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25A -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 Google Patents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25A
KR20210066225A KR1020190155206A KR20190155206A KR20210066225A KR 20210066225 A KR20210066225 A KR 20210066225A KR 1020190155206 A KR1020190155206 A KR 1020190155206A KR 20190155206 A KR20190155206 A KR 20190155206A KR 20210066225 A KR20210066225 A KR 2021006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einforcement
diaphragm
cor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준
박구연
진주호
서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to KR102019015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25A/en
Publication of KR2021006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38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0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core of a column and a beam, capable of maximizing adhesion with concrete more than an existing case and preventing an out-of-plane deformation of a square steel pipe. To achieve the purpose, a junction core for joining a steel column with a beam includes: a column; an inner reinforcement material combined with an inner wall of the column, while increasing adhesion with concrete when the column is filled with the concrete; a diaphragm having a through slit penetrated by the inner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combined with the column; an outer reinforcement material combined with an outer wall of the column; and a coupling part coupling the outer reinforcement material, the column and the inner reinforcement material as an integrated body.

Description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Column and beam joint core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다양한 보와의 연결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core between a column and a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e for a junction between a column and a beam that can maximize adhesion with concrete than before, and in particular, can easily perform connection work with various beams. it's about

건축물의 시공 시 많은 기둥과 보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기둥과 보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기둥은 내부가 빈 사각의 금속 파이프 형태일 수 있고, 보는 H형 형강일 수 있다.Many columns and beams are required in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Columns and beams are usually made of metal. For example, the pillar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metal pi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the beam may be an H-shaped steel pipe.

이와 같은 기둥과 보를 서로 연결해 건축물의 뼈대를 만든 후, 이를 통해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After these columns and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framework of the building, the building can be constructed.

이처럼 건축물의 시공 시 많은 기둥과 보가 사용되며, 이들이 연결되어야 해서 이들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부 코어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In this way, many columns and beams a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since they must be connected, various techniques for a joint core for joining them are known.

이와 관련, 기둥과 보의 접합 부위에서 국부좌굴 등이 발생하여 어느 정도 골조가 에너지를 흡수한 후에 접합부의 취성파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기존의 지진 피해 사례를 보면 접합부에서의 파괴, 보에서의 국부좌굴 후 접합부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In this regard, local buckling occurs at the joint between the column and the beam, and the brittle fracture of the joint occurs after the frame absorbs energy to some extent. In particular, when looking at the previous earthquake damage cases, it was confirmed that brittle fracture occurred at the junction after fracture at the junction and local buckling at the beam.

특히 강구조 모멘트저항골조의 경우 모멘트 접합으로 처리하기 위해 기둥 플랜지-보 플랜지를 용접 또는 공장에서 수행하고 있어, 용접 이외의 접합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ment-resisting frames of steel structures, column flange-beam flanges are welded or performed in factories to process moment joining, so a joining method other than welding needs to be considered.

한편, 웹(web)과 플랜지(flang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H형강 기둥 같은 경우 개단면 형태로 접합의 처리가 간단하며, 폐단면 강관 기둥의 경우 강관이 가지는 폐단면이라는 형태적 특징 때문에 접합의 처리가 어려워 강도와 강성의 확보가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H-shaped steel column composed of a web and a flange, the joining process is simple in the form of an open cross-section, and in the case of a closed-section steel pipe column, due to the morphological feature of the closed cross-section of the steel pipe, the joining is difficult. It is difficult to process,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strength and rigidity.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접합 방법 중에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이라는 보강수단을 사용하여 기둥면의 변형방지, 보에 의한 휨하중에 대응하고 보와의 모멘트 접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접합부를 보강하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Considering these points, among the joining methods currently used, there i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joint by using a reinforcement means called a diaphragm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lumn surface, to cope with the bending load by the beam, and to enable moment joining with the beam. It is used a lot.

