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050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050A
KR20210041050A KR1020217006847A KR20217006847A KR20210041050A KR 20210041050 A KR20210041050 A KR 20210041050A KR 1020217006847 A KR1020217006847 A KR 1020217006847A KR 20217006847 A KR20217006847 A KR 20217006847A KR 20210041050 A KR20210041050 A KR 2021004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ibrous layer
fiber
she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595B1 (ko
Inventor
요스케 소가베
나츠미 오무라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0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the permeability gradient be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Abstract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층(2a)과, 제1 섬유층(2a)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섬유층(2b)을 구비한다. 제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은,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한다. 제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코튼 섬유와 같은 수분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보수성(保水性)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섬유 시트는, 코튼 섬유층과 합성 섬유의 부직포를 포함하고, 코튼 섬유층이 부직포에 일부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코튼 섬유와 같은 보수성 섬유는 양호한 촉감을 갖기 때문에, 피부에 접하는 속옷 등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튼 섬유는 높은 보수성을 갖기 때문에,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를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표면 시트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액상의 배설물(액상 배설물)을 흡수하고 유지하여, 눅눅한 상태를 유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면, 착용자는 젖어서 눅눅한 표면 시트에 계속 접촉하게 되므로,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즉,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를 표면 시트에 이용하는 경우, 드라이성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재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시트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고 되어 있다. 섬유 시트에서는, 코튼 섬유층이 두께 방향으로 부직포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코튼 섬유층으로부터 섬유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로 갈수록 섬유량이 점차 많아지고, 즉 섬유간 거리가 점차 작아진다. 그 결과, 코튼 섬유층으로부터 섬유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로 갈수록 모관력이 점차 높아지고, 코튼 섬유층으로부터 시트 내부로의 액의 인입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섬유 시트의 표면의 드라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403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시트는 이하의 과제를 갖고 있다. 섬유 시트에서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코튼 섬유층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합성 섬유의 층은, 합성 섬유만의 층이다. 따라서, 섬유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합성 섬유의 층으로 갈수록 섬유량이 점차 적어지는, 즉 섬유간 거리가 점차 커진다. 그 결과, 섬유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합성 섬유의 층으로 갈수록 모관력이 점차 낮아진다. 그렇게 되면, 섬유 시트는, 코튼 섬유층측으로부터 흡수한 액체를, 섬유 시트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까지 인입할 수 있지만, 합성 섬유의 층측으로 이행시키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섬유 시트를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표면 시트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액상 배설물을 코튼 섬유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중앙부까지 인입할 수는 있지만, 두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합성 섬유의 층으로 이행시키기 어려워진다. 즉,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로부터 흡수체로 이행하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의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예컨대 흡수 속도가 저하되거나, 흡수량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섬유층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섬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고,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상기 제1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은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에서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평균 섬유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 섬유끼리의 교락이 부족하여 보풀이 발생한다고 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고, 표면 시트의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더욱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제1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섬유층에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2 섬유층으로 신속하게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섬유층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소수성 섬유에 의해 제2 섬유층을 통해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에 있어서,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보수성 섬유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시키면서, 제2 섬유층에 인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에서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에서의 평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2)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섬유층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섬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고, 상기 제1 섬유층의 섬유 밀도는 상기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여기서, 섬유 밀도는 섬유 개수의 밀도로 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에서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때, 상기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가 제1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더욱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제1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섬유층에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2 섬유층으로 신속하게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섬유층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소수성 섬유에 의해 제2 섬유층을 통해 흡수체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에 있어서, 보수성 섬유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시키면서, 제2 섬유층에 인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에서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에서의 평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상기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섬유층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조 시트로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로부터 보조 시트를 통해 흡수체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따라서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에 있어서, 열융착성 섬유끼리 서로 열융착되어 있음으로써, 제2 섬유층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더라도, 보수성 섬유를 소수성 섬유 사이에 쏠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2 섬유층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쏠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흡수체로 이행시킬 수 있고,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의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제1 섬유층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1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고, 제1 섬유층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유지하는 것에 의해,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것에 의해, 제1 섬유층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제1 섬유층으로부터 제2 섬유층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로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6)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압축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의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이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으로부터 제2 섬유층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7)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의 깊이가 얕은 저밀도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의 깊이가 깊은 고밀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저밀도부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의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저밀도부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저밀도부 내의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저밀도부 내의 제1 섬유층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이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저밀도부 내의 제1 섬유층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저밀도부 내의 제1 섬유층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저밀도부 내의 제1 섬유층으로부터 제2 섬유층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최종적으로 흡수체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8)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의 섬유 밀도를 S1,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의 섬유 밀도를 S2, 및,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영역의 섬유 밀도를 S3로 했을 때 S1<S3<S2인, 상기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청구항 8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낮은 볼록부의 꼭대기부로부터, 섬유 밀도가 중위인 볼록부의 꼭대기부와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영역을 통해, 섬유 밀도가 높은 오목부의 바닥부를 향해 모세관 현상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에서의 가장 피부측의 표면(볼록부의 꼭대기부 또는 그 근방)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에서의 비피부측의 표면 근방에 위치하는 오목부의 바닥부로 보다 인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통해 흡수체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일단 흡수한 액상 배설물을 리웨트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섬유 밀도가 낮기 때문에 착용자는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9)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층과 상기 제2 섬유층이 압축된 복수의 함몰부를 갖는, 상기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의 함몰부에 있어서, 제1 섬유층과 제2 섬유층이 압착되어 서로 고정되고, 따라서,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가 압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보수성 섬유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0)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소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상기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긴,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섬유층의 소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길다. 