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740A -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3740A KR20200123740A KR1020200041636A KR20200041636A KR20200123740A KR 20200123740 A KR20200123740 A KR 20200123740A KR 1020200041636 A KR1020200041636 A KR 1020200041636A KR 20200041636 A KR20200041636 A KR 20200041636A KR 20200123740 A KR20200123740 A KR 20200123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casing
- rail
- manufacturing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충돌 차량을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하여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guard barri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rolling guard barrier capable of preventing a major accident by absorbing an impact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guiding a collision vehi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t is about.
자동차 산업이 발달함으로서 자동차가 많아지고 대형화되어 가고 있어 자동차의 높이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 number of automobiles and the size of automobiles are increasing, and the height of automobiles is increasing.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왕래하는 인도의 사이에는 차량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도로의 중앙선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Guide rails are installed in the middle line of the road or to protect people from vehicles between the roadway where vehicles travel and the sidewalks where people come and go.
급커브길, 지하도 및 고가도로 등과 같이 운전자에게 급격하게 변하는 도로의 상태를 알리기 위해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레일에는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는 반사체 등이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운행을 유도하도록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Guide rails are installed to notify the driver of rapidly changing road conditions such as sharp curves, underpasses, and overpasses. These guide rails are equipped with reflectors that can alert the driver of danger, so that drivers can drive more safe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induce.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27076호에는 운전자의 시각을 환기시켜 차도의 외곽을 알려주는 가이드레일용 시선반사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의 뚜껑과 시선반사 유도체의 구성부품을 1조로 형성시켜, 설치 및 유지 관리하기가 용이하며 운전자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개선한 가이드레일용 시선반사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27076 relates to a guide rail gaze reflective derivative that alerts the driver's perspective to the outside of a driveway, and includes the lid of a post that supports the guide rail and the gaze reflective derivative.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by forming a set of constituent parts, and there is described a gaze-reflective derivative for guide rails that improves driver's visibility well.
특히, 차량 충돌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정상 진행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이 개시되었다. In particular, a guard rail for shock absorption has been disclosed that absorbs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stops the vehicle or guides it in a normal traveling direction.
예를 들어 특허 출원 제10-2009-0136281호나, 등록실용신안 제0281819호 및 특허 제1003368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는 회전롤러가 복수개 구비된다. For example,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3628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81819, and Patent No. 1003368 are applicable.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are provided on the guard rail for shock absorption.
그런데 종래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 구비된 회전롤러는 일반적으로 우레탄을 발포하여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돌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rotary roller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shock-absorbing guard rail is generally formed integrally by foaming uretha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damaged by collision.
또한 차량 충돌시 차량이 가드레일을 넘는 승월이 발생하여 반대편으로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vehicle crash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rises above the guard rail and falls to the other sid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충돌 차량을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하여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ing guard barrier capable of preventing a large-scale accident by absorbing the impact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guiding the collision vehi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and its manufacture. In providing a w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나 차량 충돌 등으로 오염된 회전롤러의 표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guard barrier capable of easily cleaning the surface of a rotating roller contaminated by dust or vehicle collis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롤러부가 구비된 회전롤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guard barrier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rotary roller equipped with an impact absorbing roller uni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충돌시 승월을 방지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guard barri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preventing climbing in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 또는 보강지주를 용이하게 제조하고, 강도가 보강된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guard barrier with reinforced strengt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 easily manufacture a post or reinforcing p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와 레일판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guard barrier capable of easily fastening a post and a rail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 제조방법은 1) 금속 플레이트를 말아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만나는 단부를 용접하여 지주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레일판을 제조하는 단계; 3) 중심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는 회전롤러를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지주를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5)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하부레일을 형성하는 단계; 6)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에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롤러 2개를 상하로 적층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7)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상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상부레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lling guar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rolling a metal plate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nd manufacturing a post by welding the opposite ends; 2) manufacturing a rail plate fastened to the holding; 3) manufacturing a rotary roller whose center penetrates the support; 4) installing the posts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5) forming a lower rail by coupling the rail plate to the low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respectively; 6) mounting the two rotary rollers by stacking them up and down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lower rails; And 7) forming an upper rail by coupling the rail plates to the upp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pport, respectively.
