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889A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Google Patents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0889A KR20200120889A KR1020200128060A KR20200128060A KR20200120889A KR 20200120889 A KR20200120889 A KR 20200120889A KR 1020200128060 A KR1020200128060 A KR 1020200128060A KR 20200128060 A KR20200128060 A KR 20200128060A KR 20200120889 A KR20200120889 A KR 202001208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ral
- drum
- wire
- wire drum
- gir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43—Block and tackle system with variable number of c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의 다중권취가 가능한 권상유니트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try crane having a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s of wire.
겐트리 크레인은 대형 중량의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한 쌍의 지지다리와, 한 쌍의 지지다리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와, 거더에 설치되는 권상유니트를 포함한다.A gantry crane is a device for lifting a large-sized object, and generally includes a pair of support legs, a girder supported horizontally by a pair of support legs, and a hoisting unit installed on the girder.
그런데 종래의 겐트리 크레인의 권상유니트는 와이어가 와이어드럼에 형성된 나선상의 권취그루브를 따라 단일의 층으로만 권취된다. 그래서 와이어드럼의 길이가 불가피하게 길어져야 하고, 이는 와이어드럼의 중량과 체적의 증대를 초래하고 결국 거더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 결과적으로 권상 용량을 한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와이어를 다중권취하여 와이어드럼의 길이 및 체적을 줄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이를 위해서는 와이어드럼의 종단에서 와이어가 되돌아가며 감기도록 와이어를 강제적으로 복귀시키는 와이어가이드를 필요로 하며, 이는 결국 구조의 복잡화와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였다.However, in the hoisting unit of the conventional gantry crane, the wire is wound in a single layer along the spiral winding groove formed in the wire drum. Therefore, the length of the wire drum inevitably has to be lengthen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wire drum,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oad applied to the girder, and as a result, is an important factor limiting the lifting capacity. On the other h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wire drum by winding multiple wires. However, for this, a wire guide forcibly returning the wire so that the wire returns and winds at the end of the wire drum is required. The structure wa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와 자체 부하를 최소화한 겐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ntry crane with a compact structure and minimal lo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지지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거더부와; 상기 거더부 상에 설치되는 드럼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가지고 상기 드럼프레임에 지지되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와이어드럼을 갖는 권상유니트와; 상기 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드럼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시브를 갖는 고정시브유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가지고 상기 고정시브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승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동시브를 갖는 가동시브유니트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부터 상기 가동시브유니트 및 상기 고정시브유니트에 걸쳐 권취되어 상기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드럼의 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상기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A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pport leg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girder part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oisting unit having a drum frame installed on the girder and a wire drum supported by the drum frame having at least one winding section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 fixed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xed sheaves installed on the drum fram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re drum; A lifting block that has at least one hook and is disposed under the fixed sheave unit and is eleva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re drum; A movable sheave unit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re drum and having a plurality of movable sheaves installed in the lifting block; A wire wound from the wire drum to the movable sheave unit and the fixed sheave unit and multi-wound in the winding section; And a drum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wire drum, and a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irder to the axis of the wire drum is 30 times or more than the length of the winding section of the wire drum.
여기서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드럼의 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상기 권취구간 길이의 40배 내지 6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irder to the axis of the wire drum is 40 to 60 times the length of the winding section of the wire drum.
그리고 상기 와이어드럼은 상기 거더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 drum has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또한 상기 거더부 상에 설치되는 중앙드럼프레임과,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거더부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권취구간ㅇ르 가지는 중앙와이어드럼을 갖는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고정시브를 갖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중앙후크를 가지고 상기 중앙고정시브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중앙승강블록과; 상기 중앙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중앙승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가동시브를 갖는 중앙가동시브유니트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에서부터 상기 중앙가동시브유니트 및 상기 중앙고정시브유니트에 걸쳐 권취되어 상기 중앙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는 중앙와이어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entral drum frame installed on the girder and a central wire supported by the central drum frame and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nd horizontal axis of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having at least one central winding section. A central winding unit having a drum; A central fixed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entral fixed sheaves installed on the central drum fram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lifting block having at least one central hook and disposed under the central fixed sheave unit and being eleva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movable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entral movable sheaves installed on the central lifting block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wire wound from the central wire drum to the central movable sheave unit and the central fixed sheave unit and multi-winding in the central winding sec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entral drum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entral wire drum.
