth separation wall 133, an interstitial sealing portion 131 and a filter portion 139, and is opaque or transparent. , may be formed to be translucent.

상기 코 덮개부(130)의 주된 목적은, 오직 코만 배치되도록 작게 구성하고, 덮개부 바디(135),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 미간밀폐부(131) 및 필터부(139)가 상호 협력하여 상기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 사이를 실질적으로 구획하여 나누는 기능을 수행해 외부환경과 철저하게 격리되는 궁극의 내부기체공간(134)을 확보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nose cover part 130 is to make it small so that only the nose is placed, and the cover part body 135, the sealing cushion 132, the nose/mouth separation wall 133, the interstitial sealing part 131 and the filter The unit 139 cooperates with each other to substantially partition and divide between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to secure the ultimate internal gas space 134 that is thoroughly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 바디(135)는 사용자 코 크기와 비슷하게 작게 형성되고, 입체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컵형상(cup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 바디(135)는 전체적으로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돌출홈(113)을 통해 돌출되는 착용자의 코와 코 덮개부(130)의 내측면이 실질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착용되므로 사용자의 코가 코 덮개부(130) 내측면과 마찰되는 성가심이 없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body 135 may be formed as small as the size of the user's nose, and may be formed in a cup shape that protrudes forwar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cover body 135 may have a shape in which a side surface as a whol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Through this, the wearer's nose protruding throug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nose cover part 130 are worn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e user's nose rub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nose cover part 130 , which is annoying. this disappears

그리고 사용자 날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머무르는 공간이 적어져서 이산화탄소를 재 흡수하는 문제점이 사라진다. In addition, the space in which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exhalation of the user stays is reduced, so that the problem of reabsorbing carbon dioxide disappears.

즉, 기존 마스크의 종래의 문제점 중 하나는 마스크가 코와 입 전체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코와 입을 동시에 수납하기 때문에 마스크 내부 수납용적이 크다. 이에 따라 날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마스크 내부 수납공간에 모이게 되고 사용자는 들숨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입하는 문제가 발생한 다는 점이다. That is, one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ask is that the mask is worn over the nose and mouth, so that the user's nose and mouth are accommodated at the same time, so the internal storage capacity of the mask is large. Accordingly,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exhalation is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s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nhales carbon dioxide again during inhalation.

또한 마스크 내 발생한 습기와 피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it prevents skin troubles caused by moisture generated in the mask and increased skin temperature.

또한 상기 덮개부 바디(135)는, 코 덮개부의 대략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는 추가로 구성되는 필터부(139), 각종 장치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우 밀착면(123)보다 다소 두껍고 강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ver body 135 is, in order to maintain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nose cover, or to support the additionally configured filter unit 139 and various devices,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mewhat thicker and more rigid.

그리고, 상기 덮개부 바디(135)는, 결합홈(들)(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필터부(139), 산소 공급장치, 공기순환장치, 생체신호 측정장치, 가습장치, 향 발생장치 등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들은 간편하게 탈부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body 135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groove(s) (not shown). In the coupling groove, a filter unit 139, an oxygen supply device, an air circulation device,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humidifier, a fragrance generator, etc. may be coupled, and thes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도 4는 얼굴 부위 중에서 코와 본 발명에 따른 코 덮개부의 착용 위치의 대응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nose and a wearing position of a nose cov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face parts.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마스크(10) 착용 시, 사용자 양쪽 눈 사이에서 미간(양쪽 눈썹 사이)에 걸쳐 착용되며, 상기 좌우 상부 윤곽부(121)와 상호 협력하면서 외기가 내부기체공간(134)으로 침입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mask 10 is worn, the eyebrow sealing part 131 is worn over the eyebrows (between both eyebrows) between the user's eyes, and cooperates with the left and right upper contour parts 121 whil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internal gas space (134).

이 때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미간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131b)는 높고, 가장자리부(131c)는 중앙부(131b)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brow sealing part 13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ehead, the central part 131b is high, and the edge part 131c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central part 131b. can

또한,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미간에 착용 불편함을 방지하고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는 사용자 미간 형상에 맞도록 들어 올려져 대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iscomfort of wearing between the eyebrows and to closely adhere to the eyebrows, the upper part of the interbrow sealing part 131 may be lifted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eyebrows and formed in an approximately “ )” shape.

