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191A -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 Google Patents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191A
KR20210039191A KR1020190121716A KR20190121716A KR20210039191A KR 20210039191 A KR20210039191 A KR 20210039191A KR 1020190121716 A KR1020190121716 A KR 1020190121716A KR 20190121716 A KR20190121716 A KR 20190121716A KR 20210039191 A KR20210039191 A KR 2021003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late
boiler
heat exchange
waste heat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경
이한섭
전병열
김은진
Original Assignee
(주)경성그린에너지
김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그린에너지, 김일경 filed Critical (주)경성그린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12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191A/en
Publication of KR2021003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191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7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3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omestic or space heating, e.g. heatin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heat recovery device for a boiler, which increases temperature of raw water by using waste heat of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a funnel of a boiler using oil or gas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boiler to increase heat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a heat exchange device is installed in the funnel to improve heat exchanging efficiency and is minimized to be applied for the home boiler.

Description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Boiler waste heat recovery system{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본 발명은 기름이나 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원수의 온도를 높인 후 이를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통에 열교환장치를 설치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가정용 보일러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한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rmal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raw water by using waste heat of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a boiler using oil or gas and supplying it to the boiler. It relates to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domestic boilers as well as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 device in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기름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건물을 난방하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일러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연소 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 중 상당 부분이 연통을 통해 배출되어 열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boiler heats a building or uses hot water by heating water using oil or gas. Such a boiler uses combustion heat to heat water flowing along a pip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mal efficiency is not high becau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한편, 최근에는 연소 가스의 유동 경로를 길게 하거나 연소가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보일러에서는 연소가스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연소가스와 함께 열이 배출되어 열효율이 낮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Meanwhile, recently, a method of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by lengthening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or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has been used. However, in the boiler, combustion gas is inevitably generated, and thus hea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mbustion gas,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efficiency.

이에 따라,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보일러로 공급되는 원수를 예열함으로써, 원수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을 줄이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라 한다.Accordingly,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heat required to heat the raw water by preheating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boiler using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s being studied, and such a device is referred to as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통상적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의 주위 또는 연통의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열교환관을 설치하고, 연소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열교환매체를 이용하여 원수를 예열하거나 원수를 열교환매체로 이용하여 연소가스에 의해 예열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In a conventional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a heat exchange tube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flows is installed around a flue from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and a heat exchange medium he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flue gas is used to preheat raw water or raw water. As a heat exchange medium, a method of preheating by combustion gas is used.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대형 보일러에 주로 적용되고 가정용 소형 보일러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열교환매체의 유동경로가 짧아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is mainly applied to large boilers and not to small household boilers,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waste heat is low because the flow path of the heat exchange medium is short.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patent documents have been searched, and some of them are as follows.

특허문헌 1은, 중앙에 개방된 배기통로가 내관에 의해 형성되고 내관의 외주에는 열 매체통로가 외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는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열 매체통로의 양단은 폐쇄하되 상기 열 매체통로에는 우회통로가 형성된 열회수 단위체를 구성하여 상기 열회수 단위체를 복수 개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보일러의 연도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기(放棄)되는 배기열을 회수하기 위한 보일러의 폐열회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1, an exhaust passage opened in the center is formed by an inner tube, and a thermal medium passage is form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ipe, and the exhaust passage is opened to both sides, and both ends of the thermal medium passage are closed, but the thermal medium Disclosed is a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a boil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flue of the boiler by configuring a heat recovery unit having a bypass passage in the passage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heat recovery units.

특허문헌 2는, 보일러를 사용하여 온수를 생산함에 있어 온수생성장치를 연계하여 보일러의 온수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보일러의 연도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온수생성장치의 열원공급부의 온도를 보상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열원공급부에 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물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열원공급부에 대기 중의 공기가 사용되는 경우 대기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는 냉난방 사이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이후에 직접 상기 폐열교환부를 지나면서 보일러의 폐열을 흡수하여 일부 기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증발기에서 열의 흡수량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증발기에 공급되는 외기의 소모량 역시 줄어들게 되어 시스템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보일러 폐열회수 온수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in producing hot water using a boil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ot water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boiler by linking th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as well as recovering the waste heat emitted from the flue of the boil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supply unit of th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When water is used in the heat source supply unit, wat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when air in the atmosphere is used in the heat source supply unit, the effect of changes in atmospheric temperature can be minimized, or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cooling/heating cycle unit can be used to compens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he waste heat of the boiler can be absorbed and partially vapo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waste heat exchange uni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evaporator, and thus the consumption of outside air supplied to the evaporator is also reduced. Disclosed is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hot wat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oiler.

