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03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3403A KR20200073403A KR1020180161504A KR20180161504A KR20200073403A KR 20200073403 A KR20200073403 A KR 20200073403A KR 1020180161504 A KR1020180161504 A KR 1020180161504A KR 20180161504 A KR20180161504 A KR 20180161504A KR 20200073403 A KR20200073403 A KR 20200073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vehicle lamp
- incident
- beam pattern
- emitt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학부, 상기 제1 광학부에서의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 및 제2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을 상기 광학 부재로 가이드하는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재는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제2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부 및 제2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사부는 상기 제2 출사부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light source generating first light, an optical member to which light from the first optical uni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And a second optical unit having at least one second light source and a light transmitting member for guiding the second light to the optical member,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n incident part into which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t includes a first exit portion and a second exit portion, and the first exit portion may be formed above the second exit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that can improve the uniformity of light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inform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to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mainly aimed at lighting functions,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and brake lamps intended for signal functions (Brake lamp), side marker (Side Marker), etc. are provided, and these vehicle lamps are stipulated as laws and regulations for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to fully demonstrate their functions.
차량용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the vehicle lamps, the head lamp forms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to ensure a driver's front view when driving a vehicle in a dark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Is doing.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쉴드부의 구비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기도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각각 별개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In such a vehicle lamp, a head lamp that selectively forms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is provided as on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a shield unit, and a head lamp forming a low beam pattern and a head forming a high beam pattern In some cases, the lamps are provided as separate lamp modules.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제1 광원(10)과 제1 광원(10)을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20), 제1 리플렉터(20)에서 반사된 광이 입사 및 출사되는 광학 부재(30), 제1 광원과 광학 부재 사이에 형성된 쉴드부(40), 광을 발생시키는 제2 광원(50)과 제2 광원의 광을 광학 부재로 반사시키는 제2 리플렉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 the vehicle lamp includes a
이에 따라 제1 리플렉터(20)에서 반사된 광이 광학 부재를 통과하여 출사됨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리플렉터(60)에서 반사된 광이 광학 부재를 통과하여 출사됨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 low beam pattern is formed as light reflected from the
다만,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32)의 크기가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따라 도 1과 같은 광학계를 구비하여 사용할 경우, 제1 광원(10) 및 제2 광원(50)에서 발생하는 광이 광학 부재(32) 외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손실 될 수 있다.However, recently, as shown in FIG. 2, the size of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forming a low beam pattern and a high beam patter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학부, 상기 제1 광학부에서의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 및 제2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을 상기 광학 부재로 가이드하는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재는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제2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부 및 제2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사부는 상기 제2 출사부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light source generating first light, an optical member to which light from the first optical uni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And a second optical unit having at least one second light source and a light transmitting member for guiding the second light to the optical member,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n incident part into which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t includes a first exit portion and a second exit portion, and the first exit portion may be formed above the second exit portion.
본 발명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light guid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lamp including the sam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초점 부근에 구비된 광전달부재를 통하여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 high beam pattern and a low beam pattern may be form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near the focu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전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전달부재에서 출사되는 제2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에서 발생한 제1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관통홀을 통과한 제1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lamp.