그 때문에, 제2 섬유층의 소수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섬유층 내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1 섬유층의 액상 배설물을 제2 섬유층으로 보다 이행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제2 섬유층으로 이행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로 보다 이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1)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는 셀룰로스계 섬유이며, 상기 흡수체는 셀룰로스계 섬유(펄프 섬유를 제외함)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의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포함되는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확산성이 높은 셀룰로스계 섬유가 표면 시트의 제1 섬유층으로부터 제2 섬유층을 통해 흡수체까지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셀룰로스계 섬유에 의한 액상 배설물의 액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표면 시트로부터 흡수체로 액상 배설물을 직접 확산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2)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중앙부보다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의 섬유 배향이 중앙부쪽이 랜덤인 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동심원 위에 빈틈없이 확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섬유 배향이 양쪽 단부쪽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음으로써, 양쪽 단부에 도달한 액상 배설물을 길이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흡수성 물품을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의 양쪽 단부에서는,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노출되는 섬유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마찰이 저감되고,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3)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는 코튼인, 상기 (1) 내지 (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보수성 섬유는 코튼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촉감을 보다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더욱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4)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치수는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상기 (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보수성 섬유를 많이 포함하는 표면 시트의 단부 가장자리가 마찰되면, 그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보수성 섬유가 풀어져 탈락하기 쉽다. 따라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보조 시트의 폭방향의 치수가, 보수성 섬유를 많이 포함하는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즉, 평면시에서, 보조 시트에서의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한쌍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받는 힘을, 보조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의 한쌍의 연장부에서 받아낼 수 있고,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와 대퇴부가 마찰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가 마찰되어 보수성 섬유가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풀어져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시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생리용 냅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흡수성 물품으로는, 예컨대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생리용 냅킨(1)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의 (a)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도 1에 그려진 생리용 냅킨(1)에서는, 도면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길이 방향(L)의 전측 및 후측으로 하고,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폭방향(W)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하고, 지면에 대하여 가까운 쪽 및 먼 쪽을 각각 두께 방향(T)의 상측 및 하측으로 한다. 생리용 냅킨(1)은, 폭방향(W)의 중심을 통과하여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가상선)과, 길이 방향(L)의 중심을 통과하여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중심선(CW)(가상선)을 갖는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 향하는 방향 및 쪽을 각각 폭방향(W)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쪽을 각각 폭방향(W)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한편, 폭방향 중심선(CW)으로 향하는 방향 및 쪽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쪽을 각각 길이 방향(L)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위에 놓은 생리용 냅킨(1)을 두께 방향(T)의 상측으로부터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하고, 평면시에서 파악되는 형상을 「평면 형상」이라고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평면 방향」이라고 한다. 위에 놓은 장착자가 생리용 냅킨(1)을 장착했을 때, 두께 방향(T)에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이 되는 쪽을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이러한 정의는, 생리용 냅킨(1)의 각 자재에도 공통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윙부를 제외함)은,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길고 폭방향(W)으로 짧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길이 방향(L)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가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다만, 그 형상은, 길이 방향(L)으로 길고 폭방향(W)으로 짧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라운딩된 장방형, 타원형, 모래시계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상을 들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은 대략 직사각형의 부분으로부터 폭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 윙부(9)를 갖추고 있고, 윙부(9)는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다. 다만, 윙부(9)의 형상은, 예컨대 반원형이나 반타원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은, 생리용 냅킨(1)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 시트(2)와, 생리용 냅킨(1)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보조 시트(5)와,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조 시트(5)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의 각각은, 보조 시트(5)에서의 비피부측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의 각각에, 폭방향(W)의 내측의 단부가 중복되도록 접합되고, 폭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 보조 시트(5) 및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흡수체(4)가 위치하고 있다. 다만,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외장 시트를 구비해도 좋다.
표면 시트(2)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며,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을 구비한다. 제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은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섬유층(2b)은 제1 섬유층(2a)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고, 따라서 표면 시트(2)는 2층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제2 섬유층(2b)은, 비피부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따라서 표면 시트(2)는 전체로서 3층 또는 다층 구조이어도 좋다.
제1 섬유층(2a)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보수성 섬유는, 수분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성질(보수성)을 갖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셀룰로스계 섬유를 들 수 있다. 셀룰로스계 섬유로는,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천연 셀룰로스 섬유, 재생 셀룰로스 섬유, 정제 셀룰로스 섬유 및 반합성 셀룰로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천연 셀룰로스 섬유로는, 식물 섬유, 예컨대, 종자모 섬유(예시 : 코튼), 인피 섬유(예시 : 삼), 엽맥 섬유(예시 : 마닐라삼), 과실 섬유(예시 : 야자)를 들 수 있다. 코튼으로는, 예컨대, 히르수툼종 코튼(예시 : 업랜드 코튼), 바르바덴세종 코튼, 아르보레움종 코튼 및 헤르바케움종 코튼을 들 수 있다. 또한, 코튼으로는, 오가닉 코튼, 프리오가닉 코튼(상표)이어도 좋다. 다만, 오가닉 코튼은,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의 인증을 받은 코튼을 의미한다. 재생 셀룰로스 섬유로는, 레이온, 예컨대,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스의 구리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큐프라」라고도 칭해짐)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정제 셀룰로스 섬유로는, 리오셀, 구체적으로는,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의 수용액에 용해시켜 방사 원액(도핑)으로 하고,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의 희박 용액 중에 압출하여 섬유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정제 셀룰로스는, 예컨대, 텐셀(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반합성 셀룰로스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스, 예컨대 아세테이트 섬유, 예컨대, 트리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수성 및 촉감의 관점에서, 천연 셀룰로스 섬유가 바람직하고, 코튼이 보다 바람직하고, 히르수툼종 코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수성 섬유로는 히르수툼종 코튼이다(이하, 단순히 「코튼」이라고도 함).
제2 섬유층(2b)은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소수성 섬유는, 소수성을 갖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소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공지의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심초형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섬/바다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자형, C자형 등의 이형 단면형 섬유; 잠재 권축 또는 현재 권축의 입체 권축 섬유; 수류, 열, 엠보스 가공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하는 분할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섬유를 병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수성 섬유로는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이다. 보수성 섬유에 관해서는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와 동일하다. 또한,「소수성」이란, 물과 섞이기 어려운, 또는, 수분을 유지하기 어려운 성질을 말하며, 예컨대, 이온 교환수(예시 : 비저항치 10 MΩ·cm)와의 접촉각이 80°∼100°정도가 되는 것을 말한다.
