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563A -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563A
KR20210006563A KR1020190082212A KR20190082212A KR20210006563A KR 20210006563 A KR20210006563 A KR 20210006563A KR 1020190082212 A KR1020190082212 A KR 1020190082212A KR 20190082212 A KR20190082212 A KR 20190082212A KR 20210006563 A KR20210006563 A KR 2021000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reaction vessel
liquid
eco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재
문병조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엘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8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6563A/ko
Publication of KR2021000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5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3/00Combinations of bioreactors or fermenters with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 단체급식장소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발효 분해시켜 액상소멸화시킨 침출수만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기 및 다공질 미생물 칩을 이용하여 분쇄, 발효 분해시키는 액상소멸 방식의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액상소멸처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통과시키는 제1배출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응용기;
상기 반응용기 밑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수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을 통과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배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eco-friendly waste-disposal unit using microorganism chip}
본 명세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 단체급식장소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발효 분해시켜 액상소멸화시킨 침출수만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일반 생활쓰레기와 분리해서 별도로 배출하도록 관련법으로 강제 규정되어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비료나, 가축사료, 퇴비로 재활용하는 시도가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음식물쓰레기 발생 즉시 수거 및 운반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지않은 이유이다.
음식물쓰레기를 제때에 수거하지않을 경우 부패된 상태로 퇴비화원료나 가축사료로 사용될 경우 농작물 또는 동물 등에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감량처리하는 추세이며, 감량처리방법으로 건조시켜 소각, 매립하는 방법과, 생물학적으로 발효처리하여 감량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전자의 방법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 많은 에너지가 투입되어 경제성 및 실용성이 떨어지고, 후자의 방법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대부분을 발효시켜 가스와 물로 분해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적게 사용되고,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84712호에 게시된 음식물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미생물 담체 및 그 처리장치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미생물을 흡착시키고,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공성 스펀지 담체와,
다공성 스펀지 담체를 소정량 충전하여 체류시키기 위한 반응용기와,
다공성 스펀지 담체에 주입 살포 흡착시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분해시키기위한 임의성분의 액상 미생물을 구비한다.
전술한 공개특허 제0084712호의 처리장치는 반응용기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소정시간 발효 분해시켜서 감량화된 음식물쓰레기를 임의직경의 배출공이 천공된 타공망을 통과시킨 후, 배수구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시킨다.
이때, 타공망의 임의직경의 배출공을 통과하는 가스와 물로 완전하게 분해되지않은 음식물쓰레기로 인해 배수구와 하수구사이를 연결하는 배수관이 자주 막히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반응용기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 액상소멸화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액상소멸화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키는 거름망을 2단계화하여 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만을 하수구로 배출시키도록 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식물쓰레기에 액상의 미생물 및 물을 주기적으로 분사시킴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발효,분해를 촉진시키고, 발효된 음식물찌꺼기를 반응용기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켜 발효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시로 액상소멸화시킴에 따라,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봉투에 보관할 경우 악취 또는 벌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기 및 다공질 미생물 칩을 이용하여 분쇄, 발효 분해시키는 액상소멸 방식의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액상소멸처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통과시키는 제1배출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응용기;
상기 반응용기 밑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수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을 통과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배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배출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반응용기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 액상소멸화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액상소멸화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 사이즈가 다른 거름망을 2단계화하여 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만을 하수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반응용기의 배출구와 하수구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관이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 액상의 미생물 및 물을 주기적으로 분사시킴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발효, 분해를 촉진시켜 음식물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발효 분해된 음식물찌꺼기를 반응용기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켜 교반용기 내부에 발효 냄새가 정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시로 액상소멸화시켜 침출수만을 배출시킴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봉투에 보관할 경우 발생되는 악취 또는 벌레 고민을 해결하여 주방 주변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도어를 개방시킨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도어를 개방시킨 다른방향에서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액상소멸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여과시키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를 개방시킨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반응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액상소멸처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통과시키는 거름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반응용기의 거름망 및 음식물찌꺼기 수납구의 거름망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분해시키기 위해 미생물 칩 사용됨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의 배출공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청소노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물)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도록 회전축에 고정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교반기 및 다공질 미생물 칩을 이용하여 분쇄, 발효 분해시키는 액상소멸 방식의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회전축(10) 및 교반날개(11)로 이루어지는 교반기(12)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액상소멸처리되는 음식물찌꺼기가 통과하는 제1배출공(13)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응용기(15)(일 예로서, 종단면이 U자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됨);