다이아프램은 관통형 다이아프램 형식, 내부 다이아프램 형식, 외부 다이아프램 형식 등이 있는데, 관통형 다이아프램 형식과 내부 다이아프램 형식은 강관 기둥을 절단한 후 보 플랜지 위치에 다이아프램을 관통시키거나 강관 내부에 다이아프램을 대고 다시 용접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형식은 외관이 단순하나 용접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용접검사에 따른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외부 다이아프램 형식은 강관의 외부에 경사를 가진 모양의 다이아프램을 보강, 용접하는 형식으로서 용접작업이 용이하나, 강재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며 다이아프램의 제작, 가공에 비용이 많이 들며, 접합부 주변의 외관도 복잡하게 된다.The diaphragm has a through-type diaphragm type, an inner diaphragm type, and an outer diaphragm type. The through-type diaphragm type and the inner diaphragm type cut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n pass the diaphragm at the beam flange position or It is a type that puts the diaphragm inside and welds it again. Although this type has a simple appearance, it requires a high level of skill in welding,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quality control according to welding inspection. The external diaphragm type reinforces and welds a diaphragm with an inclined shape on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It is easy to weld, but it tak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teel and costs a lot to manufacture and process the diaphragm. appearance is also complicated.

무엇보다도, 이러한 종래 다이아프램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16가지에까지 이르는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며, 더욱이 용접이 필수적이다.Above all, in the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diaphragm, a number of processes up to 16 types are required, and furthermore, welding is essential.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우수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합부 코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접합부 코어에 대한 기술을 특허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Accordingly, the need for a joint core capable of maintaining excellent rigidity in a simple manner has emerged, 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technology for the joint core.

다만, 등록기술의 경우, 내부 보강판이 일자형 구조라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다소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registered technology, considering that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has a straight structure, the adhesion to concrete may be somewhat lowered,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joint core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i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69734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6-0169734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각형 강관의 면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re for a junction between a column and a beam that can maximize adhesion to concrete and prevent out-of-plane deformation of a prismatic steel pip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 코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joint core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기둥; 및Pillar; and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상기 내부 보강재가 관통하는 관통 슬릿과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기둥에 결합하는 다이아프램;a diaphragm having a through slit through which the internal reinforcement passes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diaphragm coupled to the column;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 및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and

상기 외부 보강재, 상기 기둥 및 상기 내부 보강재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A joint core of a column and a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external reinforcement, the column,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상기 내부 보강재에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Ribs for increasing adhesion to the concrete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ternal reinforcement.

상기 내부 보강재는 상기 기둥 내벽 둘레를 따라 결합할 수 있다.The inner reinforcement may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상기 체결부가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bolt and a nut.

상기 너트가 상기 내부 보강재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nut may be integral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상기 보의 상기 외부 보강재와 접하는 쪽 단부에 스티프너가 형성될 수 있다.A stiffener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beam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상기 외부 보강재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측면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reinforcement cross-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상기 외부 보강재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상기 외부 보강재, 상기 기둥 및 상기 내부 보강재와 일체로 체결되는 이음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joint reinforcement disposed outside the external reinforcement and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the pillar,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by the fastening part.

상기 기둥과 상기 이음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는 끼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pillar and the joint reinforcemen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 코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joint core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기둥; 및Pillar; and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상기 외부 보강재에 연결되는 사이드 다이아프램; 및a side diaphragm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and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Joint core of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am connection diaphragm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a general beam or a composite beam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은 상기 기둥에 각각 배치되어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일 수 있다.The diaphragm for connecting the beam may be a diaphragm for connecting the beam by being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illar.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과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 연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eam connection brackets for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for connecting the beam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 코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joint core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기둥; 및Pillar; and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상기 외부 보강재에 연결되는 사이드 다이아프램;a side diaphragm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a diaphragm for beam connection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a general beam or a composite beam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 다이아프램;Upper and lower diaphragms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general beams or composite beams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s;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과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 연결 브래킷; 및A plurality of beam connection brackets for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for connecting the beam; and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에 대한 강성 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강성 유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Joint core of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gidity retaining material provided to maintain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각형 강관의 면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dhesion to concrete than befo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out-of-plane deformation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또한, 각형 강관과 보의 접합 시 종래보다 높은 강성이 확보된다. In addition, higher rigidity than the prior art is secured when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beam are joined.

