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374A -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374A
KR20210050374A KR1020190134887A KR20190134887A KR20210050374A KR 20210050374 A KR20210050374 A KR 20210050374A KR 1020190134887 A KR1020190134887 A KR 1020190134887A KR 20190134887 A KR20190134887 A KR 20190134887A KR 20210050374 A KR20210050374 A KR 20210050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artment
settling tank
diaphragm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266B1 (ko
Inventor
박재봉
이용설
정기원
민병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3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9Settling tank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침전조; 침전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하단이 침전조 바닥과 이격된 제1격판; 제1격판과 이격된 상태로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침전조의 상면과 이격된 제2격판; 제1격판과 침전조의 제1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 제1격판과 제2격판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 제2격판과 침전조의 제2측벽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 유입격실 상부에 연결된 용수유입관; 제2격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배출격실에 연결되며 배출격실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수조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 및 유입격실로부터 제1격판 하부를 통해 중간격실로 흐르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 주며,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자석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전식 용수여과장치{DEVICE FOR FILTERING WATER BY SEDIMENTATION}
본 발명은 수조로 공급되는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는 주변 강에서 물을 끌어와 소화용수 등으로 활용한다. 하지만 제철소 주변 강에서 채취한 용수는 제철 분진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물질이 배관이나 밸브 내면에 고착되면서 관로를 좁게 할 수 있다. 또 금속물질이 배관이나 밸브의 부식을 촉진시켜 산화스케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상의 소화설비는 채취한 용수를 수조에 저장하였다가 화재 발생 시 소화전으로 신속히 용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소화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이용하는 관계로 용수를 장기간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형편이기 때문에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배관이나 밸브의 부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제철소 주변에서 채취한 용수는 배관, 펌프, 밸브 등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장기간 저장할 경우 설비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조로 공급되는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침전조; 상기 침전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 바닥과 이격된 제1격판; 상기 제1격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상면과 이격된 제2격판;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1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제2격판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 상기 제2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2측벽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상부에 연결된 용수유입관;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배출격실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격실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수조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 및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제1격판 하부를 통해 상기 중간격실로 흐르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 주며,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자석망;을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용수유입관의 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유입격실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1수위조절밸브; 및 상기 용수배출관의 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2수위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 하부의 상기 침전조 바닥에 형성되며 제1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수구; 및 상기 배출격실 바닥에 형성되며 제2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의 바닥은 상기 제1배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격실의 바닥은 상기 제2배구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제1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중간격실로 유동하는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1자석홀더; 및 상기 제2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격실의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2자석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를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영구자석;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전자석; 상기 복수의 전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침전조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조 내부로 연장된 전선;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기 침전조 내측 상방향으로 연장된 전선안내관; 및 상기 전선안내관 상부를 덮어 에어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용수의 누설을 차단하는 누설방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자석망 또는 상기 제1자석홀더를 상기 침전조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벽 하측에 형성된 제1점검구; 상기 제1점검구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자석홀더를 상기 침전조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벽 하측에 형성된 제2점검구; 및 상기 제2점검구를 개폐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망은 상기 유입격실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격판 하단과 상기 제1측벽 하측에 마련된 지지턱에 의해 하측 테두리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높은 상기 배출격실 상부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는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침전조; 상기 침전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 바닥과 이격된 제1격판; 상기 제1격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상면과 이격된 제2격판;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1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제2격판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 상기 제2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2측벽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상부에 연결된 용수유입관;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배출격실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격실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수조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 하부의 상기 침전조 바닥에 형성되며 제1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수구; 상기 배출격실 바닥에 형성되며 제2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수구; 상기 제1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중간격실로 유동하는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1자석홀더; 및 상기 제2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격실의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2자석홀더;를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유입격실에서 부상시켜 분리하고, 용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며,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자석망과 자석홀더를 이용해 분리하기 때문에 수조로 공급되는 용수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는 자석망 뿐 아니라 제1자석홀더와 제2자석홀더가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여과하기 때문에 수조로 공급된 용수에 의한 설비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자석망과 제1 및 제2자석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제1자석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제1자석홀더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제1 및 제2자석홀더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식 용수여과장치(100)는 침전조(110), 제1격판(111), 제2격판(112), 유입격실(113), 중간격실(114), 배출격실(115), 용수유입관(120), 용수배출관(130), 제1수위조절밸브(125), 제2수위조절밸브(135), 자석망(140), 제1배수관(150), 제2배수관(160), 제1자석홀더(170), 제2자석홀더(180)를 포함한다.
