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336A -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3336A KR20200073336A KR1020180161028A KR20180161028A KR20200073336A KR 20200073336 A KR20200073336 A KR 20200073336A KR 1020180161028 A KR1020180161028 A KR 1020180161028A KR 20180161028 A KR20180161028 A KR 20180161028A KR 20200073336 A KR20200073336 A KR 20200073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m
- area
- wheel detection
- information
- pat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7 real-tim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22—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two directions over the same pair of rails
- B61L23/3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two directions over the same pair of rails using automatic section b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3—Detection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3/00—Operat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22—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two directions over the same pair of rails
- B61L23/2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two directions over the same pair of rails with means for actuating signals from the vehicle or by passage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램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virtual course correction using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and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career request information in a tram branch or turn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interlocking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forms a region and permits other paths under conditions where virtual virtual path correction regions do not conflict to more efficiently interlock the tram.
트램(Tram)은 도로 상에 부설된 전용 레일을 따라 운행되는 전동차로서, 자동차, 자전거, 그리고 보행자와 함께 노면을 사용하면서 운행되는 전동차이다. A tram is an electric vehicle that runs along a dedicated rail laid on the road, and is an electric vehicle that operates while using a road surface with cars, bicycles, and pedestrians.
트램은 친환경 에너지인 전기를 이용하여 운행되고, 지하철보다 건설비가 적게 들면서 공사 기간이 짧다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운행시 대기오염과 소음공해가 발생하지 않아 도심대중교통 수단으로 다시 각광받고 있다. The tram is operated using electricity, which is eco-friendly energy, and has a merit of short construction period due to less construction cost than subway, and in particular, air pollution and noise pollution do not occur during operation, so it is spotlighted again as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city center.
최근에는 인구가 밀집하여 도로 교통체증이 심한 대도시의 도심에 건설되거나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이 몰리는 대형 행사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in large-scale event venues built in the city center of large cities with heavy road traffic and temporarily crowded.
일반적으로 트램의 트램전용주행로(이하, 트램전용주행로라고 함)는 자동차 등과 같은 일반차량이 이동하는 일반차로에 설치되나 일반차로와 구분이 가능하도록 경계를 가지는데, 도심에 설치되는 트램의 경우에는 도시 내의 일반 도로에서 승용차나 버스 등과 함께 운행되어야 하므로, 도시 내의 교차로 신호등 시스템이나 버스와의 환승을 위해 교통정보를 공유하는 등 도시 교통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운행될 필요가 있다.In general, tram-only lanes of tr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m-only lanes) are installed on general lanes where general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move, but have a boundary so that they can be distinguished from general lanes. In this case, since it must be operated with a passenger car or a bus on a general road in the city, it is necessary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city traffic information system, such as sharing traffic information for a transfer with an intersection traffic light system or bus in the city.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0373호에는 트램의 진로 분기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트램 신호 운영 방법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트램용 전용 철로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승용차용 도로상에 설치된 도로용 철로를 운행하는 트램 시스템에서, 트램의 운행을 기존 승용차용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어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과 연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정밀위성측위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트램 차량 위치 정보와, 도로교통정보시스템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도로 교통정보와, 트램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량 데이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트램 차량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60373 discloses a method for operating a tram signal at an intersection with a tramway branch, the main contents of which are on a dedicated tram track and a road for a passenger car connected to it. In the tram system operating the installed railroad tracks, tram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received from the precisio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in order to link the tram operation with the city traffic information system that controls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existing passenger car road, The technical feature is to allow the control data of the tram vehicle to be generated based on the road traff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system control system and the driving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dat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tram vehicle.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교차로에서 교통신호에 따라 트램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늦추고 있으므로 트램의 정시운행을 담보하기가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make it difficult to secure the on-time operation of the tram because it stops or slows down the tram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al at the intersection.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6646호에는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트램차상장치와, 교차로에 설치되며 상기 트램차상장치와 연계하여 트램차량의 실시간 검지정보를 추출하고 우선신호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 교차로의 교통신호제어기로 우선신호를 요청하는 트램신호제어장치와, 상기 트램차상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따라 각 트램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트램차량의 배차관리를 수행하는 트램관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교차로에 설치된 트램신호제어장치가 트램차상장치와 연계하여 트램차량의 실시간 검지정보를 추출하고 우선신호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 교차로의 교통신호제어기로 우선신호를 요청함으로써 트램운행의 정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 Korean Patent No. 10-1606646 discloses a tram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road traffic system,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tram vehicle device including a GPS receiver. And a tram signal control device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and extracting real-time detection information of a tram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tram vehicle and requesting a priority signal to a traffic signal controller of a corresponding intersection when priority signal control is required, and the tram car image It includes a tram control device that monitors the location of each tram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ce and performs the dispatch management of the tram vehicle, and the tram signal control device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is linked with the tram vehicle and real time of the tram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nsure the timeliness of tram operation by extrac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requesting a priority signal to a traffic signal controller at a corresponding intersection when priority signal control is required.
