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495A -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 Google Patents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495A
KR20210099495A KR1020200076771A KR20200076771A KR20210099495A KR 20210099495 A KR20210099495 A KR 20210099495A KR 1020200076771 A KR1020200076771 A KR 1020200076771A KR 20200076771 A KR20200076771 A KR 20200076771A KR 20210099495 A KR20210099495 A KR 2021009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ormwork
side plate
plate
we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진
신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데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데크
Priority to KR102020007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495A/en
Publication of KR2021009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49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formwork, which can weld and install a deck while molding a beam of a building. The bea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rmwork body including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vertically erect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 stirrup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formwork body to reinforc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a fixing bar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and including a first fixing ba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fixing ba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a side plate; and a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plate of the formwork body, and reinforcing the side plate to weld and install a deck. The reinforcing plate is thicker than the side plate. Accordingly, safety can be secured during construction.

Description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본 발명은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전성과 다양한 데크를 현장에서 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formwork to which a deck can be weld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am formwork in which a deck that can be easily fix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with structural safety and various decks can be welded.

보 거푸집은 철근 콘크리트구조나 철골 철근 콘크리트구조 공사 등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에 필요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제거해 버리는 가설재로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중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특히, 강성이 크고 가격은 저렴한 거푸집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자중이 상당하고, 무거운 재료를 높은 곳에서 조립하고 해체하는 작업에는 위험성이 수반되기도 한다.Beam formwork is a structure temporarily installed in order to make concrete having fluidity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ormwork is a temporary material that is requir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until the concrete is cured to a certain extent and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It is a cumbersome process. In particular, since a high-rigidity and low-priced formwork is used, the formwork's own weight is considerable, and the work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heavy materials at a high place is sometimes accompanied by risks.

이러한 보 거푸집(1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본체(20), 스트럽(30) 및 스페이서(40)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본체(20)는, 하부판(21)과 하부판(21)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판(22)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This beam formwork 10 includes a formwork body 20 , a stirrup 30 and a spacer 40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ormwork body 20 is composed of a lower plate 21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s 22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21 so as to pour concrete therein.

이러한 보 거푸집(10)에는 수평구조체인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데크가 설치되는데, 보 거푸집에서 제작되는 보는 슬라브를 떠받쳐주면서도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받아서 기둥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 거푸집과 데크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데크 강판을 보 거푸집의 상단에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작업을 진행하며, 탈형데크의 경우 하부강판이 상기 보 거푸집에 고정되어 있어서 분리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 데크를 보 거푸집에 피스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작업도 쉽지 않아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A deck for manufacturing the slab, which is a horizonta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beam formwork 10, and the beam manufactured from the beam formwork receives the vertical load applied while supporting the slab and transmits it to the column. In order to combine the beam form and the deck with each other, conventionally, the deck steel plate is fixed by using a piece at the top of the beam form, and in the case of the demolding deck, the lower steel plate is fixed to the beam form, so it cannot be separated. there will b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combine the deck with the beam form by a piece at the si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한편, 데크를 보 거푸집에 용접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으나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철판은 그 두께가 1mm에 불과하여 용접작업이 쉽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welding the deck to the beam formwork is also being considered, but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beam formwork is only 1mm, so the welding operation is not easy,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actual fiel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데크를 용접고정하기 용이한 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 technical purpose to provide a beam formwork that secures structural safety and is easy to weld and fix the deck.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은,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있어서,The bea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eam formwork that forms a beam of a building and a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연결형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a formwork body comprising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that is vertically erect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스트럽;a stirrup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formwork body to reinforc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로서,A fixing bar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바; 및a fixing bar comprising a first fixing ba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fixing ba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판 상부에 배치되고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도록 측판을 보강하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되,A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side plate of the formwork body and reinforcing the side plate so that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The reinforcing plate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ide plat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측판의 두께를 t2라고 하였을 때, t1 > 2 ×t2일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is t 1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is t 2 , t 1 > 2 × t 2 may b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측판은, The side plate is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장부의 상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A side plate body and a first extension part bent inwardly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측판은, The side plate is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Comprising a side plate body, a first extension part bent inwardly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and a seating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ward in a state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제1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의 하면과 측판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는 밀실용 점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An adhesive tape for a hermetic seal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and the side plat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제2고정바는, 측판에서 멀어질수록 상향경사져서 콘크리트가 밀실충진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ixing bar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crete can be filled in a closed room by being inclined upward as it goes away from the side plat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제1고정바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fixing bar may have a straight or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제1고정바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단면구조와 T자형 단면구조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The first fixing bar may be a mixture of a straight or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자형 단면구조는 하부판의 중앙에 설치되고 일자형 단면구조는 그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The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and the straigh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측판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고 외부의 설치물이 거치될 수 있는 "Z"자형 보강대가 마련될 수 있다.A "Z"-shape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late and on which an external installation can be mounted may be provided.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측판의 상부에 배치된 보강플레이트에 일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ㄴ"자형 엔드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An "L"-shaped end plate that protrudes outward with one end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late and into which concrete can be poured may be fixedly install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 거푸집은,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있어서,In the beam formwork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beam is formed in the building and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a formwork body comprising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plate;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스트럽;a stirrup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formwork body to reinforc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 및a fixing bar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and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절곡부분의 상면에 데크가 용접될 수 있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되,A reinforcing plate that is fixed to the bent part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at the deck can b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part,

