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500A -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500A
KR20210009500A KR1020190086082A KR20190086082A KR20210009500A KR 20210009500 A KR20210009500 A KR 20210009500A KR 1020190086082 A KR1020190086082 A KR 1020190086082A KR 20190086082 A KR20190086082 A KR 20190086082A KR 20210009500 A KR20210009500 A KR 2021000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il
support
annealing furnace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611B1 (ko
Inventor
유병종
김창구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에스엠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에스엠메탈(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8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3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ll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는 소둔로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호 이격 상태에서 코일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베이스판 위에 마련된 제1적치판 및 제2적치판, 베이스판과 제1 및 제2적치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주물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 적치대; 및 베이스판 하부에 결합되어 적치대를 지지하며 하측이 소둔로 내 바닥에 매몰되는 복수의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적치판은 코일을 지지하는 상면이 코일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마련된다.

Description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COIL SUPPORT DEVICE FOR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하중을 분산시켜 코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열적 변형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둔공정은 철강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한 후 서서히 냉각하는 방식으로 철강 내부의 응력을 제거한다. 소둔 공정에서 사용하는 로는 형태나 재료의 취급방법에 따라 가스소둔로, 전기소둔로, 배치식 소둔로, 연속식 소둔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치식 소둔로는 강판이 감긴 코일을 내부에 다단으로 적치한 상태에서 코일을 가열한다. 배치식 소둔로 내에는 소둔과정에서 코일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 바닥에 복수의 코일지지장치를 설치된다. 코일지지장치는 외면이 곡면으로 된 코일 하부를 지지해 코일의 이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식 소둔로는 코일의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기 때문에 코일지지장치가 열에 의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었다. 통상적인 코일지지장치는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해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그 위에 무거운 코일이 적치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용접부위가 열변형되면서 기울거나 허물어질 수 있었다.
통상의 코일지지장치는 곡면인 코일의 외면과 접하는 지지면이 평면인 관계로 코일과 지지면이 선접촉을 하기 때문에 코일의 하중이 선접촉하는 부위에 집중하게 되어 변형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중을 분산시켜 코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열적 변형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둔로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호 이격 상태에서 코일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 위에 마련된 제1적치판 및 제2적치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주물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 적치대; 및 상기 베이스판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적치대를 지지하며 하측이 소둔로 내 바닥에 매몰되는 복수의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은 코일을 지지하는 상면이 코일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마련된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적치판과 상기 제2적치판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 및 상기 각 통기홀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링형태로 돌출하는 복수의 보강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 하부의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및 상기 보강턱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적치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판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과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연결부분 및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판의 연결부분을 보강하는 곡면형 덧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치대는 중량%로, C : 0.18 내지 0.2%, Si :0.8 내지 1.0%, Mn : 1.0 내지 2.0%, P: 0.04% 이하, S :0.03% 이하, Ni :12 내지 17%, Cr: 22 내지 28%, Mo : 0 초과 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은 사각의 평판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네 모서리 쪽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지주와 보조지주; 및 상기 메인지주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주가 상기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근접하고 상기 보조지주가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주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보강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상기 보조지주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복수의 하측지지부의 상측 일부가 각각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복수의 결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는 적치대가 내열소재에 의해 주물로 제조되기 때문에 소둔과정에서 열적변형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는 제1적치판과 제2적치판이 곡면으로 마련되어 코일의 외면에 면접촉을 한 상태에서 코일을 지지하기 때문에 코일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코일의 하중을 분산시켜 코일 또는 적치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는 복수의 하측지지부의 상측 일부가 베이스판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진입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적치대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적치대를 설치위치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지지장치가 설치된 소둔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지지장치의 하측지지부와 적치대의 베이스판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지지장치가 설치된 소둔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둔로는 내부의 가열공간(11)을 한정하는 측벽(12)과 하부벽(13)을 갖춘 몸체부(10)와, 몸체부(10) 상측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과 하부벽(13) 내면에는 내화물(12a,13a)이 설치되고, 가열공간(11) 바닥의 내화물(13a)에는 가열공간(11) 내에 적치되는 코일들(C)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코일지지장치(100)가 설치된다.
