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05U -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05U
KR20210002205U KR2020200001048U KR20200001048U KR20210002205U KR 20210002205 U KR20210002205 U KR 20210002205U KR 2020200001048 U KR2020200001048 U KR 2020200001048U KR 20200001048 U KR20200001048 U KR 20200001048U KR 20210002205 U KR20210002205 U KR 202100022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base plate
groove
hook
contac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2020200001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205U/ko
Publication of KR20210002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사용자에 의한 베젤 회전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젤간의 마찰력을 줄여 매끄러운 조작감을 형성하고, 접촉패드의 위치를 사용자가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게 디턴트감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는, 일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브라킷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젤과, 상기 브라킷홈에 수용되는 브라킷과, 상기 수용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볼 베어링과, 상기 베젤에 결합되어 소정의 대상물과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Apparatus for vehicle's rotary switch}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스위치의 회전조작시 멈춤감을 형성하기 위한 멈춤 쇠 구조를 개선하여 스위치의 크기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많은 스위치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다수의 스위치는 자동차의 내부 디자인을 해치므로 하나의 스위치로 복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스위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대해 일례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 항목을 간단히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터치패드의 하단부에 별도로 다수의 물리적인 스위치 버튼들을 구비하여 상술한 터치패드의 터치 조작과 함께 물리적으로 병행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를 조작할 경우, 터치패드를 정확하게 터치 조작 또는 스위칭 조작하여야 하므로, 주행시 운전 시야를 방해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저감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다른 예로, 종래의 기술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054호 (2019년 05월 03일 공고)에 개시 되어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환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다이얼 스위치의 내측 공간에 다른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회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회전스위치는 고정부와 회전부를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을 내외 레이스 사이에 삽입한 레이디얼 볼 베어링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부가 추가로 구성되어 스위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054호 (2019년 05월 03일 공고)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첫번째 과제는, 사용자에 의한 베젤 회전시 베이스와의 마찰력을 줄여 매끄러운 조작감을 형성하고, 접촉패드의 위치를 사용자가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게 디턴트감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의 회전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두번째 과제는, 회전 스위치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차량의 회전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는, 일면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킷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젤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브라킷홀에 수용되고, 지지부와 탄성부 및 접촉부로 구분되는 브라킷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수용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볼 베어링 및 상기 베젤에 결합되어, 소정의 대상물과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상기 브라킷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디턴트 홈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젤은,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및 측면에 배치되고, 측면부의 내측에는 디턴트 홈이 형성되는 스커트부가 구비된 이너 베젤과, 상기 이너 베젤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아우터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턴트 홈은 중심을 기준으로 15°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24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중심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내측에 상측방향으로 링형상의 상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베젤은 내측에 하측방향으로 링형상의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는 상기 상향 돌출부와 상기 이너 베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 돌출부와 상기 하향 돌출부 사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베젤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 돌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하향 돌출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형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후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로부터 일면의 중심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봉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본체로부터 일면의 양측단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에 관통홀 및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접촉패드의 돌출봉이 삽입되고, 상기 후크홈에 상기 접촉패드의 후크가 삽입되어 후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베젤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지지홈에는 상기 접촉패드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패드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터치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양면 테이프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의 일면 또는 노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배치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 돌출부의 내측에는, 베이스 데코가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베젤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에 볼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복수개의 볼 베어링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스위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회전스위치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자동차 내부의 디자인을 유려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합성수지 테이프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덴트부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볼 베어링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젤간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므로, 부품의 마모를 줄이고 매끄러운 조작감을 형성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베젤을 따라 회전하는 볼 베어링이 일정각도 회전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디텐트 홈과 디턴트감을 형성함으로써, 일정각도를 사용자의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주행시 사용자의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킷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브라킷이 결합된 저면도이다.
도 7a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킷(bracket),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브라킷(bracket)이 결합된 저면도, 도 7a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7b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전스위치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젤(20)과 브라킷(30)과 볼 베어링(40)과 접촉패드(50)를 포함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베젤(20)은 중심이 관통된 환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20)의 일면 또는 노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배치된 패턴(21)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21)은 베젤(20)의 회전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신비감을 줄 수 있다.
