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94A -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 Google Patents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94A
KR20200109894A KR1020190029696A KR20190029696A KR20200109894A KR 20200109894 A KR20200109894 A KR 20200109894A KR 1020190029696 A KR1020190029696 A KR 1020190029696A KR 20190029696 A KR20190029696 A KR 20190029696A KR 20200109894 A KR20200109894 A KR 20200109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ser terminal
unit
control pan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1004B1 (en
Inventor
강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트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트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트로직
Priority to KR102019002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00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visu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door lock system, wherei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a door lock, the door lock is opened through a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r the door lock is remotely opened through a user terminal so the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may be differently changed according to user′s selection or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within a set range, and a door lock system separates and sets a user terminal to be registered into slave terminals allocated to children or the old and the weak and master terminals allocated to guardians so a command authority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can be assigned differently by setting the user terminal as either the master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Description

동작 모드를 설정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패널부를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개방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방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등록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 할당되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보호자에 할당되는 마스터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에 도어락 개방 제어를 위한 명령 권한을 상이하게 할당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the door lock, 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through a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r remotely opening the door lock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within the set range, the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can be changed differently, and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is divided into slave terminals assigned to children or the elderly and master terminals assigned to guardia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capable of differently allocating command authority for door lock opening control 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도어락은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메커니즘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장치로서, 현관이나 특정 공간의 출입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door lock is a device that can open or close a door with an operation mechanism driven by electric energy, and is widely used for entrance doors or entrance doors of specific spaces.

종래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집안 내에 설치되는 제어 패널부 사이에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락과 함께 출입문 일측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는 건물 내부에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방문자 확인 후 제어 패널부에 구비된 통화 아이콘 또는 개방 아이콘을 선택하여 방문자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한다.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is configured to enabl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between a door lock installed at an entrance door and a control panel unit installed in a house. In other words, by displaying the visitor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placed on one side of the door along with the door lock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unit, the user can check the visitor inside the building, and after confirming the visitor, the call icon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unit or open Select the icon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visitor or open the door.

그러나 종래 도어락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집안에 있는 경우에만 방문자를 확인하거나 방문자와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 도어락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방문자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하며 수신한 방문자 영상에 기초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거나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지능형 도어락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visitor or make a voice call with the visitor only when the user is in the hou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a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has been proposed that receives a visitor image from a remote us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ecks a visitor or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based on the received visitor image.

그러나 종래 지능형 도어락 시스템의 경우 원격에서 방문자 영상을 확인하거나 원격에서 도어락을 개방 제어할 수 있으나, 제어 패널부를 통해 직접 도어락을 제어하는 동작 모드와 원격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동작 모드 사이에서 사용자의 위치나 선택에 따라 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변경하기 곤란하며, 사용자가 실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도어락의 호출 신호를 빈번하게 송신하여 사용자에 전화 호출과 도어락 호출 사이의 혼선과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보호자와 어린이가 함께 집안에 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제어 패널부를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게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동작하여 어린이 혼자 집안에 있는 경우 어린이 보호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a visitor image can be viewed remotely or the door lock can be opened remotely, but the operation mode of controlling the door lock directly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and the door lock control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remotely. It is difficult to easily chang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or selection between operation modes, and even if the user is actually inside a building, a call signal of the door lock is frequently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call the user. It may cause confusion and inconvenience between the call and the door lock call. Regardless of whether the guardian and the child are in the house together, the door lock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or the door lock is control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child is alone in the house. If there is, it ha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child protection.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도어락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패널부를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할 수 있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개방 제어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or lock or a user terminal It is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that can remotely open and control the door loc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방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capable of differently changing an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an opening of a door lock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whether a user terminal is within a set rang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등록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 할당되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보호자에 할당되는 마스터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보호자가 어린이나 노약자와 함께 집안에 존재하는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반면 보호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함께 집안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만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slave terminal assigned to a child or the elderly and a master terminal assigned to a guardian, and the operation mod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master terminal is within the setting range. Therefore, when a guardian exists in the house with a child or the elderly, the door lock is controlled to open according to an opening command received from on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s, whereas the guardian does not exist in the house with the child or the elderly.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a door lock system is provided in which the door lock is opened only for the open command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잠그는 도어락과, 출입문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어락을 통해 출입문을 개방하는 제어 패널부를 포함하며, 제어 패널부는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패널부의 제어 아이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직접 모드와, 방문자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간접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that opens or locks an entrance door, a camera unit disposed at the entrance door to capture a visitor's image, and a door lock through the door lock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the door lock. It includes a control panel unit to open, and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the door lock, the control panel unit transmits a direct mode to open the door lock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a control icon of the control panel unit and a visitor image to a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selectively among indirect modes in which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부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ane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lectively operates in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ane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lectively operates in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etting rang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말기 설정부와,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직접 모드와 간접 모드 사이에서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부와, 동작 모드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user terminal, a terminal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to one of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registered as a master terminal or a slave terminal.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within a set rang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 mode change unit that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between direct mode and indirect mode, and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lock control unit.

