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627A -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 Google Patents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2627A KR20210092627A KR1020200006248A KR20200006248A KR20210092627A KR 20210092627 A KR20210092627 A KR 20210092627A KR 1020200006248 A KR1020200006248 A KR 1020200006248A KR 20200006248 A KR20200006248 A KR 20200006248A KR 20210092627 A KR20210092627 A KR 202100926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silk
- layer
- wallpaper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크 직물벽지 제조과정의 직물제조, 가공, 배접의 공정에서 벽지의 무늬가 흐트러져 있는 것을 도배과정에서 무늬를 정돈할 수 있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patterne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capable of customizing a pattern that can arrange the pattern in the wallpapering process when the pattern of the wallpaper is disturbed in the process of fabric manufacturing, processing, and lacing in the silk fabric wallpaper manufacturing process.
건축내장재 중에서 실내의 벽체를 도배하는 재료로 사용되는 벽지는 종이벽지, 비닐벽지, 직물벽지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종이를 합지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표현한 종이벽지와 표면에 비닐수지피막을 도포하여 만든 비닐벽지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비닐벽지는 환경문재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Among building interior materials, wallpaper used as a material for painting interior walls is largely divided into paper wallpaper, vinyl wallpaper, and fabric wallpaper. Paper wallpaper expressing a desired design by laminating paper and vinyl wallpaper made by applying a vinyl resin film on the surface were mainly used, but the use of vinyl wallpaper is limited due to environmental concerns.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벽지를 요구하게 되었고, 다양한 무늬 및 질감을 가지는 직물벽지에 대한 수요가 크게 부각되고 있어며, 최근에는 천연소재를 사용한 벽지가 주목받고 있다.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various types of wallpaper have been demanded, and the demand for fabric wallpapers with various patterns and texture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Recently, wallpaper using natural materials is attracting attention.
직물벽지의 경우 종이벽지와 마찬가지로 벽지폭의 제한으로 한번의 시공으로 벽면 전체를 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벽지의 폭에 따라 나누어 시공하게 된다. 이때 시공된 벽지는 무늬의 연속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case of fabric wallpaper, as with paper wallpaper, it is not possible to construct the entire wall in one install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wallpaper width, so i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allpaper. In this case, the wallpaper installed should have continuity of pattern.
대부분의 직물벽지는 직물의 뒷면에 배접지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도배작업 시 벽지에 칠한 풀의 습기가 원단으로 전달되어 원단이 배접지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두껍고 방수층이 있는 배접지를 사용하였다. 직물의 특성상 무늬 맞춤이 완전한 상태로 배접이 이루어 지기기 어렵고 한번 배접이 되면 그대로 벽면에 시공해야 하기에 전체적인 무늬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문양이 있는 실크 직물벽지의 사용이 제한 되었다. Most fabric wallpapers are used with backing pape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fabric. However, to prevent the fabric from separating from the backing paper due to moisture from the glue painted on the wallpaper being transferred to the fabric during painting, the backing paper with a thick waterproof layer is used. was used. Due to the nature of the fabric, it is difficult to make the pattern matching in a perfect state, and once it is done, it must be installed on the wall as it is, so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overall pattern, so the use of silk fabric wallpaper with patterns is limited.
화학섬유를 사용한 직물벽지의 경우 광폭직물을 사용하여 벽면 전체를 나누어 시공함이 없도록 제조된 직물벽지도 출현했지만 낭비되는 부분이 많고 정교한 무늬 맞춤 시공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In the case of textile wallpaper using chemical fibers, textile wallpaper manufactured so that the entire wall is not divided by using a wide fabric has also appeared, but there is a lot of wast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elaborate pattern customization.
특히 천연소재를 사용한 실크 직물벽지의 경우 동물성 단백질 섬유의 특성인 높은 흡습력과 신축성 등으로 무늬의 연속성을 실현할 수 있는 벽지의 제작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ilk fabric wallpaper using natural materials, there were many problems in the production of wallpaper that can realize pattern continuity due to high moisture absorption and elastic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nimal protein fibers.
