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84A - 환자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5784A KR20210065784A KR1020190154912A KR20190154912A KR20210065784A KR 20210065784 A KR20210065784 A KR 20210065784A KR 1020190154912 A KR1020190154912 A KR 1020190154912A KR 20190154912 A KR20190154912 A KR 20190154912A KR 20210065784 A KR20210065784 A KR 202100657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arm
- wrist
- support
- han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1513 Elbo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8060008443 TPPP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4855 Loss of 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34 Muscle sp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92 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 및 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 또는 팔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연결되고,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의 실시 예는 환자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중환자나 치료 중인 환자의 경우, 환자 및 보호자의 안전을 위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링거액 공급을 위한 링거줄이나 소변배출을 위한 소변줄 등이 몸에 부착되는 중환자의 경우, 환자가 몸을 뒤척이면서 이러한 호스들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 또는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도,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신체에 연결된 호스들을 뽑거나, 자기 방어본능에 따라 손을 휘둘러 타인에게 위협을 가하는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 병원에서는 환자의 신체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보호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보호대의 구속 강도가 너무 강하다면, 환자가 정서적 불안을 느낄 수 있고, 환자에게 혈액순환장애, 근육경련, 피부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보호대의 구속 강도가 너무 약하다면, 보호대의 구속이 쉽게 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를 충분히 구속하면서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자용 보호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환자 및 보호자의 안전을 위하여 중환자 또는 치료 중인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를 충분히 구속하면서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외부구조물에 대하여 환자의 손목 및 팔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띠의 길이를 각각 조절하여 개별적으로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 및 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 또는 팔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연결되고,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손지지부; 및 상기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상기 손지지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지지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구비되는 손지지부재; 및 상기 손지지부재 내측에 구비되는 손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지지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부; 및 상기 손목지지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손목지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손목날개; 및 상기 한 쌍의 손목날개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손목날개에 연결되는 손목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환자의 팔을 감싸도록, 상기 팔지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팔날개; 및 상기 한 쌍의 팔날개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팔날개에 연결되는 팔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팔날개는, 상기 환자의 아랫팔을 감싸는 한 쌍의 아랫팔날개; 및 상기 환자의 윗팔을 감싸는 한 쌍의 윗팔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띠; 및 상기 결속부 및 외부구조물을 연결하는 상기 고정띠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띠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띠의 일측에 고정되는 암길이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띠의 타측에 상기 고정띠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길이조절부재와 서로 체결 가능한 수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목날개에 연결되는 손목고정부; 및 상기 팔날개에 연결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손목날개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이 개봉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개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신체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이중 체결을 통해 환자의 신체 부위가 환자용 보호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목을 외부구조물에 고정시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되, 환자가 보호대 내부에서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통풍이 됨으로써, 환자가 보호대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외부구조물에 대하여 환자의 손목 및 팔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띠의 길이를 각각 조절하여 개별적으로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착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착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 및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구조물(B)에 고정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 예를 들어, 환자의 손 및 팔에 착용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정해진 공간, 예를 들어, 환자용 침상 내로 제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용 침상과 같은 외부구조물(B)에 고정되어,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몸체부(10), 지지부(11), 결속부(12), 고정부(13) 및 개봉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환자의 손을 감쌀 수 있다. 몸체부(10)에는 환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삽입공간(103)에 삽입된 환자의 손을 감싸고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의 손이 몸체부(10)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용 보호대(1)를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10)는 손지지부(101) 및 덮개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지지부(101)는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지지부(101)는 삽입공간(103)에 삽입된 환자의 손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손지지부(101)는 환자의 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환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손지지부(101)는 손지지부재(1011) 및 손지지판(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지지부재(1011)에는 환자의 손바닥이 편안한 자세로 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바닥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환자의 손바닥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손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의 움직임에 순응하여 형태의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지지부재(1011)는 외력에 의해 압축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자가 손을 움켜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손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간(103) 내에서의 환자의 손 움직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손지지부재(1011)는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재는 손지지부재(1011)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손지지판(1012)은 손지지부재(10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손지지부재(1011)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지지판(1012)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지지판(1012)은 손지지부재(1011)의 형상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지지부재(10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손지지판(1012)은 손지지부재(101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어, 손지지부재(1011)의 바닥면의 형상을 평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손지지부재(1011)가 구조물, 예를 들어, 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다.
