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924A - 공구 - Google Patents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924A
KR20210105924A KR1020217021163A KR20217021163A KR20210105924A KR 20210105924 A KR20210105924 A KR 20210105924A KR 1020217021163 A KR1020217021163 A KR 1020217021163A KR 20217021163 A KR20217021163 A KR 20217021163A KR 20210105924 A KR20210105924 A KR 2021010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movable block
tool
screw ro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262B1 (ko
Inventor
준스케 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1010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23D29/02Hand-operated metal-sh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25B7/04Jaw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6Hand shears; Scissors with intermediate links between the grips and the blades, e.g. for remot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anipulator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공구의 작용부(예를 들어, 절단부 또는 파지부)에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공구는, 제1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1 부재와, 제2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2 부재와, 제1 부재를 제1 축 둘레로 회동시키고, 또한, 제2 부재를 제2 축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상태 변경시키는 상태 변경 기구를 구비한다. 상태 변경 기구는, 나사봉과,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되는 가동 블록과, 가동 블록과 제1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와, 가동 블록과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한다. 가동 블록이 나사봉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Description

공구
본 발명은, 공구, 특히, 대상물을 절단 또는 파지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을 절단 또는 파지하기 위한 공구(예를 들어, 절단 공구, 파지 공구)가 알려져 있다.
관련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전선 절단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 절단 공구에서는, 한 쌍의 조작봉을 개폐 조작함으로써, 전선이 절단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 절단 공구에서는, 한 쌍의 조작봉에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전선이 절단된다. 한 쌍의 조작봉이 서로 적당히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 조작봉에 큰 힘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나, 한 쌍의 조작봉이 서로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 조작봉에 큰 힘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전선이 절단되는 최종 단계에서는, 한 쌍의 조작봉은 서로 근접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당해 최종 단계에 있어서, 한 쌍의 조작봉에 큰 힘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10000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의 작용부(예를 들어, 절단부 또는 파지부)에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1) 파지 대상물 또는 절단 대상물인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1 작용부를 포함하고, 제1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1 부재와,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2 작용부를 포함하고, 제2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1 축 둘레로 회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축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상태 변경시키는 상태 변경 기구
를 구비하며,
상기 상태 변경 기구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되는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과 상기 제1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가동 블록과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블록이 상기 나사봉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공구.
(2)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은 동축인,
상기 (1)에 기재된 공구.
(3) 상기 가동 블록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공구.
(4)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가동 블록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기단부를 갖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가동 블록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기단부를 가지며,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기단부는,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기단부는,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5) 상기 나사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갖고,
상기 나사봉의 기단부는, 상기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6)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3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3 부재와,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4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4 부재
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7)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3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4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5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6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8)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1 아암 부재 및 제2 아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3 아암 부재 및 제4 아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암 부재의 기단부는, 제3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1 연결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 부재의 기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4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아암 부재의 기단부는, 제5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2 연결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4 아암 부재의 기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6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9) 상기 가동 블록,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중 임의의 5개의 부재가, 5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공구.
본 발명에 의해, 공구의 작용부(예를 들어, 절단부 또는 파지부)에 힘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의 개략 2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의 개략 2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5는, 가동 블록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의 개략 2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된 부재에 대해서,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의 개략 2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의 좌측에는, 공구(1A)의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1 및 도 3의 우측에는, 공구(1A)의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구(1A)의 측면도에 있어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제2 링크 부재(40)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5는, 가동 블록(23)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공구(1A)의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열림 상태이다. 열림 상태란,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와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SP) 내에, 절단 대상물 또는 파지 대상물을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또는,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SP)으로부터, 절단 대상물 또는 파지 대상물을 취출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절단 대상물」, 「파지 대상물」을 포괄적으로 「대상물」이라고 부른다. 바꿔 말하면, 「대상물」이란, 「절단 대상물 또는 파지 대상물」을 의미한다.