특히 실크 직물벽지의 경우 무늬의 연속성을 실현할 수 있는 어려움으로 연속무늬가 필요 없는 솔리드(무지)문양을 적용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무늬의 연속성을 실현할 수 있는 벽지의 수요가 고급 벽장재 시장을 중심으로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ilk fabric wallpaper, products with solid (plain) patterns that do not require continuous patterns are generally used due to the difficulty in realizing pattern continuity, but the demand for wallpaper that can realize pattern continuity is mainly in the high-end wall coverings market. was as
본 발명에서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구체적으로는 실크 원단의 뒷면에 배접지가 결합된 상태의 직물벽지로 실크 고유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면서도 무늬의 연속성을 실현할 수 있는 무늬 맞춤이 가능하고 실용성 기능을 더한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patterned, specifically, a fabric wallpaper in which the backing paper is bonded to the back of the silk fabric, providing a unique luxurious feeling of silk and customizing the pattern that can realize the continuity of the pattern And we want to provide silk fabric wallpaper with added practicality.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양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실크섬유를 30 wt% 이상 포함하는 원단층, 닥섬유를 포함하는 원지가 복수로 적층된 배접지층 및 상기 원단층과 상기 배접지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층과 상기 배접지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 layer containing 30 wt% or more of silk fibers, a backing paper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papers including mulberry fibers are laminated, and the fabric layer and the It is provided between the backing paper layer, and provides a pattern-fitting silk fabric wallpaper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fabric layer and the backing paper layer.
또한, 원단층은 실크 섬유를 30 wt% 이상 포함하는 실크 직물로 양쪽 변사 부분에 별도의 반복되는 무늬가 있게 제작되어 변사의 제거 후에도 여유롭게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abric layer is a silk fabric containing 30 wt% or more of silk fibers, and it is made to have separate repeating patterns on both sides of the yar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easily tailored even after removing the yarn.
또한,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은 실의 두께를 고려한 고밀도 직물(경사:250~270, 위사:170~220)로 제직하여 배접이나 도배작업 중 무늬 맞춤 과정에서 원단의 미어짐이 없이 무늬 맞춤이 가능한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fabrics containing silk are woven with high-density fabrics (warp: 250-270, weft: 170-220)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yarn, so that the pattern can be tailored without the fabric slipping during the pattern matching process during plastering or painting work. Provides silk fabric wallpaper.
또한, 배접지는 물과 혼합된 종이원료가 닥섬유 15wt% 내지 25 wt%로 구비되는 종이원료를 이용하여 환망초지기와 장망초지기에 각각 다르게 투입하여 만든 종이를 2겹 이상 결이 다르게 겹쳐서 합지한 닥섬유 배접지를 사용하여 원단이 배접된 상태에서도 무늬의 변형이 가능하여 도배과정에서 연속성을 위한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aper material mixed with water is made of paper made by inputting differently into the Hwanman paper machine and the Jang mang paper machine using a paper material having 15 wt% to 25 wt% of mulberry fiber mixed with water, and overlapping two or more layers of paper with different grains. It provides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patterned for continuity in the painting process becau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ttern even when the fabric is backed by using damask fiber backing paper.
또한, 상기 적층된 복수의 원지 사이에, 상기 원지와 대비하여 흡수 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이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배접지를 사용하여 도배작업 시 벽지에 바른 풀의 영향으로 원단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도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tacked base papers, a phenomenon in which the fabric is peeled off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ste applied to the wallpaper during the painting operation using a backing paper including at least one paper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absorp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base paper is prevented. It provides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patter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llpaper by preventing it from happening.
또한, 원단층은 불소계 또는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를 이용하여 직물에 발수가공을 하여 배접작업 시 풀의 배어 나옴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배작업 시 오물로부터 안전하며 실생활에서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abric layer uses a fluorine-based or fluorine-free monomer to make the fabric water-repellent, so it not only prevents grass from oozing out during plastering work, but also makes it safe from dirt during plastering work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in real life. This provides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possible.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에 난연제를 포함 제조하여 실크섬유가 가진 기본적인 난연 기능과 풀에 첨가된 난연제에 의하여 배접지 부분을 난연화 시켜 화제로부터 안전한 방염성능이 있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is made by including a flame retardant in the adhesive, so that the basic flame retardant function of silk fibers and the flame retardant added to the paste make the backing paper part flame retardant, so that the pattern can be customized with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afe from fire. to provide.
