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77A -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77A
KR20210052877A KR1020190138414A KR20190138414A KR20210052877A KR 20210052877 A KR20210052877 A KR 20210052877A KR 1020190138414 A KR1020190138414 A KR 1020190138414A KR 20190138414 A KR20190138414 A KR 20190138414A KR 20210052877 A KR20210052877 A KR 2021005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tion
adhesive
acrylate
me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82B1 (ko
Inventor
이희제
권윤경
박병수
강성욱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3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51/0097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ADHES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SAME}
본 출원은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고무줄처럼 늘리는 등, 사용 단계에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와 휴대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변형된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한 형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이 손상될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은 폴딩(Folding) 신뢰성 및 안정성을 만족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변형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일종인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수요 또한 늘어나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고 펼치는 동작이 수반되기 때문에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기판 하부에 동작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지지체를 부착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기존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의 경우 기재의 단면에 점착제가 코팅되어 있어서, 하부에 가이드라인이 되는 지지체를 부착하기 위하여 추가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해, 점착 필름의 점탄성 거동이 특히 중요하며, 디스플레이를 폴딩(folding)시 점착 필름은 크리프(creep) 특성이 좋아 폴딩(folding)시 발생되는 스트레스(stress)를 완화시켜야 하고, 크리프(creep) 변형 이후 회복(recovery) 특성도 좋아야 폴딩(folding)시 발생하는 크랙(crack)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점착시트를 기재에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 또는 예상치 못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관이나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점착 시트의 재점착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점착력이 높은 점착시트의 경우는 이와 같은 재점착 작업은 곤란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기포를 저감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엠보스 가공된 라이너에 의해 감압 점착제의 점착면에 요철의 표면 형태를 형성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이 경우, 감압 점착제를 기재에 접합했을 때에 양자간에 기포가 혼입되어도, 감압 점착제의 표면 홈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워지므로, 재점착을 하지 않고 기포를 제거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전술한 감압 점착제는 홈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해진다. 또한, 이 감압 점착제를 기재에 가볍게 점착한 경우는, 홈이 있음으로써 점착 면적이 작아져, 리워크(Rework)나 위치 새로 고침 등의 작업은 행하기 쉬워지기는 하지만,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리워크(Rework)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점착시트의 초기에 점착력이 낮게 유지되며, 특정 공정 이후 점착력을 높여 사용하는 점착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점착 초기에 점착력이 낮게 유지됨과 동시에, 이 후 피착 기재의 고정에 필요한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해, 점착 필름의 크리프(creep) 특성이 좋아 폴딩(folding)시 발생되는 스트레스(stress)를 완화하고, 크리프(creep) 변형 이후 회복(recovery) 특성도 좋은 점착 필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9283호
본 출원은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또 다른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점착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또 다른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점착시트 측에 구비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점착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기 플라스틱 기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유기 발광 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시트에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 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는 피착 기재와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에 포함되는 점착시트의 경우, 피착 기재와 초기 점착력이 낮음과 동시에, 특정 공정 이후 점착력이 상승하여 피착 기재를 고정하기 위해 충분한 점착력이 발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 시트의 피착 기재에 대한 점착력이 초기에는 낮게 유지되어, 오부착시 제거하여도 오물이 남지 않으며, 이후 특정 공정을 거쳐 점착력을 상승시켜 피착 기재와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크리프 회복율이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 완화 특성이 우수하고, 크랙(crac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크리프 회복률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딩(folding)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의 개략적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의 경우, 점착 시트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열처리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피착 기재에 대한 점착력이 초기에는 낮게 유지되어, 오부착시 제거하여도 오물이 남지 않으며, 이후 특정 공정을 거쳐 점착력을 상승시켜 피착 기재와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크리프 회복율이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 완화 특성이 우수하고, 크랙(crac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크리프 회복률이 우수한 특징을 가져,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딩(folding)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초기 점착력 및 후기 점착력은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를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한 후 각각 측정하였다.
상기 SUS304기판은 스테인리스 기판을 의미한다.