제1 섬유층(2a) 및 제2 섬유층(2b)에서는, 제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2a) 및 제2 섬유층(2b)에서는,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짧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더욱 접근시켜, 즉 섬유간 거리를 짧게 하여,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켜 액상 배설물을 강하게 인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제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표면 시트(2)의 촉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70∼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80∼10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0∼10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7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제1 섬유층(2a)을 보수성 섬유로서 인식하기 쉬워지므로, 감촉이 좋은 것을 담보할 수 있다. 제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 이외의 섬유는, 액투과성을 갖는 층을 형성 가능한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100 질량%이다.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8∼15 dtex를 들 수 있다.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예컨대 10∼80 mm를 들 수 있다. 10 mm 미만인 경우, 섬유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 섬유끼리 교락하기 어려워져,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80 mm를 넘는 경우, 그와 같은 섬유의 몇가닥이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대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대퇴부의 가장자리까지 섬유가 걸쳐질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 보수성 섬유의 액체의 확산 효과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폭방향(W)의 중앙부에 부착된 액상 배설물이 양 대퇴부까지 확산되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섬유 길이는, 15∼60 mm가 바람직하고, 20∼4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것에 대응하여,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예컨대 15∼50 mm를 들 수 있고, 20∼45 mm가 바람직하고, 25∼4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섬유층(2a)에서의 보수성 섬유 이외의 섬유에서의 위도, 섬유 길이, 평균 섬유 길이도, 보수성 섬유의 촉감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보수성 섬유와 동일한 정도(0.5∼2배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수성 섬유 이외의 섬유는 이용하지 않는다.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적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수성 섬유의 비율로는, 예컨대 50∼90 질량%를 들 수 있다. 50 질량% 미만인 경우, 두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감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90 질량%를 넘는 경우, 소수성 섬유에 의한 보풀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60∼85 질량%가 바람직하고, 70∼8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것에 대응하여, 제2 섬유층(2b)에서의 소수성 섬유의 비율은, 예컨대 10∼50 질량%를 들 수 있고, 15∼40 질량%가 바람직하고, 20∼3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섬유층(2b)은 보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 외에, 제3 섬유를 포함해도 좋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8∼15 dtex를 들 수 있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그 평균 섬유 길이가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3∼40 mm를 들 수 있다. 3 mm 미만인 경우, 섬유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 섬유끼리 교락하기 어려워져,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40 mm를 넘는 경우, 제2 섬유층(2b) 제조 중의 웨브 상태에서의 섬유의 동적 자유도가 낮고, 보수성 섬유가 소수성 섬유의 사이의 간극에 인입할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제2 섬유층(2b)에서의 섬유간 거리를 짧게 하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섬유 밀도를 높게 하기 어려워진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로는, 5∼35 mm가 바람직하고, 10∼35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그것에 대응하여, 예컨대 5∼30 mm를 들 수 있고, 10∼25 mm가 바람직하고, 15∼2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길이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는 보수성 섬유이자, 섬유 길이가 긴 보수성 섬유 및 섬유 길이가 짧은 보수성 섬유의 적어도 2종류를 혼합한 혼합 보수성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일례로는, 섬유 길이가 긴 보수성 섬유를 예컨대 15∼40 mm(바람직하게는 20∼35 mm)의 섬유 길이로 하고, 섬유 길이가 짧은 보수성 섬유를 예컨대 3∼25 mm(바람직하게는 5∼20 mm)의 섬유 길이로 할 수 있다. 그 경우, 섬유 길이가 긴 보수성 섬유로 제2 섬유층(2b)에서의 보수성이나 촉감을 높이면서, 섬유 길이가 짧은 보수성 섬유로 제2 섬유층(2b)의 섬유간 거리를 높일 수 있다.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의 위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1∼8.8 dtex를 들 수 있다. 다만,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와 제1 섬유층(2a)의 주요한 섬유인 보수성 섬유와의 교락의 용이성, 즉 제1 섬유층(2a)으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의 용이성이나,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 사이에서의 박리 방지성의 관점에서,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의 위도는,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섬도보다 작은(가는 섬유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80 mm를 들 수 있다. 다만,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와 제1 섬유층(2a)의 주요한 섬유인 보수성 섬유와의 교락의 용이성, 즉 제1 섬유층(2a)으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의 용이성이나,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 사이의 박리 방지성의 관점에서,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제1 섬유층(2a) 및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와 비교하여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섬유층(2b)의 소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그것에 대응하여, 예컨대 15∼50 mm를 들 수 있다.
제1 섬유층(2a) 및 제2 섬유층(2b)의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05∼4 mm를 들 수 있고, 0.1∼3 mm가 바람직하고, 0.2∼2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섬유층(2a)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 및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리웨트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제1 섬유층(2a)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제2 섬유층(2b)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1∼5 mm를 들 수 있고, 0.4∼4 mm가 바람직하고, 0.8∼3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섬유층과 같은 시트에서의 섬유의 종류의 비율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즉, 보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를 각각 별도의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섬유의 종류의 비율을 측정한다. (1) 표면 시트(2)를 70 mm×70 mm의 크기로 절취하여 시료로 한다. (2) 시약 카야스테인 Q(KayastainQ)(주식회사 시키센샤)로 착색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보수성 섬유만 청색으로 염색하고, 소수성 섬유만 황색으로 착색한다. (3)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100으로, 시료의 피부측면(제1 섬유층(2a))에서 봤을 때의 청색과 황색의 비율을 50 mm×50 mm의 범위에서 측정함으로써, 제1 섬유층(2a)에서의 섬유의 종류의 비율로 한다. 한편, 비피부면(제2 섬유층(2b))에서 봤을 때의 청색과 황색의 비율을 50 mm×50 mm의 범위에서 측정함으로써, 제2 섬유층(2b)에서의 섬유의 종류의 비율로 한다.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에서의 섬유간의 거리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1) 표면 시트(2)를 10 mm×10 mm의 크기로 절취하여 시료로 한다. (2)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100(렌즈 VH-Z20R+가변 조명 어태치먼트 VH-K20)을 사용하여, 촬영 배율 : 200배, 측정 면적 : 세로 1300 μm×가로 1735 μm로, 표면 시트(2)의 표면(제1 섬유층(2a)), 이면(제2 섬유층(2b))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촬영한다. 그 때, 표면·이면 각각에 관해, 깊이 0∼100 μm의 범위에서, 깊이 20 μm마다 합계 5회 화상을 촬영한다. (3) 얻어진 각 화상으로부터, 섬유의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 그 때, 얻어진 각 화상에서의 각 화소에서의 휘도가 소정의 휘도(임계치)보다 낮은지 높은지에 따라 상기 화소에서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하고, 각 화상에서의 촬영 영역 내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한다. 다만,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만 광이 투과하여 밝은, 즉 휘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촬영 영역 내의 섬유의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 (4) 구한 섬유의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으로부터 빼고,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공극률을 산출한다. 그 계산을 깊이 20 μm마다의 화상에서 행하여, 5개의 공극률을 산출한다. (5) 5개의 공극률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표면 시트(2)의 표면(제1 섬유층(2a)), 이면(제2 섬유층(2b)) 각각의 공극률을 결정한다. 공극률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섬유간 거리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공극률이 큰 경우, 섬유간 거리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표면 시트(2)의 표면, 즉 피부면측(제1 섬유층(2a) : 예컨대 Cotton 100%의 면)에서는 공극률 25.4%이며, 이면, 즉 비피부면측(제2 섬유층(2b) : 예컨대 Cotton 60%+합섬 섬유 40%의 면)에서는 공극률 24.5%였다.