여기서 모드 변경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user terminal is out of a setting range, the mode change unit automatically changes an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from a direct mode to an indirect mode.

여기서 모드 변경부는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슬레이브 단말기 또는 마스터 단말기 중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며,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ode chan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setting range determines the type of the terminal among the slave terminal or the master terminal,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to an indirect mode when the mast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부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n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isitor image to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by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from any on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 is controlled to open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n comman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부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이며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indirect mode and the mast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the door lock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isitor image to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by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n command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패널부는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호출 신호 발생 시각에 매핑하여 등록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 제어부는 등록 저장한 방문자 영상을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registering and storing a visitor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to a call signal generation time, and the door lock control unit stores the registered and stored visitor image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registered user terminal. Accordingly, transmission control is performed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부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연장 촬영 명령에 따라 호출 신호의 단위 지속 시간이 종료 후에도 카메라부를 통해 방문자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 제어하며, 연속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door lock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captures and controls the visitor image through the camera unit even after the unit duration of the call signal ends according to the extended shoo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continuously captured visitor image in the storag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ssion control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tored or registered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패널부를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개방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방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case of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the door lock, 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door lock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r remotely opens the door lock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by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can be ch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in the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등록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 할당되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보호자에 할당되는 마스터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도어락 개방 제어를 위한 명령 권한을 상이하게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into a slave terminal allocated to children or the elderly and a master terminal allocated to a guardian, thereby setting the user terminal to one of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to control door lock opening. You can assign different command authority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보호자가 어린이나 노약자와 함께 집안에 존재하는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반면 보호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함께 집안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만 도어락을 개방 제어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만 집안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보호자는 안전하게 원격으로 도어락을 개방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master terminal is within the set range, so that when a guardian exists in the house with a child or the elderly, the door lock system is opened received from on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s. When the door lock is opened according to the command, but the guardian does not exist in the house with the child or the elderly,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only for the open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so that only children or the elderly are in the house. Edo guardians can safely remotely open and control the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호출 신호에 따른 지속 시간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duration according to a call signal.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oor lock ope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a control panel unit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a control panel unit based on a typ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not b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mak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10)에는 출입문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락(20), 출입문의 일측 또는 주변에 배치되는 카메라(30),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50) 및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 패널부(10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락(20)은 제어 패널부(100)로부터 수신한 개방 제어 명령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며, 카메라(30)는 도어락(20)을 통해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거나 제어 패널부(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촬영 명령에 따라 방문자 영상을 촬영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30)는 제어 패널부(100)의 제어에 따라 방문자 영상을 줌인하거나 줌아웃할 수 있는 줌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1, the network 10 includes a door lock 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a camera 30 disposed on one side or around the door, a user terminal 50 and a building held by the user. The control panel unit 100 disposed therein is connected. Here, the door lock 20 performs a function of opening or 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an open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control panel unit 100, and the camera 30 displays a visitor image when a call signal is input through the door lock 20. A visitor image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command or an imag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100. Preferably, the camera 30 is a zoom camera capable of zooming in or zooming out of a visitor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unit 100.

바람직하게, 네트워크(10)에는 카메라(30)를 통해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저장하며, 제어 패널부(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의 요청이 있는 저장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로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70)가 접속될 수 있다.Preferably, the network 10 stores a visitor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30, and the stored visitor image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panel unit 100 or the user terminal 50 is stored in the control panel unit 100 or A separate server 7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50 may be connected.

