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879A -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79A
KR20200083879A KR1020180174245A KR20180174245A KR20200083879A KR 20200083879 A KR20200083879 A KR 20200083879A KR 1020180174245 A KR1020180174245 A KR 1020180174245A KR 20180174245 A KR20180174245 A KR 20180174245A KR 20200083879 A KR20200083879 A KR 2020008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rea
color
light block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민
오근찬
이각석
주선규
김병철
김인옥
송인석
장지은
장창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879A/ko
Priority to PCT/KR2019/002865 priority patent/WO2020141651A1/ko
Priority to CN201980087268.4A priority patent/CN113272968A/zh
Priority to US17/419,982 priority patent/US20220085114A1/en
Publication of KR2020008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7/3211
    • H01L51/5237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색변환 기판은, 제1 차광영역, 제2 차광영역,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 제2 투광영역 및 제3 투광영역이 정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광부재;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컬러패턴; 상기 제2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상기 제2 색의 광과 다른 제3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2 파장변환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제1 컬러필터는 동일한 색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COLOR CONVERSION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형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대향하는 두 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제공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하며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낮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시야각, 높은 휘도와 콘트라스트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져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표시 장치의 각 화소가 하나의 기본색을 고유하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광원으로부터 시청자에 이르는 광 경로 상에 각 화소마다 색 변환 패턴 또는 파장변환패턴을 배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색변환 기판 및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기판은, 제1 차광영역, 제2 차광영역,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 제2 투광영역 및 제3 투광영역이 정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광부재;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컬러패턴; 상기 제2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상기 제2 색의 광과 다른 제3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2 파장변환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제1 컬러필터는 동일한 색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는 상기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되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비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접촉영역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투광영역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패턴은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되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일부는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투광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중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1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 및 상기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일부는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중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 및 상기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투광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광투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은,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위치하는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상기 제3 컬러필터, 상기 차광부재 및 상기 컬러패턴을 커버하는 제1 캡핑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은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캡핑층은, 상기 차광부재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사이 및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과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혼색방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발광영역 및 제2 발광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발광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박막 봉지층을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과 중첩하는 청색 컬러필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적색 컬러필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청색 컬러필터와 상기 적색 컬러필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차광부재;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광부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컬러패턴; 상기 청색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광투과 패턴; 및 상기 적색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변환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각각 청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장변환패턴은 청색광을 적색광으로 파장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의 색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파장변환패턴은, 베이스 수지와,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분산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투과 패턴 및 상기 파장변환패턴 상에 위치하는 캡핑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캡핑층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충진제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청색 컬러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차광부재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색변환 기판 및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1-X1'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X2-X2'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의 X3-X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4의 X4-X4'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 및 도 4의 X5-X5'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2 컬러필터 및 제3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패턴, 제2 파장변환패턴 및 광투과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색변환 기판으로 입사하는 외광 및 외광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1a-X1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X2a-X2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X3a-X3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X4a-X4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X5a-X5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1b-X1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X2b-X2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X3b-X3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X4b-X4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4의 X5b-X5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X1c-X1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X2c-X2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X3c-X3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2의 X4c-X4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2의 X5c-X5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및 도 43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비록 제1 , 제2 , 제3 , 제4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제3 구성요소, 제4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에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카메라, 자동차에 제공되는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중대형 전자 장비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써,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측”, "상부", "탑", "상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 “하측”, "하부", "바텀", "하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의 개략적 적층 구조를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표시 기판(10), 표시 기판(10)과 대향하는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을 결합하는 실링부(50),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채워진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 예컨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 표시 영역(DA)에 후술할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 및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색변환 기판(30)은 표시 기판(10) 상에 위치하고 표시 기판(10)과 대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은 입사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변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색변환 패턴은 컬러필터와 파장변환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50)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은 실링부(5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부(5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링부(50)는 에폭시계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50)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다. 충진제(70)는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를 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충진제(70)는 Si계 유기물질, 에폭시계 유기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표시 영역에서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부가하여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기판(10)에는 복수의 발광 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및 비발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영역(LA1, LA2, LA3, LA4, LA5, LA6)은 표시 기판(10)의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비발광 영역(NLA)은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발광 영역(LA1, LA2, LA3, LA4, LA5, LA6)에서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제1 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색의 광은 청색광일 수 있으며, 약 430nm 내지 약 47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기판(10) 중 제1 행(RL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및 제3 발광영역(LA3)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행(RL1)과 인접한 제2 행(RL2)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발광영역(LA4), 제5 발광영역(LA5) 및 제6 발광영역(LA6)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1 발광영역(LA1)의 제1 폭(WL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 및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과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발광영역(LA2)의 제2 폭(WL2)은, 제3 발광영역(LA3)의 제3 폭(WL3)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영역(LA1)의 면적은,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2 발광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영역(LA3)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발광영역(LA1)과 인접한 제4 발광영역(LA4)은 제2 행(RL2)에 위치하는 점에서만 제1 발광영역(LA1)과 상이하며, 폭, 면적 및 영역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구조는 제1 발광영역(L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2 발광영역(LA2)과 제5 발광영역(LA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3 발광영역(LA3)과 제6 발광영역(LA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색변환 기판(30)에는 복수의 투광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및 차광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투광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색변환 기판(30)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차광영역(BA)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투과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서 