즉, 상기 종래기술은 교차로에서 트램에 대한 우선신호를 제공하여 트램의 정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교차로 등의 분기 영역에서 차량의 점유 정보 만으로 트램의 신호를 제어하므로 트램의 진로 결정에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has a feature in that it provides a priority signal for the tram at an intersection so as to ensure the timeliness of the tram, but it controls the signal of the tram by controlling only the occupi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 branch area such as an inters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career decision is reduc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대의 트램이 분기영역을 통과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트램이 진행할 수 있는 진로를 살펴 보면, 트램1이 A→B, A→F로 진행할 수 있고, 트램2는 E→D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트램3은 C→D로 진행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 when looking at the path where the tram can proceed in a situation where three trams want to pass through the branching area,
이 중, 트램1이 A→B로 진행하는 경우, 트램2가 E→D로 진행하거나, 트램3이 C→D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트램 신호 운영 시스템 또는 방법은 트램1이 A→B로 진행하는 경우 분기 영역에서의 차량 점유 정보, 즉 트램1의 진행방향과는 상관 없이 분기 영역을 트램1이 점유하고 있는 상태라는 정보만 인식하게 되어 트램2와 트램3의 분기 영역 내로의 진입을 금지시키므로 트램2 또는 트램3은 불필요한 정지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전체적인 트램들의 운행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m, wh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램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vise a virtual path by using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and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career request information in a tram branch or turn area. It is to provide a path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forms a region and allows a path of a tram to be more efficiently interlocked by allowing another path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virtual path correction region does not confli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은,The trajectory linkage system of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 차륜의 개수를 검지하여 영역 내의 트램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차륜검지장치와,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연동장치로 공급하는 열차자동감시장치와, 상기 차륜검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트램의 점유 정보와 차륜검지 정보 및 열차자동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트램의 진로를 쇄정 또는 해정시키는 연동장치 및 상기 트램 선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연동장치로부터의 진로 쇄정 또는 해정신호를 표시하는 진로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 tram is occupied in the area by detecting the number of wheels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of a tram line, and receives a track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ram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of a tram line to a linkage device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supplied, and the interlocking device to fix or unlock the tram using the tram occupanc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heel detection device, the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track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ram provided from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nd it is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tram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th indicator for displaying a path correction or release signal from the interlock.
이때, 상기 차륜검지장치는, 트램 선로에 설치되어 트램의 차륜을 검지하는 다수의 차륜검지센서와, 상기 차륜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차륜 유무를 판단하는 선로변유니트 및 상기 선로변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트램의 점유정보 및 트램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로 전달하는 연산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heel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on a tram track, a plurality of wheel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wheels of the tram, and a track side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wheel detection sensor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wheels in a branching area or a turning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information of the tram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ing area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ram by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rack side un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interlocking device.
또한, 상기 연동장치는 차륜검지장치 및 열차자동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트램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경우 해당 진로를 허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of each tram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 wheel detection device and an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nd allowing the corresponding course when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does not conflict.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방법은,On the other hand, the route interlocking method of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하여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 점유정보를 확인하는 트램확인단계와, 열차자동감시장치를 통해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연동장치로 공급하는 진로확인단계와, 상기 트램확인단계와 진로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정보를 연동장치에서 수신하여 트램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설정하는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와, 연동장치에서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다른 트램에 의해 요청된 진로요청정보를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진로 요청을 한 트램의 진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 및 트램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을 빠져나간 경우 연동장치에서 이를 확인하여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해정시키는 해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m checking step of checking tram occupancy information in a branch area or a turning area of a tram line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nd a course checking step of receiving the tram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ram and supplying it to an interlocking device through automatic train detection And, the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the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of the tram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tram check step and the path confirmation step from the interlocking device, and the virtual path set in the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of the interlocking device Decision on whether to allow the route of a tram that has additionally requested a route by comparing the correction area with the route request information requested by another tram, and the interlock device if the tram leaves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tting step to unlock the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set by checking.