상기 측판과 하부판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데크와의 용접과정에서 보강플레이트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The side plate and the lower plate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the reinforcing plate may not be damaged in the welding process with the deck because the reinforcing plate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ide plate.

상기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서, In the beam formwork to which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절곡부분에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plate by a screw.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본체에 데크가 용접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별도로 고정설치하여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탈형데크 또는 단열데크 등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overall structural safety by separately fixing and installing a reinforcement plate to which the deck is welded to the formwork body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demolding deck or the insulation deck.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 이용하여 단차 시공부위 및 일반합판 거푸집의 걸침부가 확보되고, 켄틸레버형 단부 엔드 플레이트 고정 작업 등 많은 응용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시 안전성을 확보 할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afety during construction by using a reinforcing plate to secure the step construction site and the clasp of the general plywood formwork, and utilize many applied technologies such as cantilever-type end plate fixing work.

도 1은 종래의 보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거푸집본체와 보강플레이트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보 거푸집에 비탈형 데크, 탈형데크, 단열데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의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4은 도 12의 보 거푸집에 일반 형틀 슬라브, 합판 탈형 데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의 도면.
도 16는 도 15의 보 거푸집의 설치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eam formwork.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formw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body and the reinforcing plate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beam formwork of Figure 3;
6 to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ope-type deck, a demolding deck, and an insulation deck are installed in the beam formwork of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a beam formwor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a beam formwor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of a beam formwork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a beam formw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formwork slab and a plywood demolding deck are installed in the beam formwork of FIG. 12 .
Fig. 15 is a view of a beam formwor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installation view of the beam formwork of Figure 1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specific descriptions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including", "having", etc. are open-ended terms connot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 same applies t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component, or a new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connected or may be connected via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s regarding components are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보 거푸집은, 고정용접 작업이 필요한 데크(비탈형 데크, 탈형데크, 단열데크)의 단부에 용접이 가능한 무해체 보 거푸집에 대한 것으로서 데크의 단부가 하단을 보 거푸집의 용접하여 기존의 피스 고정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상의 안전을 확보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 거푸집에는 1mm 의 두께를 가지는 보 거푸집 본체의 상단에 2~3mm 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플레이트를 부착설치하고, 이 보강플레이트의 상면에 데크 단부 하단을 용접 고정시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bea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a non-destructible beam formwork that can be welded to the end of the deck (slope type deck, demolding deck, insulating deck) requiring fixed welding work, and the end of the deck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form. It is about securing structural safety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by supplementing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for fixing the pieces of To this end, a reinforcement plate having a thickness of 2-3 mm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m formwork body having a thickness of 1 mm to the beam formwork, and the lower end of the deck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본체(110), 스트럽(120), 고정바(130), 보강플레이트(140) 및 점착테이프(15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eam formwor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5, the formwork body 110, the stirrup 120, the fixing bar 130, the reinforcing plate ( 140) and an adhesive tape 150.