색변환 기판(30) 중 제1 행(RT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은 제1 발광영역(LA1)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1 발광영역(LA1)과 중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투광영역(TA2)은 제2 발광영역(LA2)에 대응하고 제3 투광영역(TA3)은 제3 발광영역(LA3)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기판(10)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색의 광은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1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2 투광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2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3 투광영역(TA3)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3 출사광이라 지칭하면, 상기 제1 출사광은 상기 제1 색의 광이고, 상기 제2 출사광은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의 광이고, 상기 제3 출사광은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과 다른 제3 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색의 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430nm 내지 약 47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갖는 청색광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색의 광은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색의 광은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행(RT1)과 인접한 제2 행(RT2)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 제5 투광영역(TA5) 및 제6 투광영역(TA6)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4 투광영역(TA4)은 제4 발광영역(LA4)에 대응하고 제5 투광영역(TA5)은 제5 발광영역(LA5)에 대응하고 제6 투광영역(TA6)은 제6 발광영역(LA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및 제3 발광영역(LA3)과 유사하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1 투광영역(TA1)의 제1 폭(WT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 및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과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투광영역(TA2)의 제2 폭(WT2)은, 제3 투광영역(TA3)의 제3 폭(WT3)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은,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 및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2 투광영역(TA2)의 면적 및 제3 투광영역(TA3)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투광영역(TA1)과 제4 투광영역(TA4)은 폭, 면적 및 영역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구조 및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2 투광영역(TA2)과 제5 투광영역(TA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3 투광영역(TA3)과 제6 투광영역(TA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색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내에서 색변환 기판(30)의 투광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주변에는 차광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영역(BA)을 영역별로 구분하면,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제3 차광영역(BA3), 제4 차광영역(BA4), 제5 차광영역(BA5), 제6 차광영역(BA6) 및 제7 차광영역(BA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영역(BA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과 제2 투광영역(TA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차광영역(BA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투광영역(TA2)과 제3 투광영역(TA3)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차광영역(BA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3 투광영역(TA3)과 제1 투광영역(TA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차광영역(BA4)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과 제5 투광영역(TA5) 사이에 위치하고, 제5 차광영역(BA5)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5 투광영역(TA5)과 제6 투광영역(TA6) 사이에 위치하고, 제6 차광영역(BA6)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6 투광영역(TA6)과 제4 투광영역(TA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영역(BA7)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인접하는 제1 행(RT1)과 제2 행(RT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3 및 도 4의 X2-X2'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3 및 도 4의 X3-X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3 및 도 4의 X4-X4'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3 및 도 4의 X5-X5'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부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 및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기판(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베이스부(1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가 플라스틱 기판인 경우, 제1 베이스부(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컨대 버퍼층 또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에는 복수의 발광 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및 비발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10) 상에는 스위칭 소자들(T1, T2, T3)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영역(LA1)에는 제1 스위칭 소자(T1)가 위치하고, 제2 발광영역(LA2)에는 제2 스위칭 소자(T2)가 위치하고 제3 발광영역(LA3)에는 제3 스위칭 소자(T3)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및 제3 스위칭 소자(T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발광 영역(NL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외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제1 베이스부(110) 상에는 각 스위칭 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선들(예컨대, 게이트선, 데이터선, 전원선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및 제3 스위칭 소자(T3) 상에는 절연막(13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연막(13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포지티브 감광성 재료 또는 네거티브 감광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130) 위에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제1 발광영역(LA1) 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제2 발광영역(LA2)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제3 발광영역(LA3)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1 스위칭 소자(T1)와 연결되고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2 스위칭 소자(T2)와 연결되고,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제3 스위칭 소자(T3)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폭 또는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및 Cr와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상기 금속층 위에 적층된 금속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ITO/Ag, Ag/ITO, ITO/Mg,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와 같은 다중층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화소정의막(15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50)은 제1 애노드 전극(AE1)을 노출하는 개구부, 제2 애노드 전극(AE2)을 노출하는 개구부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제3 발광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애노드 전극(AE1) 중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1 발광영역(LA1)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애노드 전극(AE2) 중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2 발광영역(LA2)일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 중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3 발광영역(LA3)일 수 있다. 그리고 화소정의막(150)이 위치하는 영역은 비발광 영역(NLA)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정의막(15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유기 발광층(OL)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제1 색의 광(L1), 예컨대 청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OL)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청색 발광층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두개의 청색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OL)은 복수의 발광 영역(LA1, LA2, LA3, LA4, LA5, LA6) 및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 형성된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층(OL1), 제2 유기층(OL2) 및 제3 유기층(OL3) 상에는 캐소드 전극(CE)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 또는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상기 반투과성을 갖는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Ag, Mg, Cu,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 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CE)의 두께가 수십 내지 수백 옹스트롬인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투과성을 갖는 경우, 캐소드 전극(CE)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소드 전극(CE)은 WxOx(tungsten oxide), TiO2(Titan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MgO(magnesium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1 유기발광소자(ED1)를 이루고, 제2 애노드 전극(AE2),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2 유기발광소자(ED2)를 이루고, 제3 애노드 전극(AE3), 유기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3 유기발광소자(ED3)를 이룰 수 있다. 제1 유기발광소자(ED1), 제2 유기발광소자(ED2) 및 제3 유기발광소자(ED3)는 각각 제1 색의 광(L1), 예컨대 청색광을 색변환 기판(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CE) 상에는 박막 봉지층(17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170)은 제1 발광영역(LA1), 제2 발광영역(LA2), 제3 발광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을 직접 커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과 캐소드 전극(CE) 사이에는, 캐소드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도면 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3) 및 제2 봉지 무기막(17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봉지 무기막(171) 및 제2 봉지 무기막(175)은 각각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리튬 플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 유기막(173)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박막 봉지층(170)의 구조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박막 봉지층(170)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에 부가하여 도 10 내지 도 15를 더 참조하여 색변환 기판(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컬러필터 및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2 컬러필터 및 제3 컬러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파장변환패턴, 제2 파장변환패턴 및 광투과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 베이스부(3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시적으로 무기막 등의 절연층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광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 및 차광영역(BA)이 정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 및 컬러패턴(2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231)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상에 위치하고,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영역(TA1)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231)와 제4 투광영역(TA4)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231)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231)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필터(231)는 청색 컬러필터(blue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패턴(250)은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색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광은 상당 부분 반사되어 색변환 기판(30)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부(310) 위에 컬러패턴(250)이 위치하는 경우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제1 컬러필터(2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컬러필터(231)의 형성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패턴(250)이 청색의 색재를 포함하는 경우, 컬러패턴(250)을 투과한 외광 또는 반사광은 청색 파장대역을 갖게 된다. 사용자의 눈이 인식하는 색상별 민감도(eye color sensibility)는 광의 색상에 따라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색 파장대역의 광은 녹색 파장대역의 광 및 적색 파장대역의 광보다 사용자에게 보다 덜 민감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컬러패턴(250)이 청색의 색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반사광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다.