도 2에 있어서, 공구(1A)의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닫힘 상태이다. 닫힘 상태란,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대상물을 절단 가능 또는 파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공구(1A)가 파지 공구인 경우에는, 닫힘 상태는, 열림 상태와 비교하여, 제1 작용부(11a)와 제2 작용부(12a) 사이의 거리가 작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 공구(1A)가 절단 공구인 경우에는, 닫힘 상태란, 정면에서 봤을 때(즉, 후술의 제1 축(AX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제1 작용부(11a)인 제1 날부와 제2 작용부(12a)인 제2 날부가 크로스되어 있는 상태, 또는, 제1 날부와 제2 날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SP) 내에, 대상물이 배치된 후,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상태 변경되면,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대상물이, 절단 또는 파지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상태 변경 기구(2)를 구비한다.
제1 부재(11)는,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1 작용부(11a)를 포함한다. 공구(1A)가 절단 공구인 경우에는, 제1 작용부(11a)는 제1 날부이며, 공구(1A)가 파지 공구인 경우에는, 제1 작용부(11a)는 제1 파지부이다.
제1 부재(11)는, 제1 축(AX1)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핀 부재(P1)(제1 핀 부재)가,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 둘 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부재(11)는, 핀 부재(P1)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핀 부재(P1)의 중심축이, 제1 축(AX1)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는, 1개의 부품(예를 들어, 1개의 판형상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부재(11)는,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부재(12)는,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2 작용부(12a)를 포함한다. 공구(1A)가 절단 공구인 경우에는, 제2 작용부(12a)는 제2 날부이며, 공구(1A)가 파지 공구인 경우에는, 제2 작용부(12a)는 제2 파지부이다.
제2 부재(12)는, 제2 축(AX2)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12)는, 핀 부재(P1)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핀 부재(P1)의 중심축이, 제2 축(AX2)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의 회동축(제1 축(AX1))과 제2 부재(12)의 회동축(제2 축(AX2))이 동축인데, 제1 축(AX1)과 제2 축(AX2)은, 동축이 아닌 서로 평행한 축이어도 된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12)는, 1개의 부품(예를 들어, 1개의 판형상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제2 부재(12)는,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태 변경 기구(2)는, 제1 부재(11)를 제1 축(AX1) 둘레로 회동시키고, 또한, 제2 부재(12)를 제2 축(AX2)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상태 변경시킨다.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대상물은,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끼워진다. 그리고,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닫힘 상태가 되면, 대상물은,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절단 또는 파지된다.
상태 변경 기구(2)는, 나사봉(21)과, 나사봉(21)에 나사식 결합되는 가동 블록(23)과, 제1 링크 부재(30)와, 제2 링크 부재(40)를 포함한다.
나사봉(21)은,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는다. 나사봉(21)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제1 방향(DR1)은, 예를 들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나사봉(21)의 기단부로부터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로 향하는 방향이다. 한편, 나사봉(21)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블록(23)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제2 방향(DR2)은, 예를 들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로부터 나사봉(21)의 기단부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제1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이고, 제2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나사봉(21)의 선단부는, 고정 부재(22)를 개재하여, 핀 부재(P1)(제1 핀 부재)를 지지하는 핀 지지 부재(91)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나사봉(21)의 선단부는,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핀 지지 부재(91)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나사봉(21)의 회전이, 핀 지지 부재(91)에 의해서 방해될 일은 없다.