그리고 상기 거더부는 중앙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를 가지며, 상기 각 거더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윗변과 아랫변을 가지며 상기 윗변이 길고 상기 아랫변이 짧은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girder part has a pair of girder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central sl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girder has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is long and the lower side has a rhombus-shaped cross section. It is desirable to have.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컴팩트한 구조와 자체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structure and can minimize its own l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권상유니트와 중앙권상유니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은 와이어드럼의 권취구간에 와이어가 다중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의 축선까지의 길이와 와이어드럼의 권취구간 길이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권상유니트와 중앙권상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권상유니트의 측면도이며,
도 7은 제어블록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s of the hoisting unit and the central hoisting unit,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winding section of a wire drum,
4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irder to the axis of the wire drum and the length of the winding section of the wire drum,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oisting unit and the central hoisting unit,
6 is a side view of the hoisting unit,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와,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부(300)를 포함한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support legs (110, 120)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legs (110, 120) It includes a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는 각각 제1지지다리(110)와 제2지지다리(120)로 구분된다. 제1지지다리(110)는 거더부(300)의 일단부와 일체로 결합한다. 제2지지다리(120)는 거더부(300)의 타단부의 상대적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받침베이링(121)을 갖는다. 거더부(300)의 타단부는 받침베이렁(121)에 의해 지지된다. 각 지지다리(110, 120)는 지면에 설치된 지면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를 갖는 트레블링부(113, 123)를 갖는다.The pair of support legs (110, 120) is divided into a first support leg (110) and a second support leg (120), respectively. The
거더부(300)는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앙슬릿(3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330)를 갖는다. 한 쌍의 거더(330)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거더이음부(35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각 거더(330)의 단면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윗변과 아랫변을 가지며 윗변이 길고 아랫변이 짧은 마름모 형태로 구비된다. 거더부(300)는 경량 설계를 위해 570N/mm2고장력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거더부(300)의 일단부는 제1지지다리(110)의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거더부(300)의 타단부는 제2지지다리(120)의 상단부에 설치된 받침베어링(121)에 지지된다. 거더부(300)의 상부에는 복수의 권상유니트(500)와 복수의 중앙권상유니트(600)가 거더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권상유니트(500)는 각 거더(330)의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와이어(570)를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슬릿(310)을 통해 하향 연장되는 중앙와이어(670)를 갖는다. 거더부(300)는 각 거더(330)의 외곽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3)과 각 거더(330)의 내측에서 거더(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1)을 갖는다. One end of the
도 2는 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보면, 와이어드럼(510)은 회전축선이 거더(3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고, 중앙드럼(610)은 회전축선이 거더(330)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을 향한다. 즉,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은 중앙드럼(610)의 회전축선에 대해 수평 수직 관계이다.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hoisting
와이어드럼(510)은 권취구간(511)을 2개 갖는다. 중앙와이어드럼(610)도 권취구간(611)을 2개 갖는다. 권취구간(511, 611)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드럼(510, 610)에 와이어(570, 670)가 감기는 권취구간(511, 611)이 복수 개인 것이다.The
도 3은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511)에 와이어(570)가 다중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권취구간(511)에는 와이어(570)가 다중으로 권취된다. 즉, 와이어(570)가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511)에 형성된 그루브(514)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권취되다가 내측격벽(512) 또는 외측격벽(513)에 다다른 후 셀프 리턴하여 와이어(570) 상측에 여러 층으로 겹쳐서 권취되는 것이다. 이렇게 다중권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어드럼(510)의 길이가 다중권취가 불가능한 일반드럼에 비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510)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와이어드럼(510)의 자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거더(330)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와이어드럼(510)의 자체중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거더(330)에 걸리는 무게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와이어드럼(510)의 직경은 와이어로프(570) 직경의 3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루브(514) 피치(Groove pitch)는 와이어로프(570) 직경의 1.04 내지 1.0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로프(570)는 비변형 및 치밀한 구조(Non-deformation and compact ro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로프(570)의 제작허용공차는 기준 와이어로프(570)의 직경의 4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4는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축선까지의 길이(H)와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511) 길이(D)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와이어드럼(510)에 와이어(570)가 다중권취되도록 하기 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와이어드럼(510)의 일 권취구간(511) 길이(D)의 2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와이어드럼(510)의 일 권취구간 길이(D)의 4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거더(330)의 하단부는 리프트 대상이 되는 물체에 거는 후크(661)가 올라갈 수 있는 최대 높이다. 이렇게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와이어드럼(510)의 일 권취구간 길이의 20배 이상이 되면, 와이어드럼(510)의 각 권취구간(511)에 권취되는 와이어(570)가 권취구간(5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권취되었다가 다시 타단에서 일단으로 셀프리턴하여 다중권취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와 와이어드럼(510)의 일 권취구간 길이의 상관관계는 여러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술한 와이어드럼(510)의 다중권취 기술은 중앙와이어드럼(61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4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H from the lower end of the