가열공간(11) 내 코일들(C)은 2단 또는 3단으로 적치될 수 있고, 가열공간(11) 바닥에 설치된 코일지지장치들(100)은 코일들(C)의 하중을 견디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인접 것과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코일지지장치(100)의 측면도, 도 3은 코일지지장치(100)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각 코일지지장치(100)는 소둔로의 가열공간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C)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치대(110)와, 적치대(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측이 소둔로 바닥의 내화물(13a)에 매몰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하측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적치대(110)는 소둔로 바닥의 내화물(13a) 위에 설치되며 사각의 평판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판(111),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코일(C)의 하부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베이스판(111) 위에 마련된 제1적치판(112) 및 제2적치판(113), 베이스판(111)과 제1 및 제2적치판(112,113)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적치판(112)과 제2적치판(113)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11) 상부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코일(C)을 지지하는 상면이 코일(C)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마련된다. 제1 및 제2적치판(112,113) 상면의 곡률이 코일(C)의 외면 곡률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적치판(112)과 제2적치판(113)은 상면 전체가 코일(C)의 하부 양측 외면에 면접촉을 한 상태에서 코일(C)을 지지하게 되므로 코일(C)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코일(C)의 하중이 제1적치판(112) 상면과 제2적치판(113) 상면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므로 소둔과정에서 코일(C)의 하중에 의해 코일(C) 또는 적치대(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의 상면과 제1적치판(112)의 하면 또는 베이스판(111) 상면과 제2적치판(113)의 하면을 연결하는 패널형태로 마련되며, 제1 또는 제2적치판(112,113)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티기 용이하도록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다.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은 제1 또는 제2적치판(112,113)과 베이스판(111) 사이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호 교차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지지프레임(114)은 하중을 고려해 적절히 이격될 수 있고, 일부에는 제1 또는 제2적치판(112,113) 하부로 온도센서(125)를 진입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센서설치공(114a)이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측지지부(130)와 결합되는 베이스판(111)의 네 모서리 쪽의 지지강성이 더 강화될 수 있도록 네 모서리 쪽에 상대적으로 밀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적치대(11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적치판(112)과 제2적치판(113) 사이의 이격공간(115) 하부위치, 즉 베이스판(111)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116)과, 각 통기홀(116)의 둘레를 따라 베이스판(1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베이스판(111)의 상면에 링형태로 돌출하는 복수의 보강턱(11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턱(117)은 통기홀(116)이 형성된 부분의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통기홀(116) 주위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적치대(110)에 큰 하중이 작용한 상태에서 적치대(110)가 가열 또는 냉각되더라도 통기홀(116) 주위의 베이스판(111)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치대(110)는 제1적치판(112) 및 제2적치판(113) 하부의 지지프레임(114, 이격공간 쪽 지지프레임)의 측면과 베이스판(111) 상면 및 보강턱(117)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1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리브(118)는 통기홀(116) 주변의 베이스판(111) 및 지지프레임(114)의 강성을 강화해 소둔과정에서 베이스판(111)의 중간부분이 열에 의해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적치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적치판(112,113)과 다수의 지지프레임(114) 연결부분 및 다수의 지지프레임(114)과 베이스판(111)의 연결부분을 보강하는 곡면형 덧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덧살부(119)는 적치대(110) 전체가 주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적치판(112,113), 지지프레임(114), 베이스판(111)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덧살부(119)는 연결부분의 강성을 높이면서 연결부분의 응력집중을 줄이기 때문에 적치대(110)의 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적치판(112,113)으로부터 베이스판(110) 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각 지지프레임(114)의 상측 두께(t1)보다 하측 두께(t2)가 두껍게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들(114)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강성이 점차 증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코일(C)의 하중에 의한 좌굴(buckling)을 방지할 수 있어 소둔과정에서 적치대(110)가 고열에 노출되더라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치대(110)는 전체가 주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또는 제2적치판(112,113)과 다수의 지지프레임(114)의 연결부분, 다수의 지지프레임(114) 연결부분과 베이스판(111)이 용접부분 없이 동일한 소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내열 강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코일지지장치는 용접부위가 열변형되면서 기울거나 허물어질 수 있었으나, 본 실시 예의 적치대(110)는 이러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고열에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하측지지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의 네 모서리 하측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11) 하부를 지지한다. 각 하측지지부(130)는 도 2와 도 3의 예처럼 베이스판(111)과 결합되는 상측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소둔로 바닥의 내화물(13a)에 매몰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적치대(110)가 횡방향으로 밀려 그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적치대(110)에 작용하는 코일(C)의 하중 대부분이 복수의 하측지지부(130)를 통하여 하부로 전달되므로 코일(C)의 적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바닥의 내화물(13a)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각 하측지지부(130)는 상하로 이격된 상판(131)과 하판(132), 상판(131)과 하판(132)을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지주(133)와 보조지주(134), 메인지주(133)의 중심위치에서 상판(1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베이스판(111)에 형성된 홀(111a)에 삽입되는 연결축(13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지주(133)와 보조지주(134)는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수직 하중에 대한 강성이 높은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메인지주(133)와 보조지주(134)는 각각 상단과 하단이 상판(131)과 하판(132)에 용접된다.