또한, 접착층의 접착제에 항균제를 포함 제조하여 결로현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및 유해 미생물로부터 건강한 바이오 성능이 있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capable of pattern customization with healthy bio performance from mold and harmful microorganisms that may be caused by condensation by including an antibacterial agent in the adhesive of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크 직물벽지는, 실크 고유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는 실크 원단이 배접지에 부착이 된 상태에서도 도배과정에서 무늬의 변형이 가능하여 연속성을 위한 무늬 맞춤이 가능한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ilk fabric wall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lk fabric that can be customized for continuity because the pattern can be deformed during the painting process even when the silk fabric that provides a unique luxurious feeling of silk is attached to the backing paper. Wallpaper can be provided.
또한, 실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원단층을 수지가공 처리하여, 벽지 시공시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시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에 있어서도 벽지에 생긴 먼지나 오물을 간단하게 제거 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reating the fabric layer made of silk fabric with resin, it is possible to not only improve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contamination during wallpaper construction, but also to easily remove dust and dirt on the wallpaper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lk fabric wallpaper further improved.
또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난연제와 바이오 기능의 조제를 투입하여 제조하여, 화제로부터 안전한 난연성능과 곰팡이나 미생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킨 실크 직물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lk fabric wallpaper that is manufactured by adding a flame retardant and a bio-functional agent to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and further improves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safe from fire and the functionalit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old or microorganism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patter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t least one”, etc.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은, 원단층(110), 접착층(120), 배접지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functional
원단층(110)은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 원단층(110)은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이용한, 직물이고,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교직물일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원단층(110)은 앞서 설명한 실크사, 실크 교 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하여 제직한 직물을 함침 및 후처리하거나, 염색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 의 교직물을 함침 및 후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The
우선, 염색 공정에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반응성 염료로 염색할 수 있다.First, in the dyeing process, silk yarn, silk twisted yarn, silk blended yarn or silk composite yarn may be dyed with a reactive dye.
직접 염색법에 의한 산성염료는 염색조작이 용이하고 값이 싸며, 색 상이 밝고 선명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광 견뢰도와 세탁 견뢰도가 낮아, 본 발명 에서는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 사를 염색 가공하여 견뢰도 및 내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id dyes by direct dyeing have the advantages of easy dyeing operation, low cost, and bright and vivid colors, but have low light fastness and wash fastness. In the present invention, reactive dyes are used to form silk yarn, silk twist yarn, and silk blend yarn. Alternatively, the color fastness and light resistance can be increased by dyeing the silk composite yarn.
다음, 제직 공정에 있어서는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거나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를 교직하여 실크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Next, in the weaving process, weaving a fabric using a silk yarn, a silk twisted yarn, a silk blended yarn or a silk composite yarn, or at least one of a silk yarn, a silk twisted yarn, a silk blended yarn or a silk composite yarn and a natural fiber (eg, cotton, Wool, etc.) or chemical fibers (eg polyester, nylon, etc.) can be interwoven to produce silk fabric,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經絲, 날실)와 위사(緯絲, 씨실)의 반복적인 짜임에 의해 무늬를 형성하면서 평면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직기는 일반 자카드 직기를 변사부분에 직물의 무늬가 일부 반복하여 제직 되게 개조한 직기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변사 부분만의 제거로 직물의 연속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실크 직물을 취할 수 있다.In general, the fabric forms a flat shape while forming a pattern by repetitive weaving of warp and weft yarns. The loom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general jacquard loom, the weft yarn portion. We used a loom that was modified so that the pattern of the fabric was partially repeated and weaved, and through this, a silk fabric that can form a continuous pattern of the fabric by removing only the twisted yarn part can be taken.
실의 소재는 선염된 실크사를 사용하여 경사는 21중 2합사를 위사로는 21중 6합사를 사용하였으며, 밀도는 경사 270본/인치 위사180본/인치의 실크직물을 제직하였다. 직물의 밀도가 많으면 더 섬세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나 원가의 상승과 생산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반면 직물의 밀도가 적으면 직물이 미어지는 형상이 발생하며 배접 과정에서 풀이 직물표면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yarn material was yarn-dyed silk yarn, and the warp was made of 21-ply, 2-ply and weft, 6-ply, and the density was 270 warp/inch and 180 weft yarns/inch silk fabric. If the density of the fabric is high, more delicate patterns can be expressed,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st increase and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if the density of the fabric is low, the fabric may become slippery, and the glue may come out of the fabric surface during the joining process.