가동 블록(23)은, 나사봉(21)에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 구멍부(23h)를 갖는다. 나사 구멍부(23h)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블록(23)은, 나사봉(2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가동 블록(23)의 이동 스트로크는, 기단측 스토퍼(24a)와, 선단측 스토퍼(24b)에 의해서 규정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은, 1개의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가동 블록(23)은,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링크 부재(30)는, 가동 블록(23)과 제1 부재(11)를 연결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30)의 제1 기단부(30a)가, 제3 축(AX3)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가동 블록(23)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3)(제2 핀 부재)가, 제1 링크 부재(30) 및 가동 블록(23) 둘 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링크 부재(30)는, 핀 부재(P3)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30)의 선단부(30b)가, 제4 축(AX4)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1 부재(11)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4)(제3 핀 부재)가, 제1 링크 부재(30) 및 제1 부재(11) 둘 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링크 부재(30)는, 핀 부재(P4)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30)는, 1개의 부품(예를 들어, 1개의 판형상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링크 부재(30)는,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링크 부재(40)는, 가동 블록(23)과 제2 부재(12)를 연결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링크 부재(40)의 제2 기단부(40a)가, 제5 축(AX5)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가동 블록(23)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5)(제4 핀 부재)가, 제2 링크 부재(40) 및 가동 블록(23) 둘 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40)는, 핀 부재(P5)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링크 부재(40)의 선단부(40b)가, 제6 축(AX6)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2 부재(12)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6)(제5 핀 부재)가, 제2 링크 부재(40) 및 제2 부재(12) 둘 다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40)는, 핀 부재(P6)의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링크 부재(40)는, 1개의 부품(예를 들어, 1개의 판형상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제2 링크 부재(40)는,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에서는, 가동 블록(23)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상태가, 열림 상태(예를 들어, 제1 작용부(11a)와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SP) 내에 대상물을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서, 제2 상태(예를 들어, 대상물을 절단 가능 또는 파지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절단 또는 파지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도, 가동 블록(23)을 개재하여,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안정적으로 조작력을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상물이,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 및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절단 또는 파지되는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나사봉(21)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사봉(21)의 회전은, 예를 들어, 나사봉(21)의 기단부(21a)를 조작함으로써(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봉(21)의 기단부(21a)를,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나사봉(21)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블록(23)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가동 블록(23)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라서 이동하면, 가동 블록(23)과 제1 축(AX1)(또는 제2 축(AX2))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가동 블록(23)과 제1 축(AX1) 사이의 거리가 작아진다. 가동 블록(23)과 제1 축(AX1)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면, 제4 축(AX4)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가동 블록(23)과 제2 축(AX2) 사이의 거리가 작아진다. 가동 블록(23)과 제2 축(AX2)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면, 제6 축(AX6)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 축(AX4)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링크 부재(30)의 기단부는, 제3 축(AX3) 둘레를 회동하고, 제1 부재(11)는, 제1 축(AX1) 둘레를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가, 제2 작용부(12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6 축(AX6)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링크 부재(40)의 기단부는, 제5 축(AX5) 둘레를 회동하고, 제2 부재(12)는, 제2 축(AX2) 둘레를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가, 제1 작용부(1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작용부(11a)와 제2 작용부(12a)가 서로 가까워짐으로써, 대상물이,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절단 또는 파지된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이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가까워지는 방향(바꿔 말하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바꿔 말하면, 가동 블록(23)을, 선단측을 향해 밀어넣는 힘이,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한 대상물의 절단 또는 파지에 이용된다. 따라서, 작용부(11a, 12a)로의 힘의 전달 기구가 심플해지고, 또한, 가동 블록(23)의 이동이,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력 또는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력으로 효과적으로 변환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정면에서 봤을 때 제4 축(AX4)과 제1 축(AX1)을 연결하는 직선 L1과, 정면에서 봤을 때 제6 축(AX6)과 제2 축(AX2)(도 2에서는, 제2 축(AX2)과 제1 축(AX1)은 동축이다)을 연결하는 직선 L2 사이를 이루는 각도 β가, 비교적 크다. 이 경우, 절단 또는 파지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더 안정적으로 조작력을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도 β는, 예를 들어, 0도 이상 18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도 이상 180도 이하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축(AX1) 내지 제6 축(AX6)의 배치)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일 때에도 닫힘 상태일 때에도, 제1 축(AX1)은, 제3 축(AX3) 및 제4 축(AX4)보다 원위(遠位)측(제1 방향(DR1)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1 축(AX1)은, 제3 축(AX3) 및 제4 축(AX4)보다,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일 때에도 닫힘 상태일 때에도, 제2 축(AX2)은, 제5 축(AX5) 및 제6 축(AX6)보다 원위측(제1 방향(DR1)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2 축(AX2)은, 제5 축(AX5) 및 제6 축(AX6)보다,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일 때에도 닫힘 상태일 때에도, 제3 축(AX3)은, 제4 축(AX4)보다 기단측(제2 방향(DR2)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3 축(AX3)은, 제4 축(AX4)보다,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열림 상태일 때에도 닫힘 상태일 때에도, 제5 축(AX5)은, 제6 축(AX6)보다 기단측(제2 방향(DR2)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5 축(AX5)은, 제6 축(AX6)보다,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30), 제2 링크 부재(40) 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형상)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 제1 링크 부재(30), 제1 부재(11), 제2 부재(12), 및, 제2 링크 부재(40)가, 5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블록(23)이 당해 5각형의 저변에 대응한다.