상기 거푸집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본체(110)는 하부판(111)과 측판(112)으로 이루어진다.The formwork body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This formwork body 110 consists of a lower plate 111 and a side plate 112 .

상기 하부판(111)은 거푸집 본체(110)의 하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하부판(111)은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lower plate 111 constitutes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body 110 and is made of an iro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Specifically, the lower plate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측판(112)은 상기 하부판(1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세워져서 연결된 것으로서 한 쌍이 상기 하부판(11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측판(112)은 전체적으로 대략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The side plates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tanding upward from both edges of the lower plate 111 , and a pair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11 . The side plate 112 is made of an iro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as a whole.

상기 측판(112)은, 측판본체(1121)와, 절곡부분(1122)으로 이루어진다.The side plate 112 includes a side plate body 1121 and a bent portion 1122 .

상기 측판본체(1121)는 하부판(111)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세워지며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측판본체(1121)의 대부분을 구성한다.The side plate body 1121 is erected at both edges of the lower plate 111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constitutes most of the side plate body 1121 .

상기 절곡부분(1122)은, 상기 측판본체(1121)의 상단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제1연장부(1122a)와 안착부(1122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1122a)는, 상기 측판본체(1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안착부(1122b)는 상기 제1연장부(1122a)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The bent portion 1122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1121 and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1122a and a seating portion 1122b.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2a is a portion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1121 to extend horizontally, and the seating portion 1122b is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2a. It is the part that extends horizontally inward in the state.

이러한 절곡부분(1122)은 측판본체(1121)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1mm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122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1122c)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The bent portion 112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plate body 1121 and is composed of an iro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1 mm.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2c are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1122b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스트럽(120)은, 상기 거푸집 본체(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110)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트럽(120)은 고정바(130)에 의하여 거푸집 본체(110)의 내부와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20mm ~ 40mm)을 두고 설치되며, 거부집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75 ~ 300mm)를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며,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한다. The stirrup 1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formwork body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110 . These stirrups 120 are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20 mm to 40 mm) from the inside of the formwork body 110 by the fixing bar 130, and a constant interval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jecting house body) For example, 75 ~ 300mm) are provided, and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is reinforced.

본 발명에서 스트럽(120)은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상단이 각각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90°~ 150°)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up 120 is formed in a "U" shape, and both upper ends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eg, 90° to 150°) toward the inside, respectively.

상기 고정바(130)는, 거푸집 본체(110)와 스트럽(120) 사이에 배치되며, 거푸집 본체(110)와 스트럽(120) 사이의 간격(예를 들어, 20mm ~ 40mm)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고정바(130)는 일측은 스트럽(120)에 연결되고 타측은 거푸집 본체(110)와 연결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거푸집 본체(110)의 강성을 높이를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The fixing ba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110 and the stirrup 120, and the interval (for example, 20mm to 40mm) between the formwork body 110 and the stirrup 120 is uniformly maintained. keep it One side of the fixing bar 130 is connected to the stirrup 1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ormwork body 110 , and also functions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formwork body 110 as a whole.

이러한 고정바(130)는, 제1고정바(131)와, 제2고정바(132)를 포함한다.The fixing bar 130 includes a first fixing bar 131 and a second fixing bar 132 .