특허문헌 3은, 2개 이상의 열전달 폐열회수관로의 외주면을 맞대어 용접하여 이어 붙여 배기가스 체류통을 구성시키고 배기가스 체류통의 양측끝단면을 배기가스열 유입구와 배기가스출구가 각각 조립된 밀폐판으로 밀폐하여 보일러 배기가스와 폐열이 배기가스열 유입구와 배기가스출구보다 체적이 큰 배기가스 체류통을 경유하여 배기가스출구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2개 이상의 열전달 폐열회수관과 배기가스 폐열에 직접 접촉되어 열전달 효율을 상승시키고 폐열을 탁월하게 회수하며, 회수된 열을 열전달 폐열회수관로의 일측면에 각각 구조된 송풍기로 송풍하여 사용하도록 한, 보일러 폐열회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3 is a sealing plat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wo or more heat transfer waste heat recovery pipes are welded together to form an exhaust gas reservoir, and both ends of the exhaust gas reservoir are assembled with an exhaust gas heat inlet and an exhaust gas outlet, respectively. The exhaust gas and waste heat of the boiler are sealed to discharge the exhaust gas to the exhaust gas outlet through an exhaust gas retention vessel having a larger volume than the exhaust gas heat inlet and the exhaust gas outlet, and the at least two heat transfer waste heat recovery pipes and exhaust gas. Disclosed is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system in which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rais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gas waste heat, the waste heat is recovered excellently, and the recovered heat is blown and used with a blower structured respectively on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waste heat recovery pipe.

KRKR 10-2009-010962110-2009-0109621 AA KRKR 10-101352610-1013526 B1B1 KRKR 10-2013-001645410-2013-0016454 A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에 열교환부를 설치하고 열교환부 내에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증가시켜 연소가스가 열교환부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 part in a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and increas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flows in the heat exchange part, so that the combustion gas stays in the heat exchange p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that improves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waste heat by increasing the time.

또,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통해 가정용 보일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domestic boiler through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시 물의 유동방향과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in which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by making the flow direction of water and the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opposite to each other during heat excha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 공급관(21)과 온수 배출관(22)이 구비되고 연소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보일러 본체(20)와; 폐열 회수를 위하여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보일러 본체(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보일러 본체(20)와 케이스(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관(11)과;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 배출관(12)과; 물이 유동하는 열교환용 코일(13)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원통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전열부(14)와; 상기 연결관(11)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열부(14) 또는 케이스(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전열부(14)의 중앙부를 막아주도록 전열부(1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열부(14)를 구성하는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폐판(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aw water supply pipe 21 and a hot water discharge pipe 22, the boiler body 20 for heating the raw water using combustion heat and discharging the heated hot water; A cylindrical case 10 disposed above the boiler body 20 for waste heat recovery; A connection pipe 11 connecting the boiler body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body 20 flows into the case 10; A gas discharge pipe 12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after heat exchange is discharged; A heat transfer unit 14 in which a heat exchange coil 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case 10; A plurality of shielding member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or case 10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 to block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ncluding, wherein the shielding membe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to block the central part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nd the heat exchange coil 13 constituting the heat transfer part 14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15 disposed between.

이때, 상기 차폐판(15)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차폐판(15) 상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와류홀(155)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shielding plate 15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a vortex hole 155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is formed through the shielding plate 15.

다른 예로, 상기 차폐판(15)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열부(14)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2 차폐판(15b)과, 나머지 부위에 배치되는 제1 차폐판(15a)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차폐판(15a) 상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와류홀(155)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hielding plate 15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nd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disposed on the remaining part. ), and a vortex hole 155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is formed on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또한,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어느 한 측으로 코일이 관통되도록,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슬릿(151, 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plate 15 is fitted between the heat exchange coils 13, the slits 151 and 152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so that the coil penetrates to either side of the shielding plate 1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차폐판(15) 중 어느 하나의 차폐판(15)에 형성된 와류홀(155)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차폐판(15)에 형성된 와류홀(155)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a vortex hole 155 formed in one of the shielding plate 15 of the shielding plate 15, and a vortex hole 155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shielding plate 1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전열부(14)는,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중앙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모래시계 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art 1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center and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side.