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가동 블록(23), 제1 링크 부재(30), 제1 부재(11), 제2 부재(12), 및, 제2 링크 부재(40)에 의해서 형성되는 5각형 형상의 폭(길이 방향 축(AX)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이 확대된다. 5각형 형상의 폭이 넓어짐으로써, 바꿔 말하면, 제4 축(AX4)과 제6 축(AX6) 사이의 거리가 확대됨으로써, 가동 블록(23)에 가해지는 힘이, 제1 링크 부재(30) 및 제2 링크 부재(40)를 개재하여,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정면에서 봤을 때 또는 배면에서 봤을 때, 제1 링크 부재(30)의 기단부(즉, 가동 블록(2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기단부(30a))는, 나사봉(21)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다. 또, 정면에서 봤을 때 또는 배면에서 봤을 때, 제2 링크 부재(40)의 기단부(즉, 가동 블록(2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기단부(40a))는, 나사봉(21)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정면에서 봤을 때 또는 배면에서 봤을 때, 제1 기단부(30a) 및 제2 기단부(40a)가, 나사봉(21)과 겹쳐져 있는 경우에 비하여, 링크 부재(30, 4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가동 블록(23)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공구(1A)는, 나사봉(21)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50)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50)는, 나사봉(21)이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봉(21)을 지지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나사봉(21)은, 베이스 부재(50)와, 핀 지지 부재(91)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50)는,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51)를 갖는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51)는, 결합 홈이다. 베이스 부재(50)가 원격 조작 공구에 연결됨으로써, 공구(1A)를, 작업자로부터 멀어진 대상물을 절단 또는 파지하는 공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조작 공구에 연결된 공구(1A)를, 가공 전선을 절단 또는 파지하기 위한 공구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원격 조작 공구의 길이는, 작업자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따라서, 원격 조작 공구의 길이는 임의이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나사봉(21)의 기단부(21a)는,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52)를 갖는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결합부(52)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부재(50)의 내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결합부(52)의 단면 형상(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예를 들어, 육각형 형상)이다. 단, 제2 결합부(52)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1A)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준비 공정으로서,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가 제1 결합부(51)에 결합되고,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가 제2 결합부(52)에 결합된다. 그 후, 원격 조작 공구가 조작되어,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가 운동한다(예를 들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회전한다).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가 운동하면, 가동부에 연결된 제2 결합부(52)가 운동한다(예를 들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회전한다). 제2 결합부(52)가 운동하면, 나사봉(21)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21)의 회전이,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개폐 운동으로 변환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설명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당해 메커니즘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공구(1A)는, 나사봉(21)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50)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50)가,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51)를 갖는다. 따라서, 공구(1A)를, 작업자로부터 멀어진 대상물을 절단 또는 파지하는 공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공구(1A)는,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51)에 더해,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52)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1 결합부(51)를 개재하여 지지된 공구(1A)를, 제2 결합부(52)를 개재하여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3 부재(13) 및 제4 부재(14))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공구(1A)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더해, 제3 부재(13) 및 제4 부재(14)를 구비한다. 제3 부재(13)는, 파지 대상물 또는 절단 대상물인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3 작용부(13a)를 갖고, 제4 부재(14)는, 파지 대상물 또는 절단 대상물인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4 작용부(14a)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작용부(11a)가 제1 날부이고, 제2 작용부(12a)가 제2 날부이며, 제3 작용부(13a)가 제1 파지부이고, 제4 작용부(14a)가 제2 파지부이다. 이 경우, 대상물이 제3 작용부(13a) 및 제4 작용부(14a)에 의해서 파지된 상태로, 당해 대상물을,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시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위치 편차가 억제된다. 대체적으로,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가 파지부이며, 제3 작용부(13a) 및 제4 작용부(14a)가 절단부여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13)는, 제1 축(AX1)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재(13)는, 핀 부재(P1)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부재(11) 및 제3 부재(13)가 공통의 축(제1 축(AX1)) 둘레를 회동 가능함에 따라, 제1 부재(11)와 제3 부재(13)의 제휴(파지 동작과 절단 동작의 제휴)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4 부재(14)는, 제2 축(AX2)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 부재(14)는, 핀 부재(P1)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부재(12) 및 제4 부재(14)가 공통의 축(제2 축(AX2)) 둘레를 회동 가능함에 따라, 제2 부재(12)와 제4 부재(14)의 제휴(파지 동작과 절단 동작의 제휴)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제1 축(AX1)과 제2 축(AX2)은, 동축이어도 되고, 동축이 아니어도 된다.