또한 상기 1)단계는, 상기 지주의 표면에 세로방향으로 강도 보강홈을 적어도 1 이상 형성하며, 상기 강도 보강홈은 지상과 지하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step 1), at least on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s preferably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또한 상기 3)단계는, 3-1) 합성수지재를 회전성형하여 내부가 중공된 케이싱을 형성하는 단계; 3-2) 상기 케이싱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3-3) 상기 개구부를 통해 우레탄 발포를 위한 혼합제를 주입하는 단계; 3-4)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혼합제를 발포하여 충격흡수롤러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3-5)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발포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3), 3-1) forming a hollow inner casing by rotationally molding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3-2) forming an opening in the casing; 3-3) injecting a mixture for urethane foaming through the opening; 3-4) forming an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by foaming the mixture in the casing; And 3-5) removing the foa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또한 상기 4)단계는, 상기 지주의 내부에 보강지주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step 4),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reinforcing post into the inside of the post.
또한 상기 보강지주는 상기 지주의 내부로 돌출된 상기 강도보강홈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post is inserted in a force-fitting manner by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protruding into the inside of the post.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는 세로방향의 강도 보강홈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홈이 지상과 지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지주;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레일;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상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레일; 및 중심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레일과 상부레일 사이에 적층되는 2개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하부 또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2개의 회전롤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하부와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대칭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lling guar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ongitudinal strength reinforcing groove formed therein,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and the inside of which is hollow; A lower rail coup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respectively; An upper rail coup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an upper front and a rear side of the post, respectively; And two rotary rollers having a center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and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wherein the rotary roller is formed to have a larger radius toward the lower or upper rail, and the The two rotary roll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ounted symmetrically so as to increase their radius toward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respectively, from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주의 내부에 보강지주가 삽입되며, 상기 보강지주는 지상과 지하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st, and the reinforcing post is preferably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강도 보강홈은 상기 지주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지주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post to support the reinforcing post.
또한 상기 하부레일 또는 상부레일은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rail or the upper rail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astening hole fastened with the support.
또한 상기 회전롤러와 상부레일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paced between the rotating roller and the upper rail.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발포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롤러부와, 상기 충격흡수롤러부를 외측에서 감싸며,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roller includes a shock absorbing roller part made of a foamed urethane material, and a casing formed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surrounding the shock absorbing roller part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충격흡수롤러부를 내부가 중공된 케이싱의 내부에서 발포성형하여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roller is integrated by foaming the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inside a casing having a hollow inside.
또한 상기 케이싱은 측벽의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sing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round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롤러에 의해 충돌 차량을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하여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발포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롤러부를 구비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sized accident by guiding a collision vehi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by a rotating roller, and by providing a shock absorbing roller made of a foamed urethane material, there is an effect of absorbing a shock during a vehicle collision.
특히, 회전롤러는 충격흡수롤러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경질의 케이싱이 구비되어 부착된 먼지나 차량 충돌 등으로 표면이 오염되어도 빗물로 씻겨져 세척이 용이하고, 도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In particular, the rotating roller is provided with a hard casing that surrounds the shock absorbing roller from the outside, so that even if the surface is contaminated by attached dust or a vehicle collision, it is washed with rainwater so that it is easy to clean and does not spoil the beauty of the road.
또한, 케이싱의 내부에서 우레탄을 발포시킴으로써 충격흡수롤러부가 구비된 회전롤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aming urethane inside the ca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rotary roller equipped with an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또한 2개의 회전롤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승월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wo rotary rollers are formed to have a larger radius from the mutually contacting surface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climbing over and over.
또한, 판상의 금속플레이트를 말아서 용접함으로써 지주 또는 보강지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Further, by rolling and welding a plate-shaped metal plat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post or reinforcing post.
또한 지주에 강도 보강홈이 형성되고, 보강지주가 내장되어 지주의 강도가 향상된다. In addition,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posts, and the reinforcing posts are built i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osts.
또한, 강도 보강홈이 보강지주에 밀착되어 지지함으로써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강지주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ost to support the reinforcing post,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reinforcing post without using screws.
