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613A -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613A
KR20210070613A KR1020190160565A KR20190160565A KR20210070613A KR 20210070613 A KR20210070613 A KR 20210070613A KR 1020190160565 A KR1020190160565 A KR 1020190160565A KR 20190160565 A KR20190160565 A KR 20190160565A KR 20210070613 A KR20210070613 A KR 20210070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te
support bar
lift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황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화식 filed Critical 황화식
Priority to KR102019016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613A/ko
Publication of KR2021007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64Walk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훈련 모두 가능하면서도 피훈련자의 상태에 따라 계단의 단차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활이 가능하도록 한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좌우 한 쌍씩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승강판 좌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고, 타단부는 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2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따라 다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승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경사각이 줄어들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계단판; 및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WALKING TRAINING DEVICE WITH ADJUSTABLE STEP HEIGHT}
본 발명은 보행훈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훈련 모두 가능하면서도 피훈련자의 상태에 따라 계단의 단차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활이 가능하도록 한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은 사람의 하지 관절 및 근의 연속운동을 통해서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전방으로 내놓으면서 몸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다수의 관절이나 골반이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기관이나 조직 또는 신경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보행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행 장애 환자의 약 90%가 후천적 장애에 의해 발생되며 척추질환, 관절염, 뇌졸중, 뇌성마비, 사고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경우 독립적인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재활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 넘어져 다칠 수 있으며 자력으로 보행할 수 없는 경우, 편마비 환자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밀기 증후군으로 보행 시 골반을 위로 치켜 올리며 엉덩 관절에서 다리를 휘둘림(Circumduction)시켜 앞으로 내딛는 휘둘림 보행이 나타나서 재활 훈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계단 보행은 일상생활을 통해 수평 보행 다음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활동이면서, 수평 보행에 비해 더 많은 능력을 요구하는데, 계단에서의 보행은 입각기와 유각기로 나누어지며, 지지하는 발의 이동이 교차적으로 반복된다는 점과 양발이 함께 지지하는 순간이 있다는 점에서 평지보행과 비슷하지만 주어지는 경사에 따라 하지 분절에서 발생하는 힘의 특성이 달라지는 차이가 있다. 계단 보행 시 걸음이 발뒤꿈치보다 발가락과 발바닥에서 시작되어 체중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어 넘어짐 조절을 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하지의 힘이 요구된다. 이러한 계단 보행은 계단을 오를 때 신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단하지 지지기(Single support)동안 몸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고, 수평이동과 수직상승을 하기 때문에 평지 보행에서 보다 더 많은 하지의 근력 및 조절 능력을 요구한다.
하지만, 계단 보행 훈련은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독립시키기 위한 필요 요소이며, 계단 보행을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활동범위를 넓히고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어, 하지의 기능 회복중인 편마비 환자들에게 치료과정 중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 훈련 시스템은 대부분 평지에서의 보행 훈련만 수행하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훈련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는 관계로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모두를 훈련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10838호(2018.01.3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훈련 모두 가능하면서도 피훈련자의 상태에 따라 계단의 단차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활이 가능하도록 한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좌우 한 쌍씩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승강판 좌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고, 타단부는 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2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따라 다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승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경사각이 줄어들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계단판; 및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제1지지봉과, 상기 계단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제2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과 제2지지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피훈련자가 보행훈련 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봉과 제2지지봉은 일단과 타단이 하방을 향하는 역U자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루; 상기 승강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가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소켓; 상기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스크루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의 하단부에는 종동기어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들을 경유하는 체인이 설치되어 하나의 모터로부터 복수의 스크루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스크루 인근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암나사 소켓을 관통한 스크루의 상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측과 후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계단판과 계단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피훈련자의 발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계단판과 계단판의 각 단부 하면에 양단부가 접합되며, 서로 인접한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최대치가 된 상태에서는 펼쳐진 상태가 되어 계단판과 계단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차단하고,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줄어들수록 점진적으로 절곡되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플렉시블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다수의 강재볼이 분산된 상태로 첨가되어 강성을 높이면서도 플렉시블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는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훈련 모두 가능하도록 계단과 평면 변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피훈련자의 상태에 따라 계단의 단차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재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판에 대한 다점지지 및 승강을 위한 다수의 스크루와 하나의 체인을 이용한 동력전달 구조를 마련하여 단지 하나의 모터만으로도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승강판의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판과 계단판이 단차진 상태에서 이격된 공간을 차단하는 플렉시블한 차단판에 의해 피훈련자의 발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에서 승강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의 평지와 계단의 변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에서 승강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의 평지와 계단의 변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는 승강판(110), 2쌍의 지지바(120), 다수의 계단판(130), 승강모듈(140), 다수의 제1지지봉(150a) 및 제2지지봉(150b), 가이드봉(160b)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평지보행과 계단보행 훈련 모두 가능하면서도 계단의 단차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훈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판(11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이면 적당하며, 상기 승강모듈(140)의 스크루(142)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판(110)의 각 모서리부에는 암나사 소켓(143)이 설치되어 승강모듈(140)의 스크루(142)가 관통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판(110)은 상기 승강판(11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상면에 제1지지봉(150a)이 일렬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 가이드봉(160b)이 설치되어 피훈련자가 보행훈련 시 붙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계단판(130)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판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좌우 한 쌍씩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120)의 일단부는 상기 승강판(110) 좌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승강판(110)을 따라 승강하고, 타단부는 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된다. 상기 지지바(120)의 타단부에는 구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휠(121)이 설치된다.