컬러패턴(250)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차광영역(BA) 중, 제2 차광영역(BA2), 제5 차광영역(BA5) 및 제7 차광영역(BA7)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차광영역(BA1), 제3 차광영역(BA3), 제4 차광영역(BA4) 및 제6 차광영역(BA6)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제7 차광영역(BA7) 중 제1 차광영역(BA1)과 제4 차광영역(BA4) 사이 및 제3 차광영역(BA3)과 제6 차광영역(BA6) 사이에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251), 제7 차광영역(BA7) 중 일부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패턴(252) 및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패턴(25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패턴(251) 및 제3 컬러패턴(253)은 제2 컬러패턴(25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차광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부재(220)는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하여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대략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은 색변환 패널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부(310) 위에 차광부재(220)가 위치하는 경우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인접한 투광영역 간에 광이 침범하여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색 재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는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재(221),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재(222), 제3 차광영역(BA3) 내에 위치하는 제3 차광부재(223), 제4 차광영역(BA4) 내에 위치하는 제4 차광부재(224),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하는 제5 차광부재(225), 제6 차광영역(BA6) 내에 위치하는 제6 차광부재(226) 및 제7 차광영역(BA7) 내에 위치하는 제7 차광부재(227)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차광부재(221), 제2 차광부재(222) 및 제3 차광부재(223)는 제7 차광부재(227)와 연결되고, 제4 차광부재(224), 제5 차광부재(225) 및 제6 차광부재(226)도 제7 차광부재(227)와 연결될 수 있다.
차광부재(220)의 일부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차광부재(220)의 다른 일부, 예컨대 컬러패턴(250)과 중첩하는 부분은 컬러패턴(2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220) 중 컬러패턴(250)과 비중첩하는 제7 차광부재(227)의 일부분, 제1 차광부재(221), 제3 차광부재(223), 제4 차광부재(224) 및 제6 차광부재(226)는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 중 제2 컬러패턴(252)과 중첩하는 부분, 제1 컬러패턴(251)과 중첩하는 제2 차광부재(222) 및 제3 컬러패턴(253)과 중첩하는 제5 차광부재(225)는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차광부재(220)와 접촉하는 부분을 제1 접촉영역이라 지칭하고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컬러패턴(250)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제2 접촉영역이라 지칭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영역(S1)은 제1 차광영역(BA1), 제3 차광영역(BA3), 제4 차광영역(BA4) 및 제6 차광영역(BA6)에 위치하고, 제7 차광영역(BA7) 중 제1 차광영역(BA1)과 제4 차광영역(BA4) 사이 및 제3 차광영역(BA3)과 제6 차광영역(BA6)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영역(S1)은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이외 차광영역(BA) 중 제1 접촉영역(S1) 이외의 영역에 제2 접촉영역(S2)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제2 접촉영역(S2)은 도 10에 도시된 컬러패턴(250)이 배치된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제1 접촉영역(S1)은 도 11에 도시된 차광부재(220)가 배치된 영역 중에서, 도 12에 도시된 컬러패턴(250)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컬러필터(233)는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컬러필터(235)는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의 일측은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차광부재(22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필터(233)의 타측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컬러패턴(251) 및 제2 차광부재(2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컬러필터(235)의 일측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고 제1 컬러패턴(251) 및 제2 차광부재(2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컬러필터(235)의 타측은 제3 차광영역(BA3)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차광부재(22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는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T1)과 제2 행(RT2) 사이의 제7 차광영역(BA7)을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는 제7 차광부재(227)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는 각각 제2 컬러패턴(252) 및 제7 차광부재(227)를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2 컬러필터(233)는 청색광을 차단하는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필터(233)는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컬러필터(233)는 적색 컬러필터(red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적색의 색재(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컬러필터(235)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3 컬러필터(235)도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컬러필터(235)는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컬러필터(235)는 녹색 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녹색의 색재(green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차광부재(220), 컬러패턴(250),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를 커버하는 제1 캡핑층(391)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은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차광부재(220)와 더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1 차광부재(221)는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광영역(BA2)에서 제2 차광부재(222)는 제1 캡핑층(39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3 차광부재(223)는 제1 캡핑층(391)과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에서 제7 차광부재(227)도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차광부재(220), 컬러패턴(250),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 등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351)은 제1 컬러필터(231),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에 포함된 색재가 다른 구성, 예컨대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층(39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핑층(391) 상에는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이 위치할 수 있다.
광투과 패턴(33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T1)과 제2 행(RT2) 사이의 제7 차광영역(BA7)을 가로지를 수 있다.
광투과 패턴(330)은 입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은 광투과 패턴(330) 및 제1 컬러필터(231)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1 투광영역(TA1)에서 출사되는 제1 출사광은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방출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45)은 제1 베이스 수지(331) 및 제1 베이스 수지(331) 내에 분산된 제1 산란체(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33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33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33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유기입자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광투과 패턴(330)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랜덤한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은 광투과 패턴(330) 및 제1 컬러필터(231)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1 투광영역(TA1)에서 출사되는 제1 출사광은 제1 유기발광소자(ED1)에서 방출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일 수 있다.