즉 상기 초기 점착력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를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 및 23℃에서 3시간 방치 후,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하며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후기 점착력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를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 및 23℃에서 3시간 방치하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하며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50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80gf/inc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gf/inch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850gf/inc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80gf/inch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0gf/inch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210gf/inch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90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55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85gf/i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gf/in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시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것인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상온(23℃)에서의 3시간 방치/ 24시간 방치후에도 점착력이 낮은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게 되어 오부착시 제거하여도 오물이 남지 않으며, 이후 특정 공정을 거쳐 점착력을 상승시켜 피착 기재와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시트에 상기와 같이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것인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가변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시에도 점착력이 상승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으로, 경시 안정성이 특히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초기 점착력의 값이 5 이상 100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초기 점착력의 값이 5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80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기 점착력/초기 점착력의 값이 0.8 이상 1.2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F1은 TA Instrument사의 DHR(Discovery Hybrid Rheometer) HR-2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착 필름을 여러 번 겹쳐 두께가 1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직경이 8mm인 패러랠 프레이트 픽스처(parallel plate fixture)를 이용하여 torque 1005 μNm에 해당하는 전단력을 10분 동한 가하여 발생된 변형률(strain)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F2는 TA Instrument사의 DHR(Discovery Hybrid Rheometer) HR-2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착 필름을 여러 번 겹쳐 두께가 1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직경이 8mm인 패러랠 프레이트 픽스처(parallel plate fixture)를 이용하여 torque 1005 μNm에 해당하는 전단력을 10분 동한 가한 뒤, 그 상태의 변형률에서 전단력을 0 μNm로 설정하여 10분 동안 회복된 후의 변형률(strain)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1은 하기 식 4를 만족하고, 상기 X2는 하기 식 5를 만족하며, 상기 X3은 하기 식 6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식 4]
80.0 < X1 < 90.0
[식 5]
80.0 < X2 < 90.0
[식 6]
85.0 < X3 < 95.0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 4는 80.0 < X1 < 90.0, 바람직하게는 81.0 < X1 < 88.0, 더욱 바람직하게는 81.5 < X1 < 86.0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 5는 80.0 < X2 < 90.0, 바람직하게는 81.0 < X2 < 88.0, 더욱 바람직하게는 81.5 < X2 < 86.0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 6는 85.0 < X3 < 95.0, 바람직하게는 88.0 < X3 < 93.0, 더욱 바람직하게는 88.5 < X3 < 92.5를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저온(-20℃), 상온(25℃), 및 고온(60℃)에서의 크리프 회복률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특성이 우수하며,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점착 필름(40)이 기재 필름(10)/점착시트(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용융온도는 물질이 고체상(Solid state)에서 액체상(liquid state)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를 의미하며, 특히 고분자의 경우 가열할수록, 특정 온도에서는 입체구조에 큰 변화가 생겨 마치 상 전이에 상당하게 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때의 온도를 용융온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는 DS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펜(pan)에 필봉하고 일정 승온 환경으로 가열 할 때 상 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측정한 값이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융온도(Tm)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Tg)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변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상온(25℃)에서 점착력이 상승하지 않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하기 도 3은 유리전이온도(Tg)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에 대한 DS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하기 도 4는 용융온도(Tm)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에 대한 DS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경우, 안정구간(Glassy)에 대하여 온도를 서서히 높여줄수록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온도 구간에서 서서히 상전이(Glassy->Rubbery)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가변 특성은 발생할 수 있으나, 그 상전이 온도 구간이 넓어, 상온(25℃)에서 장시간 보관시 상전이가 일부 일어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상승하여 경시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가변 특성도 상전이 상태가 고무상(Rubbery) 상태로 우수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도 4에서 알 수 있듯,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경우, 안정구간(Solid)에 대하여 온도를 서서히 높여주는 경우, 특정 온도(melting)에서 급격한 상전이(Solid->liquid)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즉,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온도 값에서 급격한 상전이가 일어나게 되어, 용융온도보다 아래의 온도에서는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아 점착력 상승을 억제(경시 안정성 우수)할 수 있으며, 용융온도보다 위의 온도에서는 상전이가 발생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상승(가변 특성 우수)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X는 N 또는 O이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 내지 30의 정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0 내지 25의 정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6 내지 22의 정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N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가 N을 갖는 경우 수소는 생략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X는 NH를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O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특히 상기 n 값이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탄소의 side chain 간의 엉킴에 의하여 일부 결정화가 생기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가 용융온도(Tm)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 종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였을 때, 최종 중합체의 용융온도가 30℃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용융온도는 30℃ 이상일 수 있으며,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성분은 GC(Gas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성은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분석에 의하여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은 2종 이상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단위체가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단량체들이 규칙없이 서로 섞인 형태를 갖는 불규칙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일정 구간별로 정렬된 블록이 반복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또는 단량체가 교대로 반복되어 중합되는 형태를 갖는 교대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것인 중합체는 불규칙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교대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STA(Stearyl acrylate) 및 STMA(Stear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단관능 폴리실록산으로는 Chisso사의 FM-0721, 신에츠사의 KF201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g/mol 내지 20만 g/mol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g/mol 내지 15만 g/mol, 바람직하게는 3만 g/mol 내지 10만 g/mol 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용융온도 30℃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값을 갖는 경우, 중합체 내의 분자들의 배열이 우수하여, 추후 점착 시트의 제조시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분자량이 균일하지 않고 어떤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 분자량 중의 하나로,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분석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상기 1종 이상의 모노머; 및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1종 이상의 모노머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일반적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및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모노머를 상기 중량부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 전체의 용융온도 값이 적절히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후 점착시트의 상온에서의 초기 점착력이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온에서의 경시 안정성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상기 범위의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합체가 존재할 수 있는 양이 적합하여 상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여, 점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추후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가변 공정에 있어, 가변 성능이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g/mol 내지 500만 g/mol 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단위체가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단량체들이 규칙없이 서로 섞인 형태를 갖는 불규칙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일정 구간별로 정렬된 블록이 반복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또는 단량체가 교대로 반복되어 중합되는 형태를 갖는 교대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가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 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단량체체가 중합된 최종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전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 Mettler 社)를 이용하여,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펜(pan)에 필봉하고 일정 승온 환경으로 가열 할 때 상 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유리 전이 온도는 문헌, 카탈로그 등에 기재된 공칭값이거나 또는 하기 일반식 (1)(Fox식)에 기초하여 계산된 값이다.
