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799A -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799A
KR20200069799A KR1020180157274A KR20180157274A KR20200069799A KR 20200069799 A KR20200069799 A KR 20200069799A KR 1020180157274 A KR1020180157274 A KR 1020180157274A KR 20180157274 A KR20180157274 A KR 20180157274A KR 20200069799 A KR20200069799 A KR 2020006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atterned
folding area
grooves
optica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오
박정범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9799A/ko
Priority to US16/688,931 priority patent/US11334117B2/en
Publication of KR2020006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99A/ko
Priority to US17/720,749 priority patent/US202202367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는 최상부의 광학소자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을 일정 두께만큼 형성하고, 낮은 모듈러스(modulus)를 가진 점착층을 사용하여 광학소자를 접착함으로써, 폴딩 영역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및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FOR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을 발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유기발광 소자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 소자는 2개의 전극 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에 구동 회로와 유기발광 소자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유기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별도의 광원 없이 구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에 적용되기에 용이하다.
한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그 유연한 성질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여러 부분을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로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 윈도우가 글라스로 구성된 경우, 외부 충격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파편 비산으로 인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광학소자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광학소자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광학소자를 구비한 폴더블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및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광학소자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교체 가능한 고접착 점착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광학소자와의 고접착력과 이형성을 동시에 갖는 점착층을 구비한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 하부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광학소자 사이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폴딩 영역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및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기능으로 유연하게 접을 수 있는 동시에,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 및 광학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점착층의 온도에 따른 동적 전단 저장 모듈러스(dynamic shear storage modulus)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광학소자의 인장탄성률 및 두께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표다.
도 9는 점착층의 두께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b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2a는 도 2b에 도시된 패널 어셈블리(110)의 상부에 광학소자(1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광학소자(120)는 점착층(115)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패널 어셈블리(panel assembly)(110), 세트 프레임(set frame)(170), 힌지부(150), 가변 지지부(160) 및 광학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10)는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소자와 표시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10) 상부에는 소정의 광학소자(120)가 점착층(115)을 통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10)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패널 어셈블리(1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펼쳐진 펼침 상태일 때,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고,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접힌 접힘 상태일 때, 폴딩 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은 패널 어셈블리(110)가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일 때 모두 패널 어셈블리(110)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폴딩 영역(FA)의 폴딩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은 펼침 상태일 때, 폴딩 영역(FA)과 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접힘 상태일 때,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편, 세트 프레임(170)은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패널 어셈블리(1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에서 패널 어셈블리(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할 수 있다.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을 이루는 면 중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면과 접하는 세트 프레임(170)의 하면은 제1 하면(171), 경사면(172), 안착면(173) 및 제2 하면(17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면(174)은 패널 어셈블리(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하는 면으로, 세트 프레임(170)의 하면 중 제2 하면(174)에서 내측면이 가장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면(174)과 패널 어셈블리(110)의 비폴딩 영역(NFA) 사이에는 접착 물질 등이 도포되어, 세트 프레임(170)에 패널 어셈블리(110)가 고정될 수 있다.
안착면(173)은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60)의 단부가 안착되는 면으로, 가변 지지부(160)가 걸쳐질 수 있다. 이때, 안착면(173)은 제2 하면(174)보다 낮은 단차를 가져, 가변 지지부(160)의 단부는 안착면(173)과 제2 하면(174) 간의 단차에 의해 제2 하면(174) 측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안착면(173)에 안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173)과 제2 하면(174) 간의 단차는 가변 지지부(16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경사면(172)은 안착면(173)에서 제1 하면(171)에 이어진 면으로, 제1 하면(171) 및 제2 하면(174)과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면(171)은 세트 프레임(170)의 하면 중 제1 하면(171)에서 내측면이 가장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면(171)은 세트 프레임(170)의 하면 중 힌지부(150)에 가장 인접할 수 있다. 제1 하면(171)은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접힘 상태 시, 가변 지지부(160)와 접할 수 있다.