제1 파장변환패턴(34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2 투광영역(TA2) 및 제5 투광영역(TA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패턴(3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T1)과 제2 행(RT2) 사이의 제7 차광영역(BA7)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1 파장변환패턴(34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패턴(340)은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인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변환패턴(340)은 제2 베이스 수지(341) 및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1 파장 시프터(3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2 산란체(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34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4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시프터(345)는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4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하는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그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갭을 가져 빛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반도체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45)가 방출하는 광은 약 45nm 이하, 또는 약 40nm 이하, 또는 약 30nm 이하의 발광 파장 스펙트럼 반치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시 장치(1)가 표시하는 색의 색 순도와 색 재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 제1 파장 시프터(345)가 방출하는 광은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여러 방향을 향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투광영역(TA2)에서 표시되는 제2 색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유기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제1 색의 광(L1)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345)에 의해 적색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변환패턴(340)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제1 색의 광(L1)중 제1 파장변환패턴(340)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2 컬러필터(233)에 입사한 성분은, 제2 컬러필터(233)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제1 색의 광(L1)중 제1 파장변환패턴(340)에 의해 변환된 적색광은 제2 컬러필터(233)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제2 투광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적색광인 제2 색의 광(L2)일 수 있다.
제2 산란체(343)는 제2 베이스 수지(34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2 베이스 수지(34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34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2 산란체(34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3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2 파장변환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되 제3 투광영역(TA3) 및 제6 투광영역(TA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패턴(3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행(RT1)과 제2 행(RT2) 사이의 제7 차광영역(BA7)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2 파장변환패턴(35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패턴(350)은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변환패턴(350)은 제3 베이스 수지(351) 및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된 제2 파장 시프터(3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된 제2 산란체(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35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시프터(355)는 430nm 내지 47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5)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제1 파장 시프터(34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시프터(345) 및 제2 파장 시프터(355)는 모두 양자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파장 시프터(345)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은 제2 파장 시프터(355)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산란체(353)는 제3 베이스 수지(35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3 베이스 수지(35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35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2 산란체(35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2 산란체(34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2 파장변환패턴(350)에는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방출된 제1 색의 광(L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파장 시프터(355)는 제3 유기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제1 색의 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청색광인 제1 색의 광(L1)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355)에 의해 녹색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변환패턴(350)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3 컬러필터(23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제1 색의 광(L1) 중 제2 파장변환패턴(350)에 의해 변환된 녹색광은 제3 컬러필터(235)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제3 투광영역(TA3)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녹색광인 제3 색의 광(L3)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 상에는 제2 캡핑층(39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접촉할 수 있으며,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변환패턴(340) 및 제2 파장변환패턴(350)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캡핑층(391)의 설명에서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과 제2 캡핑층(393)이 모두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캡핑층(391)과 제2 캡핑층(393)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무기-무기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핑층(393) 상에는 혼색방지부재(370)가 위치할 수 있다. 혼색방지부재(370)는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하여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혼색방지부재(370)는 광투과 패턴(330)과 제1 파장변환패턴(340) 사이 및 제1 파장변환패턴(340)과 제2 파장변환패턴(350)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투광영역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혼색방지부재(370)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혼색방지부재(370)는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색변환 기판(30)과 표시 기판(1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핑층(393)과 박막 봉지층(170) 사이 및 혼색방지부재(370)와 박막 봉지층(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제2 캡핑층(393) 및 혼색방지부재(37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색변환 기판으로 입사하는 외광 및 외광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투광영역(TA1)으로 입사한 외광(LW1) 중 적색 파장성분 및 녹색 파장성분은 제1 컬러필터(231)에 의해 차단된다. 하지만 외광(LW1) 중 청색 파장성분은 제1 컬러필터(231)를 투과하며, 광투과 패턴(330) 또는 제1 산란체(333)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1 투광영역(TA1)에서의 반사광(LR1)은 청색 파장성분을 갖는 청색광인 바, 제1 컬러필터(231)를 투과할 수 있다. 다만, 제1 차광영역(BA1) 내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재(221)는 파장과 무관하게 입사광을 차단하는 바, 청색광인 반사광(LR1)은 제1 차광부재(22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광(LW1)의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투광영역(TA2)으로 입사한 외광(LW2) 중 녹색 파장성분 및 청색 파장성분은 제2 컬러필터(233)에 의해 차단된다. 하지만 외광(LW2) 중 적색 파장성분은 제2 컬러필터(233)를 투과하며, 제1 파장변환패턴(340) 또는 제2 산란체(343) 또는 제1 파장 시프터(345)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2 투광영역(TA2)에서의 반사광(LR2)은 적색 파장성분을 갖는 적색광인 바, 제2 컬러필터(233)를 투과할 수 있다. 