도 5는 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권상유니트(600)는 거더부(300)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한 쌍의 거더(3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와이어드럼(610)과, 중앙와이어드럼(610)을 지지하는 중앙드럼프레임(630)을 갖는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중앙드럼프레임(630)은 중앙슬릿(310)의 상측에서 한 쌍의 거더(330)에 지지된다. 중앙드럼프레임(630)은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3)을 따라 이동 가능한 중앙프레임 롤러부(635)를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프레임(6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를 갖는다.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는 중앙드럼(610)과 평행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시브를 갖는다.The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드럼(6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를 갖는다.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661)를 갖는 중앙승강블록(660)과 결합된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610)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 및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를 따라 권취되는 중앙와이어(670)를 갖는다. 중앙와이어(670)는 중앙슬릿(310)을 통해 하향 연장된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610)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 구동부(611)와, 중앙프레임 롤러부(635)를 구동하는 중앙프레임 롤러부 구동부(636)를 갖는다.The central winding
도 6은 권상유니트(500)의 측면도이다.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보면, 권상유니트(500)는 거더부(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한 쌍의 거더(330) 각각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드럼(510)과, 한 쌍의 와이어드럼(510)을 지지하면서 상호 연결하는 드럼프레임(530)을 갖는다.6 is a side view of the
드럼프레임(530)은 각 와이어드럼(5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드럼지지부(531)와, 한 쌍의 드럼지지부(531)를 서로 연결하면서 한 쌍의 와이어드럼(510) 사이에 배치되는 상향함몰부(533)을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향 함몰된 상향함몰부(533)를 통해 권상유니트(500)와 교차 이동될 수 있다. 드럼프레임(530)은 각 드럼지지부(531)의 하부에 설치된 드럼프레임 롤러부(535)를 갖는다. 드럼프레임 롤러부(535)는 거더부(300)에 설치되는 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그리고 각 드럼지지부(531)의 하부에는 고정시브유니트(540)가 설치된다. 고정시브유니트(540)는 와이어드럼(510)의 축선방향과 동일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시브를 갖는다. 권상유니트(500)는 고정시브유니트(5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시브유니트(550)를 갖는다. 가동시브유니트(550)는 와이어드럼(510)의 축선방향과 동일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시브를 갖는다.In addition, a fixed
가동시브유니트(550)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561)를 갖는 승강블록(560)과 결합된다. 권상유니트(500)는 와이어드럼(510)과 고정시브유니트(540) 및 가동시브유니트(550)를 따라 권취되는 와이어(570)를 갖는다. 와이어(570)는 와이어드럼(510)으로부터 거더부(300)의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다. 권상유니트(500)는 와이어드럼(510)을 회전구동하는 와이어드럼 구동부(511)와, 드럼프레임 롤러부(535)를 구동하는 드럼프레임 롤러부 구동부(536)를 갖는다.The
도 7은 제어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와이어드럼 구동부(520)와 중앙와이어드럼 구동부(620)와 드럼프레임 롤러부 구동부(536)와 중앙프레임 롤러부 구동부(636)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제어부(700)는 필요시 와이어드럼 구동부(520)와 중앙와이어드럼 구동부(620)와 드럼프레임 롤러부 구동부(536)와 중앙프레임 롤러부 구동부(63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7 is a control block diagram. As shown in Figure 5, the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wire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복수의 권상유니트(500)와 복수의 중앙권상유니트(600)의 교차 주행을 허용하고 서로 수평수직관계인 와이어드럼(510)과 중앙와이어드럼(610)을 가짐으로서, 각 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의 후크가 닿을 수 있는 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즉, 각 와이어(570, 670)가 각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후크(561, 661)를 걸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선소 등에서 필요한 비교적 너비가 큰 물체의 다양한 지점에 후크(561, 661)를 걸 수 있다.By this structure, the gantry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ross-traveling of a plurality of hoisting
그리고 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컴팩트한 구조로 거더부(300)에 설치하여, 거더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중량이 큰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And by installing the
또한 와이어드럼(510)과 중앙와이어드럼(610) 각각에 와이어(570)와 중앙와이어(670)가 다중권취되도록 하는 경우, 권상유니트(500) 및 중앙권상유니트(600)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켜 거더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겐트리 크레인은 더욱 중량이 큰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 길이(D)에 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충분히 길면, 와이어(570)가 외부로부터의 인위적인 작용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중첩되게 왕복하며 감기게 된다. 이를 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는 와이어드럼(510)의 일 권취구간(511) 길이(D)의 3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배 내지 60배일 때 비교적 안정적인 다중권취가 가능하며 또한 경제적이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배 내지 50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If the length (H) from the lower end of the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 길이(D)의 30배 이상일 때부터 와이어(570)의 셀프리턴이 가능하며, 40배 이상일 때 와이어(570)의 셀프리턴의 안정성이 높았으며, 45배 이상일 때 와이어(570)의 셀프리턴의 안정성이 매우 높았다.When the length (H) from the lower end of the