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섬유의 섬유 길이 및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 : 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A법(표준법) 눈금이 있는 유리판 위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상당하는 시험 방법이다.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평량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1층분의 섬유층을 제작하고, 그 섬유층을 5 cm×5 cm의 크기로 절취하여 시료로 하고, 100℃ 이상의 분위기에서의 건조 처리후에 질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한 질량을 시료의 면적으로 나누어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의 평량으로 한다.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두께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100을 사용하여, 표면 시트(2)의 절단면에 대하여 수직의 방향으로부터의 확대 화상을 촬영한다. 확대 화상은, 표면 시트(2)의 두께 방향(T)의 전체가 촬영 가능해지는 배율로 확대된 화상이며, 확대 배율은, 예컨대 20∼50배이다. 얻어진 3D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2D 화상에서 각 섬유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별개의 3개소의 절단면에서 측정한 두께의 평균치를 표면 시트(2)의 두께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에서는, 표면 시트(2)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2a)에서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평균 섬유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 섬유끼리의 교락이 부족하여 보풀이 발생한다고 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고, 표면 시트(2)의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제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더욱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섬유층(2b)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제1 섬유층(2a)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섬유층(2b)에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제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2 섬유층(2b)으로 신속하게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섬유층(2b)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소수성 섬유에 의해 제2 섬유층(2b)을 통해 흡수체(4)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2a)에 있어서,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보수성 섬유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시키면서, 제2 섬유층(2b)에 인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에서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에서의 평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생리용 냅킨(1)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2b)이, 비피부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즉 표면 시트(2)가 전체로서 3층 또는 다층 구조인 경우, 액투과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가까운 섬유층일수록,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는 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다 작다. 즉,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지도록 섬유 밀도의 구배가 존재한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1)에서는, 우선, 착용시에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 즉 제1 섬유층(2a)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1 섬유층(2a)에 인입할 수 있다. 그 후,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제1 섬유층(2a)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제2 섬유층(2b)으로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보수성 섬유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는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보수성 섬유를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하는 제2 섬유층(2b)을 통해, 제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에 접하는 층(예시 : 보조 시트, 흡수체(4))으로 액상 배설물을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의 표면 시트(2)는, 이러한 섬유 밀도의 구배를 갖지 않아도 좋다.
다만, 제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더 구비하는 경우, 즉 표면 시트(2)가 3층 또는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가까운 섬유층일수록,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피부측의 섬유층으로부터 비피부측의 섬유층으로의 액투과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보조 시트나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다만, 제2 섬유층(2b)이 비피부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즉 표면 시트(2)가 전체로서 3층 또는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가까운 섬유층일수록,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피부측의 섬유층으로부터 비피부측의 섬유층으로의 액투과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보조 시트나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섬유 밀도는, 예컨대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다.
(1) 표면 시트(2)를 10 mm×10 mm의 크기로 절취하여 시료로 한다. (2) 시료의 두께 방향(T)에 평행한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니혼덴시 주식회사 제조 : JCM-5100)을 이용하여 확대 관찰한다. 배율은, 30∼60개의 섬유의 단면을 1화면 내에 계측할 수 있는 배율(예시 : 150∼500배)로 한다. (3) 관찰 영역을 두께 방향(T)으로 피부면측의 층, 중간층, 비피부면측의 층으로 삼등분하여, 피부면측의 층을 제1 섬유층(2a)으로 하고, 비피부면측의 층을 제2 섬유층(2b)으로 한 뒤에, 각 섬유층에서의 섬유의 단면의 수를 측정한다. 즉, 소정 면적의 절단면에 있어서, 절단되어 있는 섬유의 단면의 수를 센다. (4) 얻어진 섬유의 단면의 수를 1 ㎟당의 섬유의 단면의 수로 환산하고, 이것을 섬유 밀도(개/㎟)로 한다. 측정은 3개소 행하고, 측정치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섬유 밀도로 한다. 즉, 섬유 밀도로서, 섬유 개수의 밀도를 이용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섬유 밀도로서, 두께 방향(T)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의 개수를 이용하고 있다. 또, 섬유 밀도로서, 단위체적당 섬유의 개수를 이용해도 좋다. 단위체적당 섬유의 개수는, 예컨대 X선 CT에 의한 해석으로 구할 수 있다. 단위면적당 섬유 밀도와, 단위체적당 섬유 밀도에서는, 수치는 상이하지만, 섬유층 사이에서의 섬유 밀도의 상대적인 비교(예시 : 대소의 비교)에서는 동일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소수성 섬유는,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한다. 즉, 소수성 섬유에 포함되는 열융착성 섬유는, 열융착성 섬유끼리 서로 접하는 개소에서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한 접합점(융착점)을 갖는다. 이러한 서로 접합한 열융착성 섬유는, 제2 섬유층(2b) 내에서 일종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매트릭스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1)에서는, 제2 섬유층(2b)에서, 서로 열융착한 열융착성 섬유에 의해, 제2 섬유층(2b)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더라도,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간(의 매트릭스 내)에 쏠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2 섬유층(2b)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쏠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이행시킬 수 있고,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의 소수성 섬유는, 이러한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즉,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는, 제2 섬유층(2b)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그 적어도 일부가 제2 섬유층(2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1 섬유층(2a)에 인입하고, 나아가 이들이 제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1)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가 제1 섬유층(2a) 내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 것에 의해,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1 섬유층(2a)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고, 제1 섬유층(2a)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유지하는 것에 의해,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것에 의해, 제1 섬유층(2a)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2b)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제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의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는, 제1 섬유층(2a)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섬유는,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쪽이,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중앙부보다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L)으로 배향되어 있다. 즉, 폭방향(W)에서, 표면 시트(2)에서는, 중앙부의 섬유는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양쪽 단부의 섬유는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표면 시트(2)의 섬유 배향이 중앙부에서 비교적 랜덤이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대략 동심원형으로 확산시킬 수 있고, 섬유 배향이 양쪽 단부에서 길이 방향(L)이기 때문에, 양쪽 단부에 도달한 액상 배설물을 길이 방향(L)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생리용 냅킨(1)을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에서는,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노출되는 섬유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마찰이 저감되고,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의 표면 시트(2)의 섬유 배향은, 폭방향(W)의 양쪽 단부에서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도 좋다.