이때,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전열부(14) 상에 복수 개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직경은, 상기 전열부(14) 중 최대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plate 15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on the heat transfer part 14, the diameter of the shielding plate 15,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다른 예로,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전열부(14) 상에 복수 개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직경은, 상기 전열부(14)의 모든 구간에서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hielding plate 15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on the heat transfer part 14, and the diameter of the shielding plate 15 is each diameter in all sections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ize corresponding to.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역류형 구조의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서 입구측 열교환용 코일(13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서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let heat exchange coil 13a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so that a heat exchange part having a counterflow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the outlet heat exchanger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Dragon coil (13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outward.

아울러, 상기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을 통해 배출된 온수가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원수 공급관(21)으로 유입되거나 온수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 is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of the boiler body 20 or stored in the hot water storage unit.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에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장치가 설치되되, 열교환 장치의 내부에 연소가스를 차폐하는 복수의 차폐부재가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유동경로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연소가스의 체류 시간이 증가하여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대폭 향상되고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하여 가정용 보일러와 같이 소형 보일러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exchange device for recovering waste heat is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members for shielding combustion gas are installed inside the heat exchange device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Therefore, since the residence time of the combustion gas increase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waste heat is greatly improved, and the overall size is reduc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small boiler such as a home boiler, thereby increasing the versatility.

구체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전열부의 내측과 외측을 교대로 유동하는 대칭형 유로 또는 지그재그형 유로가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케이스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연소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Specifically, a symmetrical flow path or a zigzag flow path that alternately flows inside and outside the heat transfer unit is formed inside the case, so that the time for the combustion gas to stay in the case is lengthene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Will increase.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따른 차폐부재에 와류홀을 형성하여 와류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와류화됨에 따라 연소가스의 유동경로를 증가시켜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vortex hole in the shie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vortex hole is vortexed,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waste heat. .

또,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따르면, 열교환부가 역류형 열교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열교환용 코일을 따라 유동하는 물과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at exchange unit has a countercurrent heat exchange structure, the flow directions of water and combustion gas flowing along the heat exchange coil are reversed,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구체적으로, 물이 열교환용 코일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고 연소가스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열교환용 코일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Specifically, as water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heat exchange coil and the combustion gas fl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eat exchange coil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따르면,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을 통해 배출된 온수를 보일러 본체로 유입시켜 원수 가열에 필요한 시간과 열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온수 저장부에 저장하여 보일러 본체의 가동이 중지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iler body to reduce the time and amount of heat required for raw water heating, as well as storing the boiler in a separate hot water storage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hot water can be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is stopped.

또,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따르면, 연소가스에 의해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용 코일을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모래시계 형으로 구성하여 열교환용 코일의 중간부에서 연소가스의 체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coil for recovering waste heat by combustion gas is configured in an hourglass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combustion gas is increased in the middle part of the heat exchange coil.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sufficiently performing heat exchan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열 회수 장치의 요부인 제1 차폐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폐열 회수 장치의 요부인 제2 차폐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연소가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first shielding plate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shielding plate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원수 공급관(21)과 온수 배출관(22)이 구비되고 연소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보일러 본체(20)와; 폐열 회수를 위하여 보일러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10)와; 보일러 본체(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보일러 본체(20)와 케이스(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관(11)과;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 배출관(12)과; 물이 유동하는 열교환용 코일(13)이 케이스(10) 내부에 원통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전열부(14)와; 연결관(11)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전열부(14) 또는 케이스(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includes a boiler body 20 provided with a raw water supply pipe 21 and a hot water discharge pipe 22, and heats raw water using combustion heat and discharges the heated hot water; A cylindrical case 10 disposed above the boiler body 20 for waste heat recovery; A connection pipe 11 connecting the boiler body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body 20 flows into the case 10; A gas discharge pipe 12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after heat exchange is discharged; A heat transfer unit 14 in which a heat exchange coil 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case 10; A plurality of shielding member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or the case 10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 to block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차폐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14)의 중앙부를 막아주도록 전열부(1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전열부(14)를 구성하는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폐판(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용 코일(13)은 나선형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주름관의 경사는 45도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주름관은 유체 저항이 환상형 주름관보다 작고, 와류 생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외부와의 열교환이 용이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membe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to block the central part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s shown in FIG. 2, and a heat exchange coil constituting the heat transfer part 14 (13) It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15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 coil 13 may be formed as a spiral corrugated pipe. The inclination of the spiral corrugated pipe may be formed within 45 degrees. The spiral corrugated tube has a smaller fluid resistance than the annular corrugated tube, facilitates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due to factors such as vortex generation, and can be designed to be bent freely.