그리고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동공간 사이에서부터 미간에 걸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코 클립(nose clip)(1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brow sealing part 13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nose clip 136 so as to be more closely adhered from between the pupil spaces to the brows.

이러한 코 클립(nose clip)(136)은 상기 미간밀폐부(131)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동공간 사이에서부터 미간에 걸쳐 미간밀폐부(131)의 간격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원하는 착용간격으로 유지하는 형상으로 되게 할 수 있도록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상황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착용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Such a nose clip 136 is built into or outside the interbrow sealing unit 131,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spacing of the interlabial closing unit 131 from between the user's pupils to the user's preference. It will ensure that it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is maintained at a wearing interval. Accordingly, the user can form an arbitrary appropriate wearing interval according to an appropriate situation.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덮개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5 to 8 are views specifically explaining the nos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폐쿠션(132)은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 하부에 사용자 인중부위와 밀착 붙으면서 밀폐되도록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쿠션(132)은 외력이 작용하면 사용자의 인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밀폐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부학적으로 인중 중앙 부위가 돌출되므로, 상기 밀폐쿠션(132)은 중앙부(132b)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부(132c)는 중앙부(132b)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cushion 13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ose/mouth separating wall 133 to be sealed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user's pharynx on the lower part of the nose/mouth separating wall 133 . The sealing cushion 132 is configured to ensure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al and sealed. Therefore, anatomically,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harynx protrudes, the sealing cushion 132 preferably has a high central portion 132b, and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132c are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132b. do.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쿠션(132)은 길이(B)는 20mm 내지 7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30mm 내지 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폭이 1mm 내지 4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마스크(10) 착용시, 해부학적으로 사람의 인중부위는 길이가 70mm, 코와 윗 입술 사이가 50mm를 넘지 않는다. 상기 밀폐쿠션(132)은 사용자 인중 부위를 면접촉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인중 부위에서 침입하는 외기를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 인중 부위와 선접촉을 방지하여 착용 통증과 착용자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5, the sealing cushion 132 is preferably formed in a length (B) of 20mm to 70mm.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of 30 mm to 50 m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is formed in a range of 1 mm to 40 mm.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formed of 5 mm to 15 mm.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mask 10 is worn, anatomically, the length of the human pharynx is 7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ose and the upper lip does not exceed 50 mm. The sealing cushion 132 has the advantage of blocking the intrusion of external air from the pharyngeal region because it can seal the surface contact of the user's pharynx.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ear pain and wear marks by preventing line contact with the user's pharynx.

상기 밀폐쿠션(132)의 두께는 덮개부 바디(135), 접철부(138), 입/코 분리벽체(133)두께 보다 다소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고, 대략 0.1mm 내지 2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cushion 132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 body 135, the folds 138, and the mouth/nose separating wall 133,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out 0.1 mm to 2 mm. .

한편, 상기 코 덮개부(130)는 일측면에 산소 공급장치, 공기 순환장치, 생체신호 측정장치, 가습장치, 향 발생장치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se cover part 13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with an oxygen supply device, an air circulation device,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 humidifier, a fragrance generator, etc. on one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는 마스크(10) 착용시, 칸막이 기능으로 코와 입을 분리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mouth separation wall 133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nose and mouth by a partition function when the mask 10 is worn.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는 대략 0.3mm내지 3mm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일단이 덮개부 바디(135) 내부의 만곡된 내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되면서 밀폐쿠션(132)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The nose/mouth partition wall 133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3 mm to 3 mm. And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inner curved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135, and the other end is bent forward and extended integrally with the sealing cushion 132.