덮개부재(102)는 환자의 손등을 감쌀 수 있다. 덮개부재(102)는 손지지부(101)가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손지지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지지부(101) 및 덮개부재(102)를 통해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공간(103)에 환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덮개부재(102)의 외측 일부가 손지지부(101)에 봉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덮개부재(102)는 삽입공간(103)의 입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폐쇄되도록, 손지지부(101)에 봉제될 수 있다.
덮개부재(102)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재(102)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재(102)를 통해 공기가 용이하게 통풍될 수 있기 때문에, 삽입공간(103)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환자용 보호대(1)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손에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발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봉부(14)는 삽입공간(103)을 개봉시킬 수 있다. 개봉부(14)는 덮개부재(102)가 개봉되도록, 덮개부재(102)에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14)는 덮개부재(10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봉부(14)는 지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봉부(14)는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14)를 개봉하면, 환자는 개봉된 개봉부(14)를 통해 손을 삽입공간(103)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용 보호대(1)를 통해 환자의 손목 부분을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면서도, 개봉부(14)를 개봉하여 환자가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개봉부(14)를 개봉하여 환자가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유도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지부(11)는 환자의 손목 및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1)는 도 2를 기준으로, 몸체부(10)의 하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는 손지지부(101)의 하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손목지지부(111) 및 팔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지지부(111)는 환자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다. 손목지지부(111)는 삽입공간(103)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 부위에 위치하도록, 손지지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지지부(111)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손지지부(10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손목지지부(111)는 손지지부(101)가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다. 손목지지부(111)에는 환자의 손목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에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팔지지부(112)는 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팔지지부(112)는 삽입공간(103)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팔 부위에 위치하도록, 손목지지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지지부(112)는 손목으로부터 어깨를 향해 연장되도록, 손목지지부(11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팔지지부(112)는 손지지부(101) 및 손목지지부(111)가 환자의 손바닥 및 손목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팔지지부(112)에는 환자의 팔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에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팔지지부(112)는 환자의 손이 삽입공간(103)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의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팔지지부(112)는 손목부터 팔꿈치보다 더 위쪽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결속부(12)는 몸체부(10)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11)를 환자의 손목 또는 팔에 결속시킬 수 있다. 결속부(12)는 지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결속부(12)는 환자의 신체를 환자용 보호대(1)에 결속시킬 수 있다. 결속부(12)는 손목날개(121), 손목체결부재(122), 팔날개(123) 및 팔체결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날개(121)는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손목날개(121)는 손목지지부(111)가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손목지지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날개(121)는 손목지지부(1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손목날개(121)는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손목날개(121)에는 손목체결부재(12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체결부재(122)는 한 쌍의 손목날개(121)에 각각 연결되는 서로 탈착 가능한 암수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손목날개(121)는 환자의 손목 굵기에 상응하도록 포개진 상태로 손목체결부재(12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손목날개(121)가 서로 포개지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손목날개(121)가 환자의 손목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손목날개(121)는 손목지지부(111)와 함께 환자의 손목을 감싸 지지하면서, 환자의 손목을 조일 수 있다. 