이때, 상기 트램확인단계는, 트램 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차륜검지센서를 이용하여 트램의 차륜을 검지하는 차륜검지단계와, 선로변유니트를 통해 상기 차륜검지센서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차륜 유무 및 개수를 판단하는 차륜판단단계 및 상기 차륜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산유니트에서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 점유정보 및 트램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점유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ram checking step includes a wheel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wheels of the tram using a plurality of whe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tram track, and a branch area or turn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heel detection sensor through the track side unit. A wheel judging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and number of wheels in the area and an occupancy confirm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ram occupancy information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and the tram movement direction in th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content determined in the wheel judg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연동장치에 의해 결정된 진로 쇄정 또는 진로 해정에 대한 정보를 진로표시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진로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reer display step of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course correction or career decision determined by the interlocking device to the career indicator.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램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트램 운용의 신속성과 정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course correction region is formed by using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career request information in a branch region or a turn region of a tram, and other paths are provided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region does not conflict. By allowing, it is possible to interlock the tram's course more efficiently, and accordingly,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simultaneously securing the speed and on-time of tram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트램 노선의 분기부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트램 노선의 회차 구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th interlocking system of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a branch of a tram route to which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tram route of the tram route to which the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ath interlocking method of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ath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of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트램 노선의 분기부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트램 노선의 회차 구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ranch of a tram route to which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a section of a tram route to which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wheel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a tram route interlocking method using a device.
본 발명은 트램의 분기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차륜검지장치(20), 열차자동감시장치(ATS)(30), 연동장치(40) 및 진로표시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icient by forming a virtual course correction region by using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career request information in the branch region of the tram, and allowing other pathways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region does not conflict. Regarding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allows the tramway to interlock, first, the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s shown in FIG. 1. It comprises a
먼저, 상기 차륜검지장치(20)는 트램 선로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 설치되어 영역 내로 들어오는 차륜의 개수와 영역으로부터 나가는 차륜의 개수를 비교하여 영역 내의 트램(10) 유무를 판단하여 그 결과값을 후술할 연동장치(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륜검지장치(20)는 차륜검지센서(22), 선로변유니트(24) 및 연산유니트(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차륜검지센서(22)는 트램 선로에 설치되어 선로 상을 통과하는 트램(10)의 차륜을 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트램(10)이 통과하는 각 선로에 하나 이상의 차륜검지센서(22)가 설치된다.In more detail, the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램1(10a)이 A→B, A→F로 진행할 수 있고, 트램2(10b)는 E→D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트램3(10c)은 C→D로 진행할 수 있는 분기 영역에서 상기 차륜검지센서(22)는 분기점을 중심으로 한 각 선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분기영역으로 진입하는 트램(10) 및 분기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트램(10)의 차륜을 각각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ram 1 (10a) may proceed from A to B, A to F, tram 2 (10b) may proceed from E to D, and tram 3 (10c) to C → D In the branching area capable of proceeding to the
다음, 상기 선로변유니트(24)는 선로변에 설치되어 차륜검지센서(2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차륜검지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차륜의 유무를 판단하여 연산유니트(26)로 판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다음, 상기 연산유니트(26)는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트램(10)의 점유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차륜검지센서(22)에 의해 검지된 차륜의 개수를 비교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로 진입한 트램(10) 및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트램(10)을 확인함으로써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트램(10)의 점유정보를 생성하게 된다.Next, the
또한, 상기 연산유니트(26)는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즉 차륜검지센서(22)에 의한 차륜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트램(10)이 차륜검지센서(22)를 통과한 방향을 인식함으로써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연동장치(4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다음, 상기 열차자동감시장치(ATS)(30)는 열차상태감시 및 열차운영패턴을 유지하기 위해 열차운영명령에 대한 적절한 통제를 실행하는 자동열차제어장치(ATC) 하부시스템으로, 트램(10)의 도착과 출발을 상기 열차자동감시장치(30)에 의해 각각의 역에서 통제한다. Next,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TS) 30 is an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ATC) subsystem that executes appropriate control of train operating commands to monitor train conditions and maintain train operating patterns,