베젤(20)의 타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베젤(20)의 타면에는 볼 베어링(40)의 이동궤적(C)(이하 단일의 원(C)이라 한다)을 따라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의 모든 구성에서 상면은 도면상 상면 또는 일면을 의미하고, 하면은 도면상 하면 또는 타면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중심이 관통된 환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개구된 중심에 중심노브(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돌출된 상향 돌출부(11)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상기 단일의 원(C)과 대응되는 궤적상에 수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은 일정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볼 베어링(40)이 수용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젤(20)을 편심되지 않게 지지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외주에 하면의 일부와 외측면이 관통된 브라킷홀(13)이 형성된다. 브라킷홀(13)은 수용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브라킷홀(13)에는 브라킷(30)이 수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킷(30)은 접촉부(33)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32)가 형성되고, 탄성부(32)의 접촉부와 대향되는 측단에 지지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킷(30)은 지지부(31)에 의하여 브라킷홀(13)에 지지 고정되고, 디턴트 홈(29)와 접촉시 탄성부(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접촉부(33)와 스커트부(25) 내측의 접촉이 유지되게 하여, 베젤(20)의 회전시 브라킷(30)이 스커트부(25) 내측의 디턴트 홈(29)에 접촉 시 디턴트 감을 형성한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홈(29)은 스커트부(25)의 내측에 15°로 서로 이격되어 24개가 형성된다. 브라킷(30)이 디턴트 홈(29)과 접촉될 때마다 탄성부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에게 24분할된 디턴트 홈(29)에서 디턴트감을 형성한다.
도 6 및 7a를 참조하면, 수용홈(12) 및 브라킷홀(13)은 단일의 원(C)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디턴트 홈(29)간의 이격각도의 배수(15°, 30°, 45°, 60°, 90°, 12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인 베젤(20)의 24분할된 디턴트 홈(29)에서의 디턴트감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볼 베어링(40)의 하측은 수용홈(1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볼 베어링(4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젤(20)사이에 배치되어 마찰력을 줄여 줄 수 있다. 볼 베어링(40)의 상측은 가이드홈(2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볼 베어링(40)은 베젤(20)의 회전시 회전되는 가이드홈(22)을 구르고, 고정되는 수용홈(12)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볼 베어링(40)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수용홈(12)과 베젤(20)의 가이드홈(22)에 수용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볼 베어링이 차지하는 크기에 해당되는 부피가 줄어 회전 스위치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접촉패드(5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접촉패드(50)는 베젤(20)의 외주 하면에 결합되어 베젤(20)의 누름조작시 소정의 대상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베젤(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이너 베젤(20a)과 이너 베젤(20a)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23)를 구비한 아우터 베젤(20b)을 포함한다.
아우터 베젤(20b)은 내측에 하측방향으로 링형상의 하향 돌출부(24)가 형성된다. 하향 돌출부(24)는 상향 돌출부(11)와 이너 베젤(20a)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향 돌출부(11)와 하향 돌출부(24)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아우터 베젤(20b)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0)가 설치된다.
상향 돌출부(11)의 외측면과 하향 돌출부(24)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형의 요홈부(120, 230)가 형성되고, 요홈부(120, 230)에 이탈방지부(60)의 일부가 삽입되어 후크결합을 형성한다.
접촉패드(50)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본체(51)와 패드본체(5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봉(52) 및 패드본체(5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53)를 포함한다.
이너 베젤(20a)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스커트부(25)가 구비된다. 스커트부(25)의 하면에는 관통홀(26) 및 후크홈(28)이 형성되고, 관통홀(26)에는 돌출봉(52)과 탄성부재(70)가 삽입되며, 후크홈(28)에는 후크(53)가 삽입된다.
아우터 베젤(20b)의 하면에는 관통홀(26)과 연통되는 지지홈(27)이 형성되고, 지지홈(27)에는 돌출봉(52)과 탄성부재(70)가 수용된다.