상기 계단판(130)은 좌우로 넓은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로서 상기 지지바(120)를 따라 다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승강판(110)의 상승으로 지지바(120)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계단판(130)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승강판(110)의 하강으로 지지바(120)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경사각이 줄어들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단차가 사라지는 마지막에는 계단에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도 3은 다수의 계단판(130)이 서로에 대한 단차 없이 평면을 이루면서 피훈련자가 평지보행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 상태이며, 도 4는 승강판(110)의 상승으로 인해 계단판(130) 서로 간에 단차가 증가하여 최대치가 된 상태이다. 이같이 계단판(130)이 서로 단차진 계단을 이루게 되면 피훈련자가 계단보행을 훈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모듈(140)은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판(110)의 승강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141)와, 복수의 스크루(142)와, 복수의 암나사 소켓(143)과, 지지부재(144)와, 모터(145)와, 체인(146)과,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모듈(140)의 베이스(141)는 승강판(110)의 하측에서 스크루(142)에 의해 상기 승강판(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고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듈(140)의 스크루(142)는 상기 베이스(141)에서 복수의 지점에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암나사 소켓(143)은 승강판(1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142)가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142)는 상기 암나사 소켓(143)을 통해 승강판(110)을 상하로 관통한 상태가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44)에 의해 상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4)의 경우 ㄱ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도면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이스(141)에서 스크루(142) 인근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암나사 소켓(143)을 관통하여 승강판(110) 상측으로 돌출된 스크루(142) 상단부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142)의 상단이 상기 지지부재(144)의 상단부 끝단에 살짝 관통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로써 상기 스크루(142)가 모터(14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것을 상기 지지부재(144)가 견고하게 지지해주어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모듈(140)의 모터(145)는 상기 스크루(142)에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로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41)에 설치된다. 상기 체인(146)은 모터(145)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스크루(142)의 하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142a)들을 경유하여 상기 모터(145)로부터 복수의 스크루(142) 모두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승강판(110)의 승강동작을 위해 설치된 승강모듈(140)의 구성에 따르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로서 단지 하나의 모터(145)만을 구비하면서도 다수의 지점에서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판(110)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일 상기 스크루(142) 자리에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를 설치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이들을 각각 제어해야 함을 의미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단점이 된다.