또한, 상기 열차자동감시장치(30)는 열차성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경보 및 오작동을 기록하며, 진로를 설정하고, 스케줄 및 트램(10)의 배차를 구성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 각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연동장치(40)로 공급하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다음, 상기 연동장치(40)는 차륜검지장치(20) 및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트램(10)의 진로를 쇄정 또는 해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산유니트(26)로부터 제공되는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10) 점유 정보와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 및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각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트램(10)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동장치(40)는 트램(10)으로부터 진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설정하게 되는데,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은 연산유니트(26)로부터 제공되는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10) 점유 정보와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 및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각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rout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램1(10a)이 A→B, A→F로 진행할 수 있고, 트램2(10b)는 E→D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트램3(10c)은 C→D로 진행할 수 있는 분기 영역에서 트램1(10a)이 A→B 로의 진로 요청을 할 경우, 연동장치(40)는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트램1(10a)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연산유니트(26)로부터 분기 영역 내의 트램 점유 정보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내 다른 트램(10)이 없다면 진로표시기(50) PS1 에 진행신호를 보내 트램1(10a)의 분기 영역 내로의 진입을 허용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ram 1 (10a) may proceed from A to B, A to F, tram 2 (10b) may proceed from E to D, and tram 3 (10c) to C → D When tram 1 (10a) requests a route from A to B in the branch area that can proceed to, the
상기 트램1(10a)이 분기 영역으로 진입하여 차륜검지센서(22) AX1을 통과하면, 연산유니트(26)는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분기 영역이 트램1(10a)에 의해 점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트램1(10a)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송하고, 상기 연동장치(40)는 연산유니트(2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트램1(10a)의 진로요청정보, 즉 A→B 로의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A→B 구간을 가상 진로쇄정영역으로 설정한다.When the tram 1 (10a) enters the branch region and passes through the wheel detection sensor (22) AX1, the operation unit (26) has a branch region to the tram 1 (10a) by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rack side unit (24).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has been occupied by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m 1 (10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rlocking
이때, 트램3(10c)이 C→D 로의 진로를 요청할 경우, 상기 연동장치(40)는 마찬가지로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트램3(10c)의 진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데, 상기 트램3(10c)에 의해 요청된 진로가 트램1(10a)에 의해 가상 진로쇄정영역으로 설정된 A→B 구간과 상충되지 않으므로 C→D 구간의 진로표시를 담당하는 진로표시기(50) PS2에 진행신호를 보내 트램3(10c)의 분기 영역 내로의 진입을 허용한다.At this time, when tram 3 (10c) requests a route from C to D, the
만약, 다른 트램(10)에 의한 진로요청정보가 기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상충될 경우 진로를 허용하지 않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f the career request information by the
한편, 분기 영역의 B 방향에 설치된 차륜검지센서(22) AX3에 의해 트램1(10a)이 분기 영역을 빠져나간 것이 검지되면, 연산유니트(26)는 A→B 구간의 비점유 정보와 트램1(10a)의 통과방향 정보를 연동장치(40)에 전달하고, 상기 연동장치(40)는 A→B 구간에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해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ram 1 (10a) has passed through the branch region by the
다음, 상기 진로표시기(50)는 트램 선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연동장치(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해당 진로의 쇄정 또는 해정신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선로의 진행방향에 하나씩 설치되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트램(10)이 진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방법은 전술한 진로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트램(10)의 진로를 연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트램확인단계(S10), 진로확인단계(S20),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S30),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S40) 및 해정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interlocking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terlocking the course of the
먼저, 상기 트램확인단계(S10)는 차륜검지장치(20)를 이용하여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점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상기 트램확인단계(S10)에서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에 트램(10)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연동장치(40)는 열차자동감시장치(30)를 통해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트램(10)이 바로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 허용신호를 진로표시기(50)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한다.First, the tram checking step (S10) relates to a step of checking tram occupancy information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of a tram line using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트램확인단계(S10)는 차륜검지단계(S12), 차륜판단단계(S14) 및 점유확인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차륜검지단계(S12)는 트램 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차륜검지센서(22)를 이용하여 트램(10)의 차륜을 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tram checking step (S10) comprises a wheel detection step (S12), a wheel determination step (S14), and an occupancy checking step (S16), wherein the wheel detection step (S12) is a tram track. It relates to the step of detecting the wheel of th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륜검지센서(22)는 분기점을 중심으로 한 각 