[일반식 (1)]
1/Tg=W1/Tg1+W2/Tg2+ … +Wn/Tgn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Tg는 중합체 A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i=1, 2, … n)는 단량체 i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i=1, 2, … n)는 단량체 i의 전체 단량체 성분 중의 질량 분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은 중합체 A가 단량체 1, 단량체 2, …, 단량체 n의 n종류의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의 계산식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100℃ 이상 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100℃ 이상 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식 2 및 식 3의 범위를 만족하여 추후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우수한 폴딩 효과를 낼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는 또한 상용성 등의 기타 기능성 향상의 관점에서, 초산비닐, 스틸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HBA)일 수 있으며,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산(AA)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는 것의 의미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가 상기 중량비로 중합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5내지 99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기 중량부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은 저온(-20℃), 상온(25℃), 및 고온(60℃)에서의 크리프 회복률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특성이 우수하며,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크리프 회복율이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 완화 특성이 우수하고, 크랙(crac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루는 각각의 단량체의 종류를 조절함에 따라 본 출원의 크리프 회복률을 만족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가교제 0.01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가교제 0.01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를 상기 중량부 포함함에 따라, 점착 필름의 응집력이 우수하며, 크리프 특성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식 2 및 식 3을 만족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5℃ 이상 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헥산디올디(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산성 변형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으로 일본 동아합성사의 TO-2348, TO-2349) 등의 다가 알코올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다가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O-아실옥심계 화합물, 티옥산톤계 화합물,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쿠마린계 화합물 및 벤조페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 프로판산, 2,4-트리클로로메틸-(4'-에틸비페닐)-6-트리아진 또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비페닐)-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또는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Irgacure-907) 또는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Ciba Geigy 社의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와 같은 O-아실옥심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또는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또는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또는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히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등을 단독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개시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정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일반적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25 ㎛ 이상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2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25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기재 필름이 투명하다는 의미는 가시광(400~700nm)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재 필름이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적층된 점착 필름이 박막화가 가능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점착 시트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점착 시트 내부에 기포의 발생 비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추후 피착 기재와의 점착력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11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120 ㎛ 이상 6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5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범위를 가짐으로써, 추후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두께가 적합하며, 또한 폴딩(Folding) 및 원복(unfolding)을 반복하여도 크랙(crack) 발생 및 점착시트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다수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이형 필름은 소수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매우 얇은 점착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점착 시트의 일면에 부착하는 투명층을 말하는 것이며,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실리콘 처리 이형필름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점착 필름(40)은 기재 필름(10)/점착 시트(20)/이형 필름(30)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점착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 기재 필름, 점착제 조성물, 초기 점착력, 후기 점착력, 점착시트 및 식 1 내지 식 