하측지지부(130)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지주(133)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판(131)과 하판(132)에 각각 용접된 복수의 제1보강판(136), 상판(131)과 하판(132)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보조지주(134)의 외면에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판(131)과 하판(132)에 각각 용접된 복수의 제2보강판(137)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지지부(130)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하측지지부(130)가 적치대(110)의 베이스판(111) 하부에 결합될 때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지주(133)가 베이스판(111)의 모서리 쪽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보조지부(134)가 베이스판(111)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측지지부(130)는 적치대(11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이 메인지주(133)와 보조지주(134)로 분산되고, 복수의 제1보강판(136)과 복수의 제2보강판(137)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도 적치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판(111)은 복수의 하측지지부(130)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홈(120)은 각 하측지지부(130)의 상판(131) 일부가 하부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1)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지지부(130)의 상판(13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홈(120)은 주물로 적치대(1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성형될 수 있다.
코일지지장치(100)를 설치할 때는 복수의 하측지지부(130)를 소둔로 바닥의 내화물(13a)에 설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하측지지부(130) 위에 적치대(110)를 올려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하측지지부(130)는 상판(131)의 일부가 베이스판(111) 하면의 결합홈(120)에 진입한 상태로 결합되고, 연결축(135)이 베이스판(111)의 홀(111a)에 진입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적치대(110)는 복수의 하측지지부(130) 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횡방향으로 밀리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복수의 하측지지부(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적치대(110)는 중량%로, C : 0.15 내지 0.2%, Si : 0.8 내지 1.0%, Mn :1.0 내지 2.0%, P : 0.04% 이하, S : 0.03% 이하, Ni : 12 내지 17%, Cr : 22 내지 28%, Mo : 0 초과 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합금으로 된 주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합금조성에 대한 한정이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성분조성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두 중량%를 의미한다.
C의 함량은 0.15 내지 0.2%이다. C는 주물 응고 시 기지조직에 고용되며, 내열강으로서 필요한 고온 강도 및 내크립성(creep resistance)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로 0.15% 이상 첨가한다. 반면, C 함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Cr탄화물이 다량 석출되어 취화 문제가 발생하는바 0.2%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 내지 0.2%의 C를 포함할 수 있다.
Si의 함량은 0.8 내지 1.0%이다. Si는 탈산제의 역할을 수행하며 용탕 유동성을 향상시켜 주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고온 내산화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Si의 범위를 0.8 내지 1.0%로 한다.
Mn의 함량은 1.0 내지 2.0%이다. Mn은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고온균열 방지 및 인성 향상을 위해 1.0% 이상 첨가하며, 반대로 과잉 첨가 시 MnS의 증가를 가져와 인성 및 적열취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한을 2.0%로 제한한다.
P의 함량은 0.04% 이하이며, S의 함량은 0.03% 이하이다. P와 S는 내식성을 저하시켜 불순물로 취급되는 원소로, 각각 0.04% 이하 및 0.03% 이하로 관리한다.
Ni의 함량은 12 내지 17%이다. Ni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원소로서, 내부식성 및 내열성에 매우 유효한 원소이다. 내열성 및 내산화성 향상을 통해 고온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2% 이상 첨가하지만, Ni은 고가의 원소임에 따라 다량의 첨가 시 원료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이에 그 상한을 17%로 한다.
Cr의 함량은 22 내지 28%이다. Cr은 내산화성 및 고온강도 확보를 위해 22% 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다량 첨가 시 분산되는 Cr탄화물이 많아져 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그 상한을 28%로 제한한다.
