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73A -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73A
KR20210100873A KR1020200014777A KR20200014777A KR20210100873A KR 20210100873 A KR20210100873 A KR 20210100873A KR 1020200014777 A KR1020200014777 A KR 1020200014777A KR 20200014777 A KR20200014777 A KR 20200014777A KR 20210100873 A KR20210100873 A KR 20210100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housing
conductive
button
pres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Original Assignee
김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성 filed Critical 김희성
Priority to KR102020001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873A/ko
Publication of KR202101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가 개방된 통체의 비전도성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 상부를 통하여 삽입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전도성 가압버튼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압버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압버튼과 연동되게 결합되어 상하로 동작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전도성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기능 또는 반복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버튼 상에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을 위치시켜놓고 누름을 통한 선택적 전기신호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Conductive press button for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따라 전도성 버튼이 터치스크린에 접촉 및 비접촉 상태로 됨으로서 터치스크린으로 전기가 전도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저항막/광학/정전용량/초음파/압력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기기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인덕션, 키오스크, ATM, 게임기 등이 있으며, 동작 방법에 따라 저항막(감압)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예가 차츰 증대되고 있는데,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방식은 사람의 몸에 있는 정전 용량을 이용해 전류의 양이 변경된 부분을 감지해서 동작하는 원리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키보드와 같은 기계적 타이핑 수단이 아닌 스크린 상을 터치를 함으로써 타이핑 또는 명령을 하게 됨에 따라 오타가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과 같은 발열기기의 경우에는 유아나 애완동물에 의해서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원의 터치에 따른 발열기기의 작동에 따라 화재 등의 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이나 휴대푠, 스마트폰, 키오스크 등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며 "엔터(Enter)"와 같은 주요 기능 또는 반복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버튼의 경우에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0747호. 2011.12.30.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기능 또는 반복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버튼 상에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을 위치시켜놓고 누름을 통한 선택적 전기신호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터치버튼에 정전신호가 의도치않게 제공되어 발열기기 등의 전원이 켜져 위험이 발생되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가 개방된 통체의 비전도성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 상부를 통하여 삽입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전도성 가압버튼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압버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압버튼과 연동되게 결합되어 상하로 동작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전도성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가압버튼에 외력이 작용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압버튼에 외력이 제거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시키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의 하단과 상기 접촉부재가 관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부면에 상기 탄성지지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삽입 안착되고 저면에 상기 접촉부재가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고무, 우레탄 물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주요 기능 또는 반복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버튼 상에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을 위치시켜놓고 누름을 통한 선택적 전기신호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버튼에 전기신호가 의도치않게 제공되어 발열기기 등의 전원이 켜져 위험이 발생되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가압 전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이 인덕션 상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따라 전도성 버튼이 터치스크린에 접촉 및 비접촉 상태로 됨으로서 터치스크린으로 전기가 전도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요 기능 또는 반복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버튼 상에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을 위치시켜놓고 누름을 통한 선택적 전기신호 제공이 가능하게 하며, 터치버튼에 전기신호가 의도치않게 제공되어 발열기기 등의 전원이 켜져 위험이 발생되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의 가압 전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이 인덕션 상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300)은 크게 하우징(100), 지지부재(200), 가압버튼(300), 탄성지지체(400) 및 접촉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상하가 개방된 통체로 이루어지고, 재질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터치스크린 상에 놓여졌을 때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200)는 지지체(210)와 지지체(210)의 중간을 관통하는 연통홀(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21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를 구획시킨다.
상기은, 상기 지지체(210)를 통하여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내부를 연통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2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300)의 하단과 상기 접촉부재(500)가 관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지지체(400)는 상기 지지부재(200)와 상기 가압버튼(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버튼(300)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체(400)는 중심이 관통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이루어져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체(400)의 볼록한 부분이 외력에 의하여 가압되며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볼록한 형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체(400)가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볼록한 형태로 돌아옴에 따라 상기 가압버튼(300)이 외력에 의하여 하부로 눌려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오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500)는 상기 하우징(100)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압버튼(300)과 연동되게 결합되어 상하로 동작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50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버튼(300)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됨에 따라 사람이 손으로 접촉을 하면 전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500)는 상기 가압버튼(300)에 외력이 작용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압버튼(300)에 외력이 제거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터치스크린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210)는 상부면에 상기 탄성지지체(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11)은 상기 탄성지지체(400)는 중심이 관통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통홀(220)과 연통되도록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하우징(100) 상부에 위치되는 가압버튼(300)의 하단과 하우징(100) 하부에 위치되는 접촉부재(500)의 상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사람이 신체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버튼(300) 접촉하게 되면 접촉부재(500)의 하단까지 전도시킬 수 있게되며, 상기 접촉부재(500)가 하부로 이동하여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하면 전기신호를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버튼(3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기 접촉부재(500)가 외력에 따라 하부로 내려가 터치스크린의 표면과 접촉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재(500)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접촉부재(500)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벗어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터치스크린과 접촉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력은 정전기를 보유한 사람의 손을 통하여 눌러지는 힘이며, 사람의 손이 가압버튼(300)을 눌러 접촉부재(500)가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하게 되면 가압버튼(300)과 접촉부재(500)가 전동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손에서 제공되는 정전기를 전도시켜 터치스크린에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이 내부에 삽입 안착되고 저면에 상기 접촉부재(50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홀(610)이 형성되는 커버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이 터치스크린과 접촉이 되지 않도록 내부를 향하여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단 중심에는 상기 접촉부재(500)의 상하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이동홀(610)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500)가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것에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0)는 고무, 우레탄 물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비전도성이며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200 : 지지부재
210 : 지지체
211 : 가이드홈
220 : 연통홀
300 : 가압버튼
400 : 탄성지지체
500 : 접촉부재
600 : 커버부재
610 : 이동홀