상기 제1고정바(131)는, 하부판(111)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하부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하부판(111)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1고정바(131)는 일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제1고정바(131)의 주변에 빈틈이 없이 밀하게 충진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하부판에 부착되는 고정바가 복잡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분하게 충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제1고정바(131)의 형상이 간결하여 콘크리트가 밀하게 충진될 수 있으며 제1고정바(131)를 하부판(111)에 쉽게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The first fixing bar 13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1 , and extends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1 , and is dispos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1 . do. The first fixing bar 131 has a straight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be densely filled without any gaps around the first fixing bar 131 .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the fixed bar attached to the lower plate has a complicated cross-sectional shape, so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not be sufficiently fi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st fixing bar 131 can be easily welded to the lower plate 111 and installed.

상기 제2고정바(132)는, 측판(112)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측판(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fixing bar 132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12 ,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12 .

이러한 제2고정바(132)는, 측판(112)에서 멀어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바(132)는 상기 측판(112)에서 45°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fixing bar 13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upward as it goes away from the side plate 112 .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bar 13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45° from the side plate 112 .

종래에는 상기 고정바가 측판에서 90°각도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었으며, 이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 충진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제2고정바(132)를 측판(112)에서 멀어지도록 소정의 각도 θ(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수평면에서 45°경사) 상향경사지도록 구성함에 따라서 거푸집 본체(110)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제2고정바(132)의 경사를 따라서 흘러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바(132)의 경사진 상면과 하면을 따라서 흘러서 이동함으로써 콘크리트가 밀하게 충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충진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ly, the fixing bar was installed horizontally at an angle of 90° from the side plate, and in this case, poor filling of concrete to be poured may occu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cond fixing bar 13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for example, 45° inclination from the horizontal plane in FIG. 5) away from the side plate 112, it is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110. Concrete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second fixing bar 132 and moves. Specifically, concrete can be densely filled by flowing and moving along the incline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fixing bar 132, thereby preventing loss due to poor concrete filling.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측판(112)에서 45° 경사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판(112)에서 60°, 70°경사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ide plate 112 has been illustrated to be inclined at 4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the side plate 112 is inclined at 60° and 70°.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상기 거푸집 본체(110)의 측판(112) 상부에 배치되고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도록 측판(112)을 보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40)는 상기 측판(11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40)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측판(112)의 두께를 t2라고 하였을 때, t1 > 2 ×t2일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disposed on the side plate 112 of the formwork body 110 and reinforces the side plate 112 so that the deck can be welded. 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ide plate 112 . Whe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t 1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112 is t 2 , t 1 > 2 × t 2 may be.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4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금속바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거푸집 본체(110)의 안착부(1122b)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용접이 용이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데크의 하면과 용접되도록 구성된다.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 shape of a metal bar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122b of the formwork body 110 .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easy to weld, and thus is configured to b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를 상기 거푸집 본체(110)의 안착부(1122b)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안착부(1122b)에 체결공(1122c)이 형성하고 보강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체결공(1122c)과 대응되는 결합공(141)을 형성한 후에 스크류(160)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를 상기 안착부(1122b)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A variety of methods may be used for coupling the reinforcement plate 140 to the seating portion 1122b of the formwork body 11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hole 1122c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22b and the reinforcement plate ( After forming the coupling hole 14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22c in 140,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coupled to the seating part 1122b using a screw 160 and a n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by welding.

기존에는 거푸집 본체가 전체적으로 1mm의 얇은 철판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데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접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얇은 철판에 용접을 수행하게 되면 철판에 구멍이 생기거나 철판과 용접결합되지 않는 등 용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데크를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플레이트(140)에 용접 접합함으로서 용접 고정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40)는 거푸집 본체(110)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게 함으로서 외부의 하중에 대한 강성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welding method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decks because the formwork body consisted of only a 1mm thin steel plate as a whole. Specifically, when welding is performed on a thin steel plate,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poor welding such as a hole in the steel plate or not being welded to the steel plat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is welded to the reinforcing plate 140 having a thick thickn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erform welding fixing work.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140 increases the overall rigidity of the formwork body 110 ,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rigidity against an external load, thereby greatly increasing safety.