[1.4] 필터부[1.4] Filter unit

도 9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3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lter unit 13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리는 금속 이온 중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에게도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옛날부터 식기나 젓가락 등의 생활용품의 소재로 사용하여 왔다. 구리의 항균메카니즘은 습식조건에서 용출된 금속 이온이 균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균세포를 파괴하거나 금속의 촉매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를 활성산소로 변화해서 균의 표면 구조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순도 99% 이상인 금속 구리 또는 구리 함량이 65% 이상인 구리화합물의 경우 구리 자체가 지닌 천연 항균성으로 인해 교차오염 등의 위험이 있는 전염성 감염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져 항균동(Antimicrobial Copper)이라고 일컫는다. Copper is known to have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mong metal ions and is not harmful to humans or animals.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copper is known to damage the surface structure of bacteria by either destroying bacterial cells by binding metal ions eluted in wet conditions to bacterial proteins, or by changing oxygen in the air into active oxygen by the catalytic action of metals. In particular, metallic copper with a purity of 99% or more or a copper compound with a copper content of 65% or more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ross-contamination, due to the natur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pper itself, so it is called antimicrobial copper. .

이와 같은 항균동(Antimicrobial Copper)은 미국의 환경보호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 등록된 유일한 터치표면 소재로서, 의료기관감염(Healthcare-Associatid Infections)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99.9%이상을 2시간 이내에 박멸한다고 알려져 있다. This antimicrobial copper is the only touch surface material registered wit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 the United States, and is known to eradicate more than 99.9% of bacteria that cause Healthcare-Associatid Infections within 2 hours.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139)는, 케이스(139c)와 필터(139b), 마개(139d),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을 위한 항균동(139a)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139 is composed of a case 139c, a filter 139b, a stopper 139d, and an antibacterial copper 139a for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against viruses and bacteria.

상기 케이스(139c)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39c) 내부에서 필터(139b)와 항균동(139a)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마개(139d)를 포함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강성하게 제조되어 코 덮개부(130)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탈부착 결합시켜 기밀성을 유지시키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9c)는 상술할 다양한 필터(139b)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139c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 triangle, a polygon, and the like and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the case (139c) includes a plug (139d) so that the filter (139b) and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can be easily replaced inside the case (139c), has a certain thickness and is rigidly manufactured,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nose cover part (130). It can be combined to maintain airtightness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groove (not shown). In addition, the case 139c is preferably formed at various heights in ord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various filters 139b to be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이때, 상술하였지만, 상기 필터부(139)는 사용자 좌우 콧구멍 바로 앞 좌우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unit 139 is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left and right right in front of the user's left and right nostrils.

그리고, 코 덮개부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은, 필터부(139)가 간편하게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또는 상호보안 연결되도록 연결부재(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And, since the coupl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nose cover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filter part 139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is additionally provided so as to be smoothly coupled or to be mutually secure.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코 덮개부(130)에는 결합홈(들)(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미도시)은 산소 공급장치, 공기 순환장치, 생체신호 측정장치, 가습장치, 향 발생장치 등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들은 간편하게 탈부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ose cover 13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s) (not shown). The coupling groove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n oxygen supply device, an air circulation device,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 humidifier, a fragrance generator, and the like, and thes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한편, 상기 필터(139b)는 미세먼지, 바이러스의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개(139d) 및 케이스(139c)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139b)는 마개(139d) 및 케이스(139c)의 형상에 따라 원형이거나 또는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lter 139b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139d and the case 139c to enable filtering of fine dust and viruses. The filter 139b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 polygon, etc.,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ap 139d and the case 139c,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ilters.

그리고, 상기 필터(139b)는 교환이 가능하며 소모성인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filter 139b is preferably replaceable and consumable.