또한 각형 강관과 보의 접합 시 용접 없이 조립이 가능하여 공정을 단축시키고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며 품질 또한 균일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ssemble without welding when joining a rectangular steel pipe and beam, the process is shortened, the joint is easily possible, and the quality is unifor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리브가 더 추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변형 사용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1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1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2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2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부분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lumn and a beam are combined using a joint co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ibs are further added in FIG. 1 .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4 .
6 and 7 are examples of modified use of FIG. 1 .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12 .
14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14 .
16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16 .
18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junction co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18 .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변형 사용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lumn and a beam are combined using a joint co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FIG. A perspective view,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4 , and FIGS. 6 and 7 are examples of modified use of FIG. 1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100)는 기둥(140) 즉 중간 기둥(140),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외부 보강재(150), 그리고 이들을 한 번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joint co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illar 140 , that is, an intermediate pillar 140 , an internal reinforcement 120 , a diaphragm 130 , an external reinforcement 150 , and these once It may include a fastening unit 170 for fastening to the .

중간 기둥(140)은 4각형 강관을 절단한 형태이다. 중간 기둥(140)의 내면에 내부 보강재(120)가 결합한다. 결합을 위해, 중간 기둥(140)의 4개 면 각각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다. The intermediate column 140 is a cut shape of a rectangular steel pipe. The inner reinforcement 12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For coupl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intermediate post 140 .

내부 보강재(120)는 강재이며 일측이 절곡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내부 보강재(120)는 중간 기둥(140)의 내벽에 결합하되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21)를 포함한다. 리브(121)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절곡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70ㅀ이다.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20 is a steel material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one side ben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includes a rib 121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but protrudes inward. The rib 121 may be bent at an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70°.

내부 보강재(120)는 중간 기둥(140) 내벽 둘레를 따라 한 변에 한 쌍씩 대칭되게 결합한다. 특히, 본 실시예서 내부 보강재(120)는 중간 기둥(140)의 내벽 한 변에 한 쌍씩 분절되게 형성된다.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20 is symmetrically coupled to one pair on one side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is formed to be segmented in pairs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이때, 내부 보강재(120)에는 내측으로 리브(12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리브(121)는 콘크리트 속에서 갈고리처럼 작용하여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키며, 각형 강관의 면외 변형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ribs 121 ar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and these ribs 121 act like a hook in the concrete to maximize the adhesion with the concrete than before, and prevent out-of-plane deformation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do.

다이아프램(130)은 4각 판형 강재이다. 다이아프램(130)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32)이 형성된다.The diaphragm 130 is a quadrilateral plate-shaped steel material. A through hole 13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130 .

또 다이아프램(130)에는 리브(121)를 포함하는 내부 보강재(12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슬릿(13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슬릿(134)은 4개의 내부 보강재(120)가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130)의 네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130 has a through slit 134 for inserting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20 including the rib 121 is formed. The through slits 134 are formed at each of the four edges of the diaphragm 130 so that all four inner reinforcement members 120 can be inserted.

본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130)은 중간 기둥(1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게끔 2개이다. 2개의 다이아프램(130)은 위치만 다르고 구성이 같다.In this embodiment, there are two diaphragms 130 to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respectively. The two diaphragms 13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a different position.

외부 보강재(150)는 판재 형태이며, 중간 기둥(140)의 외벽에 결합한다. 외부 보강재(150)가 없어도 접합부 코어(100)는 원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외부 보강재(150)가 결합하면 접합부 코어(10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외부 보강재(50)에도 체결부(170)의 볼트(171)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Even without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joint core 100 may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but when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is combined,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joint core 100 may be further increas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to which the bolts 171 of the fastening part 170 are inserted are also formed in the external reinforcement 50 .

보(163)의 외부 보강재(150)와 접하는 쪽 단부에는 스티프너(165)가 형성된다. 스티프너(165)는 다이아프램(13)의 관통 슬릿(134)에서부터 외부 보강재(150)까지 단면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외부 보강재(150)가 보(163) 및 스티프너(165)와 연결되어 중간 기둥(140)과 접합할 수 있게 한다.A stiffener 165 is formed at an end of the beam 163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stiffener 165 may distribute the cross-sectional force from the through slit 134 of the diaphragm 13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In particular,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is connected to the beam 163 and the stiffener 165 so that it can be joined to the intermediate column 140 .