여기서 네트워크(10)는 도어락(20)과 제어 패널부(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카메라(30)와 제어 패널부(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50)와 제어 패널부(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어 패널부(100), 사용자 단말기(50) 및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door lock 20 and the control panel unit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camera 30 and the control panel unit 100, o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 50 and the control panel unit 100. Various types of wired or wireless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units 100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control panel unit 100, the user terminal 50, and the server 70 may be used.

제어 패널부(1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과 카메라의 방문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데, 제어 패널부(10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직접 모드는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방문자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방문자 영상을 확인 후 제어 패널부(100)의 제어 버튼을 통해 직접 도어락(20)을 개방 제어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하며, 간접 모드는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방문자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50)로 송신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문자 영상을 확인 후 사용자 단말기(50)를 통해 도어락(20)을 개방 제어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즉, 직접 모드는 제어 패널부(100)의 제어 버튼을 통해 도어락(20)의 개방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간접 모드는 사용자 단말기(50)를 통해 제어 패널부(100)로 제어 명령을 원격 송신하여 제어 패널부(100)를 통해 도어락(20)의 개방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The control panel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for inputting a user's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sitor image of the camera, and the control panel unit 100 is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when a call signal is input. Operates in either mode of operation. Here, the direct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visitor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call signal is input, and the door lock 20 is opened and controlled directly through th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100 after the user checks the displayed visitor image. In the indirect mode, when a call signal is input, the visitor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50, and after the user checks the visitor imag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door lock 20 is open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50. Means the mode of operation. That is, the direct mode refers to a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20 through th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100, and the indirect mode is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unit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50. It refers to a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20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100 by transmitt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등록부(11)는 제어 패널부를 통해 도어락의 개방을 제어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등록하는데, 사용자 등록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사용자 이름, 사용자 단말기 접속 번호 등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 in more detail, the user registration unit 11 registers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controls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and the user registration unit 110 uses a user interface unit (not shown). The user terminal is registered by storing the input user termin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unit 120. Here,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means a user identifier, a user name, a user terminal access number, and the like.

단말기 설정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 설정 명령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 중 어느 한 종류의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여기서 마스터 단말기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 설정하는 기준이 되거나 도어락의 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주로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로 설정하며, 슬레이브 단말기는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락의 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주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슬레이브 단말기로 설정한다. 단말기 설정부(130)에서 설정된 단말기 종류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등록 저장된다.The terminal setting unit 130 classifies and sets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s either a master terminal or a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setting command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not shown). Here, the master terminal is a user terminal that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or can perform open control of the door lock, and the user terminal mainly used by the guardian is set as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is optio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s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oor lock, a user terminal mainly used by the elderly or children is set as a slav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terminal type set in the terminal setting unit 130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20.

모드 변경부(160)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데, 모드 변경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위치 판단부(140)에서 판단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드 변경 명령이 직접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모드 변경 명령에 따라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변경한다. The mode change unit 160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to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and the mode change unit 160 changes the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user's mode change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negative operation mode is changed or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chang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40. That is, when a mode change command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changed to either the direct mode or the indirect mode according to the input mode change command.

한편, 모드 변경부(160)는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가 직접 모드인 경우에도 위치 판단부(140)에서 판단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간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판단부(14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eve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 direct mode, when the user is located outside the setting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40, the control panel unit 160 The operation mode can be changed to indirect mode. Here,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set rang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도어락 제어부(170)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작 모드가 직접 모드로 설정시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방문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버튼을 통해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한편 도어락 제어부(170)는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로 설정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When a call signal is input from the door lock based on the operation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displays a visitor image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direct mode, an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directly input through the control button. The door lock is controlled to open. Meanwhil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transmits a visitor image to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여기서 도어락 제어부(170)는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로 설정시 통신부(15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도어락 제어부(170) 사이의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는데, 통신 채널을 통해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거나 방문자와의 음성 통화를 중계할 수 있다.Her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may connect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and transmits a visitor image or a visi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You can relay a voice call with.