세트 프레임(170)의 힌지부(15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서, 힌지부(150) 측으로 연장된 제1 힌지 결합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결합부(175)는 힌지부(150)의 제1 힌지 축(151)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세트 프레임(170)은 제1 힌지 축(15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하면(171), 경사면(172), 힌지부(150)의 외측면 및 제1 힌지 결합부(175)에 의해 세트 프레임(170)에서 리세스(recessed)부가 정의될 수 있다. 리세스부는 힌지부(150)에 인접한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 된 영역이다. 즉, 리세스부는 힌지부(150)에 인접한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이 힌지부(150)로부터 후퇴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리세스부는 제1 하면(171), 경사면(172) 및 힌지부(150) 사이의 빈 공간으로, 펼침 상태에서 리세스부의 상측에는 가변 지지부(160)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에 가이드 홈(17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에서 제1 힌지 결합부(175) 측의 안내면에 가이드 홈(176)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176)은 안내면에서도, 안내면과 안착면(173), 경사면(172) 및 제1 하면(171)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내면은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에서 측면 중 하나로, 세트 프레임(170)의 힌지부(15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서 제1 힌지 결합부(175)로 이어지는 측면이다. 따라서, 안내면은 제1 하면(171)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176)은 가변 지지부(160)가 회전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가변 지지부(160)의 단부의 회전 궤적과 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이드 홈(176)에 가변 지지부(160)의 돌출부(161)가 끼워질 수 있고, 가변 지지부(16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 전환 시, 가이드 홈(176)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176)의 일단은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60)의 단부가 배치되는 안착면(173)과 인접하고, 가이드 홈(176)의 타단은 접힘 상태 시, 가변 지지부(160)의 단부가 배치되는 제1 하면(171)과 인접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60)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트 프레임(170)과 함께 패널 어셈블리(1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변 지지부(160)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할 수 있다. 펼침 상태일 때, 한 쌍의 가변 지지부(160)와 한 쌍의 세트 프레임(170)은 일 평면을 이루고, 접힘 상태일 때, 가변 지지부(160)는 세트 프레임(170)의 내측면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가변 지지부(160)는 접힘 상태일 때, 세트 프레임(170)의 하면 측으로 회전하여, 세트 프레임(170)의 제1 하면(171)에 접할 수 있다. 다만, 가변 지지부(160)는 세트 프레임(170)의 제2 하면(174)과 달리, 별도의 접착 물질 등은 도포되지 않고, 패널 어셈블리(110)과는 고정되지 않는다.
가변 지지부(160)는 가변 지지부(160)의 양측 단부 사이의 임의의 중간 지점에서, 가변 지지부(160)의 하면으로부터 힌지부(150) 측으로 연장된 제2 힌지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 결합부는 힌지부(150)의 제2 힌지 축(미도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지지부(160)는 제2 힌지 축 상에서, 제2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변 지지부(160)의 양측 단부는 제2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궤적이 결정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60)는 가변 지지부(160)의 세트 프레임(17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 배치된 돌출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1)는 세트 프레임(170)의 안내면 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면의 가이드 홈(176)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지지부(160)가 제2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시, 돌출부(161)는 가이드 홈(17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힌지부(150)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세트 프레임(170) 및 한 쌍의 가변 지지부(16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세트 프레임(170) 및 한 쌍의 가변 지지부(160)는 힌지부(15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폴딩 영역(FA) 하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1 힌지 축(151) 및 한 쌍의 제2 힌지 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딩 영역(FA)은 힌지부(15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힌지 축(151)은 힌지부(150)의 양단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세트 프레임(170)의 제1 힌지 결합부(17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힌지 축(151)은 한 쌍의 세트 프레임(17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로, 힌지부(150) 일측에 배치된 세트 프레임(170)에서의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75)에 하나의 제1 힌지 축(151)이 결합되고, 힌지부(150) 타측에 배치된 세트 프레임(170)에서의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75)에 다른 하나의 제1 힌지 축(151)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2축 힌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힌지 축은 힌지부(150)의 양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변 지지부(160)의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 축은 한 쌍의 가변 지지부(160)에 각각 결합되므로, 2개의 제2 힌지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힌지부(150) 일측에 배치된 가변 지지부(160)의 제2 힌지 결합부에 하나의 제2 힌지 축이 결합되고, 힌지부(150) 타측에 배치된 가변 지지부(160)에서의 제2 힌지 결합부에 다른 하나의 제2 힌지 축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가요성의 기판에 표시소자, 회로 등을 형성하여,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평탄하게 펼쳐진 펼침 상태, 그리고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상면이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접힌 접힘 상태 간에서 전환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패널 어셈블리(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110)는, 표시패널(111), 백 플레이트(back plate)(113), 프레임(114), 커버 윈도우(112) 및 복수의 점착층(115a, 115b, 115c, 115d)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1)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 또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와 표시소자를 구동 하기 위한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표시소자는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유기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커패시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의 표시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는 표시패널(111)의 비표시 영역에 GIP(Gate In Panel)로 실장 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식으로 표시패널(111)과 연결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패널 어셈블리(110)가 폴딩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폴딩 영역(NFA)은 패널 어셈블리(110)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비폴딩 영역(NFA)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어셈블리(110)가 폴딩될 때, 한 쌍의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 하부에 백 플레이트(113)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이 포함하는 기판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11) 위에 편광판, 터치패널 등의 구성요소를 형성한 후 지지 기판이 릴리즈(release)될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릴리즈 된 이후에도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필요하므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 박막(metal foil)의 백 플레이트(113)가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13)는 표시패널(111)을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13) 하부에 프레임(114)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4)은 프레임(114) 상부의 백 플레이트(113), 표시패널(111)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114)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4)은 폴딩 영역(FA)을 제외한 비폴딩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4)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폴딩 되지 않을 수 있고, 폴딩으로 인한 응력 또한 받지 않을 수 있다.