공구(1A)는, 제3 부재(1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작용부(13a)) 및 제4 부재(14)(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 작용부(14a))를,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9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탄성 가압 부재(92)는, 예를 들어, 제1 단부가 제3 부재(13)에 접촉하고, 제2 단부가 제4 부재(14)에 접촉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공구(1A)가 탄성 가압 부재(92)를 구비하는 경우, 제3 작용부(13a) 및 제4 작용부(14a)에 의한 대상물의 파지를, 탄성 가압 부재(92)의 탄성 가압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대상물의 파지가, 탄성 가압 부재(92)의 탄성 가압력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경우에는, 대상물에 과잉인 파지력이 작용할 일이 없다. 따라서, 제3 작용부(13a) 및 제4 작용부(14a)가 대상물을 파지함으로써, 대상물이 손상될 일이 없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13)는, 제1 부재(11)에 의해서 조작되는 제1 조작부(131)를 구비한다. 또, 제4 부재(14)는, 제2 부재(12)에 의해서 조작되는 제2 조작부(141)를 구비한다.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상태 변경될 때, 제1 부재(11)는 제1 조작부(131)를 압압(押壓)하고, 제2 부재(12)는 제2 조작부(141)를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제3 부재(1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작용부(13a)) 및 제4 부재(14)(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 작용부(14a))가, 탄성 가압 부재(92)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상태 변경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제1 조작부(131)를 압압하는 것은, 제1 부재(11)의 아암부(11b)(제1 축(AX1)보다 기단측의 부분)이며, 제2 조작부(141)를 압압하는 것은, 제2 부재(12)의 아암부(12b)(제2 축(AX2)보다 기단측의 부분)이다.
(가동 블록(23))
도 5를 참조하여, 가동 블록(23)의 일례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동 블록(23)은, 평면에서 봤을 때(바꿔 말하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중앙 영역에 나사 구멍부(23h)를 갖는다. 또, 가동 블록(23)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링크 부재(30)의 제1 기단부(30a)를 받아들이는 제1 오목부(23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 홈)와, 제2 링크 부재(40)의 제2 기단부(40a)를 받아들이는 제2 오목부(23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홈)를 갖는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오목부(231) 및 제2 오목부(232)는, 가동 블록(23)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오목부(231) 및 제2 오목부(232)는, 나사 구멍부(23h)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231)는, 나사 구멍부(23h)에 대해서, 제2 오목부(232)와 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동 블록(23)에 작용하는 힘이, 제1 오목부(231)에 배치된 제1 링크 부재(30)와, 제2 오목부(232)에 배치된 제2 링크 부재(40)에 대략 균등하게 전달된다. 또한,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바꿔 말하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제1 오목부(231)의 중심 C1과 제2 오목부(232)의 중심 C2를 통과하는 직선 L3이, 가동 블록(23)의 폭 방향에 평행한 직선 L4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오목부(231)의 중심 C1과 제2 오목부(232)의 중심 C2를 통과하는 직선 L3이, 가동 블록(23)의 폭 방향에 평행한 직선 L4와 평행이어도 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에, 핀 부재(P3)를 수용하는 제1 수용 구멍(233)과, 핀 부재(P5)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30)가 제1 오목부(231)에 배치된 상태로, 핀 부재(P3)가 제1 수용 구멍(233)에 삽입됨으로써, 제1 링크 부재(30)가 핀 부재(P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제2 링크 부재(40)가 제2 오목부(232)에 배치된 상태로, 핀 부재(P5)가 제2 수용 구멍(234)에 삽입됨으로써, 제2 링크 부재(40)가 핀 부재(P5)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수용 구멍(233)의 연장 방향은, 나사 구멍부(23h)의 연장 방향과 수직이다. 또, 제2 수용 구멍(234)의 연장 방향은, 제1 수용 구멍(233)의 연장 방향과 평행이다. 제1 수용 구멍(233)과 나사 구멍부(23h) 사이의 거리는, 제2 수용 구멍(234)과 나사 구멍부(23h)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B)의 개략 2면도이다. 