상기 제1지지봉(150a)은 승강판(11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세워져 설치되며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봉(150b)은 계단판(13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봉(150a)과 제2지지봉(150b)은 일단과 타단이 하방을 향하는 역U자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160b)은 승강판(110)에 설치된 제1지지봉(150a)과 계단판(130)에 설치된 제2지지봉(150b)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가이드봉(160b)이 구비되면 피훈련자가 보행훈련 시 양팔로 편안하게 붙잡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160b)은 제1지지봉(150a)과 제2지지봉(150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브래킷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봉(160b)은 상기 제2지지봉(150b)을 매개로 하여 지지바(120)를 따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보조를 맞추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판(110)에 설치된 다수의 제1지지봉(150a) 중에서 좌편과 우편에서 가이드봉(160b)과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제1지지봉(150a)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봉(160a)이 설치되어 피훈련자가 승강판(110)에 도달해서도 변함없이 붙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판(170)은 도 3 및 도 4의 확대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측과 후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계단판(130)과 계단판(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피훈련자의 발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판(170)은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계단판(130)과 계단판(130)의 각 단부 하면에 양단부가 접합되며, 서로 인접한 계단판(130)과 계단판(130)의 단차가 최대치가 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펼쳐진 상태가 되어 계단판(130)과 계단판(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차단하고, 도 3과 같이 계단판(130)과 계단판(130)의 단차가 줄어들수록 점진적으로 절곡되는 플렉시블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70)은 플렉시블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다수의 강재볼(170a)이 30% 내지 50% 부피비로 분산되어 첨가된다. 이로써 상기 차단판(170)은 편마비된 피훈련자의 발이 접촉하더라도 밀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수준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고무 소재의 플렉시블한 특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승강판 120: 지지바
130: 계단판 140: 승강모듈
141: 베이스 142: 스크루
143: 암나사 소켓 144: 지지부재
145: 모터 146: 체인
150a: 제1지지봉 150b: 제2지지봉
160a: 보조 가이드봉 160b: 가이드봉
170: 차단판 170a : 강재볼

Claims (10)

  1.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좌우 한 쌍씩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승강판 좌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고, 타단부는 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2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따라 다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승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경사각이 줄어들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계단판; 및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승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세워져 설치된 제1지지봉과, 상기 계단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세워져 제2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과 제2지지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피훈련자가 보행훈련 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봉과 제2지지봉은 일단과 타단이 하방을 향하는 역U자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루;
    상기 승강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가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소켓;
    상기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스크루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의 하단부에는 종동기어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들을 경유하는 체인이 설치되어 하나의 모터로부터 복수의 스크루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스크루 인근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암나사 소켓을 관통한 스크루의 상단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측과 후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계단판과 계단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피훈련자의 발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계단판과 계단판의 각 단부 하면에 양단부가 접합되며, 서로 인접한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최대치가 된 상태에서는 펼쳐진 상태가 되어 계단판과 계단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차단하고,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줄어들수록 점진적으로 절곡되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플렉시블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다수의 강재볼이 분산된 상태로 첨가되어 강성을 높이면서도 플렉시블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10.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좌우 한 쌍씩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승강판 좌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고, 타단부는 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2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따라 다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승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경사각이 줄어들수록 서로 간의 단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계단판;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스크루, 상기 승강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가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소켓, 상기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스크루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승강모듈;
    상기 승강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제1지지봉과, 상기 계단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제2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과 제2지지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피훈련자가 보행훈련 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 및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계단판과 계단판의 각 단부 하면에 양단부가 접합되며, 서로 인접한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최대치가 된 상태에서는 펼쳐진 상태가 되어 계단판과 계단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아 피훈련자의 발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계단판과 계단판의 단차가 줄어들수록 점진적으로 절곡되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장치.
KR1020190160565A 2019-12-05 2019-12-05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KR20210070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65A KR20210070613A (ko) 2019-12-05 2019-12-05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65A KR20210070613A (ko) 2019-12-05 2019-12-05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13A true KR20210070613A (ko) 2021-06-15

Family

ID=7641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565A KR20210070613A (ko) 2019-12-05 2019-12-05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6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38A (ko)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사이보그-랩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38A (ko)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사이보그-랩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260B1 (ko) 하지 재활 치료 장치 및 훈련 방법
US10780009B2 (en) Apparatus for locomotion therapy
EP0929284B1 (de) Gerät zur stimulation von muskeln des bewegungsapparats
KR102264707B1 (ko)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US20120101414A1 (en) Device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and/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of a person
US10596058B2 (en) Locomotion therapy and rehabilitation device
CN108836736B (zh) 人体心血管功能训练仪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60046676A (ko)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기립 보조 휠체어 로봇
CN105769506A (zh) 下肢康复机器人
US20170216126A1 (en) Apparatus For Training Dynamic Balance And Turning Manoeuvres During Walking
CN200939314Y (zh) 便捷式腰腿韧带拉伸器
DE202008001590U1 (de) Multifunktionales Trainingsgerät für menschliche Gangvarianten
DE102008007580A1 (de) Multifunktionales Trainingsgerät für menschliche Gangvarianten
CN107569367B (zh) 一种下肢康复训练设备
KR20210070613A (ko) 계단의 단차 조절이 가능한 보행 훈련장치
KR100484670B1 (ko) 운동장치
KR102104262B1 (ko) 탑승형 보행 훈련장치
CN107970573A (zh) 步行康复训练阶梯
CN212548141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辅助装置
KR100804314B1 (ko) 전신운동장치용 롤러의 이탈방지장치
JP2006223791A (ja) 運動補助装置
RU2493805C1 (ru) Экзоскелетон инвалида
EP1704899B1 (en) Parallel bar apparatus for physical or physiotherapeutic exercise with adjustable bars
KR20170062578A (ko) 토크 보상 기능이 부가된 엔드이펙터형 보행재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