Mo의 함량은 0 초과 0.5% 이하이다. Mo 또한 C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함으로써 내크립성을 향상시키며, 내부 경화능 및 고온 파단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수 원소로 첨가한다. 그러나 다량 첨가 시에는 연성이 열위해지므로 0.5% 이하로 제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 내지 0.4%의 M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적치대(110)를 제조함에 따라 적치대(110)의 내마모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열화부식 억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코일지지장치, 110: 적치대,
111: 베이스판, 112: 제1적치판,
113: 제2적치판, 114: 지지프레임,
116: 통기홀, 117: 보강턱,
118: 보강리브, 119: 덧살부,
120: 결합홈, 130: 하측지지부,
131: 상판, 132: 하판,
133: 메인지주, 134: 보조지주,
135: 연결축, 136: 제1보강판,
137: 제2보강판.

Claims (11)

  1. 소둔로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호 이격 상태에서 코일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 위에 마련된 제1적치판 및 제2적치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주물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 적치대; 및
    상기 베이스판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적치대를 지지하며 하측이 소둔로 내 바닥에 매몰되는 복수의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은 코일을 지지하는 상면이 코일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마련된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적치판과 상기 제2적치판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 및
    상기 각 통기홀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링형태로 돌출하는 복수의 보강턱;을 더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 하부의 상기 지지프레임 측면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및 상기 보강턱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적치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판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는 상기 제1 및 제2적치판과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연결부분 및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판의 연결부분을 보강하는 곡면형 덧살부를 더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는 중량%로, C : 0.18 내지 0.2%, Si :0.8 내지 1.0%, Mn : 1.0 내지 2.0%, P: 0.04% 이하, S :0.03% 이하, Ni :12 내지 17%, Cr: 22 내지 28%, Mo : 0 초과 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형성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사각의 평판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네 모서리 쪽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지주와 보조지주; 및
    상기 메인지주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주가 상기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근접하고 상기 보조지주가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메인지주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보강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상기 보조지주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복수의 하측지지부의 상측 일부가 각각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복수의 결함홈을 포함하는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KR1020190086082A 2019-07-17 2019-07-17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KR10226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82A KR102263611B1 (ko) 2019-07-17 2019-07-17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82A KR102263611B1 (ko) 2019-07-17 2019-07-17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00A true KR20210009500A (ko) 2021-01-27
KR102263611B1 KR102263611B1 (ko) 2021-06-10

Family

ID=742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82A KR102263611B1 (ko) 2019-07-17 2019-07-17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5955A (zh) * 2021-11-04 2022-02-08 广西稀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铝退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151B1 (ko) * 2015-02-12 2015-10-16 주식회사 하이스텐 내부식성이 있는 얇은 두께의 중공형의 주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피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6707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코일 적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707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코일 적치장치
KR101561151B1 (ko) * 2015-02-12 2015-10-16 주식회사 하이스텐 내부식성이 있는 얇은 두께의 중공형의 주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피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5955A (zh) * 2021-11-04 2022-02-08 广西稀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铝退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11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00C (zh) 高强度铁素体耐热钢及其制造方法
KR102263611B1 (ko) 소둔로용 코일지지장치
JP4478835B2 (ja) 冷却エレメント
EP3887737B1 (en) Lining and cooling arrangement for a metallurgical furnace
JP4721139B2 (ja) 横吹き真空精錬炉
US4580974A (en) Melting furnace cover
RU2224965C2 (ru) Транспортер с шагающими балками для проходной печи для разогрева алюминиевых слитков
JP6162982B2 (ja) スキッドボタン
US5719897A (en) Furnace vessel for a direct current arc furnace
US933732A (en) Ladle construction.
JP4006748B2 (ja) 炉頂予熱装置の水冷フィンガー
JP2000256715A (ja) 炉の耐火物保持構造
JPH0643167Y2 (ja) 溶鋼脱ガス設備用浸漬管
US3073264A (en) Furnace roof suspended by interconnected brick hanger extensions
KR101298536B1 (ko) 강판 열처리용 인너 커버
JPH0941030A (ja) 真空精錬用取鍋の蓋
JP2011196614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
JP2002241888A (ja) 高温強度が高く且つ溶損が少ない溶融亜鉛釜用鋼
EP3740730B1 (en) Furnace sidewall with slag retainers
KR101880113B1 (ko) 용접용 탭피스
JP2913450B2 (ja) 誘導溶解炉
EP1397632B1 (en) Thermally compensated structural element for a furnace
JP3718951B2 (ja) 環流管
SU929982A2 (ru) Рейтер нагревательной печи
JPS61173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