도 6의 좌측에는, 공구(1B)의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6의 우측에는, 공구(1B)의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B)는, 제1 링크 부재(30)가, 제1 아암 부재(31) 및 제2 아암 부재(32)를 포함하고, 제2 링크 부재(40)가, 제3 아암 부재(41) 및 제4 아암 부재(42)를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이 완료된 사항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이 완료된 사항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와 동일하게,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상태 변경 기구(2)를 구비하고, 상태 변경 기구(2)는, 나사봉(21)과, 가동 블록(23)과, 제1 링크 부재(30)와, 제2 링크 부재(40)를 포함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축(AX1)(또는, 핀 부재(P1))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는, 연결 부재(9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93) 및 제1 부재(11)에는, 핀 부재(P7)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제1 부재(11)는, 핀 부재(P7)의 중심축 둘레를, 연결 부재(9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다. 또, 연결 부재(93) 및 제2 부재(12)에는, 핀 부재(P8)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제2 부재(12)는, 핀 부재(P8)의 중심축 둘레를, 연결 부재(9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축(AX1)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연결 부재(9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도 1에 기재된 예와 같이, 제1 축(AX1)이,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핀 부재(P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반대로, 도 6에 예시된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 사이의 연결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는, 제1 파지부이며,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는, 제2 파지부이다. 대체적으로, 제1 작용부(11a)가 제1 날부이며, 제2 작용부(12a)가 제2 날부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사봉(21) 및 가동 블록(23)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나사봉(21) 및 가동 블록(23)의 형상 또는 구조에 임의의 개량이 가해져도 상관없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도 1에 기재된 예와 동일하게, 나사봉(21)의 선단부는, 고정 부재(22)를 개재하여, 핀 지지 부재(91)에 연결되어 있다. 단, 핀 지지 부재(91)가 지지하는 핀 부재가,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핀 부재(P1)(제1 핀 부재)인 것 비해,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후술의 핀 부재(P9)(제6 핀 부재)이다.
제1 링크 부재(30)는, 제1 아암 부재(31) 및 제2 아암 부재(32)를 포함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아암 부재(31)의 기단부가, 제3 축(AX3)(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3))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가동 블록(23)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아암 부재(31)의 선단부는, 제1 연결축(AC1)(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10)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아암 부재(32)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2 아암 부재(32)의 선단부는, 제4 축(AX4)(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4))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1 부재(1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40)는, 제3 아암 부재(41) 및 제4 아암 부재(42)를 포함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아암 부재(41)의 기단부가, 제5 축(AX5)(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5))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가동 블록(23)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3 아암 부재(41)의 선단부는, 제2 연결축(AC2)(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11)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4 아암 부재(42)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4 아암 부재(42)의 선단부는, 제6 축(AX6)(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부재(P6))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제2 부재(12)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동 블록(23)에 작용하는 힘이, 제1 링크 부재(3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암 부재(31) 및 제2 아암 부재(32))를 개재하여, 제1 부재(11)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가동 블록(23)에 작용하는 힘이, 제2 링크 부재(4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아암 부재(41) 및 제4 아암 부재(42))를 개재하여, 제2 부재(12)에 전달된다.