다만,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251)은 청색광을 투과시키되 적색광 및 녹색광을 차단하는 바, 적색광인 반사광(LR2)은 제1 컬러패턴(25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광(LW2)의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투광영역(TA3)으로 입사한 외광 중 제2 파장변환패턴(35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녹색광일 수 있으나, 상기 반사광인 녹색광은 제3 차광영역(BA3)에 위치하는 제3 차광부재(223) 및 제2 차광영역(BA2)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25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제1 차광영역(BA1)으로 입사한 외광(LW3)은 제1 차광부재(22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하지만 외광(LW3) 중 일부는 제1 차광부재(221)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제1 차광영역(BA1)에서의 반사광(LR3)은 적색 파장성분, 녹색 파장성분 및 청색 파장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반사광(LR3)이 적색광 및 녹색광은 청색광 대비 사용자의 눈이 인식하는 민감도가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사광(LR3)을 민감하게 인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반면, 제2 차광영역(BA2)으로 입사한 외광(LW4) 중 적색 파장성분 및 녹색 파장성분은 제1 컬러패턴(251)에 의해 차단된다. 외광(LW4) 중 청색 파장성분은 제1 컬러패턴(251)을 투과할 수 있으나, 제1 컬러패턴(251)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재(222)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차광부재(222)에 의해 부분적으로 광이 반사되더라도, 반사광(LR4)은 청색 파장성분을 갖는 바, 사용자가 반사광(LR4)을 민감하게 인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투광영역(TA1) 주변에는 제2 베이스부(210)와 차광부재(도 11의 220)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도 12의 S1)를 배치하고, 제2 투광영역(TA2)과 제3 투광영역(TA3) 사이에는 제2 베이스부(210)와 컬러패턴(도 10의 250)이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도 12의 S2)를 배치함으로써, 제1 투광영역(TA1)의 면적을 의도한 설계대로 확보함과 동시에 외광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광영역(도 12의 BA) 내에 제2 접촉영역(도 12의 S2)만을 배치하지 않고 제1 접촉영역(도 12의 S1)을 더 배치함으로써 반사광에 의해 표시색상이 푸르스름하게 변화하는 것, 즉 표시색상이 블루이쉬(bluish)하게 변화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X1a-X1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X2a-X2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X3a-X3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X4a-X4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2는 도 17의 X5a-X5a'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는 표시 기판(10), 색변환 기판(30a) 및 충진제(7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a)는 색변환 기판(30a)의 구성, 특히 색변환 기판(30a)의 컬러패턴(250a)이 도 5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컬러패턴(250a)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차광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a)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a)은 차광영역(BA) 중, 제1 차광영역(BA1)의 일부, 제3 차광영역(BA3)의 일부 및 제7 차광영역(BA7)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패턴(250a)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251), 제7 차광영역(BA7)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패턴(252) 및 제4 컬러패턴(254),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패턴(253), 제1 차광영역(BA1) 중 일부영역, 제4 차광영역(BA4) 중 일부영역 및 제7 차광영역(BA7) 중 일부영역에 위치하는 제5 컬러패턴(255), 제3 차광영역(BA3) 중 일부영역, 제6 차광영역(BA6) 중 일부영역 및 제7 차광영역(BA7) 중 일부영역에 위치하는 제6 컬러패턴(2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패턴(251) 및 제3 컬러패턴(25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컬러패턴(252)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 및 제6 컬러패턴(256)은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패턴(252)과 연결되고,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6 컬러패턴(256)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패턴(252)과 연결되고,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제6 차광영역(BA6)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은 제7 차광영역(BA7)에 위치하고 제5 컬러패턴(255) 및 제6 컬러패턴(25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5 컬러패턴(255) 및 제6 컬러패턴(256)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10) 및 컬러패턴(250a) 상에는 차광부재(도 11의 2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차광부재(도 11의 220)의 평면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차광부재(도 11의 220)의 일부, 예컨대 컬러패턴(250a)과 비중첩하는 부분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고, 차광부재(220)의 다른 일부, 예컨대 컬러패턴(250a)과 중첩하는 부분은 컬러패턴(25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영역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차광부재(도 11의 220)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S1a)은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행(RT1)에서 제1 접촉영역(S1a)은 제1 차광영역(BA1)의 일부, 제3 차광영역(BA3)의 일부 및 제7 차광영역(BA7)의 일부에 위치하여 제1 투광영역(TA1)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a)과 제1 투광영역(TA1) 사이에는 제2 접촉영역(S2a)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a)과 제3 투광영역(TA3) 사이 및 제1 접촉영역(S1a)과 제2 투광영역(TA2) 사이에는 제2 접촉영역(S2a) 만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행(RT2)에서 제1 접촉영역(S1a)은 제4 차광영역(BA4)의 일부, 제6 차광영역(BA6)의 일부 및 제7 차광영역(BA7)의 일부에 위치하여 제4 투광영역(TA4)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a)과 제4 투광영역(TA4) 사이에는 제2 접촉영역(S2a)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a)과 제6 투광영역(TA6) 사이 및 제1 접촉영역(S1a)과 제5 투광영역(TA5) 사이에는 제2 접촉영역(S2a) 만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행(RT1) 내의 제1 접촉영역(S1a)과 제2 행(RT2) 내의 제1 접촉영역(S1a)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되,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과 제4 투광영역(TA4) 사이에는 제1 접촉영역(S1a), 제2 접촉영역(S2a) 및 제1 접촉영역(S1a)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촉영역(S2a)은 차광영역(BA) 중 제1 접촉영역(S1a)이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촉영역(S2a)의 평면 형상은 도 16에 도시된 컬러패턴(250a)이 배치된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면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와 이격되고 제2 컬러필터(22)와 접촉하는 제5 컬러패턴(255)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차광부재(221)는 제5 컬러패턴(25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부재(221)는 제5 컬러패턴(255)의 일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부재(221)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컬러필터(231)와 제5 컬러패턴(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영역(BA2)에서 제2 차광부재(222)는 제1 컬러패턴(25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와 이격되고 제3 컬러필터(235)와 접촉하는 제6 컬러패턴(256)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차광부재(223)의 일부는 제6 컬러패턴(256)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컬러패턴(256)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차광부재(223)는 제6 컬러패턴(256)의 일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a)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차광부재(223)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컬러필터(231)와 제6 컬러패턴(25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투광영역(TA1) 내의 제1 컬러필터(231)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이격된 제4 컬러패턴(254)이 위치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의 일부는 제4 컬러패턴(25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는 제4 컬러패턴(254)의 양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a)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투광영역(TA1)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제4 컬러패턴(254) 사이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제4 컬러패턴(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BA7) 