체결부(170)는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를 일체로 체결하는 수단이다. 즉 체결부(170)를 통해서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가 한 번에 함께 조립된다. 따라서 구조물을 개별적으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70 is a means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That is, the outer reinforcing material 1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and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20 are assembled together at a time through the fasten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hassle of individually assembling the structure can be avoided,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70)는 볼트(171)와 너트(17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볼트(171)와 달리 너트(172)가 내부 보강재(12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너트(172)와 내부 보강재(120)는 일체형으로서 한 몸체를 이룬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art 170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bolt 171 and the nut 172 , and unlike the bolt 171 , the nut 17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That is, the nut 172 and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20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one body.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볼트(171)는 너트(172)가 미리 고정되어 있어서 너트(172)를 공구로 잡지 않더라도 볼트(171)만 한 방향(one way)으로만 조이는 작업을 하더라도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볼트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bolt 171 provides a fastening force even if the nut 172 is fixed in advance, so even if the nut 172 is not held with a tool, only the bolt 171 is tightened in one way. It can be a bolt that can do it.

체결부(170)를 이용해서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를 일체로 체결하는 경우, 체결부(170)의 볼트(171)는 외부 보강재(150)의 바깥쪽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이 쉽다.When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are integrally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part 170, the bolt 171 of the fastening part 170 is the outside of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Since it is fastened from the side, the operation is easy.

다만, 볼트(171)가 체결되어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를 고정하려면 너트가 필요한데, 내부 보강재(120)의 내부에서 너트 작업을 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70)의 일 요소인 너트(172)가 내부 보강재(12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bolt 171 is fastened, a nut is required to fix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but it is difficult to work with the nut inside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t 172 , which is an element of the fastening part 170 ,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이처럼 너트(172)가 내부 보강재(12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면 외부 보강재(150)의 바깥에서 볼트(171)를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 쪽으로 집어넣고, 최종적으로 너트(172)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도 외부 보강재(1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가 일체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매우 좋아질 수 있다.As such, when the nut 17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the bolt 171 is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toward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and finally fastened to the nut 172 , so that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can be integrally fastened with a simple method. Therefore, workability can be very improved.

보(163)는 외부 보강재(150)에 연결되는 H형빔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보(163)가 중간 기둥(140)의 둘레를 따라 4개 적용된다. 하지만, 공사 현장에 따라 보(163)는 도 6처럼 3개, 도 7처럼 2개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한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beam 163 is an H-beam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 In the embodiment of FIG. 1 , four beams 163 are appli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column 140 . However,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three beams 163 as shown in FIG. 6 and two beams as shown in FIG. 7 may be applied.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이하, 접합부 코어(100)의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pplication of the abutment core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접합부 코어(1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즉 리브(121)를 구비하는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중간 기둥(140), 외부 보강재(150) 등은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한다. Firs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joint core 100, that is,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having the ribs 121, the diaphragm 130, the intermediate pillar 140,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etc. are pre-made in the factory. produce

구체적으로, 접합부 코어(100)는 기존의 용접과 달리 단순 조립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레고와 같은 완구 블록을 조립하듯이 조립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joint core 100 may be manufactured by simple assembly unlike conventional welding. In other words, it can be assembled just like assembling toy blocks such as Lego.

먼저, 4개의 내부 보강재(120)를 하부 다이아프램(130)의 관통 슬릿(134)으로 관통시킨다. 이어서 중간 기둥(140)을 내부 보강재(120)가 결합한 하부 다이아프램(130)과 결합한다.First, the four internal reinforcements 120 are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slits 134 of the lower diaphragm 130 . Then, the intermediate pilla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diaphragm 130 to which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is coupled.

다음으로, 상부 다이아프램(130)을 4개의 내부 보강재(120)에 끼워 설치한다. Next, the upper diaphragm 130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four inner reinforcing materials 120 .

이렇게 형성된 접합부 코어(100)를 각형강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기둥(161,162)과 공장에서 가조립한 후, 외부 보강재(150)를 결합하여 현장으로 납품한다.The joint core 100 thus formed is temporarily assembled at the factory with the upper and lower columns 161 and 162 made of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n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is combined and delivered to the site.

또는 접합부 코어의 조립은 도 17에 나타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assembly of the abutment core may be performed in the manner shown in FIG. 17 .

즉 접합부 코어(100)만을 현장으로 납품한 뒤 현장에서 상부 및 하부 기둥(161,162)과 가조립할 수도 있다.That is, after delivering only the junction core 100 to the site, it may be temporarily assembled with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61 and 162 at the site.