3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바코터로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점착시트 측에 구비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점착시트 측에 구비된 플라스틱 기판;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점착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IC 칩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점착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의 상기 플라스틱 기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유기 발광 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IC 칩의 상기 플라스틱 기판과 접하는 면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은 필름 상 접착제 속에 도전성의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으로 열압착 공정을 거쳐 막의 두께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면방향으로는 절연성이라는 전기적 이방성을 갖는 회로 접속용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유기 발광 층에는 유기 광전 소자,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소자 및 마이크로 LED 소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 메트 )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유리전이온도: Tg )
가교제
( 중량부 )
중합체 중합체 중량부
실시예 1 EHA:AA=98:2(-69℃) BXX-5240
(0.03)
STMA/FM-0721
(80:20)
1
실시예 2 EHA:AA=98:2(-69℃) BXX-5240
(0.03)
STMA/FM-0721
(80:20)
3
실시예 3 EHA:AA=98:2(-69℃) BXX-5240
(0.05)
STMA/FM-0721
(80:20)
1
실시예 4 EHA:HBA=98:2(-67℃) DR-7030HD
(0.1)
STMA/FM-0721
(80:20)
3
실시예 5 EHA:HBA=98:2(-67℃) DR-7030HD
(0.3)
STMA/FM-0721
(80:20)
3
실시예 6 EHA:HBA=98:2(-67℃) DR-7030HD
(0.4)
STMA/FM-0721
(80:20)
3
비교예 1 EHA:MMA:VP:HBA=65:20:5:10(-33℃) DR-7030HD
(0.1)
STMA/FM-0721
(80:20)
3
비교예 2 EHA: VP:HBA=85:5:10(-59℃) DR-7030HD
(0.1)
STMA/FM-0721
(80:20)
3
비교예 3 EHA:AA=98:2(-69℃) BXX-5240
(0.03)
- 0
비교예 4 EHA:HBA=98:2(-67℃) DR-7030HD
(0.6)
STMA/FM-0721
(80:20)
3
상기 표 1에 있어서, EHA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AA는 아크릴산(acrylic acid), HBA는 4-히드록시뷰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MMA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VP는 N-비닐피롤리돈(N-vinylpyrrolidone), STMA는 스테아릴아릴메타크릴레이트(Stearyl methacrylate), FM-0721은 단관능 폴리실록산으로 Chisso 社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FM0721은 폴리실록산이 존재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BXX-5240은 에폭시계 가교제, DR-7030HD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에 있어서, 가교제의 중량부 및 중합체의 중량부는 모두 상기 표 1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을 의미한다.
2. <점착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점착제 조성물을 SKCKolonPI社의 폴리이미드 필름(GV200)에 건조 두께 25μm로 코팅하고, 120℃에서 2분 건조과정을 거친 후 양면 정전기 대전 방지(Anti-static, AS)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RF12ASW)로 코팅된 점착제 조성물을 덮었다. 그 후 40℃에서 2일간 숙성(Aging)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 필름의 물성은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았다.
Creep % Recovery ( % ) Recovery Ratio
-20℃ 25℃ 60℃ X1/X2 X3/X2
실시예 1 84.9 83.9 90.9 1.01 1.08
실시예 2 85.4 83.2 90.0 1.02 1.08
실시예 3 82.9 84.3 89.8 0.98 1.06
실시예 4 85.8 85.1 89.3 1.01 1.05
실시예 5 82.0 83.7 89.0 0.98 1.06
실시예 6 80.5 82.8 88.5 0.97 1.06
비교예 1 54.3 79.7 83.5 0.68 1.05
비교예 2 65.4 80.0 84.0 0.82 1.05
비교예 3 84.4 83.8 90.4 1.01 1.08
비교예 4 70.5 81.3 83.5 0.86 1.02
점착력( SUS304 ) Rework 특성 Dynamic folding
(25℃, 2.5R , 10만회 )
초기
(gf/inch)
중기
(gf/inch)
후기
(gf/inch)
실시예 1 120 145 1180 OK OK
실시예 2 115 145 1150 OK OK
실시예 3 118 139 1120 OK OK
실시예 4 105 130 950 OK OK
실시예 5 110 138 900 OK OK
실시예 6 100 115 890 OK OK
비교예 1 50 54 1400 OK NG
비교예 2 60 65 1350 OK NG
비교예 3 960 1000 1050 NG OK
비교예 4 90 95 830 OK NG
1) Creep % Recovery ( % )
TA Instrument사의 DHR(Discovery Hybrid Rheometer) HR-2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점착 필름을 여러 번 겹쳐 두께가 1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직경이 8mm인 패러랠 프레이트 픽스처(parallel plate fixture)를 이용하여 torque 1005 μNm에 해당하는 전단력을 10분 동한 가하여 발생된 변형률(strain)을 측정(F1)하고, 그 상태의 변형률에서 전단력을 0 μNm로 설정하여 10분 동안 회복된 후의 변형률(strain)을 측정(F2)하여, "(F1-F2) / F1 X 100"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2) 초기 점착력
초기 점착력은 점착 필름을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 및 23℃에서 3시간 방치 후,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하며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중기 점착력
초기 점착력은 점착 필름을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 및 23℃에서 24시간 방치 후,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하며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후기 점착력
점착 필름을 1인치(inch)의 크기로 자른 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SUS304기판에 부착 및 23℃에서 3시간 방치하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180° 각도 및 300m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하며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Rework 특성
점착 필름을 SUS304 기판에 부착하고 10분 후 박리시 SUS 기판에 점착 필름이 남지 않고 떨어지면 OK, 점착 필름의 잔류물이 남으면 NG로 표시하였다.