차폐판(15)은 연소가스가 열교환용 코일(13)의 중앙을 통해 배출될 경우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가 짧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이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한 차폐판(15)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 coil 13, the shielding plate 15 is configured to prevent a decrease in heat exchange efficiency due to a short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plate 15 for increasing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차폐판(15a)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차폐판(15b)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연소가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3 is a plan view of a first shielding plate 15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shielding plate 15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폐판(15)은 제1 차폐판(15a)과 제2 차폐판(15b)으로 구성되며, 연소가스가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경우 전열부(14)의 최상측에는 제2 차폐판(15b)이 배치되고, 나머지 부위에는 제1 차폐판(15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폐판(15a)은 원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차폐판(15a)은 전열부(14)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차폐판(15a) 상에는 슬릿(151)이 형성된다. 슬릿(151)은 제1 차폐판(15a)을 전열부(14)에 끼움 결합 시 코일이 슬릿(151)을 통해 관통되도록 하여 제1 차폐판(15a)이 전열부(14)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슬릿(151)이 없을 경우 제1 차폐판(15a)의 둘레가 코일에 맞닿아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릿(151)은 제1 차폐판(15a)의 중앙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판(15a) 상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와류홀(155)이 복수 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일부가 와류홀(155)을 통해 통과하도록 하여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의 배압을 유지하고, 와류홀(155)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와류화됨에 따라 연소가스 유동성을 향상시켜 열교환용 코일(13)과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2 to 5, the shielding plate 15 is composed of a first shielding plate 15a and a second shielding plate 15b, and when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heat transfer unit 14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and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may be disposed on the remaining portions.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and is configur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heat exchange coils 13. That is,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t this time, a slit 151 is formed on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The slit 151 allows the coil to penetrate through the slit 151 when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is fitted into the heat transfer part 14, so that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is close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part 14.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This is because in the absence of the slit 151,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may contact the coil and interference may occur. Accordingly, the slit 151 may b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In addition, a plurality of vortex holes 155 through which combustion gas can pass may be formed on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Therefore, as shown in FIG. 5, a part of the combustion gas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vortex hole 155 to maintain the back pressure of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By improving the fluidit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the heat exchange coil 13 is improved.

이때, 차폐판(15) 중 어느 하나의 제1 차폐판(15a)에 형성된 와류홀(155)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 차폐판(15a)에 형성된 와류홀(155)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바라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제1 차폐판(15a)에 형성된 와류홀(155)을 통과한 연소가스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 차폐판(15a)에 형성된 와류홀(155)을 통해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늘리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vortex hole 155 formed in one of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among the shielding plates 15 and the eddy current hole 155 formed in the other first shielding plate 15a adjacent to each other are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s such, they may not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ther, but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hat is, they can be form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top. This prevents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vortex hole 155 formed in one of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from being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vortex hole 155 formed in the other neighboring first shielding plate 15a. This is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한편, 전열부(14)의 최상측 즉 케이스(10)의 최하류단에는 와류홀(155)이 형성되지 않은 제2 차폐판(15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폐판(15b)은 원판 상으로 제1 차폐판(15a)과 유사하게 형성되나, 와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최하류단에서는 연소가스가 최대한 케이스(10) 내부에 머무르도록 구성하여 열교환용 코일(13)과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 차폐판(15b) 상에도 슬릿(152)이 형성된다. 슬릿(152)은 제2 차폐판(15b)을 전열부(14)에 끼움 결합 시 코일이 슬릿(152)을 통해 관통되도록 하여 제2 차폐판(15b)이 전열부(14)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a second shielding plate 15b in which the vortex hole 155 is not forme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that is, the lowermost end of the case 10.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is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on a disc, but does not have a vortex hole. Therefore,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ase 10, the combustion gas is configured to stay inside the case 10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the heat exchange coil 13. A slit 152 is also formed on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The slit 152 allows the coil to penetrate through the slit 152 when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is fitted into the heat transfer unit (14), so that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is close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unit (14).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따라서 보일러 본체(20)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도 5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열부(14)의 내측과 외측에서 교대로 열교환용 코일(13)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용 코일(13)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된 후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Therefore, while the combustion gas flowing from the boiler body 20 to the inside of the case 10 moves along the path shown in FIG. 5, water inside the heat exchange coil 13 alternately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Is heated. Accordingly, water flowing along the heat exchange coil 13 is heated by the combustion ga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이때, 케이스(10)의 내부에 역류형 구조의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의 상단에서 입구측 열교환용 코일(13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케이스(10)의 하단에서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구측 열교환용 코일(13a)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케이스(10) 상부에서 열교환이 시작된 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케이스(10)의 하부에서 열교환을 마치고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을 통해 배출되게 되고, 그로 인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더 높아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in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a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so that a heat exchange part having a counterflow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 It is preferable that 13b) protrudes outward. Accordingly, after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ide heat exchange coil 13a starts heat exchange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wher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heat exchange is comple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 wher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and the outlet heat exchange process is performed.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gon coil (13b),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hot water.