생리용 냅킨(1)에서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전방 근처에서 폭방향(W)의 중앙에 배설구 접촉 영역(XA)이 설정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XA)은, 생리용 냅킨(1)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영역이다. 배설구 접촉 영역(XA)은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XA)은, 예컨대 길이 방향(L)에서 흡수체(4)의 중앙 약간 전방 근처에,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의 약 1/4∼1/2의 길이로, 폭방향(W)에서 흡수체(4)의 대략 중앙에, 흡수체(4)의 폭방향(W)의 전체 길이의 약 1/2∼1/3의 폭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배설구 접촉 영역(XA)의 폭방향(W)의 양 외측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압착부(압착홈)(12, 1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한쌍의 압착부(12, 12)의 길이 방향(L)의 후방에 한쌍의 압착부(압착홈)(13, 13)를 더 구비하고, 배설구 접촉 영역(XA)의 길이 방향(L)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압착부(압착홈)(11, 14)를 구비하고, 배설구 접촉 영역(XA) 내에 점형의 복수의 압착부(15)를 구비한다. 이들 압착부(11∼15)는, 표면 시트(2) 및 흡수체(4)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어 형성된다. 즉, 표면 시트(2)와 보조 시트(5)와 흡수체(4)(피부측의 코어랩(4b) 및 흡수성 코어(4a))가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형성된다. 그 때, 각 압착부는, 약하게 압착되어 얕은 위치에 형성되고,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밀도부(LPA)와, 강하게 압착되어 깊은 위치에 형성되고,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부(HPA)를 갖는다. 다만, 「얕은」 및 「깊은」의 기준은,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으로 한다.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각 압착부에서의 얕은 위치의 바닥부 및 깊은 위치의 바닥부라고 할 수 있다. 압착부(11∼15)의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흡수성 코어(4a) 내에 위치한다. 다만, 고밀도부(HPA)는 비피부측의 코어랩(4b)에 도달해도 좋다. 또, 압착부(11∼15)의 형상은 임의이다. 또, 생리용 냅킨(1)은, 압착부(11∼15)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압착부(11∼15)의 적어도 하나에서, 그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열융착성 섬유가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1 섬유층(2a)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압착부 내에서도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압착부 내에서도 제1 섬유층(2a)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이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2a)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2b)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2a)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압착부 내의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열융착성 섬유가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압착부(11∼15)의 적어도 하나에서, 그 압착부의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열융착성 섬유가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저밀도부(LPA) 내의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저밀도부(LPA) 내의 제1 섬유층(2a)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더라도 주저앉는 것이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저밀도부(LPA) 내의 제1 섬유층(2a)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2b)에서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저밀도부(LPA) 내의 제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열융착성 섬유를 통한 저밀도부(LPA) 내의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최종적으로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열융착성 섬유가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는 요철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시트(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3의 (a)는 표면 시트(2)의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b-II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1 섬유층(2a)은 두께 방향(T)의 상측의 제1 상면(2aE)과 하측의 제1 하면(2aF)을 가지며, 제2 섬유층(2b)은 두께 방향(T)의 상측의 제2 상면(2bE)과 하측의 제2 하면(2bF)을 갖고 있다. 제1 하면(2aF)과 제2 상면(2bE)은 양 섬유층 사이의 가상적인 경계이지만, 양 섬유층의 섬유의 일부는 교락에 의해 서로 다른 섬유층에 인입하고 있기 때문에 엄밀한 경계가 아니다. 제1 섬유층(2a)은, 제1 상면(2aE)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21)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21)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2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21)의 각각은 속이 채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21)의 각각이 속이 채워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볼록부(21)가 찌부러지기 어려워짐과 더불어,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기 쉬운 각 볼록부(21)로부터 흡수체(4)로의 액체의 이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 볼록부(21)의 표면의 드라이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섬유층(2b)은, 압착으로 형성되는 함몰부(23)(후술)를 제외하고 대략 평탄한 형상이다. 다만, 제2 상면(2bE)은 볼록부(2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두께 방향(T)의 위를 향해 약간 솟아 있어도 좋다. 또, 제2 섬유층(2b)은, 제1 섬유층(2a)과 마찬가지로(다만 두께 방향(T) 역방향으로), 제2 하면(2bF)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져도 좋다. 그 경우, 평면시에서, 제1 섬유층(2a)의 볼록부(21) 및 오목부(22)의 위치와, 제2 섬유층(2b)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위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은 교락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교락 방법으로는, 예컨대, 스펀레이스법 또는 워터제트법을 들 수 있다. 다만, 교락 방법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교락 방법, 예컨대 에어스루법을 이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의 섬유 밀도를 S1, 오목부(22)의 바닥부(22B)의 섬유 밀도를 S2, 및,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와 오목부(22)의 바닥부(22B) 사이의 영역(MP)의 섬유 밀도를 S3으로 했을 때 S1<S3<S2이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 낮은 섬유 밀도 S1을 갖는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로부터, 중위의 섬유 밀도 S3을 갖는 영역(MP)을 통해, 높은 섬유 밀도 S2를 갖는 오목부(22)의 바닥부(22B)를 향해 모세관 현상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2)에서의 가장 피부측의 표면(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 또는 그 근방)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2)에서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근방에 위치하는 오목부(22)의 바닥부(22B)로 보다 인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통해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밀도의 구배(S1<S3<S2)에 의해, 일단 흡수한 액상 배설물을 리웨트백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1)의 섬유 밀도가 낮기 때문에 착용자는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표면 시트(2)에 상기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고, 상기 섬유 밀도 구배를 갖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는, 복수의 오목부(22)의 각각에서, 두께 방향(T)으로,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이 압축된 복수의 함몰부(23)를 갖는다. 복수의 함몰부(23)는, 각 오목부(22)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으로, 또한,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함몰부(23)는, 폭방향(W)에 인접하는 오목부(22)에서, 길이 방향(L)으로 동일한 위치이어도 좋고, 동일한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2)에 관해 체크 무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함몰부(23)의 평면시의 형상은 타원형 등 임의이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복수의 함몰부(23)에서, 두께 방향(T)으로, 제1 섬유층(2a)과 제2 섬유층(2b)이 압착에 의해 고정되고, 따라서, 제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가 압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보수성 섬유의 보풀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표면 시트의 촉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표면 시트(2)에 함몰부(23)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시트(5)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보조 시트(5)로는, 예컨대, 액투과성의 부직포나 직포, 이들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보조 시트(5)는, 표면 시트(2)와 비교하여 폭방향(W)으로 약간 큰 형상을 갖는다. 