침전조(1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 탱크형태일 수 있다. 침전조(110)는 수조(300)의 측방에 마련되며 상측데크부(11)가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된 지지구조물(1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침전조(110)를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침전조(110)에서 정화된 용수를 수조(300)로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관리자는 지지구조물(10)의 측방에 마련된 계단(12)을 통해 지지구조물(10)의 상측데크부(11)로 올라간 상태에서 침전조(110)를 관리할 수 있다.
제1격판(111)은 침전조(11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침전조(110) 내부를 구획한다. 제1격판(11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침전조(110)의 내측 상면과 접하고, 하단이 침전조(110)의 바닥과 설정간격 이격된다.
제2격판(112)은 제1격판(111)과 이격된 상태로 침전조(110)의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침전조(110)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침전조(110)의 상면과 설정간격 이격된다.
침전조(110)는 이처럼 제1격판(111)과 제2격판(112)에 의해 내부가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침전조(110)는 제1격판(111)과 침전조(110)의 제1측벽(116)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113), 제1격판(111)과 제2격판(112)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114), 제2격판(112)과 침전조(110)의 제2측벽(117)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115)로 구획될 수 있다.
제1격판(111)과 제2격판(112)은 침전조(110) 내에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유입격실(113), 중간격실(114), 배출격실(115)은 상호 유사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격실(113) 상부에는 용수유입관(120)이 연결된다. 용수유입관(120)은 유입격실(113) 상부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침전조(110)의 유입격실(113) 내측으로 연장된다. 침전조(110) 외측의 용수유입관(120)에는 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21)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격실(113) 내측 상부에는 용수유입관(120)의 출구를 개폐하여 유입격실(113)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1수위조절밸브(125)가 설치된다. 제1수위조절밸브(125)는 유입격실(113)의 수위가 설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용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플로트밸브이거나 수위 감지를 통해 용수유입관(120) 출구를 개폐하는 전동식개폐밸브일 수 있다.
배출격실(115)의 측면에는 배출격실(115)의 용수를 수조(300)의 내측 상부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130)이 연결된다. 용수배출관(130)은 제2격판(11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제2측벽(117)에 형성된 용수배출구(131)로부터 수조(300)의 내측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침전조(110)와 수조(300) 사이의 용수배출관(130)에는 수조(300)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주는 스트레이너(132)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300)의 내부에는 용수배출관(130) 출구를 개폐하여 수조(300)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2수위조절밸브(1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수위조절밸브(135)는 수조(300)의 수위가 설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용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플로트밸브이거나 수위 감지를 통해 용수배출관(130) 출구를 개폐하는 전동식개폐밸브일 수 있다.
용수유입관(120)을 통하여 유입격실(113) 상부로 공급된 용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격실(113)에서 하방향으로 유동하고, 제1격판(111) 하부를 통하여 중간격실(114)로 유입된 후 상방향으로 유동하며, 중간격실(114) 상측에서 제2격판(112) 상단을 넘어 배출격실(115)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격실(115)의 용수는 용수배출관(130)을 통해 수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자석망(140)은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격실(113)로부터 제1격판(111) 하부를 통하여 중간격실(114)로 흐르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 자석망(114)은 자력을 이용하여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여과할 수 있다.