반응용기(15)에 수용되고,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분해시켜 액상소멸시키기 위한 다공질 미생물 칩(16)(미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새로운 균주를 추가 공급하지않고 설정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반응용기(15) 밑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수납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배출공(13)을 통과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만을 통과시킴)시키도록 제1배출공(13)의 직경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배출공(17)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반응용기(15)의 내부에 형성되고, 액상의 미생물을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분사시켜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미생물 분사노즐(22);
반응용기(15)의 내부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상방으로 물을 분사시킴에 따라 발효된 음식물찌꺼기를 반응용기(15)로부터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신속하게 배출시켜 반응용기(15) 내부에 발효 냄새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 분사노즐(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전술한 반응용기(15)가 수용되고, 반응용기(15)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도어(23)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케이스(24) 외측면에 장착되는 세척건(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세척건(25)으로부터 살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반응용기(15)의 내측면, 또는 교반기(12)의 교반날개(11) 등에 잔류된 음식물찌꺼기, 침출수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거나, 외부케이스(24) 외측면에 묻은 먼지 등의 오염원을 세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밑으로 형성되며, 반응용기(15)의 제1배출공(13) 또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을 통과하는 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를 집수시키도록 상단이 개방되는 채널형태로 형성되고, 집수되는 침출수를 배출구(20) 및 배수관(28)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 바닥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수구(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7,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집수구(29)의 내부 바닥에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밑에서 제2배출공(17)에 세척수를 임의시간동안 살수시킴에 따라 제2배출공(17)이 여과된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청소노즐(N;N1,N2,N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반응용기(15)에 음식물쓰레기가 재 투입될때 마다, 청소노즐(N)에 의해 살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제2배출공(17)을 막고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함에 따라, 반응용기(15)의 제1배출공(13)을 통과한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찌꺼기가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을 통과하지 못해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로부터 집수구(29)로 넘치는 것(over flow)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6은 물 분사노즐(21), 청소노즐(N;N1,N2,N3) 및 세척건(25)에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이며, 27은 급수관(26)을 통해 물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단속레버이며, 35는 구동모터(30), 미생물 분사노즐(22), 물 분사노즐(21), 세척건(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이며, P1은 급수 관(26)을 통과하는 물을 세척건(25)에 공급하기 위한 호스이며, P2는 급수 관(26)을 통과하는 물을 반응용기(15) 내부의 미생물 분사노즐(22)에 공급하기 위한 호스이며, P3는 급수 관(26)을 통과하는 물을 청소노즐(N;N1,N2,N3)에 공급하기 위한 호스이며, 100은 외부케이스(24) 일측에 경첩(20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를 인출시 개방되는 보조도어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외부케이스(24)의 개구부에 형성된 도어(23)를 개방시킨 후,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용기(15)에 투입시키되, 반응용기(15)에 다공질 미생물 칩(16)을 투입시킨 후 도어(23)를 닫는다(도 8 참조).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외부케이스(24)에 내설된 구동모터(30)에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30)의 회전축(도면부호 미 표기)에 연결된 구동기어(31)(스프라킷 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31)에 결합된 동력전달체인(32)에 의해 교반기(12)의 회전축(10) 일단에 설치된 피동기어(33)(스프라킷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교반기(12)의 회전축(10)에 설치된 교반날개(11)를 임의속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반응용기(15)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켜 분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30)의 구동시 교반기(12)의 교반날개(11) 회전에 의해 반응용기(15)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반응용기(15) 내에서 교반날개(11)의 회전에 의해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 칩(16)과 혼합되어 함께 교반됨에 따라 미생물 칩(16)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켜 물과 가스로 분해시킴에 따라 액상소멸화시킨다.
이때, 반응용기(15) 내에서 교반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물을 미생물 칩(16)에 의해 발효시켜 물과 가스로 분해시켜 액상소멸화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용기(15)에 투입된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날개(11)의 회전에 의해 임의크기로 분쇄시키고, 또한 미생물 칩(16)에 의해 발효, 분해시켜 액상소멸화시킴에 따라 생성된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는 반응용기(15)의 바닥면에 형성된 임의직경의 제1배출공(13)을 통과하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반응용기(15)의 내측면에 형성된 미생물 분사노즐(22)을 통해 외부케이스(24)의 내부에 배치된 액상미생물 수용용기(40)에 수용된 액상 미생물을 펌프(P)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타이머의 설정된 임의시간에 의해 분사시킴에 따라, 미생물 칩(16)에 의해 발효, 분해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발효를 활성화시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액상소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용기(15)에서 액상소멸화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반응용기(15)의 내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물 분사노즐(21)에 의해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의해 물을 분무형태로 분사시킴에 따라, 발효된 음식물찌꺼기를 반응용기(15)로부터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반응용기(15) 내부에 발효 냄새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즉, 물 분사노즐(21)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형태의 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상방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반응용기(15) 내의 발효 냄새가 도어(23)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전술한 미생물 칩(16)에 의해 액상소멸화 과정을 거친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는 반응용기(15) 바닥면에 형성된 제1배출공(13)을 통과하여 반응용기(15)의 밑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낙하된다.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낙하된 음식물찌꺼기 중 침출수는 반응용기(15)의 제1배출공(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출공(17)을 통과하게 된다(도 3 및 도 4에 확대하여 도시됨).