보조 시트(5)는, 폭방향(W)의 양쪽 단부에 한쌍의 루프부(5L, 5L)를 갖는다. 한쌍의 루프부(5L, 5L)는, 보조 시트(5)에서의 폭방향(W)의 양 측부가, 각각 보조 시트(5)의 폭방향(W)의 내측이자 비피부측(두께 방향(T)의 하측)에 루프형으로 접힘으로써 형성된다. 접힌 보조 시트(5)의 양 측부의 단부는,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의 마주 보는 한쌍의 내측 단부에,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접착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서로 접합된다. 루프부(5L)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접힌 보조 시트(5)의 양 측부의 단부는, 보조 시트(5)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접착부에서 서로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의 보수성 섬유를 많이 포함하는 표면 시트(2)에서는, 그 단부 가장자리가 마찰되면, 그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보수성 섬유가 풀어져 탈락하기 쉽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시트(5)의 폭방향(W)의 치수가,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치수보다 크다. 즉, 평면시에서, 보조 시트(5)에서의,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보다 외측의 부분이 폭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한쌍의 연장부로서, 보조 시트(5)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에 한쌍의 루프부(5L, 5L)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이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받는 힘을 한쌍의 루프부(5L, 5L)(한쌍의 연장부)에서 받아낼 수 있고,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와 대퇴부가 마찰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가 마찰되어 보수성 섬유가 표면 시트(2)의 폭방향(W)의 양쪽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풀어져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한쌍의 연장부로서 한쌍의 루프부(5L, 5L)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이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받는 힘을, 한쌍의 루프부(5L, 5L)의 쿠션 작용으로 부드럽게 받아낼 수 있고, 착용자가 느끼는 촉감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보수성 섬유가 코튼인 경우, 이러한 효과는 현저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시트(5)는, 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제2 섬유층(2b)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조 시트(5)에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로부터 보조 시트(5)를 통해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조 시트(5)의 섬유 밀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보조 시트(5)에 더욱 더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생리용 냅킨(1)은 보조 시트(5) 또는 루프부(5L)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시트(5)는, 표면 시트(2)에 대응하여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표면 시트(2)가 셀룰로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액확산성이 높은 보수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계 섬유,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튼이 표면 시트(2)의 제1 섬유층으로부터 제2 섬유층을 통해 보조 시트(5)까지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섬유에 의한 액상 배설물의 액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표면 시트(2)로부터 보조 시트(5)를 통해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보조 시트(5)가 보수성 섬유,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코튼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보조 시트(5)로는, 예컨대 소수성 섬유의 부직포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부직포가 공적으로 이용된다.
흡수체(4)는, 액흡수 성능 및 액유지 성능을 갖는 층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길고, 길이 방향(L)의 양쪽 단부가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는, 흡수성 코어(4a)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랩(4b)을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4a)로는, 예컨대, 펄프 섬유와 같은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액유지성 물질, 고흡수성 폴리머(SAP)와 같은 흡수재를 들 수 있다. 코어랩(4b)으로는, 예컨대, 티슈와 같은 친수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액투과성의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가 셀룰로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에 대응하여 셀룰로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표면 시트(2)에 포함되는 셀룰로스계 섬유의 일부는, 흡수체(4)에 포함되는 셀룰로스계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구성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액확산성이 높은 셀룰로스계 섬유가 표면 시트(2)의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을 통해(경우에 따라서는 보조 시트(5)를 통해) 흡수체(4)까지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셀룰로스계 섬유에 의한 액상 배설물의 액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표면 시트(2)로부터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직접 확산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생리용 냅킨(1)은, 흡수체(4)가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코튼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시트(6)는 발수성의 시트이다. 사이드 시트(6)로는, 예컨대 발수 처리한 부직포나 통기성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시트(3)는 액불투과성의 시트이다. 이면 시트(3)로는, 예컨대, 액불투과성의 부직포나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부(9)는, 사이드 시트(6) 및 이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표면 시트(2)는 보조 시트(5)에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되고, 보조 시트(5) 및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에서의 흡수체(4)에 대향하는 부분은 흡수체(4)에 접착제로 접합된다. 한쌍의 사이드 시트(6, 6) 및 흡수체(4)에서의 이면 시트(3)에 대향하는 부분은 이면 시트(3)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복수의 점착부(7) 및 한쌍의 점착부(8, 8)를 더 구비한다. 복수의 점착부(7)는, 예컨대 대략 직사각형을 가지며, 평면시에서, 흡수체(4)와 중복되도록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의 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나열된다. 한쌍의 점착부(8, 8)는, 예컨대 대략 직사각형을 가지며, 평면시에서, 한쌍의 윙부(9, 9)와 중복되도록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의 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점착부(7, 8)로는,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생리용 냅킨(1)의 제조 장치(3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5는 생리용 냅킨(1)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조 장치(300)는, 시트 등의 자재나 반제품의 반송에 관해, 반송 방향(MD), 횡단 방향(CD) 및 상하 방향(TD)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재나 반제품의 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은 모두 반송 방향(MD), 횡단 방향(CD) 및 상하 방향(TD)과 동일하다.
우선, 제1 카드기(110)에 의해, 제2 섬유층(2b)에 대응하는 제2 섬유 웨브(P11)가 형성된다. 제1 카드기(110)는, 섬유 웨브의 형성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싱글 카드 또는 더블 카드를 사용한 건식의 롤러 카드이다. 제2 섬유 웨브(P11)는 보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섬유 웨브(P11)는 반송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제2 카드기(120)에 의해, 제1 섬유층(2a)에 대응하는 제1 섬유 웨브(P12)가 형성된다. 제2 카드기(120)도 제1 카드기(110)와 동일한 건식의 롤러 카드이다. 제1 섬유 웨브(P12)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섬유 웨브(P12)는, 반송 장치로 반송중인 제2 섬유 웨브(P11) 상에 적층된다. 그것에 의해, 제1 섬유 웨브(P12)와 제2 섬유 웨브(P11)가 적층된 2층 구조의 복합 섬유 웨브(P13)가 형성되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 또, 각 섬유 웨브에서의 각 섬유의 비율은 각 카드기에 공급하는 원료 섬유의 비율로 제어 가능하다.
