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995A -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995A
KR20210003995A KR1020190079429A KR20190079429A KR20210003995A KR 20210003995 A KR20210003995 A KR 20210003995A KR 1020190079429 A KR1020190079429 A KR 1020190079429A KR 20190079429 A KR20190079429 A KR 20190079429A KR 20210003995 A KR20210003995 A KR 2021000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disposed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김세영
차형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995A/ko
Priority to PCT/KR2020/007231 priority patent/WO2021002599A1/ko
Priority to US17/624,065 priority patent/US20220359783A1/en
Priority to EP20834799.7A priority patent/EP3996154A4/en
Priority to CN202080048375.9A priority patent/CN114127962A/zh
Publication of KR2021000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75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5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the electrode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onto a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16Processes relating to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발광 소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2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층, 적어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1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Light emitting element,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의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그 중, 발광 표시 패널로써,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경우, 유기물을 형광 물질로 이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무기물을 형광물질로 이용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 등이 있다.
형광물질로 무기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는 고온의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가지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청색 광의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유전영동(Dielectrophoresis, DEP)법을 이용한 전사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내구성 및 효율이 우수한 무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켜 제조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된 전극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전극층에 접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2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층, 적어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1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인접한 일 측의 두께보다 상기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의 두께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2 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는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코어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의 직경은 상기 제1 부분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부분의 외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중심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제3 부분의 외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제1 부분의 반대편 단부면은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도핑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은 하부 기판 상에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상기 반도체 코어를 둘러싸는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코어는 상기 제2 단부의 직경이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단부의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를 상기 반도체 코어의 외면에 증착하여 수행되되, 상기 재료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는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마스크층, 상기 제1 마스크층 상에 배치된 제2 마스크층 및 상기 제1 마스크층과 상기 제2 마스크층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기판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식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홀을 따라 제1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제2 마스크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제1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층의 식각홀의 직경은 상기 제2 마스크층의 식각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마스크층의 식각홀을 따라 성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마스크층의 식각홀을 따라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2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층, 적어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1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접촉하는 제2 접촉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접촉 전극은 노출된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촉 전극은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와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화소에 배치된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화소에 배치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중심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중심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제2 광보다 중심 파장대역이 짧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켜 제조되고, 일부 영역의 직경이 다른 영역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동일한 공정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들은 직경이 달라지는 영역에는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가 증착되지 않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도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전극이 발광 소자의 각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의 개략적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 소자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Q2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Xa-Xa'선, Xb-Xb'선 및 Xc-X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의 개략적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 소자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광 소자(30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300)는 마이크로 미터(micro-meter) 또는 나노미터(nano-meter) 단위의 크기를 가지고,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무기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대향하는 두 전극들 사이에 특정 방향으로 전계를 형성하면 극성이 형성되는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두 전극 상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극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임의의 도전형(예컨대, p형 또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된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 받고, 이를 특정 파장대의 광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활성층(330)은 중심 파장대역이 450nm 내지 495nm의 범위를 갖는 청색(Blue)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청색(Blue) 광의 중심 파장대역이 상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청색으로 인식될 수 있는 파장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광 소자(300)의 활성층(330)에서 방출되는 광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중심 파장대역이 495nm 내지 570nm의 범위를 갖는 녹색(Green)광 또는 중심 파장대역이 620nm 내지 750nm의 범위를 갖는 적색(Red)광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청색(blue)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300)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300)는 제1 반도체층(310), 제2 반도체층(320), 활성층(330), 제1 전극층(371), 제2 전극층(372) 및 절연막(3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발광 소자(300)의 일부 영역이 절단된 개략도이고, 도 2는 발광 소자(300)의 절연막(380)을 제외한 다른 층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발광 소자(300)를 연장된 일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발광 소자(300)는 복수의 반도체층들이 어느 다른 층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양 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층 및 이들을 둘러싸는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는 제1 반도체층(310)을 중심으로,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 및 절연막(38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코어는 제1 반도체층(310), 활성층(330) 및 제2 반도체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330)과 제1 전극층(371)은 제1 반도체층(31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제1 반도체층(3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20)은 활성층(33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이를 둘러쌀 수 있고, 제2 전극층(372)은 제2 반도체층(3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이를 둘러쌀 수 있다. 절연막(380)은 제1 반도체층(310),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의 외면을 전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로드, 와이어, 튜브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3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되, 부분적으로 측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부분적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 본체부(300A)와 연결된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00A),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는 발광 소자(300)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반도체층들의 일 부분을 정의하기 위해 지칭된 것이며 이들은 각각 분리되는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발광 소자(300)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즉, 본체부(300A),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는 발광 소자(300)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반도체층들의 일부 영역을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본체부(300A),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는 반드시 복수의 반도체층들을 모두 포함하는 발광 소자(300)의 일부 영역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부 구성, 예컨대 제1 반도체층(310),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의 일부 영역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300A)는 외면이 단면상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부(300A)는 원통형, 로드형 또는 다각 기둥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300)의 제1 단부(300B)는 본체부(300A)의 일 측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2 전극층(372)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단부(300B)는 본체부(300A)와 달리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300B)의 경사진 외면은 발광 소자(300)의 일 측 단부에서 만나게 되고, 제1 단부(300B)는 실질적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300A)와 제1 단부(300B)는 중심부에 배치된 제1 반도체층(310)을 중심으로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제2 전극층(372) 및 절연막(38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300)의 제2 단부(300C)는 본체부(300A)의 타 측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1 전극층(371)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단부(300C)는 본체부(3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되, 다른 직경을 갖고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의 직경(300WA)이 제2 단부(300C)의 직경(300WC)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단부(300C)는 외면이 본체부(300A)의 외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와 달리, 제2 단부(300C)에는 제1 반도체층(310), 제1 전극층(371) 및 절연막(380) 만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300A)와 제2 단부(300C)는 제1 반도체층(310)에서 발광 소자(300)의 외면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배치된 층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300A)의 직경(300WA)은 제2 단부(300C)의 직경(300WC)보다 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310)의 본체부(300A)에 대응되는 부분은 제2 단부(300C)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이는 발광 소자(300)의 제조 공정에서 제1 반도체층(310)을 성장할 때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발광 소자(300)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또는 로드형(rod), 정육면체, 직육면체, 육각기둥형 등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등 발광 소자(3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반도체층들은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를 이루는 복수의 층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도전형을 갖는, 예컨대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소자(300)가 청색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경우, 제1 반도체층(310)은 AlxGayIn1-x-yN(0≤x≤1,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으로 도핑된 AlGaInN, GaN, AlGaN, InGaN, AlN 및 InN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도전형 도펀트는 Si, Ge, Sn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층(310)은 n형 Si로 도핑된 n-GaN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길이는 1.5㎛ 내지 5㎛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도체층(310)는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에 대응하는 제1 부분(NR1), 제1 단부(300B)에 대응하는 제2 부분(NR2) 및 제2 단부(300C)에 대응하는 제3 부분(N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NR1)은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NR1)은 실질적으로 본체부(300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부(300A)는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다를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부분(NR2)은 제1 부분(NR1)의 일 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NR2)은 제1 부분(NR1)의 일 측으로 연장되되, 단면상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1 반도체층(310)의 일 측 단부에서 만날 수 있다. 