중 제2 투광영역(TA2)과 제5 투광영역(TA5) 사이 및 제3 투광영역(TA3)과 제6 투광영역(TA6) 사이에는 제2 컬러패턴(252)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패턴(252)은 제2 베이스부(3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컬러패턴(252)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컬러패턴(252) 상에는 제7 차광부재(227)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외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X1b-X1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X2b-X2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7은 도 24의 X3b-X3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8은 도 24의 X4b-X4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9는 도 24의 X5b-X5b'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는 표시 기판(10), 색변환 기판(30b) 및 충진제(7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b)는 색변환 기판(30b)의 구성, 특히 색변환 기판(30b)의 컬러패턴(250b)이 도 15 내지 도 22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패턴(250b)은 제2 차광영역(BA2)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패턴(251), 제7 차광영역(BA7)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패턴(252) 및 제4 컬러패턴(2541), 제5 차광영역(BA5)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패턴(253), 제1 차광영역(BA1) 중 일부영역, 제4 차광영역(BA4) 중 일부영역 및 제7 차광영역(BA7) 중 일부영역에 위치하는 제5 컬러패턴(2551), 제3 차광영역(BA3) 중 일부영역, 제6 차광영역(BA6) 중 일부영역 및 제7 차광영역(BA7) 중 일부영역에 위치하는 제6 컬러패턴(25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패턴(251) 및 제3 컬러패턴(25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컬러패턴(252)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1) 및 제6 컬러패턴(2561)은 각각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1)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패턴(252)과 이격된다. 제5 컬러패턴은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 및 제2 투광영역(TA2)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 및 제5 투광영역(TA5)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6 컬러패턴(2561)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컬러패턴(252)과 이격된다. 제6 컬러패턴(2561)은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 및 제3 투광영역(TA3)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제6 차광영역(BA6)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제4 투광영역(TA4) 및 제6 투광영역(TA6)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1)은 제7 차광영역(BA7)에 위치하고 제5 컬러패턴(2551) 및 제6 컬러패턴(25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5 컬러패턴(2551) 및 제6 컬러패턴(2561)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1)은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접촉영역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차광부재(도 11의 220)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S1b)의 일부는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영역(S1b)의 다른 일부는 제3 차광영역(BA3) 및 제6 차광영역(BA6)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b)의 또 다른 일부는 제1 차광영역(BA1) 및 제4 차광영역(BA4)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차광영역(BA1) 및 제3 차광영역(BA3) 내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b), 제2 접촉영역(S2b) 및 제1 접촉영역(S1b)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7 차광영역(BA7) 중 제1 투광영역(TA1)과 제4 투광영역(TA4) 사이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b), 제2 접촉영역(S2b) 및 제1 접촉영역(S1b)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단면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와 이격된 제5 컬러패턴(255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차광부재(221)는 제5 컬러패턴(25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컬러패턴(2551)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부재(221)는 제5 컬러패턴(2551)의 양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부재(221)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컬러필터(231)와 제5 컬러패턴(255) 사이 및 제2 컬러필터(233)와 제5 컬러패턴(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영역(BA2)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2 컬러필터(233) 및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제1 컬러패턴(251)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차광부재(222)는 제1 컬러패턴(25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컬러필터(231)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이격된 제6 컬러패턴(256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차광부재(223)의 일부는 제6 컬러패턴(256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컬러패턴(2561)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차광부재(223)는 제6 컬러패턴(2561)의 양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차광부재(223)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컬러필터(231)와 제6 컬러패턴(2561) 사이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제6 컬러패턴(25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1 투광영역(TA1) 내의 제1 컬러필터(231)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이격된 제4 컬러패턴(2541)이 위치할 수 있다. 제4 컬러패턴(2541)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의 일부는 제4 컬러패턴(254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는 제4 컬러패턴(2541)의 양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투광영역(TA1)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제4 컬러패턴(2541) 사이 및 제4 투광영역(TA4) 내의 제1 컬러필터(231)와 제4 컬러패턴(25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BA7) 중 제2 투광영역(TA2)과 제5 투광영역(TA5) 사이 및 제3 투광영역(TA3)과 제6 투광영역(TA6) 사이에는 제2 컬러패턴(252)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컬러패턴(252)은 제2 베이스부(3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컬러패턴(252)은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2 접촉영역(S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컬러패턴(252) 상에는 제7 차광부재(227)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외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컬러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도 31의 X1c-X1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X2c-X2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4는 도 32의 X3c-X3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5는 도 32의 X4c-X4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6은 도 32의 X5c-X5c'를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c)는 표시 기판(10), 색변환 기판(30c) 및 충진제(7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c)는 색변환 기판(30c)의 구성, 특히 색변환 기판(30c)의 컬러패턴(250c)이 도 5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패턴(250c)은 차광영역(BA) 내에 평면상 대략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컬러패턴(250c)은 차광영역(BA)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제3 차광영역(BA3), 제4 차광영역(BA4), 제5 차광영역(BA5), 제6 차광영역(BA6) 및 제7 차광영역(BA7)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접촉영역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차광부재(도 11의 220)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S1c)은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제3 투광영역(TA3), 제4 투광영역(TA4), 제5 투광영역(TA5) 및 제6 투광영역(TA6)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행(RT1)에서 제1 접촉영역(S1a)은 제1 차광영역(BA1)의 일부, 제3 차광영역(BA3)의 일부 및 제7 차광영역(BA7)의 일부에 위치하여 제1 투광영역(TA1)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 접촉영역(S1c)은 제2 접촉영역(S2c)을 사이에 두고 분리될 수 있다.