상기 점착테이프(150)는 상기 제1연장부(1122a)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액이 데크나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점착테이프(150)는 제1연장부(1122a)에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데크 설치시 데크 하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점착테이프(150)는 제1연장부(1122a)와 데크 사이를 기밀성 있게 막음으로서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dhesive tape 15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22a to prevent the concrete liquid from flowing down to the deck or the surroundings when concrete is poured. Specifically, the adhesive tape 15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22a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when the deck is installe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concrete liq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blocking.

이러한 점착테이프(150)는 이중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축성을 가지면서 기밀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무엇이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하면에 마련되어 있어서 손쉽게 현장에서 제1연장부(1122a)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 좋다.The adhesive tape 150 may be made of a double synthetic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xcellent airtightness may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1122a in the fiel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보 거푸집(1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데크에 적용가능하다.The beam formwo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decks as shown in FIGS. 6 to 8 .

도 6에서는 비탈형 데크(170)를 보 거푸집(100)에 부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연도 강판을 하판으로 하는 비탈형 데크(170)를 보 거푸집(100)의 보강플레이트(140)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다.In FIG. 6, the slope type deck 170 is attached to the beam formwork 100, and the slope type deck 170 having a galvanized steel plate as the lower plate is weld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140 of the beam formwork 100. are joined by

또한, 도 7에서는 강판 탈형 데크(180)를 보 거푸집(100)에 부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연도 강판을 하판으로 하는 탈형 데크(180)를 보 거푸집(100)의 보강플레이트(140)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7, the steel plate demolding deck 180 is attached to the beam formwork 100, and the demoulding deck 180 having a galvanized steel plate as the lower plate is weld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140 of the beam formwork 100. are joined by

또한, 도 8에서는 단열 데크(190)를 보 거푸집(100)에 부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부에 경질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단열재가 부착된 보 거푸집(100)을 보 거푸집(100)의 보강플레이트(140)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8, as showing that the insulation deck 190 is attached to the beam formwork 100, the beam formwork 100 to which the insulation made of hard urethane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is the reinforcement plate 140 of the beam formwork 100. is joined by wel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 거푸집(100)은 비탈형 데크(170), 탈형 데크(180), 단열 데크(190) 등 다양한 종류의 데크를 손쉽게 용접에 의하여 부착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보강플레이트(140)는 충분할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용접 비숙련자도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용접 접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숙련자도 빠른 시간 내에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am formwo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ttach and install various types of decks such as the inclined deck 170, the demolding deck 180, and the insulating deck 190 by welding. In particular, since 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 sufficient thickness, even a non-skilled welding person can perform a welding welding operation without any difficulty, and even a skilled person can perform a welding operation within a short time.

또한, 보강플레이트(140)는 보 거푸집(10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어서 보 거푸집(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어서 구조적 안전성 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eam formwork 100 to increas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beam formwork 100,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ructural safety.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240)가 제1연장부(2122a)에 점착테이프(25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실시형태의 보 거푸집에서 보강플레이트는 제1연장부의 하측에 절곡되어 배치된 안착부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기밀을 위한 점착테이프는 안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바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플레이트와 점착테이프가 제1연장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beam formwork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the reinforcing plate 24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adhesive tape 250 on the first extension part 2122a. In the beam formwork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 to the seating part bent and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adhesive tape for airtightness has been exemplified that it is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bu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adhesive tape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extension.

이때 보강플레이트(240)는 제1연장부(2122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점착테이프(250)는 제1연장부(2122a)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24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22a, and the adhesive tape 25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22a.