즉, 제2 부분(NR2)은 제1 단부(300B)와 같이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부분(NR3)은 제1 부분(NR1)의 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부분(NR3)은 제1 부분(NR1)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의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부분(NR1)의 직경이 제3 부분(NR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제1 부분(NR1)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면이 제1 부분(NR1)의 외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반도체층(310)의 형성 공정 중 제3 부분(NR3)을 형성한 뒤 제1 반도체층(310)을 이루는 재료를 더 증착하여 제1 부분(NR1)을 형성함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할 때, 일 방향으로 형된 반도체 결정의 일부 영역에만 반도체 결정을 더 성장시킴으로써 제1 부분(NR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3 부분(NR3)은 제1 부분(NR1)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반대편 영역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반도체층(320)은 후술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2 반도체층(320)은 제2 도전형을 갖는, 예컨대 p형 반도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발광 소자(300)가 청색 또는 녹색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경우, 제2 반도체층(320)은 AlxGayIn1-x-yN(0≤x≤1,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형으로 도핑된 AlGaInN, GaN, AlGaN, InGaN, AlN 및 InN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20)은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도전형 도펀트는 Mg, Zn, Ca, Se, Ba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반도체층(320)은 p형 Mg로 도핑된 p-GaN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20)의 길이는 0.05㎛ 내지 0.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반도체층(310)과 제2 반도체층(320)이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층(330)의 물질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과 제2 반도체층(320)은 더 많은 수의 층, 예컨대 클래드층(clad layer) 또는 TSBR(Tensile strain barrier reducing)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과 제2 반도체층(320) 사이에 배치된다.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에서 제1 반도체층(310)과 제2 반도체층(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33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양자층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자층에 포함된 물질의 함량에 따라 활성층(33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대가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활성층(330)의 상기 양자층에 포함된 물질의 함량은 활성층(330)이 배치되는 제1 반도체층(310)의 격자 상수(Lattice contact)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격자 상수는 제1 반도체층(310)의 이루는 물질 또는 제1 반도체층(310)의 직경이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은 단면상 외면이 평탄한 제1 부분(NR1)과, 단면상 외면이 경사지거나 다른 직경을 갖는 제2 부분(NR2) 및 제3 부분(NR3)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격자 상수를 가질 수도 있다. 활성층(330)이 제1 반도체층(310)을 전면적으로 둘러싸는 경우, 활성층(330)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양자층에 포함된 물질의 함량이 달라져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활성층(330)이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에만 배치됨으로써, 동일한 함량의 물질을 갖는 양자층을 포함하여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활성층(330)이 제1 반도체층(310)의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NR1)에만 배치됨으로써, 제1 반도체층(310)의 제2 부분(NR2)은 제2 반도체층(320)과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2 부분(NR2)에도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330)은 단일 또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330)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양자층(Quantum layer)과 우물층(Well layer)이 서로 교번적으로 복수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 및 제2 반도체층(320)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전자-정공 쌍의 결합에 의해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일 예로, 활성층(330)이 청색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경우, AlGaN, AlGaInN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활성층(330)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양자층과 우물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경우, 양자층은 AlGaN 또는 AlGaInN, 우물층은 GaN 또는 AlInN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활성층(330)은 양자층으로 AlGaInN를, 우물층으로 AlInN를 포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층(330)은 중심 파장대역이 450nm 내지 495nm의 범위를 갖는 청색(Blue)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활성층(330)은 밴드갭(Band gap) 에너지가 큰 종류의 반도체 물질과 밴드갭 에너지가 작은 반도체 물질들이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발광하는 광의 파장대에 따라 다른 3족 내지 5족 반도체 물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활성층(330)이 방출하는 광은 청색 파장대의 광으로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적색, 녹색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활성층(330)의 길이는 0.05㎛ 내지 0.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활성층(330)에서 방출되는 광은 발광 소자(300)의 길이방향 외부면뿐만 아니라, 양 측면으로 방출될 수 있다. 활성층(330)에서 방출되는 광은 하나의 방향으로 방향성이 제한되지 않는다.
전극층(371, 372)은 오믹(Ohmic) 접촉 전극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쇼트키(Schottky) 접촉 전극일 수도 있다. 전극층(371, 372)은 후술할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 도 19에 도시)에서 발광 소자(300)가 전극 또는 접촉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발광 소자(300)와 전극 또는 접촉 전극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극층(371, 372)은 전도성이 있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371, 372)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인듐(In), 금(Au), 은(Ag),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ITZO(Indium Tin-Zinc Oxid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층(371, 372)은 n형 또는 p형으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극층(371, 372)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층(371, 372)은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371)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전극층(372)은 제2 반도체층(320) 상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300)의 제1 단부(300B)에는 제2 전극층(372)이 배치되고, 제2 단부(300C)에는 제1 전극층(37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층(371)은 제1 반도체층(3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제3 부분(NR3)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도면 상 하단부의 측면과 제1 부분(NR1)과 인접한 상단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여 제1 전극층(37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전극층(372)은 제2 반도체층(3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 및 제1 단부(300B)에 대응하는 제2 반도체층(32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층(372)은 실질적으로 제2 반도체층(3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통해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층(330)에서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신호가 제1 전극층(371), 제1 반도체층(310)을 통해 활성층(330)으로 전달되기 위해,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과 제3 부분(NR3) 사이에서 발광 소자(300)가 연장된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Q1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71)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에만 배치되고, 제1 부분(NR1)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극층(372)은 제2 반도체층(320) 상에서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과 제2 부분(NR2)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부분(NR1)의 직경이 제3 부분(NR3)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의 직경(300WA)이 제2 단부(300C)의 직경(300WC)보다 클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외면이 제1 부분(NR1)의 외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의 Q1 부분과 같이 제3 부분(NR3)이 제1 부분(NR1)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부분에는 전극층(371, 372)을 이루는 재료의 증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이 하나의 공정에서 수행되고,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과 제3 부분(NR3)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NR1)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3 부분(NR3)은 재료의 증착이 원활하지 않는 영역, 도면 상 제3 부분(NR3)의 상부에는 전극층이 형성되지 않고, 제3 부분(NR3) 중 제1 부분(NR1)으로부터 이격된 하단부에 인접하여 제1 전극층(37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의 형상은 제3 부분(NR3)의 상부가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제3 부분(NR3)의 상부에서는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가 증착되지 않기 때문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절연막(380)은 상술한 복수의 반도체층 및 전극층들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연막(380)은 적어도 활성층(33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발광 소자(300)가 연장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연막(380)은 상기 부재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막(380)은 상기 부재들의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발광 소자(300)의 길이방향의 일 단부, 즉 제1 반도체층(310)의 하면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380)은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의 외면을 포함하여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이 이격되어 노출된 제1 반도체층(3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절연막(380)이 발광 소자(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층(371)으로부터 제2 전극층(372)의 측면까지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막(380)은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일부의 반도체층의 외면만을 커버하거나,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 외면의 일부만 커버하여 각 전극층(371, 372)의 외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발광 소자(300)의 제조 공정에서,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이 형성된 뒤에 이들을 둘러싸도록 절연막(380)을 형성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380)은 발광 소자(300)의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380)의 두께는 10nm 내지 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절연막(380)의 두께는 40nm 내외일 수 있다.
절연막(380)은 절연특성을 가진 물질들,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 SiOx),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ide, SiNx), 산질화 실리콘(SiOxNy), 질화알루미늄(Aluminum nitride, AlN),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Al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330)이 발광 소자(300)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380)은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300)의 외면을 보호하기 때문에,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380)은 외면이 표면처리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표시 장치(10)의 제조 시, 소정의 잉크 내에서 분산된 상태로 전극 상에 분사되어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300)가 잉크 내에서 인접한 다른 발광 소자(300)와 응집되지 않고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절연막(380)은 표면이 소수성 또는 친수성 처리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길이가 1㎛ 내지 10㎛ 또는 2㎛ 내지 6㎛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00)의 직경은 300nm 내지 700nm의 범위를 갖고, 발광 소자(300)의 종횡비(Aspect ratio)는 1.2 내지 1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장치(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은 활성층(330)의 조성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소자(300)의 직경은 500nm 내외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에피택셜 성장법(Epitaxial growth)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하부 기판 상에서 제1 반도체층(310), 활성층(330) 및 제2 반도체층(3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뒤,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과 절연막(380)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제2 부분(NR2) 상에서 제2 반도체층(320)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층(372) 및 제1 부분(NR1)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37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도체층(310)이 제1 부분(NR1)과 제1 부분(NR1)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3 부분(NR3)을 포함하여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은 하나의 공정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371, 37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2 반도체층(320) 상에 증착되는 전극층(371, 372)을 이루는 재료는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하부에는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전극층(371, 372)을 이루는 재료는 제1 부분(NR1)과 제3 부분(NR3)이 연결된 영역에 증착되지 않고, 제3 부분(NR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증착 공정에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은 제1 반도체층(310), 활성층(330) 및 제2 반도체층(320)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반도체층(310)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371)과 제2 반도체층(32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전극층(371), 제1 반도체층(310) 및 제2 전극층(372)을 둘러싸는 절연막(38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하나의 공정에서 형성하더라도, 이들은 제1 반도체층(31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00) 및 베이스 기판(2100) 상에 형성된 버퍼 물질층(2200)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2000)과, 버퍼 물질층(2200) 상에 형성된 서브 반도체층(3100)을 준비한다.