또한, 일 예로써, 제직 공정에 의해 직조되는 실크 원단 은 단직, 이중직, 삼중직 또는 사중직으로 직조될 수 있는데, 단직 직물의 경우 배접 시 풀이 빠져나오는 단점이 있고, 삼중직과 사중직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게는 이중직으로 직조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silk fabric woven by the weaving process may be woven in a single weave, a double weave, a triple weave, or a quadruple weav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ice is expensive, preferably, it is good to weave in a double weave.
한편, 후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제직된 실크 원단을 수지에 함침하여 발수기능 및 방오기능 등을 개선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the water-repellent function and the antifouling function can be improved by impregnating the woven silk fabric into the resin.
또한, 실크원단은 배접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단의 수축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방축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lk fabric may be pre-shrunk to prevent shrinkage of the fabric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lining.
일 예로써, 실크 원단에 발수 또는 방오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water-repellent or antifoul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silk fabric.
실크 원단은 흡수능력이 뛰어나므로 물이 쉽게 흡수되고 때가 잘 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물의 표면에 액체형태의 물질이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수 가공이 실시되거나 직물의 내부에 유성 오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방오 가공이 실시될 수 있다.Since silk fabric has excellent absorbency, it can be easily absorbed by water and stain easily. Accordingly, water-repellent treatment to prevent penetration of liquid substances or water into the surface of the fabric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or antifoul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prevent oil-based contamination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fabric.
여기서, 실크 원단에 수행되는 발수 가공은 실크 원단의 외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물방울 등을 튕겨내는 기능을 수행하여 젖은 수건으로 간단하게 먼지나 오염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하며, 후술되는 배접 공정에서 풀이 원단표면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water-repellent processing performed on the silk fabric prote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lk fabric,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a function of repelling water droplets, etc., so that dust or contaminated parts can be simply removed with a wet towel, which is convenient to manag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lue from escaping to the surface of the fabric in the lining process.
또한, 발수 가공으로 불소계 발수 가공제를 이용하는 발수 가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repellent treatment using a fluorine-based water-repellent agent can be performed as water repellent treatment.
발수 가공에 사용되는 불소계 발수 가공제에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플루오로알킬(메타) 아크릴레 이트와, 이러한 플루오로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를 병용할 수 있다.Fluorine-based water-repellent agents used for water-repellent treatment include fluoroalkyl (meth) acrylates composed of acrylates or methacrylates having a fluoroalkyl group, and fluorine copolymerizable with these fluoroalkyl (meth) acrylates. Monomers not used can be used togeth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원단층(110)은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하고, 벽지의 기능에 적합한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유지하면서 변사부분에 별도의 연속무늬가 더 형성되게 원단을 제직한 다음, 발수 가공 및 방축 가공 등의 후처리 가공을 수행하여 제조함으로써, 직물의 무늬 연속성, 일광 견뢰도 향상, 방오성 향상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습기에 의한 직물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한편, 배접지층(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원단층 (110)과 배접이 되어 실크 직물을 안정적으로 벽면에 시공할 수 있게 하고 직물과 함께 합해져서 직물 벽지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ing paper layer 130 is backed with the
구체적으로, 배접지층(130)은 형태변화에도 찢어지지 않는 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종이원료 중 닥섬유를 15~25중량부 포함하는 원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써 부직포, 원단, 종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cking paper layer 130 may be formed using a base paper containing 15 to 25 parts by weight of mulberry fibers among paper raw materials as a material having a function that does not tear even with a change in shape, and as an example, non-woven fabric, fabric, paper, etc. can be formed with
또한, 배접지층(130)은 원지의 결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로 적층시킨 합지이며,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접지층(130)은 신축성이 좋고, 종이의 방향성을 가지지 않으며, 풀칠이 된 종이가 작업 과정에서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ing paper layer 130 is a paper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paper grains are lamin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backing paper layer 130 made of such a material has good elasticity, does not have the directionality of the paper, and the pasted paper is It can prevent tearing in the working process.