데크는 제1연장부(2122a)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보강플레이트(24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으며, 점착테이프(250)는 보강플레이트(240)의 상면 외측에 배치되어 데크의 하면과 제1연장부(2122a)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The deck may b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24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122a by welding, and the adhesive tape 250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240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The gap between the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122a can be reliably blocke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점착테이프가 존재하지 않고 제1연장부 전체를 덮도록 보강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용접을 위한면적이 넓어져서 용접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entire first extension without the presence of an adhesive tape. In this case, the area for welding is widened, so that the welding operation becomes easier.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3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바(331)의 형상이 T자형 단면구조(331a)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0 , the beam formwork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331a in the shape of the first fixing bar 331 .

구체적으로 제1실시형태의 보 거푸집은 고정바가 일자형 단면구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T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바(331a)가 배치되고, 좌우 측에는 일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바(331b)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고정바는 일자형과 T자형이 혼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in the beam formwork of the firs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xing bar is made of only a straight cross-sectional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fixing bar 331b having a straight cross-sectional structure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first fixing bar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traight line and a T shape are mixed.

이 경우 콘크리트가 밀하게 충진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하부판에 대한 강성을 보다 높이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ll the concrete densely, and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바가 일자형 단면을 가지거나, 일자형 단면과 T자형 단면의 혼합형을 가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거푸집(300')은 제1고정바(331')가 ㄱ자형 단면구조와, T자형 단면구조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중앙에는 T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바(331a')가 배치되고, 좌우 측에는 ㄱ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바(33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ㄱ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제1고정바(331a')는 절곡된 상측부분이 인접한 측판(312')를 바라보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바(331b')가 ㄱ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밀하게 충진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강성면에서도 유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4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자형 보강대(450)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fixing bar has a straight cross section or a mixed type of a straight cross section and a T-shaped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1, the beam formwork 300', it is possible to mix the first fixing bar 331' with a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bar 331a ′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fixing bars 331b ′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fixing bars 331a ′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bent upper portion faces the adjacent side plate 312 ′. In this way, when the first fixing bar 331b' has a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nsely fill the concret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rigidity. In the beam formwork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 a “Z”-shaped reinforcing bar 45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통상적으로 보 거푸집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형 형틀 이외에도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합판형 형틀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데 이러한 다양한 데크를 거치할 수 있도록 "Z"자형 보강대(450)가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beam formwork may be provided with a plywood-type frame made of plywood in addition to the metal-type frame made of metal.

이러한 "Z"자형 보강대(450)는, 보강플레이트(440)의 상면에 접촉되어 용접설치되는 상부판재(451)와, 상기 상부판재(451)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후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판재(4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Z"-shaped reinforcing bar 450 includes an upper plate 451 that is wel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440, and a lower plate that extends outward after being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451 ( 452) are included.

상부판재(451)는 상기 보강플레이트(440)에 용접설치되고, 하부판재(452)는 상기 거푸집 본체(4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됨으로서 그 상면에 형틀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plate 451 is welded to the reinforcing plate 440 , and the lower plate 452 extends outwardly from the formwork body 410 and protrudes so that the mold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도 13에서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일반 형틀 슬라브(460)가 보 거푸집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데, 이때 슬라브(460)는 "Z"자형 보강대(450)에 거치되어 있게 된다.13 shows a state in which a general formwork slab 460 made of plywood is installed on the beam form, in which case the slab 460 is mounted on the "Z"-shaped reinforcing bar 450 .

또한, 도 14에서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탈형 데크(470)가 거푸집 본체(41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데, 이때 데크는 "Z"자형 보강대(450)에 거치되어 있게 된다.In addition, in FIG. 14 , the demolding deck 470 made of plywood is shown installed in the formwork body 410 , wherein the deck is mounted on the “Z”-shaped reinforcing bar 450 .

종래에는 보 거푸집에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또는 데크가 거치될 수 있는 걸침부를 확보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강플레이트에 "Z"자형 보강대를 용접설치함으로서 합판으로 이루어진 슬라브 또는 데크를 보 거푸집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Conventionally, it was difficult to secure a clasp on which a slab or deck made of plywood can be mounted on the beam formwork,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lab or deck made of plywood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beam form by welding and installing a "Z"-shaped reinforcing bar on the reinforcing plate.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보 거푸집(5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켄틸레버형 엔드 플레이트(5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5 , the beam formwork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antilever-type end plate 550 .