베이스 기판(2100)은 사파이어 기판(Al2O3) 및 유리와 같은 투명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GaN, SiC, ZnO, Si, GaP 및 GaAs 등과 같은 도전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 기판(2100)이 사파이어 기판(Al2O3)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기판(210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베이스 기판(2100)은 두께가 400㎛ 내지 15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0) 상에는 복수의 반도체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에피택셜법에 의해 성장되는 복수의 반도체층들은 시드 결정을 성장시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자빔 증착법,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 레이저 증착법(Plasma laser deposition, PLD), 이중형 열증착법(Dual-type thermal 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금속-유기물 화학기상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유기물 화학기상 증착법(MOCV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구체 물질은 대상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구체 물질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와 같은 알킬기를 포함하는 금속 전구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메틸 갈륨(Ga(CH3)3), 트리메틸 알루미늄(Al(CH3)3), 트리에틸 인산염((C2H5)3PO4)과 같은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공정 조건 등에 대하여는 생략하여 설명하며, 발광 소자(300)의 제조방법의 순서나 적층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기판(2100) 상에는 버퍼 물질층(2200)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버퍼 물질층(2200)이 한층 적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버퍼 물질층(2200)은 제1 반도체층(310)과 베이스 기판(2100)의 격자 상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퍼 물질층(2200)은 언도프드(Undoped)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제1 반도체층(3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되, n형 또는 p형으로 도핑되지 않은 물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버퍼 물질층(2200)은 도핑되지 않은 InAlGaN, GaN, AlGaN, InGaN, AlN 및 In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버퍼 물질층(2200)은 베이스 기판(2100)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 기판(2100) 상에 언도프드 반도체를 포함하는 버퍼 물질층(2200)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퍼 물질층(2200) 상에는 서브 반도체층(3100)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반도체층(3100)은 제1 반도체층(3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반도체층(3100)은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반도체층(3100)은 에피택셜 성장법으로 형성되는 제1 반도체층(310)의 시드 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복수의 마스크층(1600)을 형성하고, 마스크층(1600)을 관통하여 서브 반도체층(31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식각홀(hole)을 형성한다.
마스크층(1600)은 제1 반도체층(310)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스크층(1600)은 서브 반도체층(3100)을 일부 노출하는 식각홀(hole)이 형성되고, 서브 반도체층(3100)에서 식각홀(hole)을 통해 성장된 결정은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층(1600)은 제1 마스크층(1610), 제2 마스크층(1620) 및 제3 마스크층(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스크층(1610)은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형성되고, 그 위에 제2 마스크층(1620)과 제3 마스크층(16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반도체층(3100)이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을 통해 성장된 부분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일 수 있다. 제3 부분(NR3)의 형상은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에 형성된 식각홀(hole)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에 형성된 식각홀(hole)은 좁은 폭을 갖고,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은 제3 부분(NR3)이 제1 부분(NR1)보다 좁은 폭을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이 특정 길이를 갖기 위해,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크층(1610)은 제2 마스크층(1620)보다 두꺼울 수 있으며, 이들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300n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반도체층(3100)이 제3 마스크층(1630)을 통해 성장된 부분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일 수 있다. 다만,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과 제2 부분(NR2)은 후속 공정에서 제1 반도체층(310)을 이루를 재료를 더 증착하여 형성되고, 제3 마스크층(1630)에 형성된 식각홀(hole)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의 직경은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과 다를 수 있다.
제1 마스크층(1610), 제2 마스크층(1620) 및 제3 마스크층(1630)을 이루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마스크층(1610), 제2 마스크층(1620) 및 제3 마스크층(1630)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 SiOx),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ide, SiNx)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Silicon Oxynitride, SiOxN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마스크층(1610) 및 제3 마스크층(1630)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 SiOx)를 포함하고, 제2 마스크층(1620)은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ide, SiNx)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각홀(hole)은 제3 마스크층(1630), 제2 마스크층(1620) 및 제1 마스크층(1610)을 관통하여 서브 반도체층(3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노출한다. 서브 반도체층(3100)은 식각홀(hole)을 통해 결정이 성장함으로써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할 수 있다.
식각홀(hole)은 마스크층(1600)에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식각홀(hole)이 이격된 간격과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반도체층(3100)의 식각홀(hole)에 의해 노출된 부분의 직경은 식각홀(hole)이 이격된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브 반도체층(3100)의 식각홀(hole)에 의해 노출된 부분의 직경과 식각홀(hole)이 이격된 간격의 비는 1:2.5 내지 1:3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식각홀(hole)에 의해 노출된 마스크층(1600)의 내측 측벽은 서브 반도체층(3100)의 상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마스크층(1630)으로부터 제1 마스크층(1610)으로 갈수록 식각홀(hole)의 직경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각홀(hole)을 따라 형성된 제1 반도체층(310)은 외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반도체층(310)이 제3 부분(NR3)보다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전극층(371, 372)은 제1 반도체층(310)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과 제1 부분(NR1)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짐에 따라, 이들이 연결되는 영역에서는 전극층(371, 372)을 이루는 재료가 증착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식각홀(hole)을 형성하는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홀(hole)을 형성하는 공정은 건식식각법, 습식식각법, 반응성 이온 에칭법(Reactive ion etching, RIE),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에칭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ICP-RIE) 등일 수 있다. 건식 식각법의 경우 이방성 식각이 가능하여 수직 식각에 적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의 식각법을 이용할 경우, 식각 에천트(Etchant)는 Cl2 또는 O2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식각홀(hole)을 형성하는 공정은 건식 식각법과 습식 식각법을 혼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건식 식각법에 의해 깊이 방향의 식각을 한 후, 등방성 식각인 습식 식각법을 통해 식각된 측벽이 표면과 수직한 평면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서브 반도체층(3100)으로부터 식각홀(hole)을 따라 성장된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한다.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하는 공정은 서브 반도체층(3100)의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켜 제1 서브 반도체층(3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3 마스크층(1630)을 제거하고 제1 서브 반도체층(310')에 반도체 재료를 증착시켜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마스크층(1630)을 제거하는 공정은 통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공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정은 반응성 이온 에칭(Reactive ion etching, RIE),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에칭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ICP-RI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반도체층(3100)의 반도체 결정을 마스크층(1600)의 식각홀(hole)을 따라 성장시켜 제1 서브 반도체층(310')을 형성한다. 제1 서브 반도체층(310')은 식각홀(hole)의 형상에 따라 측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마스크층(1610)이 위치한 하단부로부터 제3 마스크층(1630)이 위치한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다만, 반도체 결정의 성장 방향에 따른 단부, 즉 제1 반도체층(310)의 제2 부분(NR2)을 이루는 영역은 폭이 좁아짐에 따라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마스크층(1630)을 제거하고, 제1 반도체층(310)을 이루는 재료를 더 증착하여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반도체층(310)을 이루는 재료는 제3 마스크층(1630)이 제거되어 노출된 영역에만 증착되고,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은 비교적 폭이 좁은 제3 부분(NR3)과 폭이 넓은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310)의 노출된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 상에 활성층(330) 및 제2 반도체층(320)을 형성한다.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에서 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2 반도체층(320)은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제1 반도체층(310)의 노출된 외면을 전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에 의해 둘러싸여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활성층(330)과 제2 반도체층(320)은 제3 부분(NR3)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들에 대한 형상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을 제거하고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을 노출시킨다.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을 제거하는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310)의 일부 영역 및 제2 반도체층(320) 상에 각각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하여 반도체 결정(3000)을 형성한다. 반도체 결정(3000)은 도 1의 발광 소자(300)에서 절연막(380)이 형성되기 전 제1 전극층(371), 제2 전극층(372) 및 제1 반도체층(31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 상태로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형성된 것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하는 공정은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를 증착하는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전극층(372)은 제2 반도체층(320) 상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제2 반도체층(32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를 증착하는 공정을 수행하면, 노출된 제2 반도체층(320)의 외면, 즉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 상에 형성된 제2 반도체층(320)의 외면에 제2 전극층(37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제1 부분(NR1)에 비해 좁은 폭을 갖고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3 부분(NR3)의 외면은 제1 부분(NR1)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를 증착하면 제3 부분(NR3)의 상부, 즉 제1 부분(NR1)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재료가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 중 제1 부분(NR1)과 인접한 영역은 제1 부분(NR1)의 외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함몰됨에 따라 상기 외면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전극층을 이루는 상기 재료들은 상기 영역에는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의 제조 공정에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의 식각홀(hole)을 통해 성장되어 좁은 폭을 갖고 연장된 제3 부분(NR3)을 포함한다. 