단면 관점에서 설명하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광영역(BA1)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고 제1 컬러필터(231) 및 제2 컬러필터(233)와 이격된 컬러패턴(250c)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차광부재(221)는 컬러패턴(250c) 상에 위치하고 컬러패턴(250c)의 양측을 감쌀 수 있다. 제1 차광부재(221) 중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제1 차광영역(BA1) 내에서 제1 컬러필터(231)와 컬러패턴(250c) 사이 및 제2 컬러필터(233)와 컬러패턴(250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영역(BA2)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고 제2 컬러필터(233)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이격된 컬러패턴(250c)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차광부재(222)는 컬러패턴(250c)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컬러패턴(250c)의 양측을 감쌀 수 있다. 제2 차광영역(BA2) 내에서 제2 차광부재(222)와 제2 베이스부(310)가 접촉하는 부분은 컬러패턴(250c)과 제2 컬러필터(233) 사이 및 컬러패턴(250c)과 제3 컬러필터(2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차광영역(BA3)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고 제1 컬러필터(231) 및 제3 컬러필터(235)와 이격된 컬러패턴(250c)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차광부재(223)는 컬러패턴(250c)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컬러패턴(250c)의 양측을 감쌀 수 있다. 제3 차광영역(BA3) 내에서 제3 차광부재(223)와 제2 베이스부(310)가 접촉하는 부분은 컬러패턴(250c)과 제1 컬러필터(231) 사이 및 컬러패턴(250c)과 제3 컬러필터(2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2 베이스부(310) 상에는 제2 베이스부(310)와 접촉하는 컬러패턴(250c)이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부재(227)는 제4 컬러패턴(2541)의 양측을 감쌀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하여 제1 접촉영역(S1c)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외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을 기준으로 색변환 기판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접촉영역은 차광부재와 제2 베이스부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이며, 제2 접촉영역은 컬러패턴과 제2 베이스부가 직접 접촉하는 영역임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바, 이하에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및 도 43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 접촉영역 및 제2 접촉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d)은 제1 접촉영역(S1d)이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제1 행(RT1) 내의 제1 접촉영역(S1d)과 제2 행(RT2) 내의 제1 접촉영역(S1d)이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지 않는 점에서 도 5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제2 접촉영역(S2d)은 차광영역(BA) 중 제1 접촉영역(S1d)이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행(RT1)에서, 도 37의 맨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 은 제1 접촉영역(S1d)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으며,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은 제1 접촉영역(S1d)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행(RT2)에서, 도 37의 맨 좌측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 은 제1 접촉영역(S1d)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으며,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은 제1 접촉영역(S1d)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제1 행(RT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과 다섯번째에 위치하는 제2 투광영역(TA2) 사이 및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과 그 좌측에 위치하는 제3 투광영역(TA3) 사이에는 제2 접촉영역(S2d)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과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 사이의 제7 차광영역(BA7)에는 제2 접촉영역(S2d)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네번째에 제1 투광영역(TA1)과 다섯번째에 위치하는 제2 투광영역(TA2) 사이의 제2 차광영역(BA2) 및 네번째에 제1 투광영역(TA1)과 세번째에 위치하는 제3 투광영역(TA3) 사이의 제3 차광영역(BA3)에는 제1 접촉영역(S1d)만이 위치하고 제2 접촉영역(S2d)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행(RT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첫번째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6 차광영역(BA6) 및 제4 차광영역(BA4)에는 제1 접촉영역(S1d)만이 위치하고 제2 접촉영역(S2d)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7 차광영역(BA7) 중 첫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과 첫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 사이 영역 및 네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과 네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 사이 영역에도 제1 접촉영역(S1d)만이 위치하고 제2 접촉영역(S2d)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e)은 제1 접촉영역(S1e) 주변에 제1 접촉영역(S1e)을 둘러싸는 제2 접촉영역(S2e)이 위치하는 점에서 도 37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1 행(RT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차광영역(BA3)과 제1 차광영역(BA1)에는 제1 접촉영역(S1e) 및 제2 접촉영역(S2e)이 제1 방향(D1)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e)은 제2 접촉영역(S2e)보다 상대적으로 네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행(RT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첫번째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6 차광영역(BA6)과 제4 차광영역(BA4)에는 제1 접촉영역(S1e) 및 제2 접촉영역(S2e)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e)은 제2 접촉영역(S2e)보다 상대적으로 첫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영역(BA7) 중 첫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과 첫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 사이 영역에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e) 및 제2 접촉영역(S2e)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e)은 제2 접촉영역(S2e)보다 상대적으로 첫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영역(BA7) 중 네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과 네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 사이 영역에도 제1 접촉영역(S1e) 및 제2 접촉영역(S2e)이 제2 방향(D2)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접촉영역(S1e)은 제2 접촉영역(S2e)보다 상대적으로 네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f)은 제1 접촉영역(S1f)이 제1 투광영역(TA1) 및 제4 투광영역(TA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2 접촉영역(S2f)이 제1 접촉영역(S1f)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2 접촉영역(S2f)의 외측을 다시 제1 접촉영역(S1f)이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점에서 도 38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1 행(RT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TA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차광영역(BA3)과 제1 차광영역(BA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f), 제2 접촉영역(S2f) 및 제1 접촉영역(S1f)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행(RT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첫번째에 위치하는 제4 투광영역(TA4)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차광영역(BA3)과 제1 차광영역(BA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f), 제2 접촉영역(S2f) 및 제1 접촉영역(S1f)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7 차광영역(BA7) 중 첫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과 첫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 사이 영역 및 제7 차광영역(BA7) 중 네번째의 제1 투광영역(TA1)과 네번째의 제4 투광영역(TA4) 사이 영역에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접촉영역(S1f), 제2 접촉영역(S2f), 제1 접촉영역(S1f)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g)은 제1 접촉영역(S1g)이 제7 차광영역(BA7),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및 제3 차광영역(BA3) 전체에 걸쳐 위치하며, 제2 접촉영역(S2g)은 제4 차광영역(BA4), 제5 차광영역(BS5) 및 제6 차광영역(BA6)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행(RT1)에서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은 제1 접촉영역(S1g)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1 행(RT1)에는 제2 접촉영역(S2g)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행(RT2)에서 제4 투광영역(TA4), 제5 투광영역(TA5) 및 제6 투광영역(TA6)은 제1 접촉영역(S1g)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h)은 제1 접촉영역(S1h)이 제1 행(RT1)에만 위치하고 제1 투광영역(TA1), 제2 투광영역(TA2) 및 제3 투광영역(TA3)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행(RT1)에서 제1 투광영역(TA1)을 둘러싸는 제1 접촉영역(S1h), 제2 투광영역(TA2)을 둘러싸는 제1 접촉영역(S1h) 및 제3 투광영역(TA3)을 둘러싸는 제1 접촉영역(S1h)은 제2 접촉영역(S2h)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제7 차광영역(BA7), 제1 차광영역(BA1), 제2 차광영역(BA2) 및 제3 차광영역(BA3)에는 제1 접촉영역(S1h) 및 제2 접촉영역(S2h)이 모두 위치하며, 제4 차광영역(BA4), 제5 차광영역(BS5) 및 제6 차광영역(BA6)에는 제1 접촉영역(S1h)이 배치되지 않고 제2 접촉영역(S2h)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i)은 제7 차광영역(BA7)에 제1 접촉영역(S1i)이 더 위치하며,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1 접촉영역(S1i), 제2 접촉영역(S2i) 및 제1 접촉영역(S1i)이 제2 방향(D2)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점에서 도 41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색변환 기판(30j)은 제7 차광영역(BA7)에 제2 접촉영역(S2j)이 더 위치하며, 제7 차광영역(BA7)에서 제1 접촉영역(S1j) 및 제2 접촉영역(S2j)이 제2 방향(D2)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점, 제1 접촉영역(S1j)이 제2 접촉영역(S2j)보다 제1 행(RT1)에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점에서 도 40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제1 차광영역, 제2 차광영역,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투광영역, 제2 투광영역 및 제3 투광영역이 정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투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컬러필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광부재;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컬러패턴;