구체적으로 측판(512) 상부에 "ㄴ"자 형태의 엔드 플레이트(550)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엔드 플레이트(550)는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으로서 측판(512) 상부의 보강플레이트(540)에 용접접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550)는 거푸집 본체(510)에서 돌출된 길이가 350mm 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켄틸레버형 합판 거푸집을 제작한 후에 하부 동바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엔드 플레이트(550)를 제작한 후에 이를 보강플레이트(540)에 용접접합한 후에 콘크리트를 바로 타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부 동바리 작업이 필요없어서 작업 공정을 상당한 정도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arrange the end plate 550 in the "L"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512 . In this case, the end plate 550 can be welded to the reinforcing plate 540 on the side plate 512 as the concrete is poured therein. This end plate 550 is possible to be 350mm in length protruding from the formwork body (510). In the past, after manufacturing the cantilever-type plywood formwork, the lower copper bar was installed, and the concrete was poured and then remov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nufacturing the end plate 550, it is possible to pour concrete immediately after welding it to the reinforcing plate 540, so there is no need for a lower copper bar, so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process to a considerable extent.

도 16은 엔드 플레이트(550)가 설치된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는데, 별도의 동바리가 없이 엔드 플레이트(550)가 보강플레이트(540)에 설치된 후에는 콘크리트를 바로 타설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16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end plate 550 in more detail. After the end plate 550 is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plate 540 without a separate member, pouring concrete can be easily achieved. do.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보 거푸집 110...거푸집 본체
111...하부판 112...측판
1121...측판본체 1122...절곡부분
1122a...제1연장부 1122b...안착부
120...스트럽 130...고정바
131...제1고정바 132...제2고정바
140...보강플레이트 150...점착테이프
160...스크류 170...비탈형 데크
180...탈형 데크 190...단열 데크
100...beam formwork 110...formwork body
111...Lower plate 112...Side plate
1121...Side plate body 1122...Bending part
1122a... First extension 1122b... Seating part
120... Stirrup 130...Fixed bar
131...First fixing bar 132...Second fixing bar
140...reinforcement plate 150...adhesive tape
160...Screw 170...Slope deck
180...Demolding deck 190...Insulated deck