한편, 거더(330)의 높이가 길수록 제작비용이 늘어나고 자체중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는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 길이(D)의 60배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height of the
따라서 와이어(570)의 셀프리턴을 위한 작동신뢰성과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는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 길이(D)의 45배 내지 50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operating reliability and economy for self-return of the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 길이(D)에 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길수록 와이어(570)가 외부로부터의 인위적인 작용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중첩되게 왕복하며 감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거더(330)의 하단부는 후크(661)가 올라갈 수 있는 최대 높이기 때문에 와이어드럼(510)의 권취구간(511)에 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와이어드럼(5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H)가 길수록 권취구간(511)의 전체길이에 걸쳐 와이어(570)가 와이어드럼(510)의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향하게 되어 와이어(570)가 와이어드럼(510)에 형성된 그루브(514)를 따라 권취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570)가 다중으로 권취될 때는 이미 그루브(514) 상에 권취된 원형 단면의 와이어(570)들 사이사이의 공간에 잘 찾아들어가면서 자동으로 다중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Compared to the winding section length (D) of the
110: 제1지지다리
111: 결합부
113: 트레블링부
120: 제2지지다리
121: 받침베어링
123: 트레블링부
300: 거더부
310: 중앙슬릿
330: 거더
331: 권상유니트 이동레일
333: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
350: 거더이음부
500: 권상유니트
510: 와이어드럼
511: 권취구간
512: 중앙격벽
513: 외측격벽
514: 그루브
515: 하우징
530: 드럼프레임
531: 드럼지지부
533: 상향함몰부
535: 드럼프레임 롤러부
540: 권상유니트 고정시브유니트
550: 권상유니트 가동시브유니트
560: 승강블록
570: 와이어
600: 중앙권상유니트
610: 중앙와이어드럼
611: 중앙화이어드럼 권취구간
615: 하우징
630: 드럼프레임
635: 중앙프레임 롤러부
640: 중앙권상유니트 고정시브유니트
650: 중앙권상유니트 가동시브유니트
660: 중앙승강블록
670: 중앙와이어
700: 제어부110: first support leg 111: coupling portion
113: traveling part 120: second support leg
121: bearing bearing 123: traveling part
300: girder part 310: center slit
330: girder 331: hoisting unit moving rail
333: central winding unit moving rail 350: girder joint
500: hoisting unit 510: wire drum
511: winding section 512: central bulkhead
513: outer bulkhead 514: groove
515: housing 530: drum frame
531: drum support 533: upward depression
535: drum frame roller part 540: hoisting unit fixed sheave unit
550: hoisting unit movable sheave unit 560: lifting block
570: wire 600: central winding unit
610: central wire drum 611: centralized wire drum winding section
615: housing 630: drum frame
635: central frame roller unit 640: central winding unit fixed sheave unit
650: central hoisting unit movable sheave unit 660: central lifting block
670: central wire 700: control unit
Claims (5)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지지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거더부와;
상기 거더부 상에 설치되는 드럼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가지고 상기 드럼프레임에 지지되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와이어드럼을 갖는 권상유니트와;
상기 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드럼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시브를 갖는 고정시브유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가지고 상기 고정시브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승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동시브를 갖는 가동시브유니트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부터 상기 가동시브유니트 및 상기 고정시브유니트에 걸쳐 권취되어 상기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드럼의 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상기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In the gantry crane,
A support leg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girder part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oisting unit having a drum frame installed on the girder and a wire drum supported by the drum frame having at least one winding section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 fixed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xed sheaves installed on the drum fram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re drum;
A lifting block that has at least one hook and is disposed under the fixed sheave unit and is eleva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re drum;
A movable sheave unit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re drum and having a plurality of movable sheaves installed in the lifting block;
A wire wound from the wire drum to the movable sheave unit and the fixed sheave unit and multi-wound in the winding section;
It includes a drum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wire drum,
A gantry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irder to the axis of the wire drum is at least 30 times the length of the winding section of the wire drum.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드럼의 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상기 권취구간 길이의 40배 내지 6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The method of claim 1,
A gantry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irder to the axis of the wire drum is 40 to 60 times the length of the winding section of the wire drum.