자석망(140)은 도 4의 예처럼 유입격실(11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1격판(111)의 하단과 제1측벽(116) 하측에 마련된 지지턱(142)에 의해 하측 테두리가 지지될 수 있다. 자석망(140)은 유입격실(113)로부터 중간격실(114) 쪽으로 흐르는 모든 용수가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도록 유입격실(113) 하부 단면보다 약간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용수의 흐름을 고려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자석망(140)은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143)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자석망(140)의 손잡이(143)를 잡고 자석망(140)을 침전조(110) 외부로 인출하여 청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배수관(150)은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 하부의 침전조(110) 바닥에 형성된 제1배수구(151)에 연결되고, 제2배수관(160)은 배출격실(115) 바닥에 형성된 제2배수구(161)에 연결된다. 제1배수관(150)에는 제1배수밸브(152)가 설치되고, 제2배수관(160)에는 제2배수밸브(162)가 설치된다. 제1배수관(150)과 제2배수관(160)은 평소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관리자가 침전조(110)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 제1배수밸브(152)와 제2배수밸브(162)를 개방하여 침전조(110) 내 잔여 용수와 함께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제1배수구(151)는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의 중간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의 바닥은 제1배수구(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118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구(161)도 배출격실(115)의 바닥 중앙에 마련될 수 있고, 배출격실(115)의 바닥 역시 제2배수구(16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118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의 침전물은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 하부의 경사면(118a)에 의해 제1배수구(151) 쪽으로 유도되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배출격실(115)의 침전물은 배출격실(114) 하부의 경사면(118b)에 의해 제2배수구(161)로 유도되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자석홀더(170)는 제1배수구(151)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입격실(113)로부터 중간격실(114)로 유동하는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할 수 있고, 제2자석홀더(180)는 제2배수구(161)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출격실(115)의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할 수 있다.
도 5와 도 6를 참조하면, 제1자석홀더(170)는 하부가 제1배수구(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침전조(110)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배출유로(172)가 형성된 지지부재(171), 지지부재(171)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영구자석(173), 복수의 영구자석(173) 하측의 지지부재(171)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침전조(110) 바닥의 제1배수구(151)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74), 걸림턱(174) 하측의 지지부재(171)에 형성되며 배출유로(17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석홀더(170)는 복수의 영구자석(173)이 금속물질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용수를 여과할 수 있다. 용수와 침전물은 제1자석홀더(170)의 배출유로(172) 및 복수의 보조유로(175)를 통해 제1배수관(1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자석홀더(170)는 지지부재(171)의 하부가 제1배수구(15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1자석홀더(170)를 제1배수구(151)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침전조(11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고, 복수의 영구자석(173)에 부착된 금속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자석홀더(180)는 설치위치가 다를 뿐 제1자석홀더(170)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제1자석홀더(170)와 제2자석홀더(180)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예는 영구자석(173) 대신 복수의 전자석(193)이 채용된 경우다. 이 경우 복수의 전자석(193)은 침전조(110)의 바닥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 전선(2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선(210)이 관통하는 침전조(110) 바닥에는 전선(210)의 진입을 허용하면서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누설방지장치(200)는 전선(210)이 관통하는 침전조(110) 바닥으로부터 침전조(110) 내측 상방향으로 연장된 전선안내관(201)과, 전선안내관(201) 상부를 덮어 에어포켓(203)을 형성함으로써 용수의 누설을 차단하는 누설방지캡(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방지장치(200)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형이 없기 때문에 부식 등에 의하여 전선진입부로 용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있다.
침전조(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전선(210)은 전원(220)과 연결되고, 전원스위치(230)에 의해 전원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예는 제1배수관(150) 또는 제2배수관(160)을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시킬 때 복수의 전자석(193)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자석(193)에 부착된 금속물질을 분리시켜 침전물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침전식 용수여과장치(100)는 자석망(140) 또는 제1자석홀더(170)를 침전조(110)의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침전조(110)의 제1측벽(116) 하측에 형성된 제1점검구(221), 제1점검구(221)를 개폐하는 제1커버(222), 제2자석홀더(180)를 침전조(110)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침전조(110)의 제2측벽(117) 하측에 형성된 제2점검구(231), 제2점검구(231)를 개폐하는 제2커버(232)를 포함한다.