다음으로, 2층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 웨브(P13)는, 워터 제트 처리기(130)에 의해 워터 제트 처리되고, 섬유끼리 교락된다. 그것에 의해, 제1 연속 시트(스펀레이스 부직포)(P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워터 제트 처리는, 복합 섬유 웨브(P13)를 연속하여 이동하는 메쉬 벨트 상에 얹고, 복합 섬유 웨브(P13)의 상면측으로부터 고압 제트 수류를 분사시켜 섬유끼리 교락시키는 것이다. 워터 제트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제1 연속 시트(P14)의 성질은, 각 섬유 웨브의 질량, 분사 노즐의 구멍 직경, 분사 노즐의 구멍수(피치), 섬유 웨브의 통과 속도 등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워터 제트 처리기(130)를 통과한 제1 연속 시트(P14)는, 건조기(140)에 의해 건조된다. 건조된 제1 연속 시트(P15)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
또, 각 섬유층에 대응하는 섬유 웨브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습식법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웨브의 결합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류 교락법이나 니들 펀치법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1 연속 시트(P15)는, 생리용 냅킨(1)의 제조 공장과는 별도의 제조 공장에서 제조되어, 롤에 권취된 후, 롤의 상태로 생리용 냅킨(1)의 제조 공장에 공급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반송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송된 또는 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풀린 제1 연속 시트(P15)인 제1 연속 시트(P16)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부형 장치(210)에 공급된다. 여기서, 부형 장치(210)는,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를 갖는 부형 롤(210a, 210b)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연속 시트(P16)는, 부형 롤(210a, 210b)의 요철부 사이에 끼워져,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요철 구조가 부형된다. 그 후, 제1 연속 시트(P16)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용의 연속 표면 시트(P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재 롤(WR3)로부터 풀린, 보조 시트(5)용의 연속 보조 시트(AS)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가열 장치(220)에 공급된다. 이어서, 연속 보조 시트(AS)는, 열처리되어 부피 회복된 후 도포 장치(302)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보조 시트(AS)는, 한쪽 면에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가 소정의 패턴(예시 : 스파이럴 패턴)으로 도포된다. 그 후, 연속 보조 시트(AS)와 연속 표면 시트(P16)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접합 장치(230)에 공급되고, 접합 장치(230)의 한쌍의 접합 롤(230a, 230b) 사이에 끼워져 접합된다. 그것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 표면 시트(P1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속 표면 시트(P17)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도포 장치(303)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표면 시트(P17)는, 연속 표면 시트(P17)(의 연속 보조 시트(AS))의 상하 방향(TD)의 하측의 면이자 횡단 방향(CD)의 단부에서, 반송 방향(MD)을 따라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P17)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루프 형성 장치(2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표면 시트(P17)의 연속 보조 시트(AS)에서의 횡단 방향(CD)의 양끝 부분이, 루프 형성 장치(240)의 세일러와 같은 절첩 지그에 의해 중앙 부분을 향해 루프형으로 접힌다. 그 결과, 연속 표면 시트(P17)의 횡단 방향(CD)의 양측에, 한쌍의 루프부(5L, 5L)에 대응하는 한쌍의 측부(ASL, ASL)가 형성된다. 그것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 표면 시트(P18)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재 롤(WR4)로부터 풀린, 사이드 시트(6)용의 연속 사이드 시트(SS)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절단 장치(250)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사이드 시트(SS)는, 횡단 방향(CD)의 중심의 위치에서, 반송 방향(MD)을 따라 횡단 방향(CD)으로 이등분으로 절단되고, 횡단 방향(CD)에 인접하는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가 형성된다. 그 후,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가 한쌍의 도포 장치(303a, 303b)에 공급된다. 그리고,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의 각각은, 횡단 방향(CD)의 내측의 단부에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가 소정 패턴(예시 :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어서,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와 연속 표면 시트(P8)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접합 장치(260)에 공급되고, 접합 장치(260)의 한쌍의 접합 롤(260a, 260b) 사이에 끼워져 접합된다. 그것에 의해, 연속 표면 시트(P18)에서의 한쌍의 측부(ASL, ASL)와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가 각각 접합된다. 그것에 의해,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 표면 시트(P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속 표면 시트(P2)가 도포 장치(305)에 공급되고, 한쌍의 연속 사이드 시트(SSa, SSb)에 가까운 쪽의 면에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P2)와,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 방향(MD)으로 나열된 흡수체(P3)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접합 장치(270)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표면 시트(P2)와 흡수체(P3)가, 접합 장치(270)의 한쌍의 접합 롤(270a, 270b) 사이에 끼워져 접합된다. 그것에 의해 반제품(P4)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반제품(P4)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압착 장치(280)에 공급된다. 압착 장치(280)에서는, 압착용의 볼록부를 외주면에 갖는 엠보스 롤(280a)과 엔빌 롤(280b)이 대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제품(P4)은 엠보스 롤(280a)과 엔빌 롤(280b) 사이에 끼워져 압착된다. 그 결과, 상하 방향(TD)으로 연속 표면 시트(P2)로부터 흡수체(P3)까지 연장되는 압착부(11∼15)가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반제품(P5)이 형성된다. 또, 각 압착부는 서로 다른 압착 장치로 압착되어도 좋다. 이어서, 제4 자재 롤(WR4)로부터 이면 시트(3)용의 연속 이면 시트(BS)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접합 장치(290)에 공급된다. 연속 이면 시트(BS)의 한쪽 면에는 도포 장치(306)에 의해 접착제(예시 :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한편, 반제품(P5)이,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접합 장치(290)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이면 시트(BS)와 반제품(P5)이, 접합 장치(290)의 한쌍의 접합 롤(290a, 290b) 사이에 끼워져 접합된다. 그것에 의해, 도 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 이면 시트(BS)와 반제품(P5)이 상하 방향(TD)으로 적층된 반제품(P6)이 형성된다. 그 후, 반제품(P6)에 점착제 부착 박리 시트(CT)(점착부(7), 8))가 접합되고, 박리 시트(CT)가 접합된 반제품(P6)의 주위 부분이 생리용 냅킨(1)의 형상으로 절단되어, 생리용 냅킨(1)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생리용 냅킨(1)이 제조된다.