그리고 열교환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드레인관(1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응축수에 의해 케이스(10)가 부식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nd the condensed water formed by condensing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nside the case 10 due to heat exchange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10 ′,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10 is always kept dry. In addition, the case 1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corrosion by condensed water.

물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순류형 구조의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의 상단에서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케이스(10)의 하단에서 입구측 열교환용 코일(13a)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물의 온도가 높아지지만 순류형 구조의 열교환부에서는 케이스(10) 상단의 연소 가스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Of course,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so that a forward-flow type heat exchange part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the inlet side heat exchange coil at the bottom of the case 10 (13a) may protrude outward. Even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crease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at the top of the case 10 cannot be obtained in the heat exchange unit having a forward flow structure.

또한,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을 통해 배출된 온수는 연결용 파이프 등을 통해 보일러 본체(20)의 원수 공급관(21)으로 유입되거나 별도 경로를 통해 온수 저장부(도시 생략)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원수 공급관(21)으로 공급하여 온수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더 높일 수도 있고, 별도의 온수 저장부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 is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of the boiler body 20 through a connection pipe or the like, or stored in a hot water storage unit (not shown) through a separate path. I can. That is,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 may be suppli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of the boiler body 20 to further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2, or It can also be stored and used in the hot water storage unit.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물이 유동하는 열교환용 코일(13)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되,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중앙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모래시계 형 전열부(14)와; 연결관(11)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모래시계 형 전열부(14)와 케이스(10)의 내벽에 각각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판(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exchange coil 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th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center, and the center An hourglass-type heat transfer unit 14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 the upper side;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rglass-type heat transfer unit 14 and the case 10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 to block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t is made including (15).

이때, 차폐판(1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폐판(15a)과 제2 차폐판(15b)으로 구성되며, 연소가스가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경우 모래시계 형 전열부(14)의 최상측에는 제2 차폐판(15b)이 배치되고, 나머지 부위에는 제1 차폐판(15a)이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ielding plate 15 is composed of a first shielding plate 15a and a second shielding plate 15b,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when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hourglass The second shielding plate 15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mold heat transfer part 14, and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may be disposed on the remaining part.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차폐판(15b)은 모두 전열부(14)의 직경 중 가장 큰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열부(14)의 직경이 줄어드는 구간에도 전열부(14)의 직경 중 가장 큰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차폐판(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보일러 본체(20)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도 5에 도시된 경로와 같이 이동하면서 전열부(14)의 내측과 외측에서 교대로 열교환용 코일(13)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최대한 늘려 연소가스가 케이스(1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열교환용 코일(13)을 따라 유동하는 물과 연소가스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제1 및 제2 차폐판(15a, 15b)의 세부 구성은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both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plates 15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diameter among the diameters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That is, even in a s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s reduced, the shielding plate 15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diameter among the diameters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may be provided. This is, while the combustion gas flowing from the boiler body 20 to the inside of the case 10 moves as shown in the path shown in FIG. 5,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coil 13 alternately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The water is heated. Accordingly, as the time for the combustion gas to stay in the case 10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as much as possibl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water flowing along the heat exchange coil 13 and the combustion gas is improved.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plates 15a and 15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와 같은 모래시계 형 전열부(14)는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늘어나기 때문에 전열부(14)의 중앙 공간이 커짐에 따라 열교환 면적이 증가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줄어들어 연소가스가 케이스(1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전열부(14)에 비해 열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hourglass-type heat transfer part 14 as above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center and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the heat exchange area increases as the central sp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ncreases, and the space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The time during which the combustion gas stays inside the case 10 is drastically increased. Therefore,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heat transfer unit 14,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상술된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와 동일한 형상의 전열부(14)가 구비되되, 제1 및 제2 차폐판(15b)이 전열부(14)의 직경 변화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열부(14)의 직경이 큰 구간에는 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차폐판(15)이 설치되며, 전열부(14)의 직경이 작은 구간에는 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차폐판(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열부(14)의 모든 구간에서 전열부(14)의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차폐판(15)이 설치되는 경우 차폐판(15)의 둘레부 끝단과 연소가스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가 전열부(14)와 인접한 부위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열교환용 코일(13)을 따라 유동하는 물과 연소가스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unit 14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The plate 15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That is, a shielding plate 15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is installed in a section with a large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and a shielding plate 15 having a corresponding size in a section with a small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section 14 Can be installed. In this way, when the shielding plate 15 corresponding to each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s installed in all sections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it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shielding plate 15 and the combustion gas. Since the eddy current is gener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eat transfer unit 14,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water flowing along the heat exchange coil 13 and the combustion gas is improved.