상기 필터(139b)는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기능은 별도로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하는 항균필터, PES(Poly Ether Sulfone) 재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방사용액이 전기방사장치에 의해 전기방사 되어 웹 형태로 적층되는 나노섬유필터, 통기면적이 넓으면서 습기를 포집하는 가습용 필터, 미세먼지 흡입을 방지하는 미세먼지 흡입 방지용 필터, 헤파필터 (HEPA filter),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층을 갖는 필터재료로 형성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층을 갖는 2 이상의 필터재료가 적층되거나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139b may be a filter that blocks harmful substances.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function is not separately limited, for example, an antibacterial filter that sterilizes viruses and bacteria, and a polymer spinning solution containing PES (Poly Ether Sulfone) material is electrospinning by an electrospinning device. Nanofiber filters that are stacked in the form of a nanofiber filter, a humidification filter that captures moisture with a large ventilation area, a filter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fine dust that prevents inhalation of fine dust, a HEPA filter, and a deodorization filter that removes odors can be included. have. And it may be formed of a filter material having one or a plurality of layers, or two or more filter materials having one or a plurality of layers are laminated or bond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 착용시,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139b)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필터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들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들, 즉 상기한 항균필터, 나노섬유필터, 미세먼지 흡입 방지 필터, 헤파필터 (HEPA filter), 가습용 필터 등을 거치면서 공기 중의 바이러스,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은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되며 내부기체공간(134)의 공기를 깨끗하고, 가습상태를 유지시키므로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external air sucked by the user's breath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139b. At this time, since the filter can employ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the air passing through these filters, that is, the antibacterial filter, the nanofiber filter, the fine dust inhalation prevention filter, the HEPA filter, the humidification filter, etc. Noxious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fine dust, as well as odors, are removed, and the air in the internal gas space 134 is kept clean and humid, so that you can breathe comfortably.

한편, 상기 항균동(139a)은, 바이러스, 세균 등을 박멸하도록 항균 및 살균작용을 위해 배치되고, 다수개의 기공(139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139e)은 원활한 공기유통 또는 통기성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is disposed for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action to eradicate viruses, bacteria, and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ores (139e) are formed. The pores 139e are formed for smooth air circulation or ventilation.

그리고 상기 항균동(139a)은 상기 필터(139b) 앞쪽 및 필터 뒤 중 적어도 한곳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may be disposed at least one of a front side of the filter 139b and a rear side of the filter.

예컨대, 항균동(139a)은 필터(139b) 앞쪽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필터(139b) 뒤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필터(139b) 앞 및 뒤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139b and exposed to the outside, disposed behind the filter 139b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be disposed both in front and behind the filter 139b. may be

상기 항균동(139a)은 상기 마개(139d) 및 케이스(139c)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항균동(139a) 형상은 원형이거나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is disposed in the stopper (139d) and the case (139c).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is preferably a circle or a polygon including a quadrangle.

[1.5] 입 덮개부[1.5] Mouth Cove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 덮개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uth cover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 덮개부(300)는 상기 입돌출홈(116)을 통해 돌출된 입을 가리고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 입을 덮어 가리는 바디(301)와 상기 필터부(13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홀(302)과 상기 착탈공(14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트랩(303)을 포함한다. The mouth cover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mouth protruding through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and provide aesthetic beauty, the body 301 covering the user's mouth and the filter part 139 It includes a coupling hole 30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ap 303 and a strap 303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hole 142 .

여기서 상기 입 덮개부(30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폴리에틸렌(PE), 천연고무, 순면, 부직포, 합성섬유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부작용이 없고 특성상 인체에 착용하면 그에 맞도록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부담감 없이 지속적인 착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미적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mouth cover part 300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ilicone, elastomer, polyethylene (PE), natural rubber, pure cotton, non-woven fabric, synthetic fiber, etc. Preferably, there is no side effect on the skin and the human body due to the nature of the It is good to be formed so that the shape is stably maintained to fit it when worn on the bod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wear it continuously without feeling burdened,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esthetic beaut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 덮개부(300)는 결합홀(302)과 스트랩(303)을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좌우 밴드부재(140)와 코 덮개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 덮개부(300)이 착용자의 입을 가림으로써, 미적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자외선은 물론 비바람도 차단하는 마스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outh cover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nyone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nd the nose cover part 130 using the coupling hole 302 and the strap 303 to cover the wearer's mouth. ca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uth cover part 300 covers the wearer's mouth, aesthetic beauty can be realized, and the function of a mask that blocks UV rays as well as rain and wind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 덮개부(300)는 상기 착탈공(142)과 상기 스트랩(303)을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상호 마찰저항이 발생해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th cover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mutual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only by coupling the detachable hole 142 and the strap 303 to be easily fixed.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입 덮개부(300)는 코 덮개부(130)를 잡아당기므로 코 덮개부(130)의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탈공(142)과 스트랩(303)을 통하여 상기 입 덮개부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mouth cover part 3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sealing force of the nose cover part 130 because it pulls the nose cover part 130 .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outh cover portion is fixed through the detachable hole 142 and the strap 303, but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changes or additions within the scope that do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it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fixed by configuring a separate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입 덮개부(300)는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야외 활동 시에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도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 덮개부(300)는 미적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해 로고, 이미지, 문양 등이 인쇄되어 구성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uth cover part 300 may be coated with a sunscreen. The sunscreen is appli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ultraviolet rays during outdoor activities. In addition, the mouth cover part 300 may be configured by printing a logo, an image, a pattern, etc. in order to realize aesthetic beaut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 덮개부(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홀(304)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홀(304)은 착용자가 대화 할 경우 상대방에게 착용자 음성이 바르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 the mouth cover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n air hole 304 . The air hole 304 is configured to properly transmit the wearer's voice to the other party when the wearer communicates.