표시패널(111) 상부에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은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켜, 표시패널(111)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유기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표시패널(111)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물질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편광판이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야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편광판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편광판과 표시패널(111) 사이에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대한 화면 터치나 제스처(gesture)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일 수 있다.
편광판 상부에 커버 윈도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2)는 커버 윈도우(112) 아래의 편광판, 표시패널(111)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2)는 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115a, 115b, 115c, 115d)은 상술한 구성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구성을 다른 구성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접착층(115a, 115b, 115c, 115d)은 커버 윈도우(112)와 표시패널(111) 사이, 표시패널(111)과 백 플레이트(113) 사이, 백 플레이트(113)와 프레임(114)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115a, 115b, 115c, 115d)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인 폴딩(in-folding) 및/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 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인 폴딩 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양측의 프레임(114)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 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양측의 광학소자(120)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 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아웃 폴딩 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양측의 프레임(114)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표시패널(111)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기판 위에 배치된 유기발광 다이오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위에 배치된 캐핑층, 캐핑층 위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보호층 위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기판의 일면에 단위 화소(unit pixel)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제1 전극과 이와 대응하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이 투명전극으로 구성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전극으로 구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투명막을 구비할 수 있다.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거나, 백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필터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는 발광층 외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발광층,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유기층이라고도 한다. 유기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도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이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된 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전극 형성용 물질로 형성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 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과 보호층 사이에는 캐핑층(capping layer)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캐핑층 위에 배치되는 보호층은 봉지층의 제조공정 중에 봉지층의 측면이 벗겨지거나 균일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봉지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봉지층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층 위에 배치되는 봉지층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은 금속산화물, 예로 칼슘옥사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인듐옥사이드, 틴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에서 선택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료가 반드시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110)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광학소자(120)가 점착층(115)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커버 윈도우(112)가 글라스로 구성된 경우, 외부 충격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파편 비산으로 인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광학소자(120)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광학소자(120)와 커버 윈도우(112) 사이에 교체 가능한 고접착 점착층(115)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광학소자(120) 및 고접착력과 이형성을 동시에 갖는 점착층(115)를 구비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발명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소자(120)는, 패널 어셈블리(110)를 보호하기 위해 낮은 탄성률을 가진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110)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115)은 고접착성을 가져 AF(anti-finger) 처리 면과의 박리(delamination)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폴딩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광학소자(120)로서 고분자 필름은,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폴딩 특성 및 투명성을 가지고 HC(hard coating)이나 AF(anti-finger)의 표면처리에 의해 현저한 모듈러스의 상승을 동반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대략 0.8 ~ 4.5GPa이 적절하며, 그 이하이면 필름 자체의 강직성이 결여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매우 저하되고, 그 이상이면 폴딩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필름의 두께는 대략 70 ~ 125㎛가 적절하며, 그 이하이면 필름 자체의 강직성이 결여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매우 저하되고, 그 이상이면 폴딩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HC의 두께 및 경도는 2 ~ 3㎛ 및 2H가 적절하다.