또한,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아암 부재(32)가,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 가능하고, 제4 아암 부재(42)가,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아암 부재(32)의 중간부(제1 연결축(AC1)과 제4 축(AX4) 사이의 부분), 및, 제4 아암 부재(42)의 중간부(제2 연결축(AC2)과 제6 축(AX6) 사이의 부분)가, 제3 연결축(AC3)을 통과하는 핀 부재(P9)에 의해서 축 지지되어 있다. 또, 제2 아암 부재(32)와 제4 아암 부재(42)는, 제3 연결축(AC3)에 있어서, 서로 크로스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상물이,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 및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절단 또는 파지되는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나사봉(21)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사봉(21)의 회전은, 예를 들어, 나사봉의 기단부(21a)를 조작함으로써(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봉(21)의 기단부(21a)를,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나사봉(21)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블록(23)이,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가동 블록(23)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가동 블록(23)과 제3 연결축(AC3)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블록(23)과 제3 연결축(AC3)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리고, 가동 블록(23)과 제3 연결축(AC3)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제1 연결축(AC1)(및 제2 연결축(AC2))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연결축(AC1)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아암 부재(31)의 기단부는, 제3 축(AX3) 둘레를 회동하고, 제2 아암 부재(32)는,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한다. 제2 아암 부재(32)가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하여, 제2 아암 부재(32)의 선단부가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부재(11)가 제1 축(AX1) 둘레를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부재(11)의 제1 작용부(11a)가, 제2 작용부(12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2 연결축(AC2)이, 나사봉(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아암 부재(41)의 기단부는, 제5 축(AX5) 둘레를 회동하고, 제4 아암 부재(42)는,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한다. 제4 아암 부재(42)가 제3 연결축(AC3) 둘레를 회동하여, 제4 아암 부재(42)의 선단부가 나사봉(21)의 길이 방향 축(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부재(12)가 제1 축(AX1) 둘레를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부재(12)의 제2 작용부(12a)가, 제1 작용부(1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작용부(11a)와 제2 작용부(12a)가 서로 가까워짐으로써, 대상물이, 제1 작용부(11a) 및 제2 작용부(12a)에 의해서, 파지 또는 절단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구(1A)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각 링크 부재(30, 40)가, 2개의 아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데, 각 링크 부재가 구비하는 아암 부재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아암 부재(32)와 제4 아암 부재(42)가 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제2 아암 부재(32) 및 제4 아암 부재(42) 이외의 2개의 부재가 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동 블록(23), 제1 아암 부재(31), 제2 아암 부재(32), 제3 아암 부재(41), 및, 제4 아암 부재(42)가, 5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5각형 형상에 배치되는 부재는, 가동 블록(23), 제1 아암 부재(31), 제2 아암 부재(32), 제3 아암 부재(41), 및, 제4 아암 부재(42)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블록(23),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제1 링크 부재(30)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40)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중 임의의 5개의 부재가, 5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는 적당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공구를 이용하면, 공구의 작용부에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파지 공구 또는 절단 공구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업자, 및, 파지 공구 또는 절단 공구 등의 공구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게 유용하다.
1, 1A, 1B…공구, 2…상태 변경 기구, 11…제1 부재, 11a…제1 작용부, 11b…아암부, 12…제2 부재, 12a…제2 작용부, 12b…아암부, 13…제3 부재, 13a…제3 작용부, 14…제4 부재, 14a…제4 작용부, 21…나사봉, 21a…기단부, 22…고정 부재, 23…가동 블록, 23h…나사 구멍부, 24a…기단측 스토퍼, 24b…선단측 스토퍼, 30…제1 링크 부재, 30a…제1 기단부, 30b…선단부, 31…제1 아암 부재, 32…제2 아암 부재, 40…제2 링크 부재, 40a…제2 기단부, 40b…선단부, 41…제3 아암 부재, 42…제4 아암 부재, 50…베이스 부재, 51…제1 결합부, 52…제2 결합부, 91…핀 지지 부재, 92…탄성 가압 부재, 93…연결 부재, 131…제1 조작부, 141…제2 조작부, 231…제1 오목부, 232…제2 오목부, 233…제1 수용 구멍, 234…제2 수용 구멍, AC1…제1 연결축, AC2…제2 연결축, AC3…제3 연결축, AX…길이 방향 축, AX1…제1 축, AX2…제2 축, AX3…제3 축, AX4…제4 축, AX5…제5 축, AX6…제6 축, P1, P3~P11…핀 부재, SP…공간

Claims (10)

  1. 파지 대상물 또는 절단 대상물인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1 작용부를 포함하고, 제1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1 부재와,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2 작용부를 포함하고, 제2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1 축 둘레로 회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축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상태 변경시키는 상태 변경 기구
    를 구비하며,
    상기 상태 변경 기구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식 결합되는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과 상기 제1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가동 블록과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2 링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블록이 상기 나사봉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은 동축인,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공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공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가동 블록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기단부를 갖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가동 블록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기단부를 가지며,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기단부는,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기단부는,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는, 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원격 조작 공구의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갖고,
    상기 나사봉의 기단부는, 상기 원격 조작 공구의 가동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공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3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3 부재와,
    상기 대상물에 접촉 가능한 제4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한 제4 부재
    를 더 구비하는, 공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3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4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5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6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공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제1 아암 부재 및 제2 아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제3 아암 부재 및 제4 아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암 부재의 기단부는, 제3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1 연결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 부재의 기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4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아암 부재의 기단부는, 제5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2 연결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4 아암 부재의 기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아암 부재의 선단부는, 제6 축 둘레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공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아암 부재 중 임의의 5개의 부재가, 5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공구.