한편, 상기 입 덮개부(300)는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이미지나 문양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 덮개부(300)는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와 코 덮개부(130)에 탈부착 구성된다고 하였으나, 접착제 또는 재봉 공정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th cover part 300 may be printed with an image or a pattern for aesthetic beauty. In addition, although the mouth cover part 3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nd the nose cover part 130, it may be permanently fixed through an adhesive or a sewing process.

한편, 본 발명의 한편 실시예로서,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입돌출홈(116)을 통해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at the user can ingest a beverage through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as shown in FIG. 14 .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는, 다음 설명되는 방식으로 얼굴에 착용된다. 먼저, 상기 마스크의 좌우 상부 밴드부재(140)가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각각 파지된 다음, 상기 마스크의 턱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그 다음에, 머리에 두를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용성을 갖는 좌우 밴드부재(140)가 끌어당겨져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단계로 착용된다.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worn on the face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First, the left and right upper band members 140 of the mask are respectively gripped by the user's both hands, and then the chin support part 114 of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ront jaw; Then,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having sufficient flexibility to be worn on the head are pulled and worn in a step of being fixed to the user's head.

그러면, 좌우 밀착부(120)는 사용자의 하악(submaxilla)을 전체적으로 감싸 하악을 상부방향으로 끌어 올리는 역할 혹은 하악을 받쳐주는 역활을 하게 되고, 거기에 더하여 소음 방지 역할을 하는 입 덮개부(300)가 코골이 소음을 차단하는 한편, 입술받침부(119)가 사용자 입술을 받쳐 입호흡을 방지하고 코호흡을 유도하므로 상호 유기적이고 2중 3중 다단계적인 협력으로 인해 수면 도중에 기도가 확보되어 코골이, 수면무호흡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Then,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wrap around the user's mandible as a whole to raise the mandible in an upward direction or to support the mandible. In addition, the mouth cover part 300 serves to prevent noise. Blocks snoring noise, while the lip support 119 supports the user's lips to prevent mouth breathing and induces nasal breathing. To prevent sleep apnea,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또한, 사용자 호흡기는 코 덮개부 내부기체공간(134)에서 외부환경과 격리된 상태가 유지되고, 필터부(139)를 통해 미세먼지 등 비염의 원인물질을 차단하고 호흡기가 좋아하는 가온, 가습된 깨끗한 공기를 편안하게 호흡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코막힘, 콧물, 재치기, 가려움증 등의 비염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s respirator is kept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internal gas space 134 of the nose cover, and blocks the causative substances of rhinitis such as fine dust through the filter 139, and is heated and humidified by the respiratory system. Since it is possible to breathe clean air comfortably, it is possible to relieve or treat rhinitis symptoms such as nasal congestion, runny nose, sneezing, and itching.

또한, 좌우 밀착부(120)가 운동 중, 수면 중에도 얼굴피부를 상부로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유지되므로 근육과 지방에 걸리는 중력 부하(load)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여 보습력을 향상시키므로써, 리프팅 효과와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r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acial skin is pulled upward during exercise and sleep, it reduces the gravitational load on muscles and fat, prevents drying of the skin, and improves moisturizing power. ,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lifting effect and a moisturizing effect.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보다 이산화탄소를 흡입하는 경우가 없다. According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stably than wearing a conventional mask. In addition, there is no case of inhaling carbon dioxide than wearing a conventional mask.