또한, 레일판의 체결공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지주와의 체결이 용이하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astening hole of the rail plate in the form of a long hole, it is easy to fasten with the post.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롤러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롤러의 구조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의 구조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 to 4 show an embodiment of a rolling guar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rotary roll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in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otary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is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structure and action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rolling guar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1)는 지주(10)와, 레일판(20)과, 회전롤러(3)를 포함한다. 1 to 3, the
상기 지주(10)는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지주(1)의 상면에는 지주캡(13)이 결합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지주(10)의 표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강도 보강홈(15)이 등간격으로 2개 또는 4개 형성된다. 상기 강도 보강홈(15)의 중심이 지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 보강홈(15)이 지면을 중심으로 지상과 지하에 각각 20cm 길이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wo or four
또한 상기 지주의 내부에는 보강지주(5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지주(50)도 지면에 걸쳐 형성되어 각각 지상과 지하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ing
상기 레일판(20)은 상기 지주(10)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레일(21)과, 하부에 결합된 하부레일(22)이 평행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은 상기 지주(10)에 각각 나사(11,12)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은 지주와 체결되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공(14)은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지주 사이 간격이 정밀하게 동일하지 않더라도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을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간의 여유를 주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회전롤러(30)는 중심에 상기 지주(10)가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충돌된 차량을 다시 정상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롤러(30)에는 야간에 시선을 유도하는 반사지(S)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롤러(30)는 상기 지주에 상하로 2개가 적층되어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10)들 사이에는 보조지주(40)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지주(40)는 지주(10)들 사이에도 회전롤러(3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즉, 상기 보조지주(40)는 상부와 하부에 체결홀(4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41,43)에 볼트(42,44)가 관통하여 상기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보조지주(40)에도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가 적층되어 관통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지주(40)의 상부에도 지주캡(13)이 씌워져 있다. That is,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1)에 의한 회전롤러(30)는 충격흡수롤러부(32)와 케이싱(31)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용융된 합성수지를 프레스에 주입하여 회전성형하여 내부가 중공된 케이싱(31)을 형성한다((a) 및 (b)참조). 상기 케이싱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이며, 하부(또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하며, 내부에는 지주(10) 또는 보조지주(40)가 관통하는 관통홀(3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31)은 측벽의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케이싱(31)은 측벽의 단면이 라운드지지 않고 사선으로 형성된다면 차량이 사선을 따라 타고 넘어가는 승월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즉, 케이싱(31)은 측벽의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승월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도 7 참조). To explain the manufacturing method, first, a molten synthetic resin is injected into a press and rotationally molded to form a hollow inner casing 31 (see (a) and (b)). The casing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s formed to have a larger radius toward the lower (or upper) portion, and a through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원형의 개구부(34)를 형성한다((b) 및 (c)참조). Next, a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의 개구부(34)를 통해 우레탄 발포를 위한 혼합제(32a)를 주입한다((d) 참조). Next, the mixing
상기 혼합제(32a)는 주원료가 PPG(폴리올, 에테르 타입)이고, 경화제 및 촉매제가 혼합되어 있다. The mixing
이와 같이 케이싱(31)의 내부에 혼합제(32a)를 주입하고 발포성형하여 충격흡수롤러부(32)를 성형한다. 내부가 중공된 케이싱(31)의 내부에 혼합제(32a)를 주입하고, 이 상태에서 발포하여 성형함으로써 케이싱(31)의 내부에 충격흡수롤러부(32)가 빈틈없이 충진될 뿐만 아니라 케이싱(31)과 충격흡수롤러부(32)가 일체화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1)는 상기 충격흡수롤러부(32)를 우레탄을 발포 성형한 다음, 케이싱(31)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31)의 내부에서 우레탄을 발포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하여 형성한다는 특징이 있다. In this way, the mixing
충격흡수롤러부(32)를 우레탄을 발포 성형할 때, 상기 개구부(34)가 개방되어 있어 개구부(34)를 통해 발포체(32b)가 돌출된다((e) 참조). When the impact absorbing