Claims (6)

  1. 상하가 개방된 통체의 비전도성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상부를 통하여 삽입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전도성 가압버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압버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
    상기 하우징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압버튼과 연동되게 결합되어 상하로 동작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전도성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가압버튼에 외력이 작용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압버튼에 외력이 제거되면 하단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시키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의 하단과 상기 접촉부재가 관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부면에 상기 탄성지지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삽입 안착되고 저면에 상기 접촉부재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고무, 우레탄 물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KR1020200014777A 2020-02-07 2020-02-07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KR20210100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77A KR20210100873A (ko) 2020-02-07 2020-02-07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77A KR20210100873A (ko) 2020-02-07 2020-02-07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73A true KR20210100873A (ko) 2021-08-18

Family

ID=7746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777A KR20210100873A (ko) 2020-02-07 2020-02-07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8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747B1 (ko) 2010-06-10 2011-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용 키보드/키패드가 결합된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747B1 (ko) 2010-06-10 2011-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용 키보드/키패드가 결합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7499B (zh) 电子装置的埋入式按键
TWI489503B (zh) 力回饋鍵盤結構
CN114945417A (zh) 具有富含传感器的控件的控制器
JP5415970B2 (ja) スイッチ機構並びに入力装置
KR102156515B1 (ko) 탄력성을 가진 부재를 활용한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JP2010534899A (ja) 指先触覚入力装置
GB2332648A (en) Keyboard wherein the spacing between keys can be adjusted
US10488943B2 (en) Key structure
KR101094146B1 (ko) 정전용량식 가속 버튼 어셈블리
KR20210100873A (ko)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KR101904899B1 (ko) 전기 형태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방법 및 데이터 입력 장치
TW201810325A (zh) 按鍵板及包含按鍵板的可攜式電子裝置
CN108091513B (zh) 能够反馈按压深度的按键及其键盘
KR100468952B1 (ko) 광 센서를 이용한 키 입력장치 및 방법
TWI731568B (zh) 用於電子裝置之觸控板總成
CN110391106A (zh) 键盘装置
KR200447501Y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한영전환키
CN106298327A (zh) 按键及其键盘
KR20070041094A (ko)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JP2015088158A (ja) 入力装置
KR20140115195A (ko)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KR102192137B1 (ko) 선택적 직간접 접촉 방식의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가압버튼
TWI755103B (zh) 外接式鍵盤與可攜式電子裝置
KR20180106001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20030083021A1 (en) Keyp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