상기 와이어드럼은 상기 거더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drum, characterized in that the gantry crane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상기 거더부 상에 설치되는 중앙드럼프레임과,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거더부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권취구간을 가지는 중앙와이어드럼을 갖는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고정시브를 갖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중앙후크를 가지고 상기 중앙고정시브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중앙승강블록과;
상기 중앙와이어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중앙승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가동시브를 갖는 중앙가동시브유니트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에서부터 상기 중앙가동시브유니트 및 상기 중앙고정시브유니트에 걸쳐 권취되어 상기 중앙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는 중앙와이어와;
상기 중앙와이어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The method of claim 3,
A central drum frame installed on the girder portion, and a central wire drum supported by the central drum frame and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nd horizontal axis of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central winding section. A central winding unit having;
A central fixed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entral fixed sheaves installed on the central drum fram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lifting block having at least one central hook and disposed under the central fixed sheave unit and being eleva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movable sheav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entral movable sheaves installed on the central lifting block and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wire drum;
A central wire wound from the central wire drum to the central movable sheave unit and the central fixed sheave unit and multi-winding in the central winding section;
A gantry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drum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central wire drum.
상기 거더부는,
중앙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를 가지며,
상기 각 거더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윗변과 아랫변을 가지며 상기 윗변이 길고 상기 아랫변이 짧은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
The method of claim 4,
The girder part,
It has a pair of girder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central slit between them,
Each of the above girders,
A gantry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is long and the lower side has a short rhombic cross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060A KR20200120889A (en) | 2020-10-05 | 2020-10-05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KR2020210000310U KR200494868Y1 (en) | 2020-10-05 | 2021-01-29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060A KR20200120889A (en) | 2020-10-05 | 2020-10-05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6530A Division KR20200070452A (en) | 2018-12-07 | 2018-12-07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0310U Division KR200494868Y1 (en) | 2020-10-05 | 2021-01-29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889A true KR20200120889A (en) | 2020-10-22 |
Family
ID=7303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060A Withdrawn KR20200120889A (en) | 2020-10-05 | 2020-10-05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088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31450A (en) * | 2022-07-11 | 2022-10-25 | 山东省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 Integral hoisting equipment for steel bar framework and using method |
KR102579016B1 (en) | 2023-04-28 | 2023-09-15 | 주식회사 모던특수 | Gantry Device for Transporting Heavy Load Equipment |
-
2020
- 2020-10-05 KR KR1020200128060A patent/KR2020012088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31450A (en) * | 2022-07-11 | 2022-10-25 | 山东省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 Integral hoisting equipment for steel bar framework and using method |
KR102579016B1 (en) | 2023-04-28 | 2023-09-15 | 주식회사 모던특수 | Gantry Device for Transporting Heavy Load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20890A (en) | Gantry crane having moving part movable along the ground rail | |
RU2542831C2 (en) | Hoisting crane (versions) and method for its adjusting | |
KR101809062B1 (en) | Double jib slewing pedestal crane | |
KR20200120889A (en)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
US4381060A (en) | Ring supported mobile tower crane | |
KR20200120891A (en) | Gantry crane for lifting heavy objects | |
KR101114030B1 (en) | Jib crane | |
KR20210000342U (en)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
CN117985576B (en) | Steel construction vestibule hoisting device | |
US3144137A (en) | Stacker crane | |
KR200494869Y1 (en) | Gantry crane having moving part movable along the ground rail | |
KR200494870Y1 (en) | Gantry crane for lifting heavy objects | |
KR20200070452A (en) | Gantry crane having hoisting unit capable of multiple winding of wire | |
JPH04333492A (en) | Lifting member positioning and mounting device for high-lift cranes | |
KR20200044234A (en) | Gantry crane for lifting heavy objects | |
JP2015196562A (en) | Crane manufacturing method, and upper system of upper structure for crane | |
JP6393954B2 (en) | Crane overhead structure system and crane manufacturing method | |
KR20200070453A (en) | Gantry crane having moving part movable along the ground rail | |
CN1242337A (en) | Transportable crane | |
JP2002356296A (en) | Portal crane | |
JP2833439B2 (en) | Hoist type tower crane | |
CN219792310U (en) | Hoisting hoist | |
CN215160476U (en) | Simple crane of offshore oilfield steel wire operation blowout prevention system | |
KR20240123581A (en) | Lifting device | |
JPH10182066A (en) | Vertical convey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20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56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C1205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56530 Filing date: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