선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륜검지센서(22)를 이용한 차륜 검지를 통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트램(10)의 진출입 및 트램(10)의 이동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다음, 상기 차륜판단단계(S14)는 선로변유니트(24)를 통해 상기 차륜검지센서(22)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차륜 유무 및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차륜검지단계(S12)에서 검지된 차륜검지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차륜의 유무 및 개수를 판단하여 연산유니트(26)로 판단 정보를 제공한다. Next, the wheel determination step (S14) relates to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and number of wheels in the branch region or the turning region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다음, 상기 점유확인단계(S16)는 차륜판단단계(S14)에서 판단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산유니트(26)에서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10) 점유정보 및 트램(10)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차륜검지센서(22)에 의해 검지된 차륜의 개수를 비교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로 진입한 트램(10) 및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트램(10)을 확인함으로써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트램(10)의 점유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달하게 된다.Next, the occupancy checking step (S16) is based on the content determined in the wheel determination step (S14), the tracing of the tram (10) occupancy information and tram (10) in the branch or turn area in the calculation unit (26). Regar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by comparing the number of wheels detected by the
또한, 상기 점유확인단계(S16)에서는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즉 차륜검지센서(22)에 의한 차륜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트램(10)이 차륜검지센서(22)를 통과한 방향을 인식함으로써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연동장치(40)로 전달한다.In addition, in the occupancy confirmation step (S16), th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다음, 상기 진로확인단계(S20)는 각 트램(10)으로부터 요청되는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진로 정보를 연동장치(4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트램(10)으로부터의 진로요청정보는 열차자동감시장치(30)를 통해 수신되어 연동장치(40)로 전송됨으로써 연동장치(40)가 각 트램(10)이 요청하는 진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path checking step (S20) relates to a step of allowing the
다음,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S30)는 연동장치(40)에서 트램(10)의 진로를 허용한 경우, 해당 트램(10)의 진로를 가상 진로쇄정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Next, the virtual path correction region setting step (S30) relates to the step of setting the path of the
즉, 전술한 진로 연동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램(10)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진입을 위해 진로 요청을 할 경우, 연동장치(40)는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연산유니트(26)로부터 분기 영역 내의 트램(10) 점유 정보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내 다른 트램(10)이 없다면 진로표시기(50)에 진행신호를 보내 해당 트램(10)의 분기 영역 내로의 진입을 허용한다.That is, as described in the aforementioned path interlocking system, when the
또한, 진입이 허용된 트램(10)이 분기 영역으로 진입하여 차륜검지센서(22)를 통과하면, 연산유니트(26)는 선로변유니트(2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분기 영역이 트램(10)에 의해 점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트램(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40)로 전송하고, 상기 연동장치(40)는 연산유니트(2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열차자동감시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트램(10)의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트램(10)이 통과하는 구간을 가상 진로쇄정영역으로 설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다음, 상기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S40)는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설정된 이후, 다른 트램(10)에 의한 추가적인 진로요청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트램(10)의 진로를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동장치(40)는 열차자동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추가적인 진로요청이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상충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충하지 않는 경우, 요청된 진로를 허용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Nex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career (S40), if there is additional career request information by another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트램(10)의 회차 구간에서 E→F로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설정된 후, 다른 트램(10)에 의해 A→F로의 진로요청정보가 들어온 경우에는 요청된 진로가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상충되므로, 연동장치(40)는 해당 트램(10)에 대한 진로요청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For example, after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from E to F is set in the turn section of the
또한, 마찬가지로 E→F로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설정된 후, 다른 트램(10)에 의해 A→B 로의 진로요청정보가 들어온 경우에는 요청된 진로가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상충되지 않으므로, 연동장치(40)는 해당 트램(10)에 대한 진로요청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milarly, after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from E to F is set, when the course request information from A to B is received by another
다음, 상기 해정단계(S50)는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설정된 트램(10)이 해당 영역을 통과하여 벗어난 경우,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해정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Next, the unlocking step (S50) relates to the step of releasing the set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when th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검지센서(22)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의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진입이 허용되어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형성된 트램(10)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을 벗어난 것을 검지할 경우, 연산유니트(26)는 가상 진로쇄정영역에서의 트램(10)의 비점유 정보와 해당 트램(10)의 이동방향 정보를 연동장치(4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연동장치(40)가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해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방법은 진로표시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진로표시단계(S60)는 트램(10)의 선로 주변에 설치된 진로표시기(50)에 의해 연동장치(40)로부터 전송되는 진로 쇄정 또는 해정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트램(10)이 진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rajectory interlocking method of the tram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rse display step (S60), wherein the course display step (S60) is a course installed around the track of the