이와 같이 접합부 코어(100)와 기둥이 연결되면, 이어서 보(163)를 결합한다.When the junction core 100 and the column are connected in this way, the beam 163 is then coupled.

각 부품의 결합은 체결부(170)의 일 요소인 볼트(171)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볼트(171)에 의해 내부 보강재(120), 중간 기둥(140), 외부 보강재(150)가 동시에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일부 볼트는 내부 보강재(120)와 하부 기둥(162)만을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upling of each part is made by tightening the bolt 171 , which is an element of the fastening part 170 . Of course, it is advantageous to combine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external reinforcement 150 at the same time by the bolt 171, but some bolts may combine only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and the lower pillar 162. it might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보강재(120)에 리브(121)가 형성되어서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각형 강관의 면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ibs 121 are formed on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the adhesion to concrete can be maximized than before, and out-of-plane deformation of the prismatic steel pipe can be prevented.

또한, 각형 강관과 보(163)의 접합 시 종래보다 높은 강성이 확보된다. 또 각형 강관과 보(163)의 접합 시 용접 없이 조립이 가능하여 공정을 단축시키고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며 품질 또한 균일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beam 163 are joined, higher rigidity than the conventional one is secured. In addition, when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beam 163 are joined, assembly is possible without welding, thereby shortening the process, allowing easy joining, and uniform quality.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200) 역시, 중간 기둥(140), 리브(121)를 구비하는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외부 보강재(250), 그리고 이들을 한 번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70)를 포함한다. 이들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joint co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n intermediate pillar 140, an internal reinforcement 120 having a rib 121, a diaphragm 130, an external reinforcement 250, and and a fastening part 170 for fastening them at once. Their func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외부 보강재(250)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내부 보강재(120)에 하나씩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external reinforcement 250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members 120 .

그리고 이러한 외부 보강재(250)에 사이드 다이아프램(280)이 연결된다. 사이드 다이아프램(280)은 외부 보강재(250)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외부 보강재(250) 하나당 하나씩 적용된다.And the side diaphragm 280 is connected to this external reinforcement 250 . The side diaphragm 280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250 , and one external reinforcement 250 is applied to each.

측면 보강재(280)는 기존의 엔드 플레이트 방식에서 변형된 형태인데,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 적용된다. 즉 합성보(TU보, 하이퍼보, TSC보 등) 적용 시 보 연결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9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The side reinforcement 280 is a modified form from the conventional end plate method, and is applied for convenience of construction. That is, it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beam connection method when applying composite beams (TU beams, hyper beams, TSC beams, etc.). This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FIGS. 12 to 19 .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200) 역시, 중간 기둥(140), 리브(121)를 구비하는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외부 보강재(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joint co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n intermediate pillar 140 , an internal reinforcement 120 having a rib 121 , a diaphragm 130 , and an external reinforcement 350 .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200)에도 제2 실시예처럼 외부 보강재(350)에 측면 보강재(380)가 연결되어 합성보 적용 시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끔 한다.In addition, the side reinforcement 38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35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joint co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connection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when the composite beam is applied.

한편, 이들 구성 외에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음 보강재(390, splice plate)가 더 적용된다. 이음 보강재(390)는 외부 보강재(350)의 외부에 배치되되 체결부(170)에 의하여 외부 보강재(3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와 일체로 체결되며, 상부 및 하부 기둥(161,162)을 중간 기둥(140)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se configurations, a joint reinforcement (390, splice plate) is further applied. The joint reinforcement 39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reinforcement 350 and is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350,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by the fastening part 170, and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61, 162) is used for connecting to the intermediate pillar (140).

즉 체결부(170)의 일 요소인 볼트(171)를 이음 보강재(390), 외부 보강재(3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로 집어넣은 다음, 내부 보강재(12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172)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모든 구성들이 한 번에 조립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bolt 171 , which is one element of the fastening part 170 , is inserted into the joint reinforcement 390 , the external reinforcement 350 ,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and th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 All components can be assembled at once by being fastened to the nut 172 integrally formed with the .