즉, 한 쌍의 손목날개(121) 및 손목체결부재(122)를 통하여, 환자의 손목에 손목지지부(111)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손이 삽입공간(10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목날개(121)에는 덮개부재(102)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공간(103)의 입구 방향을 향하는 덮개부재(102)의 일측에는, 손목날개(121)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102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체결부재(1021)는 손목날개(121) 및 덮개체결부재(1021)에 각각 연결되는 서로 탈착 가능한 암수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손목날개(121)가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카테터 등의 연결을 위하여 환자의 손등이 노출되거나 덮여지도록 덮개부재(102)를 손목날개(121)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팔날개(123)는 환자의 팔을 감쌀 수 있다. 팔날개(123)는 손목지지부(111)가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팔을 감싸도록 팔지지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날개(123)는 팔지지부(1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는 환자의 팔을 감싸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에는 팔체결부재(124)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체결부재(124)는 한 쌍의 팔날개(123)에 각각 연결되는 서로 탈착 가능한 암수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는 환자의 팔 굵기에 상응하도록 포개진 상태로 팔체결부재(12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가 서로 포개지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팔날개(123)가 환자의 팔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팔날개(123)는 팔지지부(112)와 함께 환자의 팔을 감싸 지지하면서, 환자의 팔을 조일 수 있다. 즉, 한 쌍의 팔날개(123) 및 팔체결부재(124)를 통하여, 환자의 팔에 팔지지부(112)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손 및 팔이 환자용 보호대(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자의 손목 부위뿐만 아니라, 환자의 팔 부위까지 환자용 보호대(1)와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용 보호대(1)가 환자의 손 및 팔에서 이탈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팔날개(123)는 한 쌍의 아랫팔날개(123a) 및 한 쌍의 윗팔날개(12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아랫팔날개(123a)는 환자의 아랫팔을 감쌀 수 있다. 환자의 아랫팔은 환자의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이르는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아랫팔날개(123a)에는 아랫팔체결부재(124a)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윗팔날개(123b)는 환자의 윗팔을 감쌀 수 있다. 환자의 윗팔은 환자의 팔꿈치부터 어깨까지 이르는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윗팔날개(123b)에는 윗팔체결부재(124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윗팔날개(123b)는 아랫팔날개(123a)보다 팔지지부(11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윗팔날개(123b)는 환자가 환자용 보호대(1)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의 팔꿈치부터 어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자용 보호대(1)를 환자의 팔에 전반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면서, 팔꿈치보다 더 높은 곳에서 결속되기 때문에, 환자용 보호대(1)가 환자의 손 및 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3)는 몸체부(10)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3)는 몸체부(10), 지지부(11) 및 결속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는 손목지지부(111) 및 결속부(12)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3)는 고정띠(131) 및 길이조절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띠(131)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띠(131)는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고정띠(131)는 손목지지부(111) 및 결속부(12)의 외면에 봉제될 수 있다. 고정띠(131)는 몸체부(10)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침대와 같은 외부구조물에 묶이거나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결됨으로써, 외부구조물에 대하여 몸체부(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132)는 고정띠(1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용 보호대(1)와 외부구조물의 사이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재(132)는 결속부(12) 및 외부구조물을 연결하는 고정띠(131)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띠(131)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부재(132)는 암길이조절부재(1321) 및 수길이조절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암길이조절부재(1321) 및 수길이조절부재(1322)는 서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길이조절부재(1321) 및 수길이조절부재(1322)는 서로 체결 가능한 버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암길이조절부재(1321)는 고정띠(13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수길이조절부재(1322)는 고정띠(131)의 타측에 고정띠(1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길이조절부재(1322)는 암길이조절부재(1321)와 서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길이조절부재(1321) 및 수길이조절부재(1322)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띠(131)에 폐곡선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구조물이 고정띠(131)가 이루는 폐곡선 안에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손이 삽입된 환자용 보호대(1)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길이조절부재(132)를 이용하여 고정띠(131)가 이루는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환자의 손이 삽입된 환자용 보호대(1)의 이동 가능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황에 따라 고정띠(1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가 손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3)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는 손목날개(121) 및 팔날개(123)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는 손목고정부(13a) 및 팔고정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고정부(13a)는 손목지지부(111) 및 손목날개(121)에 연결될 수 있다. 