바람직하게, 도어락 제어부(170)는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로 설정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거나,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방문자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transmits a visitor image by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ll registered user terminals, or by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selected user terminal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to provide a visitor image. Can be sent.

도어락 제어부(17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촬영부에서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호출 신호의 입력 시각에 매핑하여 저장부(190)에 등록 저장하거나, 제어 패널부의 제어 버튼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연속 촬영 명령에 따라 호출 신호의 지속 시간이 종료하더라도 연속하여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저장부(190)에 등록 저장한다. When a call signal is input,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maps the visitor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o the input time of the call signal and registers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90, or continuously received from a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or a user terminal. Even if the duration of the call signal end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command, the continuously photographed visitor image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본 발명에서 호출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 또는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시간은 기설정되어 있다. 도 3은 호출 신호에 따른 지속 시간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속 시간(Te) 동안 제1 호출 신호에 따라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제1 호출 신호에 따른 지속 시간(Te)가 종료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한 방문자 영상의 촬영을 종료하며 디스플레이부에 방문자 영상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의 송신을 종료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ime for photographing a visitor image through a camera according to a call signal or a time for displaying the visitor image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is preset. FIG. 3 shows an example of a duration according to a call signal. As shown in FIG. 3, when a first call signal is input, a visitor image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first call signal for a duration Te. The captured visitor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o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ration Te according to the first call signal ends, the photographing of the visitor image through the camera is ended and the visitor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r the transmission of the visitor image to the user terminal is end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부(170)는 제어 패널부의 제어 버튼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연속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 지속 시간 또는 디스플레이 지속 시간이 종료하더라도 계속해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는 의심되는 방문자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속 시간(Te) 동안 제2 호출 신호에 따라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러나 제2 호출 신호에 따른 지속 시간(Te) 중 연속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연속 시간 동안 계속해서 또는 촬영 중단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Preferably, in the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continuously activates the camera even if the shooting duration or the display duration ends according to th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or the continuous shoo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visitor image captured while photographing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monitor the suspected visit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a second call signal is input, a visitor image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second call signal for a duration Te and the captured visitor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unit, or Send to the user terminal. However, if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is input during the duration Te according to the second call signal, the visitor image is continuously photographed for the set continuous time or until the shooting stop command is received, and the captured visitor image is stored Output to the display or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호출 신호에 따른 지속 시간 동안, 사용자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거나 사용자가 제어 패널부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고 있음을 방문자에 알려주기 위한 표시조명이나 표시음이 출입문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 도어락 제어부(170)는 연속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연속 시간 동안 또는 촬영 중단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표시음이나 표시조명을 비활성화 제어하여 방문자가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 영상을 계속해서 촬영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During the duration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a display light or sound to inform the visitor that the user is connected or that the user is checking the visitor through the control panel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or speaker placed at the door. Preferably, when a continuous shooting command is input, the door lock control unit 170 deactivates the display sound or display lighting for a continuous period of time or until a shooting stop command is received, so that the visitor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visitor image through the camera. Can prevent you from recogniz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oor lock ope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어락을 통해 방문자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10).Referring to FIG. 4 in more detail, it is determined whether a call signal of a visitor is received through a door lock (S110).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패널부의 설정된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제어 패널부가 직접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한다(S130). 제어 패널부의 설정된 동작 모드가 직접 모드인 경우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와 제어 버튼을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즉, 호출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방문자 영상을 확인 후 사용자가 도어락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 버튼을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When receiving a call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panel unit operates in a direct mode by determining a set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S130). When the set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the direct mode,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That is, the camera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o capture a visitor image, and the captured visitor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After checking the visitor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the user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through a control button for opening the door lock.

그러나 제어 패널부의 설정된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즉 호출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제어 패널부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수신한 방문자 영상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 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However, when the set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camera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o capture a visitor image, and the captured visitor image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panel unit. When the user checks the visitor through the received visitor image and then inputs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panel unit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직접 모드로 설정되어 제어 패널부는 직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5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set to a direct mo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so that the control panel unit may operate in a direct mode (S210).