제3 부분(NR3)의 상부는 폭이 넓은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의 증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의 Q 부분과 같이,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는 제3 부분(NR3) 중 제1 부분(NR1)과 인접한 영역에는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재료들 중 일부는 제2 반도체층(320)의 외면에 증착되어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는 제1 반도체층(310) 제3 부분(NR3)의 하단부 및 제1 반도체층(310)이 이격된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도 증착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 하단부에 증착된 상기 재료들은 제1 전극층(37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도 11의 Q부분, 즉 제3 부분(NR3) 중 일부와 제1 부분(NR1)이 제3 부분(NR3)과 연결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는 발광 소자(300) 또는 제1 반도체층(310)이 이격된 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증착될 수 있고,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은 하나의 증착 공정에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전극층(371)은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진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반도체 결정(300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절연막(380)을 형성하여 반도체 로드(ROD)를 형성한다. 반도체 로드(ROD)는 도 1의 발광 소자(300)가 서브 반도체층(3100)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절연막(380)은 반도체 결정(300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380)은 반도체 결정(3000)의 외면에 절연물질을 도포하거나 침지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막(380)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sotion, AL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380)은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과 달리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과 제3 부분(NR3)이 연결되는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연막(380)은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371)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371)과 절연막(380)은 후속 공정에서 반도체 로드(ROD)가 서브 반도체층(3100)으로 분리되면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서 남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반도체층(3100) 상에 성장된 반도체 로드(ROD)를 분리하여 발광 소자(300)를 제조한다. 반도체 로드(ROD)를 분리하는 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 로드(ROD)를 초음파를 이용한 물리적 분리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공정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를 제조할 수 있다. 발광 소자(300)의 제조 방법은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하나의 증착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마스크층(1610)과 제2 마스크층(1620)에 형성된 식각홀(hole)을 따라 제3 부분(NR3)을 형성하고, 후속 공정에서 제3 부분(NR3)보다 폭이 넓은 제1 부분(NR1)을 형성함으로써 제3 부분(NR3)의 상부는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진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영역에는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의 증착이 원활하지 않고, 하나의 공정에서 상기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_1)는 본체부(300A)가 제2 단부(300C)로부터 제1 단부(300B)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즉, 발광 소자(300_1)는 제2 단부(300C)에 인접한 본체부(300A)의 제1 직경(W1)은 제1 단부(300B)에 인접한 본체부(300A)의 제2 직경(W2)보다 클 수 있다. 도 14의 발광 소자(300_1)는 직경(W)이 본체부(300A)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점에서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차이가 있다. 그 외에 제1 반도체층(310),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등의 배치 및 구조는 도 1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0_1)의 본체부(300A)는 제1 단부(300B)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제2 단부(300C)와 연결된 영역으로 갈수록 직경(W)이 커질 수 있다. 발광 소자(300_1)의 제조 공정에서 제1 반도체층(310_1)은 식각홀(hole)을 통해 서브 반도체층(3100)의 재료가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층(1600)을 관통하여 서브 반도체층(310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는 식각홀(hole)은 마스크층(1600)의 내벽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내벽을 따라 성장된 제1 반도체층(310_1)은 제1 부분(NR1) 중 서브 반도체층(3100)과 인접한 영역, 즉 제3 부분(NR3)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부분(NR2)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이후, 제1 반도체층(310_1)의 재료를 증착하여 제1 부분(NR1) 측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더라도, 식각홀(hole)을 따라 성장된 제1 반도체층(310_1)은 측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4의 발광 소자(300_1)는 본체부(300A)의 제1 직경(W1)은 제1 단부(300B)에 인접한 본체부(300A)의 제2 직경(W2)보다 클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발광 소자(300)의 제조 공정 중, 제1 전극층(371)을 형성하는 공정은 하나의 공정에서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층(371)이 형성되는 제1 반도체층(310)의 제3 부분(NR3)은 상부가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제1 전극층(371)은 제3 부분(NR3)의 하단부, 즉 발광 소자(300)의 제2 단부(300C)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층(371)은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진 영역과 이로부터 멀어진 영역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_2)는 제1 전극층(371_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 소자(300_2)의 제1 전극층(371_2)은 제3 부분(NR3)의 상부에 인접한 일 측의 두께인 제1 두께(W3)보다 제3 부분(NR3)의 하단부에 인접한 타 측의 두께인 제2 두께(W4)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_2)는 제1 전극층(371_2)의 두께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점에서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발광 소자(300_2)의 제1 전극층(371_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3 부분(NR3) 중 제1 부분(NR1)에 의해 가려진 상부에서는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의 증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제3 부분(NR3) 중 하단부에서는 제1 부분(NR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비교적 원활하게 증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_2)의 제3 부분(NR3)에 제1 전극층(371_2)이 형성될 때,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의 증착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층(371_2)은 증착이 원활하지 않고 좁은 두께를 갖는 일 측과 상기 증착이 원활하여 두께가 큰 타 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측의 제1 두께(W3)는 상기 타 측의 제2 두께(W4)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Q2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_3)는 제1 반도체층(310_3)이 제2 부분(NR2)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도전형으로 도핑된 도핑 영역(RP)을 포함하고, 활성층(330_3)은 제1 반도체층(310_3)의 도핑 영역(RP)과 제2 반도체층(320_3)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_3)는 제1 반도체층(310_3)이 도핑 영역(RP)을 포함하고, 활성층(330_3)이 제1 반도체층(310_3)의 제2 부분(NR2) 상에도 배치되는 점에서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활성층(330)은 제1 반도체층(310)의 외면에 형성되는데, 활성층(330)에 포함된 반도체 물질의 함량은 제1 반도체층(310)의 격자 상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격자 상수를 갖는 제1 반도체층(310)의 외면에 형성된 활성층(330)은 특정 함량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단면상 평탄한 제1 부분(NR1)에서는 격자 상수가 동일한 값을 갖고, 제1 부분(NR1)의 외면에 형성된 활성층(330)은 동일한 함량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여 방출된 광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파장대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제1 반도체층(310)의 제2 부분(NR2)은 단면상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격자 상수가 위치별로 달라질 수 있다. 제2 부분(NR2)에 활성층(330)이 형성되는 경우, 위치에 따라 반도체 물질의 함량이 달라지고,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이 방출될 수도 있다.
반면에, 도 16 및 도 17의 발광 소자(300_3)는 제1 반도체층(310_3)의 제2 부분(NR2)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예컨대 제2 반도체층(320_3)과 대향하는 영역에 도핑 영역(RP)이 형성될 수 있다. 도핑 영역(RP)은 제1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제1 반도체층(310_3) 상에서,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즉, 도핑 영역(RP)은 제2 반도체층(320_3)과 동일한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_3)의 제2 부분(NR2) 상에 활성층(330_3)이 형성되더라도, 활성층(330_3)은 제2 반도체층(320_3)과 제1 반도체층(310_3)의 도핑 영역(R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330_3)을 기준으로 제2 반도체층(320_3)과 도핑 영역(RP)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전형으로 도핑되고, 이들 사이에서는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330_3) 중 제1 반도체층(310_3)의 도핑 영역(RP) 상에 형성된 활성층(330_3)에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이 생성되지 않고, 제1 부분(NR1) 상에 형성된 활성층(330_3)에서만 광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의 발광 소자(300_3)는 활성층(330_3)이 제1 반도체층(310_3)의 제1 부분(NR1) 및 제2 부분(NR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더라도, 제1 부분(NR1)과 중첩하는 활성층(330_3)에서만 특정 파장대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제2 부분(NR2) 및 제3 부분(NR3)이 다각 기둥, 예컨대 육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층(310') 상에 형성된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제1 전극층(371'), 제2 전극층(372') 및 절연막(380')은 외면이 제1 반도체층(310')의 형상에 따라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발광 소자(300')가 육각 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그 형상이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다른 것에서 차이가 있다. 그 이외에는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달리 다른 물질을 함유한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청색(blue) 이외의 색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발광 소자(300)는 활성층(330)이 질소(N)를 포함하여 청색(blue) 또는 녹색(green)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반면에,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활성층(330) 및 다른 반도체층들이 각각 적어도 인(P)을 포함하는 반도체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중심 파장 대역이 620nm 내지 750nm의 범위를 갖는 적색(Red)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적색(red) 광의 중심 파장대역이 상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적색으로 인식될 수 있는 파장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300)가 적색(Red)의 광을 방출하는 경우, 제1 반도체층(310)은 n형 반도체층으로 InxAlyGa1-x-yP(0≤x≤1,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층(310)은 n형으로 도핑된 InAlGaP, GaP, AlGaP, InGaP, AlP 및 InP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도전형 도펀트는 Si, Ge, Sn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층(310)은 n형 Si로 도핑된 n-AlGaInP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20)은 p형 반도체층으로 InxAlyGa1-x-yP(0≤x≤1,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320)은 p형으로 도핑된 InAlGaP, GaP, AlGaNP, InGaP, AlP 및 InP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20)은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도전형 도펀트는 Mg, Zn, Ca, Se, Ba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반도체층(320)은 p형 Mg로 도핑된 p-GaP일 수 있다.