또 침전식 용수여과장치(100)는 제2격판(1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출격실(115) 상부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250), 침전조(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240)를 포함할 수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침전조(110)의 외측에는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의 수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제1수위계(261)와, 배출격실(115)의 수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제2수위계(262)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침전식 용수여과장치의 동작 및 사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수유입관(120)을 통하여 유입격실(113) 상부로 공급된 용수는 유입격실(113)에서 하방향으로 유동하고, 제1격판(111) 하부를 통하여 중간격실(114)로 유입된 후 상방향으로 유동한다. 또 용수는 유입격실(113)과 중간격실(114)에서 제2격판(112)의 상단 높이로 채워진 후 중간격실(114) 상측에서 제2격판(112) 상단을 넘어 배출격실(115)로 유동한다. 배출격실(115)의 용수는 용수배출관(130)을 통해 수조(300)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은 유입격실(113)의 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므로 용수로부터 분리되고,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높은 침전물은 용수가 유입격실(113)에서 중간격실(114)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입격실(113) 및 중간격실(114)로부터 제1배수구(151)가 마련된 바닥으로 침전되므로 용수로부터 분리된다.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은 유입격실(113)로부터 제1격판(111) 하부를 통하여 중간격실(114)로 흐르는 과정에서 자석망(140)과 제1자석홀더(170)에 부착되면서 분리된다. 배출격실(115)에서도 침전물은 바닥의 제2배수구(161) 쪽으로 침전되고,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이 제2자석홀더(180)에 부착되면서 분리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침전식 용수여과장치(100)는 부유물을 유입격실(113)에서 부상시켜 분리하고, 침전물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며,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자석망(140)과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를 이용해 분리하기 때문에 수조(300)로 공급되는 용수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용수배출관(130)을 통하여 수조(300)로 공급되는 용수는 스트레이너(132)에 의해 재차 여과될 수 있다.
제1배수구(151)와 제2배수구(161)가 위치하는 바닥에 쌓인 침전물은 관리자가 제1배수관(150)과 제2배수관(160)을 개방하여 잔여 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유입격실(113)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은 관리자가 상부커버(240)를 개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자석망(140),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는 관리자가 제1점검구(221)의 제1커버(222)와 제2점검구(231)의 제2커버(232)를 분리한 상태에서 침전조(110)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부착된 금속물질이나 다른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자석망(140) 또는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제2수위조절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제1수위조절밸브(125)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침전조(110) 내 용수는 오버플로우관(2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조(110)를 압력 상승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침전조(110) 내부에 자석망(140)과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가 모두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침전조(110) 내에 자석망(140)이 설치되고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가 배제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와 반대로 침전조 내에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가 설치되고 자석망(140)이 배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은 자석망(140) 또는 설치되고 제1 및 제2자석홀더(170,18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100: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10: 침전조,
111: 제1격판, 112: 제2격판,
113: 유입격실, 114: 중간격실,
115: 배출격실, 120: 용수유입관,
125: 제1수위조절밸브, 130: 용수배출관,
135: 제2수위조절밸브, 140: 자석망,
150: 제1배수관, 160: 제2배수관,
170: 제1자석홀더, 180: 제2자석홀더.