한편 또 다른 마스크 착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마스크의 좌우 귀걸이(149)가 각각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턱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귀에 걸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좌우 귀걸이(149)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가 착용된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method of wearing a mask will be described.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of the mask are respectively gripped, the chin support part 114 of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ront jaw;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s worn, comprising a step of fixing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to the user's ear having sufficient elasticity to be hung on the ear.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113 코돌출홈 114 턱받침부
116 입돌출홈 120 좌우 밀착부
123 좌우 밀착면 130 코 덮개부
134 내부기체공간 139 필터부
132 밀폐쿠션 133 코/입 분리벽체
139a 항균동 139b 필터
300 입 덮개부 140 좌우 밴드부재
149 좌우 귀걸이부
10 Mask to prevent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113 Nose protrusion groove 114 Chin rest
116 Mouth protrusion groove 120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3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30 Nose cover
134 Internal gas space 139 Filter unit
132 Airtight cushion 133 Nose/mouth partition wall
139a antibacterial copper 139b filter
300 Mouth cover 140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9 Left and Right Earrings

Claims (24)

전면에 사용자의 코가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코돌출홈(113)과 입이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입돌출홈(116)과 아래턱이 인입 고정되는 턱받침부(114)와 얼굴 피부에 밀착 접촉되어 피부 순응성을 갖는 좌우 밀착면(123)과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12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부(120);
상기 코돌출홈(113)을 통해 돌출되는 코와 접촉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필터부(139)를 통해서만 외부환경과 간접 통기되도록, 상기 코돌출홈(1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코 주위 피부를 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직 코만 배치되는 작은 내부기체공간(134)이 구성되는 코 덮개부(130);
상기 좌우 밀착부(120)에 일체로 구성되며, 마스크(10)가 얼굴에 밀착 착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측두부에 배치되는 좌우 밴드부재(140); 및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입을 덮어 가리고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입 덮개부(3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which is opened to protrude the user's nose, and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which is opened to protrude the user's nose, and the chin support part 114 in which the lower jaw is inserted and fixe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face to improve skin conformability.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and the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ortions 121 and 122;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to seal the skin around the nose so as not to contact the nose protruding throug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o indirectly ventilat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only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filter unit 139 . By doing, the nose cover portion 130 is configured with a small internal gas space 134 disposed only the nose therein;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nd disposed on the user's side head so that the mask 10 can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th cover part (300) is additionally configured to cover the user's mouth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ovide aesthetic beauty.
전면에 사용자의 코가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코돌출홈(113)과 입이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입돌출홈(116)와 아래턱이 인입 고정되는 턱받침부(114)와 얼굴 피부에 밀착 접촉되어 피부 순응성을 갖는 좌우 밀착면(123)과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12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부(120);
상기 코돌출홈(113)을 통해 돌출되는 코와 접촉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필터부(139)를 통해서만 외부환경과 간접 통기되도록, 상기 코돌출홈(1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코 주위 피부를 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직 코만 배치되는 작은 내부기체공간(134)이 구성되는 코 덮개부(130);
상기 좌우 밀착부(120)에 일체로 구성되며, 마스크(10)가 얼굴에 밀착 착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귀에 거는 식으로 배치되는 좌우 귀걸이부(149); 및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입을 덮어 가리고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입 덮개부(3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which is opened so that the user's nose protrudes from the front,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which opens so that the mouth protrudes, and the chin support part 114 in which the lower jaw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face skin are in close contact to improve skin conformity.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contact surfaces 123 and the left and right upper/lower contour portions 121 and 122;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to seal the skin around the nose so as not to contact the nose protruding through the nose protrusion groove 113 and to indirectly ventilat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only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filter unit 139 . By doing, the nose cover portion 130 is configured with a small internal gas space 134 disposed only the nose therein;
The left and right earring parts 149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nd are arranged in a way that the mask 10 is worn on the user's ear so that the mask 10 can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th cover part (300) is additionally configured to cover the user's mouth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ovide aesthetic beaut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재사용이 가능하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얼굴피부와 긴밀하게 밀착 접촉되어 외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20 are reusable, have excellent elasticity,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face to prevent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of silicone to prevent inflow of external ai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상기 입 덮개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공(142)이 적어도 하나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귀 상부에 걸쳐 착용되고, 좌우 한 개씩 밴드부재만을 이용해 머리에 둘러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worn over the user's ear, and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rn around the head using only one band member on the left and r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는, 사용자 머리를 둘러 착용되도록 신축성이 뛰어나게 형성되고, 착용감 향상 및 사용자 모발과 면접촉 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폭이 2mm 내지 5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are formed with excellent elasticity to be worn around the user's head, and have a width of 2mm to 50mm in order to improve the fit and prevent the user's hair from flowing down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user's hair. Mask for inhalation protection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130)는 덮개부 바디(135), 코/입 분리벽체(133), 미간밀폐부(131), 밀폐쿠션(132), 필터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nose cover portion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portion body 135, a nose / mouth separation wall 133, a sealing portion between the eyebrows 131, an airtight cushion 132, and a filter portion 139.