이와 같이 개구부(34) 위로 돌출된 발포체(32b)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회전롤러(30)를 제조한다. As described above, by cutting and removing the
상기 충격흡수롤러부(32)는 발포우레탄 재질이므로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Since the shock absorbing
특히, 상기 케이싱(31)은 PE소재 등 경질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 In particular, the
만약, 케이싱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차량이 충격흡수롤러부(32)에 직접 충돌하게 되고, 충돌 압력과 마찰열에 의해 충격흡수롤러부(32)의 표면에 충돌 마크 등 부착물이 부착되어 미관이 더럽혀지게 된다. 또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충격흡수롤러부(32)의 표면에 먼지가 부착되게 된다. If the casing is not provided, the vehicle directly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ing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회전롤러는 경질의 케이싱(31)이 충격흡수롤러부(32)를 외측에서 감싸고 있기 때문에 먼지나 차량 충돌 등으로 표면이 오염되어도 빗물로 씻겨져 세척이 용이하고, 도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However, since the rotat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롤러(30)는 케이싱(31)과 충격흡수롤러부(32) 등 2개 부분이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로써 충격흡수롤러(32)가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차량을 보호하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고 세척력이 우수한 케이싱(31)이 구비되어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arts of the
한편, 상기 케이싱(31)의 외주면에는 반사지를 부착할 수 있는 홈(33)이 형성된다.Meanwhile, a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로 적층된 2개의 회전롤러(30A,30B)는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 사이에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상부레일(21)과 하부레일(22) 사이의 간격(공간, t3)이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의 높이의 합(t1)보다 더 크게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t3>t1). 즉,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가 적층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30A,30B)의 상면과 상부레일(21)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t2)가 존재한다. Referring to FIG. 6, tw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롤러(30A,30B)는 2개를 상하로 적층하여 지주(10)또는 보조지주(40)에 관통되도록 설치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그런데, 상기 회전롤러(30A,30B)는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면으로부터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각각 반경이 커지도록 대칭되게 적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y the way, it can be seen that the
즉, 회전롤러(30A,30B)는 측벽 전체 또는 일부에서 종단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반경이 축소되는 구간이 형성된다. That is, in the
그리고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를 상하로 적층할 때, 반경이 축소된 구간이 서로 맞닿도록 적층하여 지주(10) 또는 보조지주(40)에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는 마치 장구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중심부분의 반경이 가장 작고,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충돌한 차량이 승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nd when the pair of rotary rollers (30A, 30B) are stacked up and down, the sections with reduced radius are stacked so as to contact each other and installed on the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부에 적층된 회전롤러(30A)가 상방으로 힘을 외력을 받아 상부레일(21)에 맞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회전롤러(30A,30B)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되고, 이러한 동작으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when a vehicle collides,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주(10)는 굽힘강도 또는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표면에 세로방향으로 강도 보강홈(15)이 2개(또는 4개) 형성된다. 상기 강도 보강홈(15)은 지주(10)의 표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함몰시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따라서 상기 강도 보강홈(15)은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지주(10)의 굽힘강도 또는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주(10)의 내부에 보강지주(50)를 삽입한다. 상기 보강지주(50)를 지주(10) 내부에 삽입할 때, 지주(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강도 보강홈(15)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강도 보강홈(15)에 의해 상기 보강지주(50)가 지지되는 것이다(도 9 참조). 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bending strength or flexural strength of the holding
상기 강도 보강홈(15)는 지면을 기준으로 지상과 지하에 각각 위치되며(도 10 참조), 보강지주(50)도 동일하다. The
도 11을 참조하면, 강도 보강홈(15)이 형성되지 않은 지주(10)의 경우, 상기 지주(10)와 보강지주(50)를 나사(51)에 의해 체결,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case of the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2 is a plan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소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금속플레이트(10a)를 준비하고((a) 참조), 조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플레이트(10a)를 말아서 원통형으로 형성한다((b) 참조). First, a plate-shaped
다음으로, 원통의 마주보는 양단부를 용접하여 연결한다((c) 참조). Next, the opposite ends of the cylinder are welded and connected (see (c)).