3 to 5 are views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ploded view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light transmitting member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ath of the seco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ssion member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path of first light genera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path of a first light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Includes and/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Used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lightly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도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exploded view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학부, 광학부재(300), 제2 광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광학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00)과, 리플렉터(2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학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과, 광전달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7,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optical unit, an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00)은 제1 광(L1)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제1 광원(10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리플렉터(200)는 제1 광원(100)에서 발생된 제1 광(L1)을 전방에 위치한 광학 부재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광원(100)이 위치한 면에서 제1 광(L1)이 반사되는 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반면, 리플렉터(200)를 대신하여 제1 광원(100)에서의 광을 요망하는 방향 및/또는 형태로 전환시키는 옵틱렌즈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광학 부재(300)는 리플렉터(200)에서 반사되는 제1 광(L1)이 입사 및 출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300)는 미러, 프리즘, 렌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은 제2 광(L2)을 발생을 발생시키며, 제1 광원(100)과 유사하게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제2 광원(400)도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광원(400)은 제1 광원(100)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광전달부재(500)는 광학 부재의 초점(P) 부근에 형성되어 제2 광원(400)에서 발생된 제2 광(L2)을 광학 부재(30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에 따라, 제1 광원(100)에서 발생된 제1 광(L1)은 리플렉터(200)에 의하여 반사됨에 따라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되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광원(400)에서 발생한 제2 광(L2)은 광전달부재(500)에 입사 및 출사되고, 다시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되어 하이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광학 부재가 작아지더라도 초점 부근에 형성된 광전달부재(500)에 의하여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rst light L1 generated from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부재(500), 제1 광 경로 및 제2 광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전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전달부재에서 출사되는 제2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light transmission member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nd 11 are paths of a second light emitted from a light transmission member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ing.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해보면, 광전달부재(500)는 입사부(510), 제1 출사부(520) 및 제2 출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8 to 11, the
입사부(510)는 제2 광(L2)이 입사되며, 입사부(510)의 상측부는 그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부는 그 단면이 포물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L2 is incident on the
제1 출사부(520)는 광전달부재(500)의 상면에서 광학 부재의 후방 초점(P)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출사부(530)는 광전달부재(500)의 상면의 전단에서 광학 부재(3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출사부(520)는 제2 출사부(530)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mitting
입사부(510)의 상측부는 그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입사부(510)의 상측부에서 반사된 제2 광(L2)은 광학 부재(300)의 초점(P) 및 그 부근을 지나 제1 출사부(520)에서 출사되고, 입사부(510)의 하측부는 그 단면이 포물선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입사부(510)의 하측부에서 반사된 제2 광(L2)은 제2 출사부(530)에서 출사될 수 있다.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제1 출사부(520)에서 출사되는 광은 하이 빔 패턴의 중심 영역을 형성하고 제2 출사부(530)에서 출사되는 광은 하이 빔 패턴의 외곽 영역을 형성한다. 한편, 제2 출사부(530)는 광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광학 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광학 부재(300)의 광축(Ax)과 이격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광전달부재(500)의 상면은 제1 광학부에서의 광을 광학 부재(300)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상면(512)과 제2 상면(5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512)은 제1 출사부(520)와 입사부(510)의 상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상면(514)은 제1 출사부(520)와 제2 출사부(5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면(512)은 제2 상면(514)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제1 상면(512)의 일부 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상면(514) 중 일부 면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출사부의 면적이 커질 수 있으므로 광을 효율적으로 확산시켜 하이 빔 패턴이 법규에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상면(514) 중 가운데 부분이 높게 형성될 경우, 제1 출사면(520)에서 출사되는 제2 광(L2)과 제1 광(L1)에 의하여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2 상면(514)의 양측 부분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tep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first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광원에서 발생한 제1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path of first light genera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제1 광(L1)은 초점(P) 부근을 지나면서 광학 부재에 입사되거나, 제1 상면(512)과 제2 상면(514)에 의하여 다시 반사되어 광학 부재(300)에 입사될 수 있다. 제2 상면(514)에서 반사되는 제1 광(L1)은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표지판의 시인성을 높여주는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상면(512)에서 반사되는 제1 광(L1)은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면(512)의 일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로우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L1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asses through the focal point P and enters the optical member, or is reflected by the first
따라서, 광전달부재(500)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쉴드부 역할을 함으로써 로우 빔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리플렉터(200)를 통하여 반사되는 제1 광(L1)과 광전달부재(500)에서 출사되는 제2 광(L2)이 광학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L1 reflected through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관통홀을 관통한 제1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path of a first light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해보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리플렉터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차량용 램프는 추가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3, through-