이러한 이음 보강재(390)를 적용함에 있어서 끼움재(395)가 더 사용된다. 끼움재(395)는 중간 기둥(140)과 이음 보강재(390) 사이에 개재되어 중간 기둥(140)과 이음 보강재(390)를 보강하는 판재이다.In applying the joint reinforcement 390, the fitting 395 is further used. The fitting 395 is a plate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joint reinforcement 390 to reinforce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joint reinforcement 390 .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400) 역시, 중간 기둥(140), 리브(121)를 구비하는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외부 보강재(450), 그리고 이들을 한 번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70)를 포함한다. 이들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joint cor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n intermediate pillar 140, an inner reinforcement member 120 having a rib 121, a diaphragm 130, an external reinforcement member 450, and and a fastening part 170 for fastening them at once. Their func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외부 보강재(450)는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내부 보강재(120) 2개에 하나씩 대응되는 넓은 면적 구조를 이룬다.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external reinforcement 450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large-are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wo internal reinforcements 120 one by one.

이러한 외부 보강재(450)에도 제2 실시예처럼 측면 보강재(480)가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측면 보강재(480)는 외부 보강재(450)에 교차하게 연결되되 외부 보강재(450) 하나당 두 개씩 적용된다.The side reinforcement 480 is also connected to this external reinforcement 45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ide reinforcement 48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cross-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450, but two external reinforcement 450 per one. applied each.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joint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500) 역시, 중간 기둥(140), 리브(121)를 구비하는 내부 보강재(120), 다이아프램(130), 외부 보강재(5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joint cor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n intermediate pillar 140 , an internal reinforcement 120 having a rib 121 , a diaphragm 130 , and an external reinforcement 550 .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200)에도 외부 보강재(550)에 측면 보강재(580)가 연결되어 합성보 적용 시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끔 한다.In addition, the side reinforcement 58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550 in the joint co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connection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when the composite beam is appli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음 보강재(590)와 끼움재(595)가 더 사용된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joint reinforcement 590 and the fitting 595 are further used.

앞선 실시예와 같은 기능인데, 이음 보강재(590)는 외부 보강재(550)의 외부에 배치되되 체결부(170)에 의하여 외부 보강재(550), 중간 기둥(140) 및 내부 보강재(120)와 일체로 체결되며, 상부 및 하부 기둥(161,162)을 중간 기둥(140)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It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but the joint reinforcement 59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reinforcement 550 and integrated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550,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120 by the fastening part 170 and is used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61 and 162 to the intermediate pillar 140 .

그리고 끼움재(595)는 중간 기둥(140)과 이음 보강재(590) 사이에 개재되어 중간 기둥(140)과 이음 보강재(590)를 보강한다.And the fitting 595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joint reinforcement 590 to reinforce the intermediate pillar 140 and the joint reinforcement 590 .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더라도 기존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각형 강관의 면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형 강관과 보(163)의 접합 시 종래보다 높은 강성이 확보된다. 또 각형 강관과 보(163)의 접합 시 용접 없이 조립이 가능하여 공정을 단축시키고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며 품질 또한 균일하게 된다.Even i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dhesion to concrete and to prevent out-of-plane deformation of the prismatic steel pipe, as well as to secure higher rigidity than before when the prismatic steel pipe and the beam 163 are joined. In addition, when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beam 163 are joined, assembly is possible without welding, thereby shortening the process, allowing easy joining, and uniform quality.

한편,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9의 도면을 참조해서 전술한 실시예의 접합부 코어에 제1 보(10) 혹은 제2 보(20)가 접합, 즉 연결되는 구조를 살펴본다.Meanwhil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eam 10 or the second beam 20 is joined, that is, connected to the joint co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12 to 19 .