활성층(330)은 도 1의 활성층(330)과 같이 단일 또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활성층(330)이 적색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경우, 활성층(330)은 AlGaP, AlInGaP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활성층(330)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양자층과 우물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경우, 양자층은 AlGaP 또는 AlInGaP, 우물층은 GaP 또는 AlInP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활성층(330)은 양자층으로 AlGaInP를, 우물층으로 AlInP를 포함하여 620nm 내지 750nm의 중심 파장대역을 갖는 적색(Red)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제1 반도체층(310), 제2 반도체층(320) 및 활성층(330)의 재료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300)는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은 서로 다른 격자 상수(Lattice constant)를 갖는 제1 반도체층(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310)의 격자 상수는 제1 부분(NR1)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제1 반도체층(310)의 직경에 따라 발광 소자(30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상술한 발광 소자(300)를 포함하여 특정 파장대의 광을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는 도 1의 발광 소자(300)를 포함하여 청색 또는 녹색의 광을 표시할 수 있고, 도 18의 발광 소자(300')를 포함하여 적색의 광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전자 시계, 스마트 워치, 워치 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이 표시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의 예로는 LED 표시 패널, 유기발광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계방출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의 일 예로서, LED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 가능하다면 다른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 세로가 긴 직사각형, 정사각형, 코너부(꼭지점)가 둥근 사각형, 기타 다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A)의 형상 또한 표시 장치(10)의 전반적인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10) 및 표시 영역(DA)이 예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활성 영역으로, 비표시 영역(NDA)은 비활성 영역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대체로 표시 장치(10)의 중앙을 차지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행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X)의 형상은 평면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변이 제1 방향(DR1)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일 수도 있다. 화소(PX)들 각각은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300)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특정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PX)들 각각은 제1 서브 화소(PX1), 제2 서브 화소(PX2) 및 제3 서브 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PX1)는 제1 색의 광을 발광하고, 제2 서브 화소(PX2)는 제2 색의 광을 발광하며, 제3 서브 화소(PX3)는 제3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색은 청색, 제2 색은 녹색, 제3 색은 적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서브 화소(PXn)들이 동일한 색의 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화소(PX)가 3 개의 서브 화소(PXn)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소(PX)는 더 많은 수의 서브 화소(PXn)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 '제1', '제2'등이 사용되나, 이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해당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제2 등으로 정의된 구성이 반드시 특정 구조 또는 위치에 제한되는 구성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번호들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에 부여된 번호는 도면 및 이하의 서술을 통해 설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10)의 각 서브 화소(PXn)들은 발광 영역(EMA)으로 정의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PX1)는 제1 발광 영역(EMA1)을, 제2 서브 화소(PX2)는 제2 발광 영역(EMA2)을, 제3 서브 화소(PX3)는 제3 발광 영역(EMA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EMA)은 표시 장치(10)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300)가 배치되어 특정 파장대의 광이 출사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활성층(330)을 포함하고, 활성층(330)은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향성 없이 방출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300)의 활성층(330)에서 방출된 광들은 발광 소자(300)의 양 단부 방향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300)의 측면 방향으로도 방출될 수 있다. 각 서브 화소(PXn)의 발광 영역(EMA)은 발광 소자(300)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300)와 인접한 영역으로 발광 소자(300)에서 방출된 광들이 출사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 영역(EMA)은 발광 소자(300)에서 방출된 광이 다른 부재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어 출사되는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은 각 서브 화소(PXn)에 배치되고, 이들이 배치된 영역과 이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여 발광 영역(EMA)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의 각 서브 화소(PXn)들은 발광 영역(EMA)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은 발광 소자(300)가 배치되지 않고, 발광 소자(300)에서 방출된 광들이 도달하지 않아 광이 출사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각 서브 화소(PXn)는 복수의 전극(210, 220), 발광 소자(300), 복수의 뱅크(410, 420, 430, 도 22에 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510, 520, 550, 도 22에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10, 220)은 발광 소자(3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광 소자(300)가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도록 소정의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전극(210, 220)의 적어도 일부는 발광 소자(300)를 정렬하기 위해 서브 화소(PXn)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10, 220)은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극(210)은 각 서브 화소(PXn) 마다 분리된 화소 전극이고, 제2 전극(220)은 각 서브 화소(PXn)를 따라 공통으로 연결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중 어느 하나는 발광 소자(300)의 애노드(Anode)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발광 소자(300)의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각각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전극 줄기부(210S, 220S)와 전극 줄기부(210S, 220S)에서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가지부(210B,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제1 전극 줄기부(210S)에서 분지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가지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일 화소의 제1 전극 줄기부(210S)는 양 단이 각 서브 화소(PXn) 사이에서 이격되어 종지하되, 동일 행(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에서 이웃하는 서브 화소의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각 서브 화소(PXn)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줄기부(210S)들은 양 단이 상호 이격됨으로써 각 제1 전극 가지부(210B)에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제1 전극 가지부(210B)는 각각 별개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전극 가지부(210B)는 제1 전극 줄기부(210S)의 적어도 일부에서 분지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극 줄기부(220S)와 이격된 상태에서 종지할 수 있다.
제2 전극(22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2 전극 줄기부(220S)와 제2 전극 줄기부(220S)에서 분지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전극 가지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타 단부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다른 서브 화소(PXn)의 제2 전극 줄기부(220S)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달리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각 서브 화소(PXn)들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서브 화소(PXn)를 가로지르는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각 화소(PX) 또는 서브 화소(PXn)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DA)의 외곽부, 또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 가지부(220B)는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이격되어 대향하고,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이격된 상태에서 종지될 수 있다. 제2 전극 가지부(220B)는 제2 전극 줄기부(220S)와 연결되고, 연장된 방향의 단부는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이격된 상태로 서브 화소(PXn)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서브 화소(PXn)에 두 개의 제1 전극 가지부(210B)가 배치되고, 그 사이에 하나의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반드시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만을 갖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부분적으로 곡률지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어느 한 전극이 다른 전극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함으로써, 그 사이에 발광 소자(300)가 배치될 공간이 형성된다면 이들이 배치되는 구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각각 컨택홀, 예컨대 제1 전극 컨택홀(CNTD) 및 제2 전극 컨택홀(CNTS)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회로소자층(PAL, 도 22에 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전극 컨택홀(CNTD)은 각 서브 화소(PXn)의 제1 전극 줄기부(210S)마다 형성되고, 제2 전극 컨택홀(CNTS)은 각 서브 화소(PXn)들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제2 전극 줄기부(220S)에 하나만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전극 컨택홀(CNTS)의 경우에도 각 서브 화소(PXn) 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뱅크(410, 420, 430)는 각 서브 화소(PXn)간의 경계에 배치되는 외부 뱅크(430), 각 서브 화소(PXn)의 중심부와 인접하여 각 전극(210, 220)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뱅크(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내부 뱅크(410, 42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 하부에는 각각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 뱅크(430)는 각 서브 화소(PXn)간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 줄기부(210S)는 각 단부가 외부 뱅크(430)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종지할 수 있다. 외부 뱅크(430)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서브 화소(PXn)들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외부 뱅크(43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서브 화소(PXn)들의 경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뱅크(430)는 내부 뱅크(410, 420)들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300)들은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300) 중 적어도 일부는 일 단부가 제1 전극(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제2 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광 소자(300)는 양 단부과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과 중첩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은 각 전극(210, 220)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들이 이격되는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무리를 이루고, 다른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무리를 이룰 수도 있으며, 불균일한 밀집도를 가지되 일 방향으로 배향되어 정렬될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3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각 전극, 예컨대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연장된 방향과 발광 소자(300)가 연장된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연장된 방향에 수직하지 않고 비스듬히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3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1 서브 화소(PX(1)에 배치된 제1 발광 소자(301), 제2 서브 화소(PX2)에 배치된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서브 화소(PX3)에 배치된 제3 발광 소자(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301),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발광 소자(303)는 도 1의 발광 소자(300)와 같은 구조를 갖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소자(301)의 직경(WA)은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발광 소자(303)의 직경(WB, WC)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발광 소자(302)의 직경(WB)은 제3 발광 소자(303)의 직경(WC)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발광 소자(301),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발광 소자(303)는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301)는 중심 파장대역이 제1 파장인 제1 광(L1)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고, 제2 발광 소자(302)는 중심 파장대역이 제2 파장인 제2 광(L2)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고, 제3 발광 소자(303)는 중심 파장대역이 제3 파장인 제3 광(L3)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 상에 배치되는 활성층(330)에 포함된 물질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활성층(330)이 제1 반도체층(310) 상에서 형성되기 위해,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은 서로 다른 격자 상수(Lattice constant)를 가질 필요가 있다. 