마지막으로, 용접부위의 버(burr, 10b)를 제거하여 지주를 제조한다((d) 참조). 이와 같은 방법을 제조된 지주(10)에는 용접에 의견 연결부(10c)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주를 제조함으로써 고가의 압출설비 없이 저비용으로 매우 간단하게 지주(10)를 형성할 수 있다. Finally, a post is manufactured by removing the burr (10b) of the welding area (see (d)). The
상기 보조지주(40) 및 보강지주(50)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롤링 가드 베리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ing guar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2에 도시된 순서로 지주(10)를 제조한다. 상기 지주(10)의 표면에 강도 보강홈(15)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보강지주(50)를 삽입할 수 있다. First, to manufacture the
다음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레일판(20)을 제조한다. Next, the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순서로 회전롤러(30)를 제조한다. Next, the rotating
다음으로, 지주(10)를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한다. Next, the
다음으로, 지주(10)의 전측과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하부레일(22)을 형성한다. Next, the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22)에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롤러(30) 2개를 상하로 적층하여 장착한다. 상하로 적층된 2개의 회전롤러는 하부와 상부로 갈수록 각각 반경이 커지도록 대칭되게 장착된다. Next, the two
또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보조지주(40)를 결합하고, 상기 보조지주에 회전롤러(30) 2개를 상하로 적층하여 장착한다(도 4 참조).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상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상부레일(21)을 형성한다. Next, an
1: 실시예
10: 지주
20: 레일판
21: 상부레일
22: 하부레일
30,30A,30B: 회전롤러
31: 케이싱
32: 충격흡수롤러부
40: 보조지주
50: 보강지주1: Example
10: prop
20: rail plate
21: upper rail
22: lower rail
30,30A,30B: Rotary roller
31: casing
32: shock absorbing roller part
40: auxiliary holding
50: reinforcement holding
Claims (2)
2)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레일판을 제조하는 단계;
3) 케이싱의 내부에 충격흡수롤러부가 구비되며, 중심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는 회전롤러를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지주를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5)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하부레일을 형성하는 단계;
6)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에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롤러 2개를 상하로 적층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7)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상부에 각각 상기 레일판을 결합하여 상부레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에는 표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함몰시켜 내부로 돌출되는 세로방향의 강도 보강홈이 등간격으로 2개 또는 4개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홈은 지상과 지하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지주의 내부에는 상기 지주보다 짧은 보강지주가 상기 강도 보강홈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강도 보강홈이 상기 보강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보강지주가 상기 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강도 보강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보강지주는 지면에 걸쳐 형성되어 각각 지상과 지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3)단계는,
3-1) 용융된 합성수지를 회전성형하여 내부가 중공된 상기 케이싱을 형성하는 단계;
3-2) 상기 케이싱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3-3) 상기 개구부를 통해 우레탄 발포를 위한 혼합제를 주입하는 단계;
3-4)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혼합제를 발포하여 발포체가 상기 개구부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충격흡수롤러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3-5)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발포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격흡수롤러부보다 경질인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케이싱은 측벽의 단면이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상기 회전롤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부터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각각 반경이 커지도록 대칭되게 적층되고,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의 간격은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상기 회전롤러의 높이의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가드 베리어 제조방법.1) forming a cylindrical shape by rolling a metal plate, and manufacturing a post by welding the mating ends;
2) manufacturing a rail plate fastened to the holding;
3) manufacturing a rotating roller having an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inside the casing and having a center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4) installing the posts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5) forming a lower rail by coupling the rail plate to the low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respectively;
6) mounting the two rotary rollers by stacking them up and down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lower rails; And
7) forming an upper rail by coupling the rail plate to the upp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respectively; includes,
Two or four longitudinal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protruding into the inside by pressing the surface by pressurizing the post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are respectively located above and below ground,
A reinforcing post shorter than the pos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y a force-fitting method by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st so that the reinforcing post is supported by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nside the post,
The reinforcing posts are formed across the ground and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respectively,
Step 3),
3-1) forming the casing with a hollow inside by rotationally molding the molten synthetic resin;
3-2) forming an opening in the casing;
3-3) injecting a mixture for urethane foaming through the opening;
3-4) foaming the mixture inside the casing to form an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until the foam protrudes outside the opening; And
3-5) removing the foa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Including,
The casing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harder than the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to facilitate cleaning,
The casing is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is concave inward,
The two rotating rollers stacked up and down are stacked symmetrically so that their radius increases as they go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ing guard barrier,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two rotating rollers stacked up and down.
상기 지주의 내부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되며, 지상과 지하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보강지주;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레일;
상기 지주의 전측과 후측 상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레일; 및
중심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 또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레일과 상부레일 사이에 적층되는 2개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보강홈이 상기 보강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보강지주가 상기 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강도 보강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2개의 회전롤러는 상호 접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하부와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대칭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 및 상부레일은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롤러는 내부가 중공되고, 측벽의 단면이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발포되어 일체화된 발포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격흡수롤러부보다 경질인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의 간격은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상기 회전롤러의 높이의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가드 베리어.