손목고정부(13a)는 환자의 손목 부위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팔고정부(13b)는 팔지지부(112) 및 팔날개(123)에 연결될 수 있다. 팔고정부(13b)는 환자의 팔 부위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고정부(13b)는 윗팔날개(123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자의 손목 및 팔을 각각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손 및 팔의 이동범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황에 따라 손목고정부(13a)의 길이조절부재(132a) 및 팔고정부(13b)의 길이조절부재(132b)를 각각 조절하여, 환자의 손 및 팔의 이동범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고정부(13b)의 고정띠(131b)는 짧게 조절하여 환자의 팔의 이동 범위는 좁게 하되, 손목고정부(13a)의 고정띠(131a)는 길게 조절하여 손의 이동 범위는 넓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팔고정부(13b)는 윗팔날개(123b) 및 아랫팔날개(123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착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손의 삽입공간(103) 내부에서의 움직임을 보장하면서도, 환자의 손이 삽입공간(10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자용 보호대(1)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방식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환자의 손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삽입공간(103)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지지부(101)는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고, 손목지지부(111)는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고, 팔지지부(112)는 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이후, 도 6과 같이, 한 쌍의 손목날개(121)는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손목날개(121) 각각을 제1손목날개(1211) 및 제2손목날개(1212)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1손목날개(1211)가 환자의 손목을 덮으면, 제2손목날개(1212)는 제1손목날개(1211) 위에 겹쳐지도록 제1손목날개(12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손목날개(1211) 및 제2손목날개(1212)는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손목체결부재(122)를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제1손목날개(1211) 및 제2손목날개(1212)가 서로 포개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손목날개(1211) 및 제2손목날개(1212)가 환자의 손목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손목날개(121)를 통해 몸체부(10)가 환자의 손에 1차적으로 고정되어, 환자의 손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목날개(121)가 환자의 손을 감싸는 상태에서, 덮개부재(102)는 덮개체결부재(1021)에 의해 손목날개(121)와 체결될 수 있다. 덮개체결부재(1021)가 구비된 덮개부재(102)의 하단은 손지지부(101)에 봉제되지 않은 부분으로써, 환자의 손등이 드러나도록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덮개부재(102)가 손목날개(121)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덮개부재(102)를 뒤로 젖힘으로써 환자의 손등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가 환자의 손목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손등에 의료용 장치, 예를 들어,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반면, 덮개부재(102)가 손목날개(121)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덮개부재(102)가 환자의 손등을 덮음으로써, 환자의 손목이 위로 젖혀지는 경우에도 환자의 손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팔날개(123)는 환자의 팔을 감쌀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가 환자의 팔을 덮으면, 각각의 팔날개(123)는 팔체결부재(124)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팔날개(123)가 서로 포개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한 쌍의 팔날개(123)가 환자의 팔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아랫팔날개(123a)는 아랫팔체결부재(124a)를 통하여 체결되고, 환자의 아랫팔을 감싸 조일 수 있다. 한 쌍의 윗팔날개(123b)는 윗팔체결부재(124b)를 통하여 체결되고, 환자의 아랫팔을 감싸 조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팔날개(123)를 통해 팔지지부(112)가 환자의 팔에 2차적으로 고정되므로, 환자용 보호대(1)가 환자의 손 및 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목날개(121) 및 팔날개(123)를 통하여 각각 1차, 2차적으로 환자의 신체에 환자용 보호대(1)를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고정부(13)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 움직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띠(131)를 외부구조물에 묶거나, 외부구조물을 감싸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길이조절부재(132)를 통해 고정띠(1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손목고정부(13a)와 팔고정부(13b)의 길이는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환자용 보호대
10: 몸체부
11: 지지부
12: 결속부
13: 고정부
14: 개봉부
10: 몸체부
11: 지지부
12: 결속부
13: 고정부
14: 개봉부
Claims (14)