즉,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S30),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S40) 및 해정단계(S50)에서 연동장치(40)에 의해 트램(10)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으로의 진입이 허용 또는 거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진로표시기(50)에 표시함으로써 트램(10)의 운전자가 진입을 요청한 구간으로의 진입 가능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in the virtual career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S30), career allowance determination step (S40) and dismissal step (S50), entry into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of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트램(10)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10)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트램(10) 운용의 신속성과 정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hee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and the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career request information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of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램의 분기영역 또는 회차영역에서의 차량점유정보와 차륜검지정보 및 진로요청정보를 활용하여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가상의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다른 진로를 허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트램의 진로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use a vehicle occupancy information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of a tram,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career request information to virtually correct path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interlocking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forms a region and permits other paths under conditions where virtual virtual path correction regions do not conflict to more efficiently interlock the tram.
10 : 트램
20 : 차륜검지장치
22 : 차륜검지센서
24 : 선로변유니트
26 : 연산유니트
30 : 열차자동감시장치
40 : 연동장치
50 : 진로표시기
S10 : 트램확인단계
S12 : 차륜검지단계
S14 : 차륜판단단계
S16 : 점유확인단계
S20 : 진로확인단계
S30 :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
S40 :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
S50 : 해정단계
S60 : 진로표시단계10: tram 20: wheel detection device
22: wheel detection sensor 24: track side unit
26: operation unit 30: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40: interlocking device 50: career indicator
S10: tram check step S12: wheel detection step
S14: Wheel judgment step S16: Occupancy check step
S20: Career confirmation step S30: Virtual career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S40: Career allowance decision step S50: Dismissal step
S60: Path marking stage
Claims (6)
트램 선로의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연동장치로 공급하는 열차자동감시장치와,
상기 차륜검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트램의 점유 정보와 차륜검지 정보 및 열차자동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트램의 진로를 쇄정 또는 해정시키는 연동장치 및
상기 트램 선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연동장치로부터의 진로 쇄정 또는 해정신호를 표시하는 진로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A wheel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number of wheels in the area by detecting the number of wheels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of the tram line;
An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that receives the tram rout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of the tram line and supplies it to the interlocking device;
The interlocking device that corrects or unlocks the tram of the tram using the occupancy information of the tram provided from the wheel detection device, the wheel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career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ram provided from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nd
A tram path interlocking syste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th indicator installed around the tram line and displays a path fixation or release signal from a linkage device.
상기 차륜검지장치는,
트램 선로에 설치되어 트램의 차륜을 검지하는 다수의 차륜검지센서와,
상기 차륜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차륜 유무를 판단하는 선로변유니트 및
상기 선로변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 내의 트램의 점유정보 및 트램의 이동방향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장치로 전달하는 연산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detection device,
A plurality of whe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tram track to detect the wheels of the tram,
A track side unit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wheel detection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heel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and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locking device by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rack side unit to generate tram occupancy information and tram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Tram's career interlocking system.
상기 연동장치는 차륜검지장치 및 열차자동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트램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 진로쇄정영역이 상충되지 않는 경우 해당 진로를 허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locking device forms a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of each tram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heel detection device and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nd allows the corresponding course when the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does not conflict. The tram route interlocking system using the detection device.