특정 물질을 함유하는 활성층(330)은 특정 격자 상수를 갖는 제1 반도체층(310) 상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반도체층(310)은 제1 부분(NR1)의 직경에 따라 다른 격자 상수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광(L1)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는 제1 발광 소자(301)는 제2 광(L2) 또는 제3 광(L3)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는 제2 발광 소자(302) 또는 제3 발광 소자(30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 소자(302)의 직경(WB)은 제3 발광 소자(303)의 직경(WC)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화소(PX1)에서는 제1 광(L1)이 출사되고, 제2 서브 화소(PX2)에서는 제2 광(L2)이 출사되고, 제3 서브 화소(PX3)에서는 제3 광(L3)이 출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예컨대 제1 발광 소자(301),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발광 소자(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301), 제2 발광 소자(302) 및 제3 발광 소자(303)는 각각 제1 광(L1), 제2 광(L2) 및 제3 광(L3)을 방출하는 활성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광(L1)은 중심 파장대역이 450nm 내지 495nm의 범위를 갖는 청색광이고, 제2 광(L2)은 중심 파장대역이 495nm 내지 570nm의 범위를 갖는 녹색광이고, 제3 광(L3)은 중심 파장대역이 620nm 내지 752nm의 범위를 갖는 적색광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광(L1), 제2 광(L2) 및 제3 광(L3)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일 수도 있고, 동일한 색의 광이되, 중심 파장대역이 상기의 범위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는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절연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은 표시 장치(10)의 각 서브 화소(PXn)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은 실질적으로 각 서브 화소(PXn)를 전면적으로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한 다른 서브 화소(PXn)에도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의 일부, 구체적으로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절연층(510) 이외에도 각 전극(210, 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로소자층(PAL)과, 각 전극(210, 220) 및 발광 소자(3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 절연층(520, 도 22에 도시) 및 패시베이션층(550, 도 22에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10)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도 20의 Xa-Xa'선, Xb-Xb'선 및 Xc-X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 서브 화소(PX1)의 단면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화소(PX) 또는 서브 화소(PXn)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2는 임의의 발광 소자(300)의 일 단부와 타 단부를 가로지르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회로소자층(PAL)과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소자층(PAL)은 기판(110), 버퍼층(115), 차광층(BML),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20, 140) 등을 포함하고, 발광층(EML)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20, 140)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210, 220), 발광 소자(300), 복수의 절연층(510, 520, 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유리, 석영, 또는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은 리지드 기판일 수 있지만,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도 있다.
차광층(BML)은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BML)은 제1 차광층(BML1) 및 제2 차광층(BM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층(BML1)은 후술하는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차광층(BML2)은 제2 트랜지스터(140)의 제2 드레인 전극(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광층(BML1)과 제2 차광층(BML2)은 각각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활성물질층(126) 및 제2 트랜지스터(140)의 제2 활성물질층(146)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차광층(BML1, BML2)은 광을 차단하는 재료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활성물질층(126, 146)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차광층(BML1, BML2)은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 차광층(BML)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115)은 차광층(BML)과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버퍼층(115)은 차광층(BML)을 포함하여 기판(110)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5)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115)은 차광층(BML)과 제1 및 제2 활성물질층(126, 146)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버퍼층(115) 상에는 반도체층이 배치된다. 반도체층은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활성물질층(126), 제2 트랜지스터(140)의 제2 활성물질층(146) 및 보조층(163)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성물질층(126)은 제1 도핑 영역(126a), 제2 도핑 영역(126b) 및 제1 채널 영역(12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 영역(126c)은 제1 도핑 영역(126a)과 제2 도핑 영역(126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활성물질층(146)은 제3 도핑 영역(146a), 제4 도핑 영역(146b) 및 제2 채널 영역(14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 영역(146c)은 제3 도핑 영역(146a)과 제4 도핑 영역(146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활성물질층(126) 및 제2 활성물질층(146)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화 방법의 예로는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SPC(Solid phase crystallization)법, ELA(Excimer laser annealing)법, MIL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등을 들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활성물질층(126) 및 제2 활성물질층(146)은 단결정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도핑 영역(126a), 제2 도핑 영역(126b), 제3 도핑 영역(146a) 및 제4 도핑 영역(146b)은 제1 활성물질층(126) 및 제2 활성물질층(146)의 일부 영역이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도체층 상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50)이 배치된다. 제1 게이트 절연막(150)은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버퍼층(115)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50)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20, 140)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50) 상에는 제1 도전층이 배치된다. 제1 도전층은 제1 게이트 절연막(150) 상에서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활성물질층(126) 상에 배치된 제1 게이트 전극(121), 제2 트랜지스터(140)의 제2 활성물질층(146) 상에 배치된 제2 게이트 전극(141) 및 보조층(163) 상에 배치된 전원 배선(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1)은 제1 활성물질층(126)의 제1 채널 영역(126c)과 중첩하고, 제2 게이트 전극(141)은 제2 활성물질층(146)의 제2 채널 영역(146c)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도전층 상에는 층간절연막(170)이 배치된다. 층간절연막(170)은 층간 절연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층간절연막(17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층간절연막(170) 상에는 제2 도전층이 배치된다. 제2 도전층은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제1 소스 전극(124), 제2 트랜지스터(140)의 제2 드레인 전극(143)과 제2 소스 전극(144), 및 전원 배선(161) 상부에 배치된 전원 전극(162)을 포함한다.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제1 소스 전극(124)은 층간절연막(170)과 제1 게이트 절연막(15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1 활성물질층(126)의 제1 도핑 영역(126a) 및 제2 도핑 영역(126b)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43)과 제2 소스 전극(144)은 층간절연막(170)과 제1 게이트 절연막(15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2 활성물질층(146)의 제3 도핑 영역(146a) 및 제4 도핑 영역(146b)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제2 드레인 전극(143)은 또 다른 컨택홀을 통해 각각 제1 차광층(BML1) 및 제2 차광층(BM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층 상에는 비아층(200)이 배치된다. 비아층(20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아층(200) 상에는 복수의 뱅크(410, 420, 430)와 복수의 전극(210, 220) 및 발광 소자(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뱅크(410, 420, 430)는 각 서브 화소(PXn) 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 뱅크(410, 420) 및 이웃한 서브 화소(PXn)의 경계에 배치되는 외부 뱅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뱅크(430)는 표시 장치(10)의 제조 시, 잉크젯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300)가 분산된 잉크를 분사할 때, 잉크가 서브 화소(PXn)의 경계를 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내부 뱅크(410, 420)는 각 서브 화소(PXn)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내부 뱅크(410) 상에는 제1 전극(210)이, 제2 내부 뱅크(420) 상에는 제2 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내부 뱅크(410) 상에는 제1 전극 가지부(210B)가, 제2 내부 뱅크(420) 상에는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는 각 서브 화소(PXn) 내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이웃하는 서브 화소(PXn)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는 각 서브 화소(PXn) 마다 배치되어 표시 장치(10) 전면에 있어서 패턴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뱅크(410, 420, 430)들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는 비아층(200)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는 발광 소자(300)가 배치된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된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의 돌출된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전극(210, 220)은 비아층(200) 및 내부 뱅크(410, 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극(210, 220)은 전극 줄기부(210S, 220S)와 전극 가지부(210B, 220B)를 포함한다. 도 20의 Xa-Xa'선은 제1 전극 줄기부(210S)를, 도 20의 Xb-Xb'선은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를, 도 20의 Xc-Xc'선은 제2 전극 줄기부(220S)를 가로지르는 선이다. 