다만, 2층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 웨브(P13)를 교락하는 방법으로는, 에어스루 방식이어도 좋다. 즉, 복합 섬유 웨브(P13)를 가열 장치에 반송하고, 가열 장치 내에서, 가열 공기에 의해 복합 섬유 웨브(P13)의 섬유끼리를 교락시키는 방법이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관해,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과의 상이점에 관해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은, 제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가 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다 작은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과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제2 섬유층(2b)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지도록 섬유 밀도의 구배가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섬유 밀도는 섬유 개수의 밀도로 한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1)에서는, 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가 제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더욱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섬유층(2b)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제1 섬유층(2a)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섬유층(2b)에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착용시에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 즉 제1 섬유층(2a)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1 섬유층(2a)에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섬유층(2b)에 인입된 액상 배설물을, 소수성 섬유에 의해 제2 섬유층(2b)을 통해 흡수체(4)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보수성 섬유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는 제1 섬유층(2a)으로부터, 보수성 섬유를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하는 제2 섬유층(2b)을 통해, 제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에 접하는 층(예시 : 보조 시트, 흡수체(4))으로 액상 배설물을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 때, 제1 섬유층(2a)에 있어서, 보수성 섬유에 의해 액상 배설물을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시키면서, 제2 섬유층(2b)에 인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에서 평면 방향으로 널리 확산된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에서의 평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아도 좋지만, 반대로 짧지 않아도 좋다. 짧은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가 제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다 작은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짧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제1 섬유층(2a)의 경우와 동일한 값을 취할 수 있고, 예컨대 10∼80 mm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1 :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2 : 표면 시트
2a : 제1 섬유층
2b : 제2 섬유층

Claims (14)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保水性)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섬유층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섬유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고,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상기 제1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은 것인 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섬유층의 비피부측에 인접하고, 소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섬유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많고,
    상기 제1 섬유층의 섬유 밀도는 상기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작은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상기 제2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압축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의 깊이가 얕은 저밀도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의 깊이가 깊은 고밀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저밀도부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
    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의 섬유 밀도를 S1,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의 섬유 밀도를 S2, 및,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영역의 섬유 밀도를 S3로 했을 때 S1<S3<S2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층으로부터 상기 제2 섬유층으로 갈수록 압축된 복수의 함몰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층의 상기 소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상기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는 셀룰로스계 섬유이고,
    상기 흡수체는 셀룰로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의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포함되는 상기 셀룰로스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폭방향의 중앙부보다,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는 코튼인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치수는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폭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217006847A 2018-09-10 2018-09-11 흡수성 물품 KR10255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9139 2018-09-10
JP2018169139A JP6445732B1 (ja) 2018-09-10 2018-09-10 吸収性物品
PCT/JP2018/033668 WO2020053966A1 (ja) 2018-09-10 2018-09-1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50A true KR20210041050A (ko) 2021-04-14
KR102557595B1 KR102557595B1 (ko) 2023-07-19

Family

ID=6489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847A KR102557595B1 (ko) 2018-09-10 2018-09-1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45732B1 (ko)
KR (1) KR102557595B1 (ko)
CN (1) CN112672721B (ko)
TW (1) TWI816817B (ko)
WO (1) WO2020053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4575B2 (ja) * 2018-12-28 2021-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部材の製造装置
JP7414396B2 (ja) * 2018-12-28 2024-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7109403B2 (ja) * 2019-05-21 2022-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2341361B1 (ko) * 2021-02-03 2021-12-21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KR20240004612A (ko) * 2021-04-29 2024-01-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38A (ja) 2003-04-10 2004-11-18 Kao Corp 繊維シート
EP2277485A1 (en) * 2008-05-15 2011-01-26 Uni-Charm Corporation Front 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CN204566854U (zh) * 2015-04-20 2015-08-19 上海丰格无纺布有限公司 一种用于一次性卫生用品的亲肤防回渗表层面料
JP2017086349A (ja) * 2015-11-06 2017-05-25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JP2017221341A (ja) * 2016-06-14 2017-12-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0772B2 (ja) * 1990-08-01 1998-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587677B2 (ja) * 1998-03-26 2004-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JP3734407B2 (ja) * 2000-06-19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479956Y (zh) * 2001-05-31 2002-03-06 龚军 松软型复合网面
CN100564641C (zh) * 2002-12-20 2009-12-02 宝洁公司 簇状的层压纤维网
US7956235B2 (en) * 2004-12-29 2011-06-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JP4605653B2 (ja) * 2005-07-12 2011-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214598B2 (ja) * 2015-05-29 2017-10-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38A (ja) 2003-04-10 2004-11-18 Kao Corp 繊維シート
EP2277485A1 (en) * 2008-05-15 2011-01-26 Uni-Charm Corporation Front 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CN204566854U (zh) * 2015-04-20 2015-08-19 上海丰格无纺布有限公司 一种用于一次性卫生用品的亲肤防回渗表层面料
JP2017086349A (ja) * 2015-11-06 2017-05-25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JP2017221341A (ja) * 2016-06-14 2017-12-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5732B1 (ja) 2018-12-26
CN112672721A (zh) 2021-04-16
TWI816817B (zh) 2023-10-01
JP2020039570A (ja) 2020-03-19
WO2020053966A1 (ja) 2020-03-19
TW202010888A (zh) 2020-03-16
KR102557595B1 (ko) 2023-07-19
CN112672721B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595B1 (ko) 흡수성 물품
TWI693318B (zh) 吸收性物品的透液性薄片用不織布、及包含作為透液性薄片之該不織布的吸收性物品
US11026850B2 (en) Nonwoven fabric for outer sheet of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as outer sheet
CN203370023U (zh) 吸收性物品
CN112839616B (zh) 吸收性物品
JP7190883B2 (ja) 吸収性物品
JP7325179B2 (ja) 吸収性物品
TWI763882B (zh) 吸收性物品的透液性薄片用不織布及不織布卷
WO2020095564A1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JP2004229766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054613A1 (ja) 体液吸収用シート
JP7224157B2 (ja) 吸収性物品
KR102625454B1 (ko) 흡수성 물품
WO2024062957A1 (ja) 吸収性物品
JP6850180B2 (ja) 複合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2024046551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