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미간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131b)는 높고, 가장자리부(131c)는 중앙부(131b)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losure part 131 between the eyebrows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with a high central portion 131b and a lower edge portion 131c than the central portion 131b in order to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brow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미간에 착용 불편함을 방지하고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는 사용자 미간 형상에 맞도록 들어 올려져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losure part 131 between the eyebrows is a harmful sub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is lifted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eyebrows and formed in an approximately “ ) ” shape in order to prevent discomfort of wearing between the eyebrows and to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eyebrows. Mask for inhalation protection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간밀폐부(131)는, 상기 미간밀폐부(131)가 동공간 사이에서부터 미간에 걸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코 클립(nose clip)(1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between sealing part 131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nose clip 136 in order to make the inter-glossy sealing part 131 more closely adhere from between the pupil spaces to the brow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 클립(nose clip)(136)은 상기 미간 밀폐부(131)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nose clip (nose clip) 136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or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131) between the eyebrow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쿠션(132)은, 사용자의 인중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132b)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부(132c)는 중앙부(132b)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aling cushion 13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132b is high, and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132c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132b in an approximately “⌒”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eal shape.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쿠션(132)은, 사용자 인중 부위에 따라 면접촉 밀폐시키기 위해 그 폭은 1mm 내지 4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aling cushion 132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formed to be 1mm to 40mm in order to seal the surface contact according to the user's pharyngeal reg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130)는, 일측면에 산소 공급장치, 공기 순환장치, 생체신호 측정장치, 가습장치, 향 발생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nose cover part 130 is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39)는,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을 위한 항균동(139a)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lter unit 139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for antibacterial and sterilization against viruses and bacteria is additionally configur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동(139a)은, 원활한 공기유통 및 통기성을 위해 다수개의 미세 기공(139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ne pores (139e) are formed for smooth air circulation and ventil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동(139a)은, 유해물질 차단 필터(139b)의 앞 또는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ntibacterial copper (139a) is a harmful substance inhalation prevention mask (10),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front or behind the harmful substance blocking filter (139b).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차단 필터(139b)는, 그 형상이 원형이거나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harmful substance blocking filter (139b)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a circle or a polygon including a quadrang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 덮개부(300)는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이미지나 문양이 인쇄되고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에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mouth cover part 300 is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an image or a pattern is printed for aesthetic beauty and configured in a detachable manner or permanently fixed to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 덮개부(300)는 대화용 공기홀(304)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mouth cover part 300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hole 304 for conversation is additionally configur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 덮개부(300)는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폴리에틸렌(PE), 천연고무,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mouth cover part 300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silicone, elastomer, polyethylene (PE),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fi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0)는 입돌출홈(116)을 통해 음료섭취가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mask 10 is a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drink intake is possible through the mouth protrusion groove (116).
사용자의 안면에 제1항의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가 착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크의 좌우 밴드부재(140)가 각각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턱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머리를 두를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좌우 밴드부재(140)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가 착용되는 방법.
As a method in which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of claim 1 is worn on the user's face,
adhering the chin support part 114 of the mask to the user's mandible front chin while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of the mask are respectively gripped;
The method of wearing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omprising: fixing the left and right band members 140 having sufficient elasticity to put the head on the user's head.
사용자의 안면에 제2항의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10)가 착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크의 좌우 귀걸이(149)가 각각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턱받침부(114)가 사용자의 하악 전(front)턱에 밀착되는 단계;
귀에 걸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상기 좌우 귀걸이(149)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가 착용되는 방법.
As a method in which the mask 10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of claim 2 is worn on the user's face,
adhering the chin support part 114 of the mask to the user's front jaw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of the mask are gripped, respectively;
The method of wearing a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left and right earring 149 having sufficient elasticity to be hung on the ear to the user's ear.
KR1020200040827A 2020-04-03 2020-04-03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KR102487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27A KR102487694B1 (en) 2020-04-03 2020-04-03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27A KR102487694B1 (en) 2020-04-03 2020-04-03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61A true KR20210123561A (en) 2021-10-14
KR102487694B1 KR102487694B1 (en) 2023-01-11