즉, 도 22의 Xa-Xa' 영역에 배치된 제1 전극(210)은 제1 전극 줄기부(210S)이고, 도 22의 Xb-Xb' 영역에 배치된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은 각각 제1 전극 가지부(210B) 및 제2 전극 가지부(220B)이고, 도 22의 Xc-Xc' 영역에 배치된 제2 전극(220)은 제2 전극 줄기부(220S)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전극 줄기부(210S, 220S)와 각 전극 가지부(210B, 220B)는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을 이룰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은 일부 영역은 비아층(200) 상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은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210)의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제2 전극(220)의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R2)으로 이웃하는 서브 화소(PXn)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의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 줄기부(210S)와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와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전극(210)의 제1 전극 줄기부(210S)에는 비아층(200)을 관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드레인 전극(123)을 일부 노출하는 제1 전극 컨택홀(CNDT)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1 전극 컨택홀(CNTD)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1 트랜지스터(120)의 제1 드레인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2 전극(220)의 제2 전극 줄기부(220S)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발광 소자(300)들이 배치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220S)에는 비아층(200)을 관통하여 전원 전극(162)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전극 컨택홀(CNTS)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20)은 제2 전극 컨택홀(CNTS)을 통해 전원 전극(162)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전극(220)은 전원 전극(1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전극(162)으로부터 소정의 전기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일부 영역, 예컨대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는 각각 제1 내부 뱅크(410) 및 제2 내부 뱅크(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의 제1 전극 가지부(210B)는 제1 내부 뱅크(410)를 덮도록 배치되고, 제2 전극(220)의 제2 전극 가지부(220B)는 제2 내부 뱅크(42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가 각 서브 화소(PXn)의 중심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사이의 영역, 즉,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이격되어 대향하는 공간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각 전극(210, 220)은 투명성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전극(210, 2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Zinc Oxide)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전극(210, 220)은 반사율이 높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극(210, 220)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극(210, 220)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각 서브 화소(PXn)의 상부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극(210, 220)은 투명성 전도성 물질과 반사율이 높은 금속층이 각각 한층 이상 적층된 구조를 이루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전극(210, 220)은 ITO/은(Ag)/ITO/IZO의 적층구조를 갖거나, 알루미늄(Al), 니켈(Ni), 란타늄(La) 등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절연층(510)은 비아층(200),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 상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상면을 대부분 덮도록 배치되되,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상면 중 일부, 예컨대 제1 내부 뱅크(410)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가지부(210B)의 상면과 제2 내부 뱅크(420)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가지부(220B)의 상면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510)은 실질적으로 비아층(200)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되되,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의 개구부는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비교적 평탄한 상면이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사이에서 상면의 일부가 함몰되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510)은 무기물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을 덮도록 배치된 제1 절연층(510)은 하부에 배치되는 부재의 단차에 의해 상면의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사이에서 제1 절연층(510)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300)는 제1 절연층(510)의 함몰된 상면 사이에서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제1 절연층(510)의 상면과 부분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제2 절연층(520)을 이루는 재료가 상기 공간에 채워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510)은 발광 소자(300)가 배치되도록 평탄한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면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을 향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의 경사진 측면에서 종지할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510)은 각 전극(210, 220)이 제1 내부 뱅크(410)와 제2 내부 뱅크(420)의 경사진 측면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접촉 전극(261, 262)은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의 노출된 영역과 접촉하고, 제1 절연층(510)의 평탄한 상면에서 발광 소자(300)의 단부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은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들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510)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300)가 다른 부재들과 직접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절연층(510)의 형상 및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300)는 각 전극(210, 220) 사이에서 제1 절연층(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발광 소자(300)는 각 전극 가지부(210B, 220B)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층(510) 상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서브 화소(PXn) 내에 배치된 발광 소자(300)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각 전극 가지부(210B, 220B) 사이 이외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소자(300)는 일부 영역이 전극(210, 220)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가 서로 대향하는 각 단부 상에 배치되며 접촉 전극(261, 262)을 통해 각 전극(210, 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화소(PXn)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L1, L2, L3)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3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발광 소자(301)가 배치된 제1 서브 화소(PX1)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서브 화소(PX2) 및 제3 서브 화소(PX3)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발광 소자(300)는 비아층(200)에 수평한 방향으로 복수의 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가 연장된 방향과 비아층(200)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는 제1 절연층(510) 상에서 단면상 절연막(380), 제2 전극층(372) 또는 제1 전극층(371), 제2 반도체층(320), 활성층(330) 및 제1 반도체층(310)이 비아층(200)에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00)의 각 층들은 다른 층들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표시 장치(10)에 배치된 발광 소자(300)는 단면상 제1 반도체층(310)의 제1 부분(NR1)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반도체층(310)을 기준으로, 비아층(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갈수록 활성층(330), 제2 반도체층(320), 제2 전극층(372) 또는 제1 전극층(371) 및 절연막(38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300)의 복수의 층들이 배치된 순서는 반대방향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광 소자(300)가 다른 구조를 갖는 경우, 복수의 층들은 비아층(200)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발광 소자(300)의 절연막(38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고, 절연막(380)이 제거되어 제1 전극층(371) 및 제2 전극층(372)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제조 공정 중, 발광 소자(300)의 외면을 덮는 제2 절연층(5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절연막(380)은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노출된 제1 전극층(371)은 후술하는 제2 접촉 전극(262)과 접촉하고, 노출된 제2 전극층(372)은 제1 접촉 전극(261)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300)의 제1 전극층(371)과 제2 전극층(372)은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지 않으므로, 제1 접촉 전극(261)과 제2 접촉 전극(262)은 각각 제2 전극층(372)과 제1 전극층(371)에 접촉하더라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를 기준으로, 측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제1 단부(300B) 및 본체부(300A)보다 좁은 폭을 갖고 연장된 제2 단부(3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0)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300)는 본체부(300A)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제1 절연층(510)과 접촉하고,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는 제1 절연층(510)과 이격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0)의 본체부(300A), 제1 단부(300B) 및 제2 단부(300C)가 제1 절연층(510)과 이격된 영역에는 제2 절연층(52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520)은 발광 소자(300)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520)은 발광 소자(300)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520)은 발광 소자(300)를 보호함과 동시에 표시 장치(10)의 제조 공정에서 발광 소자(3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520)의 재료 중 일부는 발광 소자(300)의 하면과 제1 절연층(5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520)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공정 중에 형성된 제1 절연층(510)과 발광 소자(300)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절연층(520)은 발광 소자(3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520)은 평면상 제1 전극 가지부(210B)와 제2 전극 가지부(220B) 사이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연층(520)은 비아층(200) 상에서 평면상 섬형 또는 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전극(261, 262)은 각 전극(210, 220) 및 제2 절연층(520) 상에 배치된다. 제1 접촉 전극(261)과 제2 접촉 전극(262)은 제2 절연층(52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520)은 제1 접촉 전극(261)과 제2 접촉 전극(262)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접촉 전극(261, 262)은 평면상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전극(261, 262)은 발광 소자(300)의 적어도 일 단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 전극(261, 262)은 제1 전극(210) 또는 제2 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접촉 전극(261, 262)은 제1 접촉 전극(261)과 제2 접촉 전극(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61)은 제1 전극 가지부(210B)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300)의 일 단부와 접촉하고 제2 접촉 전극(262)은 제2 전극 가지부(220B) 상에 배치되며, 발광 소자(300)의 타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61)은 제1 내부 뱅크(410) 상에서 제1 전극(210)의 노출된 일부 영역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접촉 전극(262)은 제2 내부 뱅크(420) 상에서 제2 전극(220)의 노출된 일부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접촉 전극(261, 262)은 각 전극(210, 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발광 소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접촉 전극(261, 262)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TO, IZO, ITZO,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시베이션층(550)은 제1 접촉 전극(261), 제2 접촉 전극(262) 및 제2 절연층(5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550)은 비아층(200) 상에 배치되는 부재들을 외부 환경에 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절연층(510), 제2 절연층(520) 및 패시베이션층(550) 각각은 무기물 절연성 물질 또는 유기물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510), 제2 절연층(520) 및 패시베이션층(55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산화 알루미늄(Al2O3), 질화 알루미늄(AlN)등과 같은 무기물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510), 제2 절연층(520) 및 패시베이션층(550)은 유기물 절연성 물질로써,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카도 수지, 실록산 수지, 실세스퀴옥산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표시 장치(10)는 더 많은 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제1 접촉 전극(261)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제3 절연층(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1)는 제1 접촉 전극(261_1) 상에 배치된 제3 절연층(530_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1)는 제3 절연층(530_1)을 더 포함하여 제2 접촉 전극(262_2)의 적어도 일부가 제3 절연층(530_1) 상에 배치된 점에서 도 20의 표시 장치(10)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도 23의 표시 장치(10_1)는 제1 접촉 전극(261_1) 상에 배치되고, 제1 접촉 전극(261_1)과 제2 접촉 전극(262_1)을 전기적으로 상호 절연시키는 제3 절연층(53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530_1)은 제1 접촉 전극(261_1)을 덮도록 배치되되, 발광 소자(300)가 제2 접촉 전극(262_1)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발광 소자(300)의 일부 영역에는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530_1)은 제2 절연층(520_1)의 상면에서 제1 접촉 전극(261_1) 및 제2 절연층(520_1)과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3 절연층(530_1)은 제2 절연층(520_1)의 상에서 제1 접촉 전극(261_1)의 일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절연층(530_1)은 제1 접촉 전극(261_1)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를 제2 접촉 전극(262_1)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제3 절연층(530_1)의 제2 접촉 전극(262_1)이 배치된 방향의 측면은 제2 절연층(520_1)의 일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530_1)은 제1 절연층(510)과 같이 무기물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261_1)은 제1 전극(210_1)과 제3 절연층(530_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전극(262_1)은 