관통홀(210)은 제1 광원(100)에서 발생된 제1 광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추가 부재(600)는 관통홀(210)을 관통한 제1 광(L1)이 입사 및 출사될 수 있다. 즉, 누광되는 광을 이용하여 추가 부재(600)에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 through
구체적으로 추가 부재(600)는 제3 출사부(610) 와 제4 출사부(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3 출사부(610)는 추가 부재(600)의 상면에 형성되고, 관통부(210)를 관통한 제1 광(L1)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4 출사부(620)는 추가 부재(600)의 전단에 형성되고, 관통부(210)를 관통한 제1 광(L1)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를 상측에서 바라보더라도 차량용 램프에서 광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출사부(610) 및 제4 출사부(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광이 출사됨에 따라 다양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upper side, it can be confirmed that light is generated from the vehicle lamp, and as light is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또한, 추가 부재(600)의 하면에는 추가 부재(600)에 입사된 제1 광(L1)의 적어도 일부를 제3 출사부(610)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옵틱(630)이 형성되어, 추가 부재(600)에 입사된 제1 광(L1)이 효율적으로 제3 출사부(610)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학 부재(300)가 장착되는 림(700)과 광학 부재(300)를 지지하기 위하여 림(700)과 채결되는 홀더(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구체적으로 림(700)의 상측은 홀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부(710)가 구비 될 수 있고, 결합부(710)는 홀더(800)의 상면을 삽입하여 후크 채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림(700)의 양측에는 홀더(8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채결부(720)가 구비될 수 있고, 채결부(720)는 홀더(800)의 양측면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ide of the
이와 같이 림(700)의 결합부(710)와 홀더(800)의 상면이 후크 채결됨에 따라 종래의 광학 부재 채결에 필요한 별도의 베젤 등과 같은 부품이 감소될 수 있다.As such, as the upper surfaces of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제1 광원 200: 리플렉터
300: 광학 부재 400: 제2 광원
500: 광전달부재 510: 입사부
512: 제1 상면 514: 제2 상면
520: 제1 출사부 530: 제2 출사부
600: 추가 부재 610: 제3 출사부
620: 제4 출사부 630: 옵틱
700: 림 710: 결합부
720: 채결부 800: 홀더100: first light source 200: reflector
300: optical member 400: second light source
500: light transmitting member 510: incident part
512: first top 514: second top
520: first exit section 530: second exit section
600: additional absence 610: third exit
620: fourth exit 630: optic
700: rim 710: joint
720: chaebu 800: holder
Claims (18)
상기 제1 광학부에서의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 및
제2 광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을 상기 광학 부재로 가이드하는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재는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제2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부 및 제2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사부는 상기 제2 출사부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A first optical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light source generating first light;
An optical member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first optical unit is incident; And
And a second optical unit having at least one second light source that generates a second light, and a light transmitting member that guides the second light to the optical member,
The light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n incident portion to which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a first emission portion to which the second light is emitted, and a second emission portion,
The first exit portion is a vehicle lamp formed on the upper side than the second exit portion.
상기 제1 광은 상기 광학 부재에 입사 및 출사되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은 상기 광학 부재에 입사 및 출사되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enters and exits the optical member to form a low beam pattern,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on and out of the optical member to form a high beam pattern vehicle lamp.
상기 광전달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광학부에서의 광을 상기 광학 부재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s a vehicle lamp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light from the first optical unit to the optical member.
상기 제1 출사부는 상기 상면에서 상기 광학 부재의 후방 초점 부근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출사부는 상기 상면의 전단에서 상기 광학 부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exit portion is formed near the rear focus of the optical member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emitting portion is a vehicle lamp that is form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member from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상기 입사부의 상측부는 그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부의 하측부는 그 단면이 포물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dent portion is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dence portion of the vehicle lamp is formed in a parabolic cross-section.
상기 입사부의 상측부에서 반사되는 제2 광은 상기 제1 출사부에서 출사되고,
상기 입사부의 하측부에서 반사되는 제2 광은 상기 제2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light reflec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dent portion is emitted from the first emitting portion,
The second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dence portion is a vehicle lamp emitted from the second output portion.
상기 제1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제2 광은 하이 빔 패턴의 중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제2 광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외곽 영역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emitting portion forms a central region of the high beam pattern,
The secon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emission unit is a vehicle lamp forming an outer region of the high beam pattern.
상기 광전달부재의 상면은 제1 상면과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1 출사부와 상기 입사부의 상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면은 상기 제1 출사부와 상기 제2 출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and a second upper surface,
The first upper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it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dent portion,
The second upper surface is a vehicle lamp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it portions.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2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upper surface is a vehicle lamp positioned above the second upper surface.