Family

ID=7815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27A KR102487694B1 (en) 2020-04-03 2020-04-03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6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542B1 (en) * 2022-01-05 2023-01-02 최충식 respiratory muscles trainer through resistance nasal breathing for improvemen that blood pressure, vascular function, pulmonary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49U (en) * 2008-05-23 2009-11-26 정용주 Double layer mask
KR20150133988A (en) * 2014-05-21 2015-12-01 최충식 Smart mask for healthcare service
KR20170025754A (en) * 2015-08-31 2017-03-08 김성태 Sterilization mask
KR102012157B1 (en) * 2019-04-16 2019-08-19 김강권 Adhesive type mask with elasticity b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49U (en) * 2008-05-23 2009-11-26 정용주 Double layer mask
KR20150133988A (en) * 2014-05-21 2015-12-01 최충식 Smart mask for healthcare service
KR20170025754A (en) * 2015-08-31 2017-03-08 김성태 Sterilization mask
KR102012157B1 (en) * 2019-04-16 2019-08-19 김강권 Adhesive type mask with elasticity b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542B1 (en) * 2022-01-05 2023-01-02 최충식 respiratory muscles trainer through resistance nasal breathing for improvemen that blood pressure, vascular function, pulmonary function
WO2023132557A1 (en) * 2022-01-05 2023-07-13 최충식 Respiratory muscle training device through resistance nasal breathing for improving blood pressure, vascular function, and lu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694B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13B1 (en) Smart mask for healthcare service
US20080223371A1 (en) Nose guard mask
KR100886253B1 (en) Disposable Mask
CN111358073A (en) High-sealing mask
CN111631459A (en) Multi-functional comfortable type gauze mask
KR102177023B1 (en) 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CN212036105U (en) Mouth-nose cavity separating type mask
KR102487694B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CN212382145U (en) Multi-functional comfortable type gauze mask
CN215653350U (en) Go into nose formula invisible nose cover with medicine carrying function
KR102273111B1 (en) Three-Dimensional mask guard for use with flat masks
CN211932720U (en) Novel antifog haze fragrant smell gauze mask
KR102284420B1 (en) Mask to induce deep sleep by preventing and treating snoring and rhinitis symptoms
CN2605879Y (en) Protective mask
JP2005006667A (en) Mask sheet
CN218073629U (en) Novel health care mask
CN106072914A (en) A kind of cavity straight type nasal breathes filter bag mask
TWM378000U (en) Structure of gauze mask
CN217390059U (en) Mouth-nose separable mask
JP4886088B1 (en) Moisturizing mask
KR102483542B1 (en) respiratory muscles trainer through resistance nasal breathing for improvemen that blood pressure, vascular function, pulmonary function
CN212260574U (en) Mask with air filter and air supply device
JP6932870B1 (en) Air mask
CN213077262U (en) Disposable nasal umbrella device
JP2019081984A (en) Oral cavity or mouth moisturiz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