KR1020217021163A 2018-12-26 2019-11-01 공구 KR10267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2611 2018-12-26
JPJP-P-2018-242611 2018-12-26
PCT/JP2019/042991 WO2020137158A1 (ja) 2018-12-26 2019-11-01 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924A true KR20210105924A (ko) 2021-08-27
KR102670262B1 KR102670262B1 (ko) 2024-05-29

Family

ID=7112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163A KR102670262B1 (ko) 2018-12-26 2019-11-01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86463B2 (ko)
KR (1) KR102670262B1 (ko)
CN (1) CN215881316U (ko)
TW (1) TWI801700B (ko)
WO (1) WO202013715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728A (ja) * 1994-12-05 1996-06-21 Toshin Denki Kk 電線切断工具
JP2010172622A (ja) * 2009-01-30 2010-08-12 Max Co Ltd 電動はさみ
JP2014100007A (ja) 2012-11-15 2014-05-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切断工具
KR20160082257A (ko) * 2013-12-27 2016-07-0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WO2018083807A1 (ja) * 2016-11-04 2018-05-11 株式会社永木精機 切断工具
JP2018126033A (ja) * 2017-02-03 2018-08-09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切断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6761B2 (ja) 2000-10-19 2002-12-16 西日本電線株式会社 被覆屑落下防止付き電線皮剥ぎ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728A (ja) * 1994-12-05 1996-06-21 Toshin Denki Kk 電線切断工具
JP2010172622A (ja) * 2009-01-30 2010-08-12 Max Co Ltd 電動はさみ
JP2014100007A (ja) 2012-11-15 2014-05-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切断工具
KR20160082257A (ko) * 2013-12-27 2016-07-0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WO2018083807A1 (ja) * 2016-11-04 2018-05-11 株式会社永木精機 切断工具
KR20180133483A (ko) * 2016-11-04 2018-12-14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절단 공구
JP2018126033A (ja) * 2017-02-03 2018-08-09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切断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262B1 (ko) 2024-05-29
TW202027937A (zh) 2020-08-01
JPWO2020137158A1 (ja) 2021-10-21
CN215881316U (zh) 2022-02-22
JP7186463B2 (ja) 2022-12-09
WO2020137158A1 (ja) 2020-07-02
TWI801700B (zh)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677B1 (de) Verfahren zum Handhaben von Objekten mittels wenigstens zweier Industrieroboter
EP3402635B1 (de) Greifer mit wenigstens einem adaptiven greiferfinger
WO2019126863A8 (en) Microsurgery-specific haptic hand controller
EP1714750B1 (en) Robot hand comprising gripping claws
RU2596540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машина для пробивки и лазерной резки плоск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листа
KR20180005953A (ko) 파지 장치
CN106413999B (zh) 抓取装置、机器人系统和用于抓取工件的方法
KR20210105924A (ko) 공구
JP2006205344A (ja) マイクロマニュピュレータ
AU2020202083A1 (en) Cutting tool
DE102017211580B4 (de) Universeller endeffektor für einen manipulator
JP5442817B2 (ja) 間接活線把持工具
RU2807612C2 (ru) Инструмент
EP0062071B1 (en) Through double hand
CN103671380A (zh) 插销连接结构
JP2007083339A (ja) 開閉型工具用自動開閉構造
KR20210113257A (ko)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KR20210113258A (ko)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JP5365156B2 (ja) ロボット装置
KR20160014570A (ko) 선재용 커터
DE102013011595B4 (de) Umformverfahren und Umformvorrichtung
WO2021111597A1 (ja) 掴線器、および、線材切分工具
JP2014000645A (ja)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嵌合物の製造方法
KR20210002700A (ko) 전선 절분 공구
JP6912057B2 (ja) ヤット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