또한, 점착층(115)은 광학소자(120)와 커버 윈도우(112) 사이의 스트레스를 디커플링(decoupling)시키는 근본적인 기능과 고접착력과 고투명성을 요구한다.
HC이나 AF의 표면처리에 따른 표면 에너지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200 ~ 500gf/in의 고접착력이 필요하며, 그 이하에서는 폴딩에 의한 박리가 발생하고, 그 이상에서는 EL의 박리를 야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120)는, 상부(120a) 표면에 일정 깊이로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125)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소자(120)는, 베이스가 되는 하부(120b)와 하부(120b)의 상부에 홈(125)이 패터닝 된 상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홈(125)은, 패널 어셈블리(110)가 폴딩되는 방향(도 3b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도 3b에서 세로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홈(125)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125)은, 폴딩 영역(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125a) 및 비폴딩 영역(N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125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125)은, 폴딩 영역(FA)에만 지그재그 형태로 패터닝 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125a)은, 복수의 제2 홈(125b)에 비해 더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125a) 사이의 패턴 간격이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125b)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좁게 되므로, 폴딩 영역(FA)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125b) 사이의 패턴 간격이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125a)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넓게 되므로, 비폴딩 방향으로의 강성(rigidity)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홈(125)은, 광학소자(1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즉, 홈(125)이 패터닝 된 광학소자(120)의 상부(120a)는 홈(125)이 패터닝 되지 않은 광학소자(120)의 하부(120b)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며, 광학소자(1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를 가짐에 따라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홈(125a)은, 광학소자(120)의 상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폴딩 방향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의 홈(125)은, 소정의 피치 각(pitch angle)(α, β)을 가질 수 있으며, 0 < α, β < 180도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α 값과 β 값이 작을수록 더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홈(125)은, 지그재그 형태 대신에 둥근 물결(round wavy)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홈(125)은, 폴딩 영역(F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비대칭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소자(120)는, 패널 어셈블리(110)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그 위에 추가의 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다른 예는,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0) 위에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0) 위에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내충격성을 위해 HC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위해 AF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낮은 저장 탄성률을 가진 점착층(115)을 도입하여 폴딩 스트레스의 증가를 보상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10)의 최상부에는 광학소자(120)가 아닌 기능층(130)이 배치됨에 따라 광학소자(120)의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되는 것이 아니, 기능층(130)의 상부 표면에 전술한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될 수 있다. 홈의 형태 및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또 다른 예는, Mura-free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5) 위에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 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Mura-free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5) 위에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내충격성을 위해 HC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위해 AF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높은 크리프(creep) 및 회복률을 가진 점착층(115)을 도입하여 폴딩 응력을 보상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10)의 최상부에는 광학소자(125)가 아닌 기능층(130)이 배치됨에 따라 광학소자(125)의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되는 것이 아니, 기능층(130)의 상부 표면에 전술한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될 수 있다. 홈의 형태 및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또 다른 예는,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5) 위에 저굴절 프라이머(primer)(140) 및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 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필름의 광학소자(125) 위에 광 특성 개선을 위한 저굴절 프라이머(140) 및 HC, AF 또는 UV차단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프라이머(140)는 레인보우 Mura-free의 광 특성 개선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내충격성을 위해 HC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위해 AF의 기능층(130)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높은 크리프(creep) 및 회복률을 가진 점착층(115)을 도입하여 폴딩 응력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Mura-free 보호필름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10)의 최상부에는 광학소자(125)가 아닌 기능층(130)이 배치됨에 따라 광학소자(125)의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되는 것이 아니, 기능층(130)의 상부 표면에 전술한 지그재그 형태의 홈이 패터닝 될 수 있다. 홈의 형태 및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115)은, 고접착성을 가져 AF 처리 면과의 박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점착층(115)은 약 104 ~ 105Pa의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가진 실리콘 OCA(Optical Clear Adhesive)나 아크릴 OC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 박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응력 완화(stress relaxation)는 90% 이상, 크리프(creep) 및 회복률(recovery)이 90% 이상이다.