-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 및 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 또는 팔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연결되고,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손지지부; 및
상기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상기 손지지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지지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구비되는 손지지부재; 및
상기 손지지부재 내측에 구비되는 손지지판을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지지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부; 및
상기 손목지지부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환자용 보호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손목지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손목날개; 및
상기 한 쌍의 손목날개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손목날개에 연결되는 손목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환자의 팔을 감싸도록, 상기 팔지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팔날개; 및
상기 한 쌍의 팔날개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팔날개에 연결되는 팔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팔날개는,
상기 환자의 아랫팔을 감싸는 한 쌍의 아랫팔날개; 및
상기 환자의 윗팔을 감싸는 한 쌍의 윗팔날개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부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띠; 및
상기 결속부 및 외부구조물을 연결하는 상기 고정띠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띠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띠의 일측에 고정되는 암길이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띠의 타측에 상기 고정띠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길이조절부재와 서로 체결 가능한 수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목날개에 연결되는 손목고정부; 및
상기 팔날개에 연결되는 팔고정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손목날개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되는 환자용 보호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이 개봉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개봉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4912A KR102355286B1 (ko) | 2019-11-27 | 2019-11-27 | 환자용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4912A KR102355286B1 (ko) | 2019-11-27 | 2019-11-27 | 환자용 보호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5784A true KR20210065784A (ko) | 2021-06-04 |
KR102355286B1 KR102355286B1 (ko) | 2022-01-25 |
Family
ID=7639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4912A KR102355286B1 (ko) | 2019-11-27 | 2019-11-27 | 환자용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528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3522A (ja) * | 2008-03-07 | 2009-09-24 | Machiko Yoshida | 医療補助用ハンドカバー |
CN201505202U (zh) * | 2009-09-22 | 2010-06-16 | 陈仁英 | 一种手部保护性约束护理用具 |
CN201510398U (zh) * | 2009-10-22 | 2010-06-23 | 谭丽萍 | 防意外拔管约束手套 |
CN205759076U (zh) * | 2016-05-10 | 2016-12-07 | 雷丹 | 多功能防手部肿胀防拔管手部护具 |
-
2019
- 2019-11-27 KR KR1020190154912A patent/KR1023552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3522A (ja) * | 2008-03-07 | 2009-09-24 | Machiko Yoshida | 医療補助用ハンドカバー |
CN201505202U (zh) * | 2009-09-22 | 2010-06-16 | 陈仁英 | 一种手部保护性约束护理用具 |
CN201510398U (zh) * | 2009-10-22 | 2010-06-23 | 谭丽萍 | 防意外拔管约束手套 |
CN205759076U (zh) * | 2016-05-10 | 2016-12-07 | 雷丹 | 多功能防手部肿胀防拔管手部护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5286B1 (ko) | 202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79265B2 (en) | Shoulder and arm restraint | |
US10966853B2 (en) | Shoulder and arm orthosis | |
CA2667760C (en) | Compression wrap | |
US5728053A (en) | Catheter cast | |
EP0275613A1 (en) | Orthopedic support apparatus | |
US6190344B1 (en) | Orthopaedic support fastening system | |
US8214951B1 (en) | Soft Surgical arm support | |
US10772753B2 (en) | Universal wrist brace with enhanced lacing | |
CA2512044A1 (en) | Tool belt | |
US9186271B1 (en) | Orthotic brace and method of using | |
US20150038891A1 (en) | Protective sheath | |
CA1241574A (en) | Hand-arm restraint mitt | |
JP2016501643A (ja) | 踵吊上げ式保護ブーツ | |
US4524768A (en) | Restraint garment | |
US7179241B2 (en) | Protective sling | |
US8215313B1 (en) | Medical garment systems | |
US7182088B2 (en) | Arm immobilizer | |
KR101631706B1 (ko) | 환자안전장갑 | |
KR102286668B1 (ko) | 환자용 보호대 | |
KR102355286B1 (ko) | 환자용 보호대 | |
KR20090063296A (ko) | 목 보조기 | |
US6935342B2 (en) | Medical arm restraining device | |
CN209827171U (zh) | 一种踝腕关节防护约束带 | |
US11638656B2 (en) | Shoulder and arm restraint | |
JPH11342143A (ja) | 足首保護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