또한, 배접지층(130)은 복수로 적층이 되는 원지 사이에 상기 원지에 비해 흡수 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이를 한 층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것으로 실크직물벽지를 도배하기 위해 풀이 발려진 상태에서 습기에 의한 원단층(110)의 분리를 방지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원지층에는 흡습방지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의 원지 또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ing paper layer 130 is formed by including one or more layers of paper having a relatively low absorp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base paper between the base papers stacked in plurality. Wit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접착층(120)은 원단층(110)과 배접지층(130) 사이에 구비되고, 원단층(110)과 배접지층(130)을 결합하며 각각의 신장 및 신축에 따른 상호 보완 및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접착층(120)의 경우 밀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핫멜트 필름, 수지 및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이때, 접착층(120)은 난연과 바이오 기능을 갖도록 제조된 풀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접착층(120)에 난연제 또는 바이오제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천연 난연기능을 가지고 있는 실크 섬유층과 배접지층을 난연화하여 난연성능을 가진 실크 직물벽지 그리고 곰팡이나 미생물로부터 안전한 실크 직물 벽지를 제조할 수 있다. When a flame retardant or bio-agent is mixed with an adhesive for the
일 예로써, 접착층(120)에 사용한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를 바이오제는 무기항균제를 사용하였다. As an example, the flame retardant used for the
여기서, 접착층(120)은 친수성 및 친환경성을 가지며 접착성이 좋은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Here, the
이와 같은 접착층(120)은 기본적으로 유해물질이 없는 소재들로 만들어 화학물질에 민감한 실크소재의 황변현상을 막을 수 있고, 친환경성과 인체에 무해한 실크 직물벽지가 만들어 질 수 있다. The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는 반응성 염료로 염색한 실크실을 사용하여, 변사부분에 일부 반복되는 무늬로 제직된 고밀도 원단을 발수 및 방오가공을 하여 만들어진 실크 원단층(110)을 준비하고 닥섬유를 포함하는 원지가 복수로 적층된 배접지층(130)의 한쪽면에 난연제와 바이오제를 첨가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20)을 형성하고 실크 원단층(110)의 뒷면에 가압 부착하여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를 완성할 수 있다. The functional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는 제조과정에서 무늬가 일부 흐트러진 제품도 도배과정에서 무늬의 수정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연속무늬의 시공이 가능한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를 완성할 수 있다.The functional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조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는, 벽지용도 외에 가구용, 산업용 등의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일 예로써, 가구나 가전제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유행과 취향에 따라서 표면의 모습을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한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used as a material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that can freely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surface according to fashion and taste.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원단층(110)을 경사(21중2합 실크사)와 위사(21중 6합 실크사)를 반응성 염료로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여, 변사 부분에 일부 반복되는 무늬를 제직 할 수 있게 구성된 자카드 직기를 이용하여, 경사밀도(270/인치) 와 위사밀도(190/인치)의 실크 직물을 제직하였다. 실크 원단을 수지가공 한 후 산포라이징(sanforizing)가공 하여 만들어진 실크 원단층(110)을 준비하였다. 닥 섬유를 포함하는 원지가 복수로 적층된 배접지층(130)의 한쪽면에 난연제와 바이오제가 혼합된 접착제를 도포하였고 접착층(120)에 난연제는 ‘조아실업’에서 생산한 인계 난연제를 13 wt%, 바이오제는 ‘이테크’에서 생산한 RCV무기항균제를 5 wt%를 접착풀에 첨가하여 제조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20)을 형성하고 실크 원단층(110)의 뒷면에 가압 부착하여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를 제조하였다. A jacquard loom configured to weave a partially repeated pattern on the yarn part by dyeing the
이상과 같이 제조된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100)를 벽지의 필요 물성을 아래의 평가방법에 물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표 1]로 기재하였다.The functional
시험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방재시험연구원에서 평가하였으며 기재한 평가방법에 의하여 수행한 결과를 도출하였다.The test was evaluated by th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and the Disaster Prevention T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described evaluation metho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110 : 원단층 120 : 접착층 130 : 배접지층100: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customized
110: fabric layer 120: adhesive layer 130: backing paper layer
Claims (5)
닥섬유를 포함하는 원지가 복수로 적층된 배접지층 ; 및 상기 원단층과 상기 배접지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원단층과 상기 배접지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a fabric layer woven to form a pattern using dyed fibers and containing 30 wt% or more of silk fibers;
Backing paper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papers containing mulberry fibers are laminated; and an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abric layer and the backing paper layer for bonding the fabric layer and the backing paper layer.