직접 모드로 동작 중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While operating in the direct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s in the setting range or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S230).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한다(S27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utomatically changed from the direct mode to the indirect mode (S270).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경 방식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설정 범위를 이탈한 사용자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하는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설정 범위를 이탈한 사용자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인 경우에 한해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설정 범위를 이탈한 사용자 단말기가 슬레이브 단말기인 경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로 유지한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S250)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out of the setting range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in the operation mode change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ter terminal, wherein the setting range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utomatically changed from direct mode to indirect mode only when the user terminal deviating from is the master terminal,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 slave terminal if the user terminal out of the setting range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is a slave terminal. Keep in direct mode.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동작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로 직접 변경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외출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변경 설정하거나 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집안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간접 모드로 동작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여 도어락을 개방 제어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can be directly changed to direct mode or indirect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tt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When the user goes out, the user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from direct mode to indirect mode, or Even if a user is present in the hous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operation mode can be set as an indirect mode to check the visitor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open the door lock.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6(a)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R)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직접 모드로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a) in more detail, the user terminal sets the range R If it exists within, set the operation mode to direct mode.

직접 모드로 설정시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제어 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방문자 영상을 확인 후 제어 패널부의 제어 버튼을 통해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When the direct mode is set, the control panel unit does not transmit the visitor image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opens the door lock through the control button of the control panel unit after checking the visitor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unit.

한편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R)를 이탈한 경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 설정한다. 간접 모드로 설정시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도어락 개방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setting range R,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indirect mode. When the indirect mode is set, the control panel unit transmits a visitor image according to a cal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door lock to open according to a door lock open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접 모드로 동작 모드를 설정시 도어락 제어부는 설정 범위(R)에 존재하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설정 범위에 마스터 단말기(M)와 슬레이브 단말기(S)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마스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을 제공하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개방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이며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도어락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모두로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을 제공하며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개방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based on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setting range R, and provides a visitor image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when the master terminal (M) and the slave terminal (S) exist together in the setting range.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by receiving an open control command of the door lock from the master terminal. When the operation mode is indirect mode and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re within the set range, the door lock control unit selectively provides visitor video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o both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nd either the master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The door lock is opened and controlled by receiving an open control command of the door lock from.

한편,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접 모드로 동작 모드를 설정시 도어락 제어부는 설정 범위(R)에 존재하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범위(R)를 이탈하고 슬레이브 단말기만이 설정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은 마스터 단말기로만 송신하고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도어락의 개방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간접 모드로 설정시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설정 범위에 어린이 또는 노약자만이 존재하는 경우 보호자의 마스터 단말기로만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고 마스터 단말기의 개방 명령에만 의존하여 도어락을 개방 제어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만이 집안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도어락을 원격에서 개방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b), when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setting range R, and the master terminal sets the setting range R.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ly the slave terminal is in the set range after departure, the visitor image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only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door lock is opened according to the open control command of the door lock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In this way, when setting to indirect mode, the type of registered user terminal that exists in the setting range is determined, and if only children or the elderly are present in the setting range, the visitor video is transmitted only to the guardian's master terminal and depends only on the open command of the master terminal. By controlling the door lock to open, it is possible to safely open the door lock remotely even when only children or the elderly are present in the house.

간접 모드로 동작 모드를 설정시 도어락 제어부는 설정 범위(R)에 존재하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마스터 단말기가 설정범위(R)를 이탈하고 슬레이브 단말기만이 설정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호출 신호에 따른 방문자 영상은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모두 송신하는데 도어락의 개방 제어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도어락의 개방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When setting the operation mode as indirect mode, the door lock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setting range R, and determines that the mast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setting range R and only the slave terminal exists in the setting range. In this case, the visitor image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is selectively transmitted to both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nd the door lock opening control may be operated to open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door lock opening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e.g., Internet).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0: 네트워크 20: 도어락
30: 카메라 50: 사용자 단말기
70: 서버 100: 제어 패널부
110: 사용자 등록부 120: 데이터베이스부
130: 단말기 설정부 140: 위치 판단부
150: 통신부 160: 모드 변경부
170: 도어락 제어부 190: 저장부
10: network 20: door lock
30: camera 50: user terminal
70: server 100: control panel unit
110: user register 120: database
130: terminal setting unit 140: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50: communication unit 160: mode change unit
170: door lock control unit 190: storage unit