아래의 도 12 내지 도 19의 도면에서 제1 보(10)는 일반보이고, 제2 보(20)는 합성보일 수 있는데, 그 형상은 바뀔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of FIGS. 12 to 19 below, the first beam 10 may be a general beam, and the second beam 20 may be a composite beam, and its shape may be chang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1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부분 분해도이다.12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m is connected to the junction co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FIG. 12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600)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접합부 코어(400)에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junction cor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beam connection diaphragms 610 and 620 are connected to the junction core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과 협조해서 제1 보(10)와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상부, 하부 및 측부 보 연결 브래킷(631,632,633)이 더 적용된다. 복수의 상부 및 하부 보 연결 브래킷(631,632)은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과 나사 결합하고, 측부 보 연결 브래킷(633)은 측면 보강재(480)와 나사 결합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lower and side beam connection brackets (631, 632, 633) are further applied to connect with the first beam (10) in cooperation with the diaphragm (610, 620) for connecting the beams.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beam connection brackets 631 and 632 are screwed to the diaphragms 610 and 620 for beam connection, and the side beam connection bracket 633 is screwed to the side reinforcement 480 .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을 비롯해서, 복수의 상부, 하부 및 측부 보 연결 브래킷(631,632,633)이 적용됨으로써 제1 보(10)가 쉽게 연결될 수 있게끔 한다. 물론, 나사 구조라서 제1 보(10)의 해체 작업 역시 쉽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diaphragms 610 and 620 for connecting the beams, a plurality of upper, lower and side beam connecting brackets 631, 632, and 633 are applied so that the first beam 10 can be easily connected. Of course, since it is a screw structure, the dismantling operation of the first beam 10 is also easy.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1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부분 분해도이다.14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FIG. 14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700)는 전술한 제5 실시예의 접합부 코어(500)를 그대로 적용하되, 제1 보(10)와의 연결을 위해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 그리고, 복수의 상부, 하부 및 측부 보 연결 브래킷(631,632,633)이 적용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joint cor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pplies the joint core 500 of the above-described fifth embodiment as it is, but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beam 10, the beam connection diaphragms 610 and 620 ), and a plurality of upper, lower and side beam connection brackets (631, 632, 633) are applied to present a structure.

앞선 제6 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의 상부 및 하부 보 연결 브래킷(631,632)은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610,620)과 나사 결합하고, 측부 보 연결 브래킷(633)은 측면 보강재(580)와 나사 결합하며, 이러한 작용으로 제1 보(1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끔 한다.As in the sixth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beam connection brackets 631 and 632 are screwed to the diaphragms 610 and 620 for beam connection, and the side beam connection bracket 633 is screwed to the side reinforcement 580. And, this action allows the first beam 10 to be detachably connected.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2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부분 분해도이다.16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800)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접합부 코어(400)를 그대로 적용하되, 제2 보(20)와의 연결을 위해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810,820), 그리고, 복수의 상부 및 하부 보 연결 브래킷(831,832)이 적용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제2 보(20)는 합성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joint core 8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pplies the joint core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as it is, but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beam 20, the beam connection diaphragms 810 and 820 ), and suggests a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beam connection brackets 831 and 832 are applied. The second beam 20 may be a composite beam.

측면 보강재(480) 주변의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 있게끔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810,820)의 형상이 결정된다. 하지만,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810,820)의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Since the structures around the side reinforcement 480 are different, the shapes of the diaphragms 810 and 820 for connecting the beams are determined to cope with them. However, the roles of the diaphragms 810 and 820 for connecting the beam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보(20)에 대한 강성 유지를 위해 강성 유지재(840)가 측면 보강재(480)의 일측에 결합하는 구조가 상이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rigidity retaining material 8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reinforcement 480 to maintain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eam 20 is different.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에 제2 보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부분 분해도이다.18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junc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18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코어(900)는 전술한 제5 실시예의 접합부 코어(500)를 그대로 적용하되, 제2 보(20)와의 연결을 위해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810,820), 그리고, 복수의 상부 및 하부 보 연결 브래킷(831,832)이 적용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앞선 제8 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의 상부 및 하부 보 연결 브래킷(831,832)은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810,820)과 나사 결합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joint cor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pplies the joint core 500 of the above-described fifth embodiment as it is, but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beam 20, the beam connection diaphragms 810 and 820 ), and suggests a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beam connection brackets 831 and 832 are applied. As in the previous eighth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beam connection brackets 831 and 832 are screwed to the diaphragms 810 and 820 for beam connection.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강성 유지재(840)가 측면 보강재(880)의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제2 보(20)에 대한 강성을 유지시킨다.And eve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rigidity retaining material 840 maintains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eam 20 by coupling to one side of the side reinforcement 880 .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접합부 코어 120: 내부 보강재
121: 리브 130: 다이아프램
132: 관통구멍 134: 관통 슬릿
140: 중간 기둥 150: 외부 보강재
161: 상부 기둥 162: 하부 기둥
163: 보 165: 스티프너
170: 체결부 171: 볼트
172: 너트
100: joint core 120: internal reinforcement
121: rib 130: diaphragm
132: through hole 134: through slit
140: middle column 150: external reinforcement
161: upper column 162: lower column
163: bo 165: stiffener
170: fastening part 171: bolt
172: nut