이상의 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온수는 연결용 파이프 등을 통해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원수 공급관(21)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일러 본체(20)에서의 원수 가열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고 가열 열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빠른 난방이 가능하게 되고 온수 생성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In the above process,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heat exchange is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of the boiler body 20 through a connection pip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for heating the raw water in the boiler body 20 is shortened and the amount of heat to be heated is reduced. Accordingly, rapid heating is possible and the time required for hot water generation is shortened.

하지만,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작동이 중지되어 보일러 본체(20)로의 원수 유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된 온수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온수 저장부에 저장됨으로써, 보일러 본체(20)를 가동하지 않고도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boiler body 20 is stopped and the inflow of raw water into the boiler body 20 is not required, the heated hot water is stored in the hot water storage unit through a separate path, thereby operating the boiler body 20. You can use hot water without it.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for exemplif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케이스
10'...드레인관
11...연결관
12...가스 배출관
13...열교환용 코일
13a...입구측 열교환용 코일
13b...출구측 열교환용 코일
14...전열부
15...차폐판
15a...제1 차폐판
151...슬릿
155...와류홀
15b...제2 차폐판
20...보일러 본체
21...원수 공급관
22...온수 배출관
10...case
10'...drain pipe
11...connector
12...gas discharge pipe
13...coil for heat exchange
13a...In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Exit side heat exchange coil
14...
15...shield
15a...first shielding plate
151...slit
155...Voryu Hall
15b...second shielding plate
20...boiler body
21...raw water supply pipe
22...hot water discharge pipe

Claims (11)