열차자동감시장치를 통해 각 트램의 진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연동장치로 공급하는 진로확인단계와,
상기 트램확인단계와 진로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정보를 연동장치에서 수신하여 트램의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설정하는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와,
연동장치에서 가상 진로쇄정영역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과, 다른 트램에 의해 요청된 진로요청정보를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진로 요청을 한 트램의 진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진로허용여부 결정단계 및
트램이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을 빠져나간 경우 연동장치에서 이를 확인하여 설정된 가상 진로쇄정영역을 해정시키는 해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방법.
A tram checking step of checking tram occupancy information in a branch area or a turn area of the tram line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A career confirmation step of receiving the tram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ram through the automatic train monitoring device and supplying it to the interlocking device;
A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of receiving th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tram checking step and the path checking step from a linkage device and setting a virtual path correction area of the tram,
A career allowance decision step for comparing the virtual career correction area set in the virtual career correction area setting step in the interlocking device with the career request information requested by another tra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ram that has additionally requested a career path is allowed and
When the tram leaves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the interlocking device checks this and includes a release step of releasing the set virtual course correction area.
상기 트램확인단계는,
트램 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차륜검지센서를 이용하여 트램의 차륜을 검지하는 차륜검지단계와,
선로변유니트를 통해 상기 차륜검지센서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차륜 유무 및 개수를 판단하는 차륜판단단계 및
상기 차륜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산유니트에서 분기 영역 또는 회차 영역에서의 트램 점유정보 및 트램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점유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m check step,
A wheel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wheels of the tram using a plurality of wheel 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tram track;
A wheel determination step o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heel detection sensor through the track side unit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heels in the branch region or the turn region, and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occupancy check step to determine the tram occupancy information in the branch area or the turn area and the direction of tram movement in the arithmetic unit based on the content determined in the wheel determination step. How to link the course.
상기 연동장치에 의해 결정된 진로 쇄정 또는 진로 해정에 대한 정보를 진로표시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진로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검지장치를 이용한 트램의 진로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 path interlocking method of a tram using a whee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th display step of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path correction or path determination determined by the linking device to a path indic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028A KR20200073336A (en) | 2018-12-13 | 2018-12-13 |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028A KR20200073336A (en) | 2018-12-13 | 2018-12-13 |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336A true KR20200073336A (en) | 2020-06-24 |
Family
ID=7140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028A KR20200073336A (en) | 2018-12-13 | 2018-12-13 |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73336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373B1 (en) | 2011-12-30 | 2013-05-0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ignal operation method for tram at divergent intersection |
KR101606646B1 (en) | 2014-08-26 | 2016-03-25 | 도로교통공단 | Tram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working in association with road traffic system |
-
2018
- 2018-12-13 KR KR1020180161028A patent/KR20200073336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373B1 (en) | 2011-12-30 | 2013-05-0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ignal operation method for tram at divergent intersection |
KR101606646B1 (en) | 2014-08-26 | 2016-03-25 | 도로교통공단 | Tram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working in association with road traffic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269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in operation approaching grade crossings | |
CA2844536C (en) | Light rail vehicle monitoring and stop bar overrun system | |
US8548654B2 (en) | Signaling system | |
US2014035076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oute Location | |
KR101260373B1 (en) | Signal operation method for tram at divergent intersection | |
US9616905B2 (en) | Trai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 |
US11385066B2 (en) | Vehicle navig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US10000218B2 (en) | Bi-modal traffic system | |
CN113650658B (en) | Tramcar is at plane intersection control system | |
KR20160024560A (en) | Tram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working in association with road traffic system | |
CN104768830A (en) | Operation of a rail vehicle | |
CN107839718B (en) | Tram crossing safety zone controlling means based on fixed equipment | |
RU2352487C1 (en) | Method to ensure safety of train, shunting rolling stock or individual locomotive at railroad station or approaches thereto | |
JP3882146B2 (en) | Automobile driving method | |
EP322249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guided vehicle movement authority | |
KR20200073336A (en) | Route inter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m using wheel detection device | |
JP2019089373A (en) | Obstacle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JP3604943B2 (en) | Vehicle traffic system | |
JP2000264209A (en) | Vehicle traffic system | |
Gebauer et al. | Towards autonomously driving trains on tracks with open access | |
TWI715987B (en) | Trai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JP2001100840A (en) | Vehicle travel control system | |
TWI715988B (en) | On-vehicle apparatus | |
JP3942581B2 (en) |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 |
JP2000264208A (en) | Vehicle traffic sys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