상기 제1 상면의 일부면은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하기 위해 단차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8,
A vehicle lamp in which a step is formed to form a cut-off line of a low beam pattern on a part of the first upper surface.
상기 제1 상면에서 반사되는 제1 광은 로우 빔 패턴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8,
A vehicle lamp that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in the low beam pattern by the first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top surface.
상기 제2 상면에서 반사되는 제1 광은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top surface is a vehicle lamp forming a signal beam pattern.
상기 제2 상면 중 일부면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8,
A vehicle lamp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second upper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제1 광학부는 상기 제1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tical unit is a vehicle lamp including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first light.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제1 광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제1 광이 입사 및 출사되는 추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4,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ight penetrates is formed in the reflector,
A vehicle lamp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member through which the first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incident and output.
상기 추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추가 부재에 입사된 제1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제3 출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5,
A vehicle lamp including a third emitting portion o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ight incident on the additional member is emit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dditional member.
상기 제3 출사부의 전단에는 상기 추가 부재에 입사된 제1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제4 출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6,
A vehicle lamp including a fourth exit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ight incident on the additional member is emitted, at a front end of the third output portion.
상기 추가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제1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3 출사부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옵틱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6,
A vehicle lamp in which at least one optic refl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to the third emission part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dditional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504A KR102328515B1 (en) | 2018-12-14 | 2018-12-14 | lamp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504A KR102328515B1 (en) | 2018-12-14 | 2018-12-14 | lamp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403A true KR20200073403A (en) | 2020-06-24 |
KR102328515B1 KR102328515B1 (en) | 2021-11-18 |
Family
ID=7140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504A KR102328515B1 (en) | 2018-12-14 | 2018-12-14 | lamp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8515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4916A (en) * | 2008-02-01 | 2010-10-26 |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Car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a beam of light and a holographic 3d image |
KR20150118669A (en) | 2014-04-14 | 2015-10-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aser optical system for head lamp |
US20160040848A1 (en) * | 2014-08-11 | 2016-02-11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Vehicle lamp |
KR20170070529A (en) * | 2015-12-14 | 2017-06-22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80076708A (en) * | 2016-12-28 | 2018-07-06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80110988A (en) * | 2017-03-30 | 2018-10-11 | 에스엘 주식회사 | Head lamp for vehicle |
-
2018
- 2018-12-14 KR KR1020180161504A patent/KR10232851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4916A (en) * | 2008-02-01 | 2010-10-26 |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Car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a beam of light and a holographic 3d image |
KR20150118669A (en) | 2014-04-14 | 2015-10-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aser optical system for head lamp |
US20160040848A1 (en) * | 2014-08-11 | 2016-02-11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Vehicle lamp |
KR20170070529A (en) * | 2015-12-14 | 2017-06-22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80076708A (en) * | 2016-12-28 | 2018-07-06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80110988A (en) * | 2017-03-30 | 2018-10-11 | 에스엘 주식회사 | Head lamp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8515B1 (en) | 2021-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60966B2 (en) | Unshielded elliptical illumination module that generates an illumination beam with a cut-off and a headlight comprising such a module | |
KR102470446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558734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293083B1 (en) |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 lamp and motor vehicle head lamp | |
KR20220089942A (en) | Lamp for vehicle | |
CN105318281B (en) | Laser optical system for a headlamp | |
KR102475703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210107344A (en) | Lamp for vehicle | |
KR20160054984A (en) | Lamp for vehicles | |
KR102688710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328515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200079862A (en) | lamp for vehicle | |
KR102555372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50072623A (en) | Lamp for vehicle | |
KR20210126920A (en) | Lamp for vehicle | |
KR102409832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673137B1 (en) | Lamp of vehicle | |
KR101987295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210064667A (en) | Lamp for vehicle | |
KR102688695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200058127A (en) | Lamp for vehicle | |
KR20230031625A (en) | Lamp module and lamp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200067578A (en) | lamp for vehicle | |
KR20220124436A (en) | Lamp for vehicle | |
KR101987290B1 (en) | Lamp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