Claims (13)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연결형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스트럽;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로서,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바; 및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판 상부에 배치되고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도록 측판을 보강하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In the beam formwork that forms the beam of the building and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a formwork body comprising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that is vertically erect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 stirrup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formwork body to reinforc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A fixing bar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a fixing bar comprising a first fixing ba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fixing ba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side plate of the formwork body and reinforcing the side plate so that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he reinforcing plate is a beam formwork that can be welded to the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측판의 두께를 t2라고 하였을 때, t1 > 2 ×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 is t 1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is t 2 , t 1 > 2 × t 2 A beam formwork that can be welded to a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장부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late is
A deck comprising a side plate body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by being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In the beam form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late is
Comprising a side plate body, a first extension part bent inwardly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body, and a seating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ward in a state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the reinforcing plate is a beam formwork that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he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제1연장부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의 하면과 측판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는 밀실용 점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In claim 3 or 4,
A beam formwork that can be welded to a deck,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tape for a hermetic sea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and the s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제2고정바는, 측판에서 멀어질수록 상향경사져서 콘크리트가 밀실충진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bar, the beam formwork that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he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that can be filled with concrete by being inclined upward as it goes away from the s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bar is a beam formwork that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he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or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단면구조와 T자형 단면구조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bar is a beam formwork that can be installed by welding the d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or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s mixed.
제8항에 있어서,
T자형 단면구조는 하부판의 중앙에 설치되고 일자형 단면구조는 그 양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and the straigh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eam formwork that can be welded to the de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고 외부의 설치물이 거치될 수 있는 "Z"자형 보강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A beam formwork in which a deck can be welded and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Z"-shaped reinforcing ba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and can be mounted with an external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부에 배치된 보강플레이트에 일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ㄴ"자형 엔드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According to claim 1,
Deck can be welde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outward with one end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and is fixedly installed with an "L"-shaped end plate into which concrete can be poured beam formwork.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가 용접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스트럽;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 및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절곡부분의 상면에 데크가 용접될 수 있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측판과 하부판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데크와의 용접과정에서 보강플레이트가 파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In the beam formwork that forms the beam of the building and the deck can be installed by welding,
a formwork body comprising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plate;
a stirrup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formwork body to reinforce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body;
a fixing bar disposed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ormwork body and the stirrup; and
A reinforcing plate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bent i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e deck can b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The side plate and the lower plate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the reinforcing plate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ide plate,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is not damaged in the course of welding with the dec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절곡부분에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inforcing plate is a beam formwork in which a deck can be wel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plate by a screw.
KR1020200076771A 2020-02-04 2020-06-23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Pending KR20210099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71A KR20210099495A (en) 2020-02-04 2020-06-23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14A KR102149461B1 (en) 2020-02-04 2020-02-04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KR1020200076771A KR20210099495A (en) 2020-02-04 2020-06-23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14A Division KR102149461B1 (en) 2020-02-04 2020-02-04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495A true KR20210099495A (en) 2021-08-12

Family

ID=72234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14A Active KR102149461B1 (en) 2020-02-04 2020-02-04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KR1020200076771A Pending KR20210099495A (en) 2020-02-04 2020-06-23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14A Active KR102149461B1 (en) 2020-02-04 2020-02-04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494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828B1 (en) * 2020-09-16 2022-08-02 주식회사 포스코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03283B1 (en) * 2021-01-14 2021-09-17 (주)제이아이테크 Joint installing structure of steel frame girder and truss deck for safety foothold
KR102488965B1 (en) * 2021-03-25 2023-01-13 서윤석 A formwork structure for supporting deck plates
KR102455353B1 (en) 2021-11-23 2022-10-17 조강옥 Improved structure of non-demolition beam formwork
KR102455354B1 (en) 2021-12-01 2022-10-17 조강옥 Prefabricated Non-Demolition Beam Formwork with Improved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09Y1 (en) * 2001-01-13 2001-06-15 주식회사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uilt-up beam
KR20180045140A (en) * 2016-10-25 2018-05-04 (주)윈하이텍 The structure of non-binding dismantling formwork beams and deck plates without the need to secure jobs
KR102054255B1 (en) * 2018-04-12 2019-12-10 (주)씨지스플랜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61B1 (en)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9495A (en)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KR101683670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2179516B1 (en) Prefabricated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683641B1 (en) Pre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1781603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2341842B1 (en) Non-disband beam mold
KR101011070B1 (en) Joining method between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nd heterogeneous structure
KR101585942B1 (en) Closing device for concrete
KR20100009969U (en) Formwork Panel Prefab Frame
KR101711102B1 (en) Form structure for end of PC beam
KR102588376B1 (en) Precast wall vertical joint construction structure
KR101714160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KR101962853B1 (en)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KR101586385B1 (en) Coupled PC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55723Y1 (en) Hybrid steel ball
KR102011838B1 (en) Prefabricated re-bar beam structure with detachable form
KR101672991B1 (en) Pre-assembl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1851501B1 (en) Integrated insulation deck plate
KR20130059010A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1018411B1 (en) Jo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floor plate for beam deck plate formwork for bone deck plate and deep dance deck deck plate method
KR200448085Y1 (en) Formwork Panel Prefab Frame
KR20100043731A (en)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954387B1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904115B1 (en)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2115990B1 (en) Form panel and prefabricated re-bar beam structur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020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013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