Claims (13)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
기둥; 및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
상기 내부 보강재가 관통하는 관통 슬릿과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기둥에 결합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 및
상기 외부 보강재, 상기 기둥 및 상기 내부 보강재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Pillar; and
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a diaphragm having a through slit through which the internal reinforcement passes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diaphragm coupled to the column;
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and
A joint core of a column and a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external reinforcement, the column,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강재에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A junction core between a column and a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s for increasing the adhesion with the concrete to the internal reinforcement are formed to protrude i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강재는 상기 기둥 내벽 둘레를 따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reinforcement is a joint core of a column and a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core of the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made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상기 내부 보강재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u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junction co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의 상기 외부 보강재와 접하는 쪽 단부에 스티프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A joint core between a column and a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stiffener is formed at an end of the beam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강재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측면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Joint core of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de reinforcement cross-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강재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상기 외부 보강재, 상기 기둥 및 상기 내부 보강재와 일체로 체결되는 이음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co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external reinforcement and further comprises a joint reinforcement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external reinforcement, the column,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by the fasten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상기 이음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는 끼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joint co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t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joint reinforcement.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
기둥; 및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
상기 외부 보강재에 연결되는 사이드 다이아프램; 및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Pillar; and
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a side diaphragm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and
Joint core of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am connection diaphragm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a general beam or a composite beam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은 상기 기둥에 각각 배치되어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phragm for connecting the beam is a diaphragm for connecting the beam, which i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colum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과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 연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aphragm for connecting the beam and a plurality of beam connecting brackets for connecting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the core and the junction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강관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로서,
기둥; 및
상기 기둥의 내벽에 결합하되 상기 기둥 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내부 보강재;
상기 기둥의 외벽에 결합하는 외부 보강재;
상기 외부 보강재에 연결되는 사이드 다이아프램;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
상기 사이드 다이아프램과 함께 일반보 또는 합성보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 다이아프램;
상기 보 연결용 다이아프램과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일반보 또는 상기 합성보에 대한 강성 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강성 유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As a joint core for join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Pillar; and
an in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column;
an external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lumn;
a side diaphragm connected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a diaphragm for beam connection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a general beam or a composite beam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
Upper and lower diaphragms provided for connection with general beams or composite beams together with the side diaphragms;
A plurality of beam connection brackets for connecting the diaphragm and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for connecting the beam; and
Joint core of column a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gidity retaining material provided to maintain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beam or the composite beam.
KR1020190155206A 2019-11-28 2019-11-28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KR202100662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06A KR20210066225A (en) 2019-11-28 2019-11-28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06A KR20210066225A (en) 2019-11-28 2019-11-28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25A true KR20210066225A (en) 2021-06-07

Family

ID=7637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06A KR20210066225A (en) 2019-11-28 2019-11-28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089B2 (en) Joint core for joining columns and beams and method of joining columns and beams using this
KR100684931B1 (en)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JP2645365B2 (en) Beam-column joint
KR102217178B1 (en) Non-welding beam-to-column connection structure with reinforcing plate and through bolt
JPH09256461A (en) Non-welded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for capital
JPH1122001A (en) Structure of junction between closed section column and beam
KR20210066225A (en)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KR102352235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KR20090105512A (en) Concrete Filled Steel Tube
JP4853422B2 (en) Gate frame with connection of composite beams and wooden columns
JP307653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closed section column and beam
JP3327184B2 (en) Column-to-beam joints between steel pipe structure or filled steel pipe concrete structure column and SRC structure beam
JP5490551B2 (en) Beam-column joint for system building
KR102453459B1 (en) Column-beam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lumn-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joint assembly with flange joint member
JP2566701Y2 (en) Joint structure betwee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s
KR20160101501A (en) Easy cross square steel pipe fittings work
KR101371198B1 (en) Square pipe type assembling structural member
JPH05346039A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CA3010302C (en)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606250B2 (en) Joint structure betwe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JP2619323B2 (en) Assembling method of steel columns and beams in steel reinforced buildings
JP2000291289A (en) Joining structure of earthquake resistant member
JP6518446B2 (en) Column and beam construction method
JPH09111871A (en) Join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JPH05263468A (en) Joining structure of angular steel pipe column and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