6) Dynamic folding
Dynamic folding 후에 계면에서 기포나 들뜸(Delamination)이 발생되지 않으면 OK, 발생되면 NG로 표시하였다.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알 수 있듯,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실시예 1 내지 6)은 점착시트에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는 피착 기재와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피착 기재와 초기 점착력이 낮음과 동시에, 특정 공정 이후 점착력이 상승하여 피착 기재를 고정하기 위해 충분한 점착력이 발현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가변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점착 필름은 점착 시트의 피착 기재에 대한 점착력이 초기에는 낮게 유지되어, 오부착시 제거하여도 오물이 남지 않아 리워크(Rework)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의 점착 필름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크리프 회복율이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 완화 특성이 우수하고, 크랙(crac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크리프 회복률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딩(folding)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지 않으며,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딩(folding) 특성이 좋지 않아, 점착 시트의 계면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비교예 3의 경우, 본 출원에 따른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지만, Tm 특성을 갖는 중합체를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초기/중기/후기 점착력이 높아 리워크 특성이 좋지 않으며, 특히 가변 특성도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비교예 4의 경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의 함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가변 특성을 발현되고 있으나, 상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지 않으며,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폴딩(folding) 특성이 좋지 않아, 점착 시트의 계면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기재 필름
20: 점착시트
30: 이형 필름
40: 점착 필름

Claims (19)

  1.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시트;
    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
    [식 1]
    ㅣ[(F1-F2) / F1]ㅣ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초기 점착력의 값이 5 이상 100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점착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210gf/inch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X1은 하기 식 4를 만족하고,
    상기 X2는 하기 식 5를 만족하며,
    상기 X3은 하기 식 6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
    [식 4]
    80.0 < X1 < 90.0
    [식 5]
    80.0 < X2 < 90.0
    [식 6]
    85.0 < X3 < 95.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점착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X는 N 또는 O이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내지 30의 정수이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STA(Stearyl acrylate) 및 STMA(Stear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점착 필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및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0℃ 이상인 중합체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55℃ 이상 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25 ㎛ 이상 300 ㎛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점착 필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
  16. 기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점착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기재 필름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3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2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800gf/inch 이상이며,
    -2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1이고,
    25℃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2이며,
    60℃온도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크리프 회복율(Creep recovery, %)이 X3이고,
    상기 X1 내지 X3은 하기 식 2 및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식 1]
    [(F1-F2) / F1] X 100
    [식 2]
    X1/X2 > 0.9
    [식 3]
    X3/X2 > 1.0
    상기 식 1에 있어서,
    F1은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하여 발생된 변형율(Strain)을 의미하며,
    F2는 상기 점착시트에 전단력을 10분 가한 후, 전단력 0 μNm에서 10분 회복 후의 변형율(Strain)을 의미한다.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0℃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0 내지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 내지 15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점착시트 측에 구비된 플라스틱 기판;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점착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기 플라스틱 기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유기 발광 층;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0190138414A 2019-11-01 2019-11-01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8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14A KR102482482B1 (ko) 2019-11-01 2019-11-01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14A KR102482482B1 (ko) 2019-11-01 2019-11-01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77A true KR20210052877A (ko) 2021-05-11
KR102482482B1 KR102482482B1 (ko) 2022-12-27

Family

ID=7591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414A KR102482482B1 (ko) 2019-11-01 2019-11-01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3394A (zh) * 2022-01-20 2022-04-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备方法
KR20220165336A (ko) * 2021-06-08 2022-12-15 티와이코퍼레이션(주)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283A (ja) 1999-05-13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剤付き物品
KR2019006933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283A (ja) 1999-05-13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剤付き物品
KR2019006933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36A (ko) * 2021-06-08 2022-12-15 티와이코퍼레이션(주)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CN114373394A (zh) * 2022-01-20 2022-04-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备方法
CN114373394B (zh) * 2022-01-20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82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643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4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4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935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3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5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51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2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82482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375400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2804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375401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79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87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88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92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93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8191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76489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323030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4212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947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364578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20200136157A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