    상기 제2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색의 광을 상기 제2 색의 광과 다른 제3 색의 광으로 파장 변환하는 제2 파장변환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제1 컬러필터는 동일한 색재를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투광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는 상기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컬러필터는 상기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을 차단하는 색변환 기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되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비접촉하는 색변환 기판.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접촉영역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투광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색변환 기판.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패턴은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되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일부는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접 접촉하는 색변환 기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투광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중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1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 및 상기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 더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일부는 상기 컬러패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접 접촉하는 색변환 기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영역 내에서 상기 차광부재와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1 접촉영역은,
    상기 제1 차광영역 중에서, 상기 컬러패턴과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하는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 및 상기 제2 접촉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투광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투광영역과 상기 제3 투광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광투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은,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위치하는 산란체를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상기 제3 컬러필터, 상기 차광부재 및 상기 컬러패턴을 커버하는 제1 캡핑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은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는 색변환 기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은, 상기 차광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색변환 기판.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및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을 커버하는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 사이 및 상기 제1 파장변환패턴과 상기 제2 파장변환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혼색방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
  17. 제1 발광영역 및 제2 발광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발광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박막 봉지층을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과 중첩하는 청색 컬러필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적색 컬러필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청색 컬러필터와 상기 적색 컬러필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차광부재;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광부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컬러패턴;
    상기 청색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광투과 패턴; 및
    상기 적색 컬러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변환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는 각각 청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장변환패턴은 청색광을 적색광으로 파장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컬러패턴은 청색의 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패턴은,
    베이스 수지와,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분산된 양자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패턴 및 상기 파장변환패턴 상에 위치하는 캡핑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캡핑층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충진제와 직접 접촉하는 표시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패턴과 상기 청색 컬러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차광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표시장치.
KR1020180174245A 2018-12-31 2018-12-31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KR20200083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245A KR20200083879A (ko) 2018-12-31 2018-12-31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PCT/KR2019/002865 WO2020141651A1 (ko) 2018-12-31 2019-03-13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CN201980087268.4A CN113272968A (zh) 2018-12-31 2019-03-13 颜色转换基板和显示装置
US17/419,982 US20220085114A1 (en) 2018-12-31 2019-03-13 Color transformation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245A KR20200083879A (ko) 2018-12-31 2018-12-31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79A true KR20200083879A (ko) 2020-07-09

Family

ID=7140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245A KR20200083879A (ko) 2018-12-31 2018-12-31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85114A1 (ko)
KR (1) KR20200083879A (ko)
CN (1) CN113272968A (ko)
WO (1) WO20201416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379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149663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52742A (fr) 2018-06-09 2021-04-14 Boehringer Ingelheim Int Anticorps bispécifiques dll3-cd3
KR20210042195A (ko) *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76293A (ko) * 2019-12-13 2021-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0713A1 (en) * 2019-12-24 2021-07-01 Oti Lumionics Inc.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capping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458847B2 (ja) * 2020-03-24 2024-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装置
KR20210155576A (ko) * 2020-06-16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사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14426A (ko) * 2020-07-27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21978A (ko)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114A (en) * 1977-07-14 1979-02-13 Toshiba Corp Controller for induction motor
JP2007103027A (ja) * 2005-09-30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4360B2 (ja) * 2008-07-29 2013-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色変換方式有機elディスプレイ
KR101860935B1 (ko) * 2012-03-15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53425A (ja) * 2013-02-05 2014-08-25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2151609B1 (ko) * 2014-05-12 2020-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27480B1 (ko) * 2014-09-12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9633B1 (ko) * 2015-08-31 2022-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2274B1 (ko) * 2016-08-12 2023-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21959A (ko) * 2016-08-22 2018-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6936A (ko) * 2016-12-09 2018-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루미네선트 표시장치
KR20180078390A (ko) * 2016-12-29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85848A (ko) * 2017-01-19 2018-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2401B1 (ko) * 2017-03-21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루미네선스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97380A (ko) * 2019-02-07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379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149663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5114A1 (en) 2022-03-17
WO2020141651A1 (ko) 2020-07-09
CN113272968A (zh)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3879A (ko)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CN111383546B (zh) 显示设备
US977401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20210021216A (ko) 표시 장치
KR2019008768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10483B (zh) 薄膜電晶體陣列面板及包含其之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20200098749A (ko) 표시 장치
CN112366221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00013819A (ko) 전계 발광 장치
CN114582246A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CN111146263A (zh) 彩膜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3028933A1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047273A (ko)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88541A (ko) 표시 장치
KR20210016198A (ko)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14476125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397469A1 (en) Color conversion substrat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onversion substrate
CN219514545U (zh) 颜色转换基板
US20230137278A1 (en) Display device
US20230288741A1 (en) Display device
US20230012798A1 (en) Display device
US20240276854A1 (en) Display device
KR20240127537A (ko) 표시 장치
US202400991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11945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