Claims (15)

  1. 침전조;
    상기 침전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 바닥과 이격된 제1격판;
    상기 제1격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상면과 이격된 제2격판;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1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제2격판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
    상기 제2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2측벽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상부에 연결된 용수유입관;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배출격실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격실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수조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 및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제1격판 하부를 통해 상기 중간격실로 흐르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 주며,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자석망;을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유입관의 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유입격실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1수위조절밸브; 및
    상기 용수배출관의 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2수위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 하부의 상기 침전조 바닥에 형성되며 제1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수구; 및
    상기 배출격실 바닥에 형성되며 제2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의 바닥은 상기 제1배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격실의 바닥은 상기 제2배구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중간격실로 유동하는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1자석홀더; 및
    상기 제2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격실의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2자석홀더;를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를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영구자석;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전자석;
    상기 복수의 전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침전조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조 내부로 연장된 전선;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기 침전조 내측 상방향으로 연장된 전선안내관; 및
    상기 전선안내관 상부를 덮어 에어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용수의 누설을 차단하는 누설방지캡을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망 또는 상기 제1자석홀더를 상기 침전조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벽 하측에 형성된 제1점검구;
    상기 제1점검구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자석홀더를 상기 침전조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벽 하측에 형성된 제2점검구; 및
    상기 제2점검구를 개폐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망은 상기 유입격실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격판 하단과 상기 제1측벽 하측에 마련된 지지턱에 의해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높은 상기 배출격실 상부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3. 침전조;
    상기 침전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 바닥과 이격된 제1격판;
    상기 제1격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침전조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 내부를 구획하며 상단이 상기 침전조의 상면과 이격된 제2격판;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1측벽 사이에 형성된 유입격실;
    상기 제1격판과 상기 제2격판 사이에 형성된 중간격실;
    상기 제2격판과 상기 침전조의 제2측벽 사이에 형성된 배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상부에 연결된 용수유입관;
    상기 제2격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배출격실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격실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수조로 안내하는 용수배출관;
    상기 유입격실과 상기 중간격실 하부의 상기 침전조 바닥에 형성되며 제1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수구;
    상기 배출격실 바닥에 형성되며 제2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수구;
    상기 제1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격실로부터 상기 중간격실로 유동하는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1자석홀더; 및
    상기 제2배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격실의 용수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부착시켜 여과하는 제2자석홀더;를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를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영구자석;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석홀더는,
    하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돌출하며 상하로 관통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둘레면에 장착된 복수의 전자석;
    상기 복수의 전자석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보조유로;를 각각 포함하는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KR1020190134887A 2019-10-28 2019-10-28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KR10232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87A KR102326266B1 (ko) 2019-10-28 2019-10-28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87A KR102326266B1 (ko) 2019-10-28 2019-10-28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74A true KR20210050374A (ko) 2021-05-07
KR102326266B1 KR102326266B1 (ko) 2021-11-15

Family

ID=7591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887A KR102326266B1 (ko) 2019-10-28 2019-10-28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64B1 (ko) * 2023-02-14 2023-06-20 주식회사 조은환경 다단계 하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50Y1 (ko) * 2000-07-27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탈지용액 재이용 침전장치
KR100796353B1 (ko) * 2006-09-25 2008-01-21 정동진 무필터 방식의 가공액 여과장치
KR20090114060A (ko) * 2008-04-29 2009-11-03 인천환경공단 자동화된 부직포 여과장치
KR20190011918A (ko) * 2017-07-26 2019-02-08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함양 용수 모래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50Y1 (ko) * 2000-07-27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탈지용액 재이용 침전장치
KR100796353B1 (ko) * 2006-09-25 2008-01-21 정동진 무필터 방식의 가공액 여과장치
KR20090114060A (ko) * 2008-04-29 2009-11-03 인천환경공단 자동화된 부직포 여과장치
KR20190011918A (ko) * 2017-07-26 2019-02-08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함양 용수 모래 제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64B1 (ko) * 2023-02-14 2023-06-20 주식회사 조은환경 다단계 하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266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870B2 (en) Watershed runoff treatment device & method
US20100078370A1 (en) Floating baffle panel and filter apparatus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KR1013233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20210050374A (ko)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KR101047570B1 (ko) 맨홀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JP6967298B2 (ja) 沈砂槽及び洗車機用排水設備
CN101332382B (zh) 自控液面的过滤装置
JP3107019U (ja) 油水分離槽を備えた排水路
KR200385714Y1 (ko) 하수용 침전조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JP2010221124A (ja) 排水槽および油検知方法
KR20120049040A (ko) 퇴적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수중보 시스템
KR102236628B1 (ko) 이중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 펌프장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KR20080018195A (ko) 이중 분리를 이용하여 필터 암거수로 내의 역류 중에 기체및 액체를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03320B1 (ko) 이동식 유류분리장치
CN220225545U (zh) 一种河道消防取水口结构
KR20100060562A (ko) 이물질 제거 장치
CN219376270U (zh) 一种具有双重过滤的污水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