제3 절연층(530_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262_2)은 부분적으로 제1 절연층(510_1), 제2 절연층(520_1), 제3 절연층(530_1), 제2 전극(220_1) 및 발광 소자(3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262_1)의 제1 전극(210_1)이 배치된 방향의 일 단부는 제3 절연층(530_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550_1)은 제3 절연층(530_1) 및 제2 접촉 전극(262_1) 상에 배치되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표시 장치(10)는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이 반드시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의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은 발광 소자(300)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전극(220_2)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률진 형상을 갖고, 제1 전극(210_2)의 곡률진 영역은 제2 전극(220_2)의 곡률진 영역과 서로 이격되어 대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는 제1 전극(210_2)과 제2 전극(220_2)의 형상이 다른 점에서 도 21의 표시 장치(10)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의 표시 장치(10_2)의 제1 전극(210_2)은 복수의 홀(HO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210_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 제1 홀(HOL1), 제2 홀(HOL2) 및 제3 홀(HOL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210_2)은 더 많은 수의 홀(HOL)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수, 또는 하나의 홀(HOL)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극(210_2)이 제1 홀(HOL1), 제2 홀(HOL2) 및 제3 홀(HOL3)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홀(HOL1), 제2 홀(HOL2) 및 제3 홀(HOL3) 각각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210_2)은 각 홀(HOL)들에 의해 형성된 곡률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곡률진 영역에서 제2 전극(220_2)과 대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홀(HOL1), 제2 홀(HOL2) 및 제3 홀(HOL3) 각각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전극(220_2)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원,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전극(220_2)은 각 서브 화소(PXn) 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브 화소(PXn)에서는 제1 전극(210_2)의 제1 내지 제3 홀들(HOL1, HOL2, HOL3)에 대응하여 3개의 제2 전극(220_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20_2)은 제1 내지 제3 홀들(HOL1, HOL2, HOL3) 내에 각각 위치하여 제1 전극(210_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극(210_2)의 홀(HOL)들은 외면이 곡률진 형상을 갖고, 제1 전극(210_2)의 홀(HOL) 내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전극(220_2)들은 외면이 곡률진 형상을 갖고 제1 전극(210_2)과 이격되어 대향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210_2)은 평면상 원형의 형상을 갖는 홀(HOL)들을 포함하고, 제2 전극(220_2)은 평면상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210_2)은 홀(HOL)이 형성된 영역의 곡률진 면이 제2 전극(220_2)의 곡률진 외면과 이격되어 대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210_2)은 제2 전극(220_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300)들은 제1 전극(210_2)과 제2 전극(220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제2 전극(220_2)과, 이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210_2)을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소자(300)들은 제2 전극(220_2)의 외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300)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각 서브 화소(PXn) 내에서 제2 전극(220_2)의 곡률진 외면을 따라 배열되는 발광 소자(300)들은 연장된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서브 화소(PXn)들은 발광 소자(300)의 연장된 방향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출광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는 제1 전극(210_2)과 제2 전극(220_2)이 곡률진 형상을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발광 소자(300)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표시 장치(10_2)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300: 발광 소자
310: 제1 반도체층 320: 제2 반도체층
330: 활성층 370: 전극층
371: 제1 전극층 372: 제2 전극층
380: 절연막

Claims (23)

  1.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2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층;
    적어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1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발광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발광 소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인접한 일 측의 두께보다 상기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의 두께가 더 큰 발광 소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2 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직경보다 큰 발광 소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발광 소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코어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발광 소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발광 소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직경은 상기 제1 부분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부분의 외면은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발광 소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제3 부분의 외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제1 부분의 반대편 단부면은 노출시키는 발광 소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부분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발광 소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도핑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도 배치된 발광 소자.
  12. 하부 기판 상에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상기 반도체 코어를 둘러싸는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코어는 상기 제2 단부의 직경이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단부의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갖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이루는 재료를 상기 반도체 코어의 외면에 증착하여 수행되되, 상기 재료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는 증착되지 않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마스크층, 상기 제1 마스크층 상에 배치된 제2 마스크층 및 상기 제1 마스크층과 상기 제2 마스크층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기판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식각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홀을 따라 제1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제2 마스크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제1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층의 식각홀의 직경은 상기 제2 마스크층의 식각홀의 직경보다 작은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마스크층의 식각홀을 따라 성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마스크층의 식각홀을 따라 성장된 것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코어;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2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전극층;
    적어도 상기 반도체 코어의 제1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하는 제1 접촉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접촉하는 제2 접촉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절연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접촉 전극은 노출된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촉 전극은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반도체 코어의 상기 제2 단부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표시 장치.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화소에 배치된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화소에 배치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중심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중심부의 직경보다 작은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제2 광보다 중심 파장대역이 짧은 표시 장치.
KR1020190079429A 2019-07-02 2019-07-02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210003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29A KR20210003995A (ko) 2019-07-02 2019-07-02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PCT/KR2020/007231 WO2021002599A1 (ko) 2019-07-02 2020-06-03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US17/624,065 US20220359783A1 (en) 2019-07-02 2020-06-03 Light emit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EP20834799.7A EP3996154A4 (en) 2019-07-02 2020-06-03 ELECTROLUMINESCENT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DISPLAY DEVICE
CN202080048375.9A CN114127962A (zh) 2019-07-02 2020-06-03 发光元件、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29A KR20210003995A (ko) 2019-07-02 2019-07-02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995A true KR20210003995A (ko) 2021-01-13

Family

ID=7410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29A KR20210003995A (ko) 2019-07-02 2019-07-02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59783A1 (ko)
EP (1) EP3996154A4 (ko)
KR (1) KR20210003995A (ko)
CN (1) CN114127962A (ko)
WO (1) WO2021002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675A (ko) * 2019-12-10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33195A (ko) * 2021-08-30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5294B2 (ja) * 2007-03-19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装置ならびに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1178468B1 (ko) * 2009-10-19 2012-09-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봉형상 구조 발광 소자, 봉형상 구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백라이트,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1611412B1 (ko) * 2009-10-28 201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JP4814394B2 (ja) * 2010-03-05 2011-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1554032B1 (ko) * 2013-01-29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KR102252993B1 (ko) * 2014-11-03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348533B1 (ko) * 2015-06-23 2022-01-0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27962A (zh) 2022-03-01
WO2021002599A1 (ko) 2021-01-07
EP3996154A1 (en) 2022-05-11
US20220359783A1 (en) 2022-11-10
EP3996154A4 (en)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6527A1 (en)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8110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20367756A1 (en) Light emit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20200138479A (ko) 표시 장치
EP3996154A1 (en) Light emit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20230006101A1 (en)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4033545A1 (en) Light-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152086A (ko)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210054119A (ko) 표시 장치
US20220028925A1 (en) Light-emitting element, method of fabricating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20220254959A1 (en) Light emit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US20230282777A1 (en) Light-emitting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device
EP4020570A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027490A1 (en) Display device
KR20240077536A (ko)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23013264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34103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145435A (ko)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반도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