Two or four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ing into the insid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are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respectively, and the inside is hollow;
Reinforcing posts inserted into the posts by force fitting and installed to be respectively located above and below the ground;
A lower rail coup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respectively;
An upper rail coup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an upper front and a rear side of the post, respectively; And
Includes; two rotating rollers having a center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so as to be rotatable, formed to have a larger radius toward a lower or upper rail, and stack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rails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st so that the reinforcing post is supported by the strength reinforcing groove inside the post,
The two rotary rollers are mounted symmetrically so that their radius increases from a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ward the bottom and the top, respectively,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ar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rotary roller includes a casing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is concave inward, and a shock absorbing roller part made of foamed urethane material foamed and integrated into the casing,
The casing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harder than the impact absorbing roller part to facilitate cleaning,
A rolling guard b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two rotating rollers stacked up and dow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636A KR102305780B1 (en) | 2019-04-22 | 2020-04-06 |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671 | 2019-04-22 | ||
KR1020200041636A KR102305780B1 (en) | 2019-04-22 | 2020-04-06 |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671 Division | 2019-04-22 | 2019-04-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3740A true KR20200123740A (en) | 2020-10-30 |
KR102305780B1 KR102305780B1 (en) | 2021-09-30 |
Family
ID=7304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636A KR102305780B1 (en) | 2019-04-22 | 2020-04-06 |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78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1819B1 (en) | 1998-10-31 | 2001-02-15 | 김덕중 | Nax Reduction Method for Automotive Gdiai Engine |
KR200336612Y1 (en) * | 2003-09-19 | 2003-12-18 | 최광철 | Guide rail of possess strengthen multistage roller |
KR101003368B1 (en) | 2009-12-31 | 2010-12-22 | (주) 금성산업 | Stand for absorbing impact of a car for a road |
KR101052624B1 (en) * | 2010-11-05 | 2011-07-29 | 신도산업 주식회사 | Rolling guard barrier |
KR101284786B1 (en) * | 2012-11-20 | 2013-07-10 | 신도산업 주식회사 | Guard rail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636A patent/KR1023057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1819B1 (en) | 1998-10-31 | 2001-02-15 | 김덕중 | Nax Reduction Method for Automotive Gdiai Engine |
KR200336612Y1 (en) * | 2003-09-19 | 2003-12-18 | 최광철 | Guide rail of possess strengthen multistage roller |
KR101003368B1 (en) | 2009-12-31 | 2010-12-22 | (주) 금성산업 | Stand for absorbing impact of a car for a road |
KR101052624B1 (en) * | 2010-11-05 | 2011-07-29 | 신도산업 주식회사 | Rolling guard barrier |
KR101284786B1 (en) * | 2012-11-20 | 2013-07-10 | 신도산업 주식회사 | Guard 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5780B1 (en) | 2021-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42085C (en) |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 |
EP1300296B1 (en) | A vehicle bumper assembly | |
KR20200123740A (en) | Rolling guard barri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899773B1 (en) | Vehicle protection fence | |
KR100909829B1 (en) | Vehicle protection fence | |
KR20120001028U (en) | Shock absorbing reinforced Guard rail | |
KR200293141Y1 (en) | Safety guard rail structure for absorption of impact for corner part of crossing road | |
AU2019204025B2 (en) | Rolling guard b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30068744A (en) | Guardrail with energy absorber | |
KR200372386Y1 (en) | Structure for noise and shock absorption in tunnel | |
KR200364642Y1 (en) | a Buffer Safety Guard | |
KR20100042697A (en) | Safety guardrail for protecting driver and providing construction convenience | |
JP5417076B2 (en) | Elastic column | |
KR200252811Y1 (en) | Road equipment of impact suction by vehicles | |
KR200228283Y1 (en) | Collosion absorbing Safety apparatus of road | |
KR100585853B1 (en) | Collision absorption member structure of breast wall for road | |
KR200316363Y1 (en) | An impact-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 |
KR200433036Y1 (en) | The buffer of the road center isolation | |
KR101180720B1 (en) | Rollover Prevention and Impact Absorbing Bumper for Vehicle | |
CN219386115U (en) | Road anti-collision warning guardrail | |
KR20230112318A (en) | Vehicle barrier | |
CN218233270U (en) | Novel trapezoidal movable guardrail | |
KR200382801Y1 (en) | Median strip for buffer possibles to control the height | |
KR200160931Y1 (en) | Structure of an assembly median strip | |
KR200384095Y1 (en) | Centerline separating fence for narrow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