상기 원단층은 불소계 또는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를 이용하여 발수 가공된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abric layer is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water-repellent processed using a fluorine-based or fluorine-free monomer.
상기 원지는 닥섬유가 15 wt% 내지 25 wt%로 구비되는 종이원료를 이용하여 환망초지기에 의해 제조된 제1 원지와 상기 종이원료를 이용하여 장망초지기에 의해 제조된 제2 원지를 포함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per includes a first base paper manufactured by a Hwanman paper machine using a paper raw material having 15 wt% to 25 wt% of mulberry fiber and a second base paper manufactured by a Jangman paper machine using the paper raw material Customiz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상기 배접지층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원지 사이에, 상기 원지와 대비하여 흡수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이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ing paper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per layer having a relatively low absorp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base paper, between the plurality of stacked base papers, and the pattern-fitting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와 난연제 또는 바이오제를 포함하는 무늬 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실크 직물 벽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adhesive layer is a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that can be customized with a pattern including an adhesive and a flame retardant or biologi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248A KR20210092627A (en) | 2020-01-16 | 2020-01-16 |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248A KR20210092627A (en) | 2020-01-16 | 2020-01-16 |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627A true KR20210092627A (en) | 2021-07-26 |
Family
ID=7712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248A KR20210092627A (en) | 2020-01-16 | 2020-01-16 |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9262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3104B1 (en) | 2021-08-05 | 2021-12-01 | 김명용 | Air bubble typed insulation wallpaper |
KR102453506B1 (en) * | 2021-06-11 | 2022-10-18 | 정문성 | Silk-wallpaper for interior having fragranc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
-
2020
- 2020-01-16 KR KR1020200006248A patent/KR2021009262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3506B1 (en) * | 2021-06-11 | 2022-10-18 | 정문성 | Silk-wallpaper for interior having fragranc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
KR102333104B1 (en) | 2021-08-05 | 2021-12-01 | 김명용 | Air bubble typed insulation wallpap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92627A (en) | Patternable Functional silk fabric wallpaper | |
JP2019052391A (en) | Composite fabric | |
CN207736873U (en) | A kind of glass fiber reinforcement non-woven fabrics | |
JP5996432B2 (en) | Elastic fabric with adhesive | |
Hassabo et al. | An overview of carpet manufacture: Design, dyeing, printing and finishing | |
KR100959637B1 (en) | Funtional fabrics process using silk yarn or silk union cloth and product by that process | |
Kovačević et al. | Coated textile materials | |
JP6539495B2 (en) | Laminated fabric | |
JP4910213B2 (en) | Woven woven fabric | |
CN213891588U (en) | Weave composite biocoating oxford | |
JP6637247B2 (en) | Laminated sheet | |
KR102340952B1 (en) | Functional fabrics including a silk | |
CN210454066U (en) | Antibacterial home textile fabric | |
JPH101868A (en) | Mesh sheet for construction work and its production | |
JP5204999B2 (en) | Paper woven and knitted fabric | |
WO2023089445A1 (en) | Multi-layer composite industrial coating of solid dense polyester | |
JP6704706B2 (en) | Flame retardant waterproof fabric for uniform clothing | |
KR20080108761A (en) | Interi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212097821U (en) | Coating cloth with good ventilation effect | |
JPWO2019230482A1 (en) | clothes | |
CN220995759U (en) | Regenerated cowhide fiber composite fabric | |
CN214983832U (en) | Anti-aging composite polyester sofa fabric | |
CN214688274U (en) | Flame-retardant and heat-insulation composite functional fabric | |
CN217733406U (en) | Double knit fabric, laminated composite fabric and article | |
CN213618759U (en) | High-strength tear-resistant waterproof polyester composite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