Claims (10)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잠그는 도어락;
출입문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도어락을 통해 출입문을 개방하는 제어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패널부는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패널부의 제어 아이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직접 모드와,
상기 방문자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간접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Door locks that open or lock the door;
A camera unit disposed at the entrance door to capture an image of a visitor; And
When receiving a connection signal from the door lock, including a control panel unit for opening the door through the door lock,
When the control panel unit receives a call signal from the door lock,
A direct mode for controlling opening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a control icon of the control panel unit,
The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 system selectively operates among indirect modes in which the visitor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door lock is open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부는
상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unit
The door lock system, wherein the control panel unit selectively operates in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접 모드 또는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unit
The door lock system,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selectively operated in either a direct mode or an indirect mod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is in a setting rang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말기 설정부;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직접 모드와 간접 모드 사이에서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control panel unit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user terminal;
A terminal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to one of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within a set rang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as a master terminal or a slave terminal;
A mode change unit for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between a direct mode and an indirect mode; And
A door lock system comprising a door lock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de chan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out of a setting r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utomatically changed from a direct mode to an indirect mo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부는
상기 설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슬레이브 단말기 또는 마스터 단말기 중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를 간접 모드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de change unit
The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setting range determines the type of the terminal among the slave terminal or the master terminal,
When the mast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the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to an indirect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oor lock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n indirect mode,
A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a registered user terminal, a visitor image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the door lock is opened according to an open command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제어 패널부의 동작 모드가 간접 모드이며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영상을 송신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oor lock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panel unit is an indirect mode and the master terminal is out of the setting range,
A door lock system comprising: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a registered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visitor image to a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opening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open command received from a master terminal among registered user termina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호출 신호 발생 시각에 매핑하여 등록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등록 저장한 방문자 영상을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panel unit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registering and storing by mapping the visitor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unit to a call signal generation time,
Wherein the door lock control unit transmits and controls the registered and stored visitor image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registered user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연장 촬영 명령에 따라 상기 호출 신호의 단위 지속 시간이 종료 후에도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방문자 영상을 연속하여 촬영 제어하며,
연속 촬영한 방문자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oor lock control unit
Even after the unit duration of the call signal ends according to the extended shoo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the visitor video is continuously captur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camera unit,
A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ly photographed visitor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KR1020190029696A 2019-03-15 2019-03-15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KR102171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6A KR102171004B1 (en) 2019-03-15 2019-03-15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6A KR102171004B1 (en) 2019-03-15 2019-03-15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94A true KR20200109894A (en) 2020-09-23
KR102171004B1 KR102171004B1 (en) 2020-10-29

Family

ID=7270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96A KR102171004B1 (en) 2019-03-15 2019-03-15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00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092A (en) * 2014-06-10 2015-12-22 박성식 Real time door lock using camera
KR20180107822A (en) * 2017-03-23 2018-10-04 이상경 Digital DoorLock connecting with Smart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092A (en) * 2014-06-10 2015-12-22 박성식 Real time door lock using camera
KR20180107822A (en) * 2017-03-23 2018-10-04 이상경 Digital DoorLock connecting with Smar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004B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49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by remote control device
US20170373877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RU2618502C2 (en) Method and device for issuance of tips on air clearing, user equipment and system
US10044966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EP29307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CN106504390A (en) Control method for door lock, apparatus and system
KR200300786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CN104184944A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multimedia data streams
JP6240838B1 (en) Housing management system
CN111971647A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cooperation system of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cooperation method of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KR20190141068A (en) Smart door bell system with face recognition function
US20160123622A1 (en) Air purific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system
CN108294590A (en) Control the method and device of curtain
KR20160134147A (en) Home network interlocking system using of a localwireless communication
KR102171004B1 (en)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CN106445606A (en) Application program starting method and device
KR102142034B1 (en)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ystem for the disabled
WO2018040325A1 (en)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352969B1 (en)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JP4778836B2 (en) Entrance image output system, entrance image output device, entrance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US20200382333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018236A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device
CN110780596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210038916U (en) Access control terminal and system with face recognition function
CN111554282A (en) Switching method of voice control function, intelligent home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