즉, 미세한 입자의 음식물찌꺼기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에 의해 여과되어 걸려지고, 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는 제2배출공(17)을 통과하여 집수조(29)에 낙수된다.
이때,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을 통과하지 못해 누적되어 쌓이는 음식물찌꺼기가 많아질 경우, 외부케이스(24)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납된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를 인출시킨 후 누적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을 통과한 액상의 침출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하단에 형성된 채널형태의 집수구(29)에 낙하된다. 이때 집수구(29)에 낙하되는 침출수는 집수구(29)의 내부 바닥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중앙에 집수된다.
집수구(29)의 중앙에 집수된 침출수는 집수구(29)에 형성된 배출구(20)와, 배출구(20)와 연통되는 배수관(28)을 통해 배출되어 하수구로 이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용기(15)의 제1배출공(13)을 통과하여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낙하되는 음식물찌꺼기 중 침출수만이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의 제2배출공(17)을 통과하여 집수구(29)로 배출됨에 따라,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반응용기(15)에서 미생물 칩(16)에 의해 액상소멸화시킨 침출수가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수관(28)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시킬 경우에 배수관(28)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반응용기(15)에 투입된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는 → 교반기(12)의 교반날개(11)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 미생물 칩(16)에 의해 발효, 분해되어 액상소멸화되며 → 침출수가 포함된 미세한 입자의 음식물찌꺼기는 반응용기(15)의 제1배출공(13)을 통과하며 →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낙하된 미세한 입자의 음식물찌꺼기는 제2배출공(17)에 의해 여과되며 → 음식물찌꺼기 수납구(19)에 낙하된 음식물찌꺼기의 침출수는 제2배출공(17)을 통과하여 집수구(29)에 낙수되며 → 집수구(29)에 집수된 침출수는 배출구(20) 및 배수관(28)을 통해 하수구로 이송됨에 따라, 수분에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 칩(16)에 의한 발효, 분해로 액상소멸화시키는 1싸이클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회전축
11; 교반날개
12; 교반기
13; 제1배출공
15; 반응용기
16; 미생물 칩
17; 제2배출공
19; 음식물찌꺼기 수납구
20; 배출구
21; 물 분사노즐
22; 미생물 분사노즐
23; 도어
24; 외부케이스
25; 세척건
26; 급수관
27; 단속레버
28; 배수관
29; 집수구
30; 구동모터
31; 구동기어
32; 동력전달체인
33; 피동기어
35; 제어부

Claims (5)

  1.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기 및 다공질 미생물 칩을 이용하여 분쇄, 발효 분해시키는 액상소멸 방식의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액상소멸처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통과시키는 제1배출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응용기;
    상기 반응용기 밑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수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을 통과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배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형성되고, 액상의 미생물을 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분사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미생물 분사노즐;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쓰레기 상방으로 물을 분사시킴에 따라 발효된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반응용기로부터 상기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상기 반응용기 내부에 발효 냄새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기가 수용되고, 상기 반응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외측면에 장착되는 세척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찌꺼기 수납구의 밑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응용기 또는 음식물찌꺼기 수납구를 통과하는 침출수를 집수시키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집수되는 상기 침출수를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 바닥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채널형태의 집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의 내부 바닥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찌꺼기 수납구의 밑에서 상기 제2배출공에 세척수를 살수시켜 상기 제2배출공이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청소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190082212A 2019-07-08 2019-07-08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eased KR20210006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12A KR20210006563A (ko) 2019-07-08 2019-07-08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12A KR20210006563A (ko) 2019-07-08 2019-07-08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563A true KR20210006563A (ko) 2021-01-19

Family

ID=7423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12A Ceased KR20210006563A (ko) 2019-07-08 2019-07-08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6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991B1 (ko) * 2023-05-30 2023-10-20 (주)케이제이바이오에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991B1 (ko) * 2023-05-30 2023-10-20 (주)케이제이바이오에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173B1 (ko) 발효 탱크부가 구비된 좌변기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210006563A (ko) 미생물 칩을 이용한 액상소멸 방식의 고형분 회수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214053083U (zh) 厨余垃圾分解仓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24663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5049736U (zh) 家庭厨余垃圾生化分解机
KR100769241B1 (ko) 생활폐기물처리장치.
JP2001293460A (ja)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CN212914004U (zh) 一种卫生防疫用的垃圾处理装置
KR1010674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JP2001070922A (ja) 微生物を利用した食品廃棄物の分解処理機
KR102477347B1 (ko) 친환경 퇴비 제조시스템
CN108755867B (zh) 厨房垃圾处理机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JP4689332B2 (ja) 生ごみ処理剤
JP2010110748A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装置を利用した排水処理システム
KR20240143351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감량장치 및 방법
KR200221791Y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KR200379391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처리 시설
JPH0781703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200002574U (ko)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스크류
JP3017699U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200002573U (ko)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9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