돌출봉(52)의 상측에 탄성부재(70)가 설치되고, 탄성부재(70)는 지지홈(27)에 지지됨으로써 패드본체(51)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므로 돌출봉(52)은 패드본체(51)의 중심부에 돌출되는 것이 편심방지에 바람직하다. 후크(53)는 이너 베젤(20a)의 후크홈(28)에 수용되고 후크결합되어 접촉패드(50)의 하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므로 패드본체(51)의 양측단에 하나씩 두개로 구성되는 것이 편심방지에 바람직하다. 접촉패드(50)는 후크(53)의 후크결합과 탄성부재(70)의 하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으로써 베젤(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터치패드(미도시)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이 결합될 수 있다. 터치패드(미도시)와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사이에 양면 테이프(14)가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터치패드(미도시)는 정전식 터치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14)는 0.15mm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두께만큼 베젤(20)이 터치패드(미도시)로부터 이격되어 베젤(20)의 회전조작시 터치패드(미도시)와 마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을 위해 베젤(20)의 누름조작시 베젤(20) 외주 하면에 결합된 접촉패드(50)가 터치패드(미도시)와 접촉될 수 있다.
접촉패드(50)는 베젤(20)의 누름조작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전성 재질의 접촉패드(50)가 상기 베젤(20)의 24분할된 디턴트 홈(29)과 대응되는 터치패드(미도시)의 24분할된 위치에 접촉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24가지의 스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스위치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상향 돌출부(11)의 내측에는, 노출되는 내측면에 다양한 색상의 베이스 데코(15)가 결합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상향 돌출부
12 : 수용홈 13 : 브라킷홀
14 : 양면 테이프 15 : 베이스 데코
20 : 베젤 20a : 이너 베젤
20b : 아우터 베젤 21 : 패턴
22 : 가이드홈 23 : 플레이트부
24 : 하향 돌출부 25 : 스커트부
26 : 관통홀 27 : 지지홈
28 : 후크홈 29 : 디턴트 홈
30 : 브라킷 31 : 지지부
32 : 탄성부 33 : 접촉부
40 : 볼 베어링 50 : 접촉패드
51 : 패드본체 52 : 돌출봉
53 : 후크 60 : 이탈방지부
70 : 탄성부재 120, 230 : 요홈부
C : 단일의 원

Claims (5)

  1. 일면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킷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브라킷홀에 수용되고, 지지부와 탄성부 및 접촉부로 구분되는 브라킷;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수용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볼 베어링; 및
    상기 베젤에 결합되어, 소정의 대상물과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상기 브라킷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디턴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및 측면에 배치되고, 측면부의 내측에는 디턴트 홈이 형성되는 스커트부가 구비된 이너 베젤과,
    상기 이너 베젤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아우터 베젤을 포함하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턴트 홈은 중심을 기준으로 15°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24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중심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되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내측에 상측방향으로 링형상의 상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베젤은 내측에 하측방향으로 링형상의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는 상기 상향 돌출부와 상기 이너 베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향 돌출부와 상기 하향 돌출부 사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베젤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향 돌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하향 돌출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형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본체와,
    상기 패드본체로부터 일면의 중심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봉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본체로부터 일면의 양측단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에 관통홀 및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접촉패드의 돌출봉이 삽입되고,
    상기 후크홈에 상기 접촉패드의 후크가 삽입되어 후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베젤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접촉패드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터치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양면 테이프로 결합되는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KR2020200001048U 2020-03-26 2020-03-26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KR202100022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48U KR20210002205U (ko) 2020-03-26 2020-03-26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48U KR20210002205U (ko) 2020-03-26 2020-03-26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05U true KR20210002205U (ko) 2021-10-07

Family

ID=7807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048U KR20210002205U (ko) 2020-03-26 2020-03-26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20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54B1 (ko) 2018-03-09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54B1 (ko) 2018-03-09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945417A (zh) 具有富含传感器的控件的控制器
US10510501B2 (en) Rotary knob controller
EP2889888B1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US9292104B2 (en) Fixed mouse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WO2015159494A1 (ja) 入力装置
KR1019770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19029358A (ja) 直動軸受により案内されるタッチパッド
US9342112B2 (en) Operation member provided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02205U (ko) 차량의 회전 스위치 장치
US11462373B2 (en)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2282591B1 (ko) 자동차의 회전스위치 장치
KR102234693B1 (ko) 자동차의 금속 회전 스위치
JP2019050116A (ja) スイッチ装置
CN112992587B (zh) 具有震动功能的键盘
KR101684831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JP4549411B2 (ja) 入力装置
JP2016219342A (ja) 入力装置
JP5654441B2 (ja) 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US9141203B2 (en) Key free mouse device
KR101780854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JP6666556B2 (ja) マウス
KR20180106001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0716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3006777U (ja) テレビゲーム機等用コントローラー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