원수 공급관(21)과 온수 배출관(22)이 구비되고 연소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보일러 본체(20)와;
폐열 회수를 위하여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보일러 본체(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보일러 본체(20)와 케이스(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관(11)과;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 배출관(12)과;
물이 유동하는 열교환용 코일(13)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원통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전열부(14)와;
상기 연결관(11)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열부(14) 또는 케이스(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전열부(14)의 중앙부를 막아주도록 전열부(1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열부(14)를 구성하는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폐판(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A boiler body 20 provided with a raw water supply pipe 21 and a hot water discharge pipe 22 to heat raw water using combustion heat and discharge the heated hot water;
A cylindrical case 10 disposed above the boiler body 20 for waste heat recovery;
A connection pipe 11 connecting the boiler body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body 20 flows into the case 10;
A gas discharge pipe 12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bustion gas after heat exchange is discharged;
A heat transfer unit 14 in which a heat exchange coil 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case 10;
A plurality of shielding member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or case 10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 to block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ncluding,
The shielding membe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to block the central part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nd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 coils 13 constituting the heat transfer part 14.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차폐판(15) 상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와류홀(155)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ielding plate 15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rtex hole 155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is formed through the shielding plate 15,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열부(14)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2 차폐판(15b)과, 나머지 부위에 배치되는 제1 차폐판(15a)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차폐판(15a) 상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와류홀(155)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ielding plate 15 is made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Consisting of a second shielding plate 15b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14, and a first shielding plate 15a disposed at the rest,
A vortex hole (155)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is formed on the first shielding plate (15a).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열교환용 코일(13) 사이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어느 한 측으로 코일이 관통되도록,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슬릿(151, 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hielding plate 15,
It is fitted between the heat exchange coils 13, characterized in that slits 151 and 152 ar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so that the coils pass through to either side of the shielding plate 15,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차폐판(15) 중 어느 하나의 차폐판(15)에 형성된 와류홀(155)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차폐판(15)에 형성된 와류홀(155)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The vortex hole 155 formed in one of the shielding plates 15 of the shielding plate 15 and the eddy current hole 155 formed in the other neighboring shielding plate 15 are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14)는,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중앙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모래시계 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transfer part 14,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center and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전열부(14) 상에 복수 개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직경은, 상기 전열부(14) 중 최대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hielding plate 15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on the heat transfer part 14,
The diameter of the shielding plate (15),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5)은, 상기 전열부(14) 상에 복수 개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차폐판(15)의 직경은, 상기 전열부(14)의 모든 구간에서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hielding plate 15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on the heat transfer part 14,
The diameter of the shielding plate (15),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each diameter in all sections of the heat transfer unit (14),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역류형 구조의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서 입구측 열교환용 코일(13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서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let heat exchange coil 13a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so that a heat exchange part having a counterflow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an outlet heat exchange coil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Boiler waste heat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13b) protrudes outw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열교환용 코일(13b)을 통해 배출된 온수가 상기 보일러 본체(20)의 원수 공급관(21)으로 유입되거나 온수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ide heat exchange coil (13b) is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of the boiler body (20) or stored in a hot water storag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코일(13)은 나선형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주름관의 주름 경사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exchange coil (13) is formed in a spiral corrugated pipe, the inclination of the corrugation of the spiral corrugated pipe is 45 degrees boile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KR1020190121716A 2019-10-01 2019-10-01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Abandoned KR202100391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16A KR20210039191A (en) 2019-10-01 2019-10-01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16A KR20210039191A (en) 2019-10-01 2019-10-01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191A true KR20210039191A (en) 2021-04-09

Family

ID=7544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16A Abandoned KR20210039191A (en) 2019-10-01 2019-10-01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19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406A1 (en)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wer storag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21A (en) 2008-04-16 2009-10-21 윤성구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boiler
KR101013526B1 (en) 2009-12-22 2011-02-10 주식회사 아남에너지 Boiler waste heat recovery hot water generator
KR20130016454A (en) 2012-09-04 2013-02-15 석 규 이 Boiler Waste Heat Recover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21A (en) 2008-04-16 2009-10-21 윤성구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boiler
KR101013526B1 (en) 2009-12-22 2011-02-10 주식회사 아남에너지 Boiler waste heat recovery hot water generator
KR20130016454A (en) 2012-09-04 2013-02-15 석 규 이 Boiler Waste Heat Recover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406A1 (en)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wer storag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721B2 (en)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KR100645734B1 (en) Heat exchanger of condensing boiler for heating / hot water
RU2472087C2 (en) Heat exchanger designed in particular for heat generators
TW445366B (en) Assembly body of heat exchange coils
CN104251629A (en) Heat exchanger and gas water heater with same
KR20110083195A (en) Condensing boiler
KR100676163B1 (en) Water Pipe Boiler
KR101031101B1 (en) Split Heat Exchanger
KR20210039191A (en)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CN208443047U (en) Low nitrogen condenses stainless steel hot homogeneous solution-type reactor
CN110657414A (en) Direct-flow steam generator
KR20190128830A (en)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CN102419122A (en) Two-phase-flow air preheater
CN107796012A (en) A kind of heat exchanger of improvement
JP5234349B2 (en)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CN103712495B (en) Heat exchange device for recycling flue gas waste heat
KR101770524B1 (en)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KR200464650Y1 (en) Uptrend Combustion Typed Condensing Boiler
KR20190128832A (en) Heat Recovery System for Boiler
CN103090539B (en) Double-output composite boiler
KR20170003855U (en) Latent heat exchanger
KR20000071947A (en) Single Passage-Type Heating Equipment for Supper-Heater
KR200426466Y1 (en) Water supply preheater (economizer) using boiler waste heat
KR100515636B1 (en) Structure of Heat Exchanger in Gas Boiler
KR200315193Y1 (en) heat exchanger for hot-water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