폴딩에 의한 전체 패널 어셈블리(110)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115)는, 낮은 모듈러스(modulus)와 고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OCA와 달리 폴더블 OCA는 -30 ~ 100도의 광 온도 영역에서 모듈러스의 급격한 구배가 발생하지 않고, 완만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저온에서 급격한 모듈러스 상승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상온 및 고온에서 모듈러스의 감소에 의한 공정상 이슈 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7은 점착층의 온도에 따른 동적 전단 저장 모듈러스(dynamic shear storage modulus)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비교예1은 기존의 아크릴 OCA의 그래프이고, 비교예2는 기존의 실리콘 OCA의 그래프이다. 또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낮은 모듈러스를 가진 실리콘 OCA의 그래프이다. 또한, 점선의 사각 박스는 폴더블 OCA의 저장 모듈러스에 해당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딩에 의한 전체 패널 어셈블리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는, 낮은 모듈러스와 고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딩에 의한 장력(tension)과 전단 변형(shear deformation) 거동이 가능한 유연한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G')로 대략 105 Pa를 가질 수 있다.
접착력 유지를 위해 G' 수준은, -20도에서 대략 1.4x105 Pa, 25도에서 대략 9x104 Pa, 60도에서 대략 9.3x104 Pa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복적인 폴딩에 의한 커버 윈도우 및 보호필름의 인장 변형과 전단 변형에 대한 OCA의 변형과 회복 거동이 중요하다.
10분간 10 KPa의 응력 인가 시, 크리프(creep)량은 상온 기준으로 100% 이상이며, 회복률(recovery)은 92% 이상 수준을 가질 수 있다. 크리프(creep)량이 90% 미만일 경우, 폴딩 스트레스가 하부 구조에 전달되어 크랙이나, EL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도 8은 광학소자의 인장탄성률 및 두께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표다.
도 8은 광학소자로 보호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0.5, 0.8, 4.5 및 6.5GPa이며, 두께가 75, 100 및 125㎛일 때의 광학 투명성, 폴딩 특성, HC 크랙 및 내충격성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점착층으로 OCA의 두께는 25㎛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호필름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0.8 ~ 4.5GPa일 때 광학 투명성, 폴딩 특성, HC 크랙 및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도 8의 1-6번에 해당).
그 이하이면, 즉 인장 탄성률이 0.5GPa일 때, 필름 두께에 관계없이 필름 자체의 강직성이 결여되어 스틸 볼(steel ball)이나 펜 메탈 팁(pen metal tip)의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현저하게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8의 7-9번에 해당).
그 이상이면, 즉 인장 탄성률이 6.5GPa일 때, 필름 두께에 관계없이 폴딩 성능이 현저하게 하락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8의 10-12번에 해당).
또한, 필름의 두께는 70 ~ 125㎛가 적절하며, 그 이하와 그 이상에서의 결과는 전술한 인장 탄성률의 결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1-6번의 실시예는 HC 크랙, 상온 동적 폴딩(dynamic folding) 성능, 고온고습 정적 폴딩(static folding) 성능 측면에서 7-12번의 비교예에 비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점착층의 두께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표다.
도 9는 점착층으로 OCA의 접착력이 20 ~ 30gf/in이며, 두께가 10, 15, 20, 25, 30, 35, 40, 45 및 50㎛일 때의 폴딩 특성, 압입(indentation), HC 크랙 및 내충격성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때, 보호필름으로 고분자 필름의 인장 탄성률 및 두께는 각각 4.5GPa 및 125㎛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착층으로 OCA는 커버 윈도우와 보호필름 사이의 스트레스를 디커플링(decoupling)시키는 근본적인 기능과 고접착력과 고투명성을 요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HC이나 AF의 표면처리에 따른 표면 에너지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200 ~ 500gf/in의 고접착력이 필요하며, 그 이하에서는 폴딩에 의한 박리가 발생하고, 그 이상에서는 EL의 박리를 야기한다.
OCA의 두께가 25 ~ 40㎛일 때 폴딩 특성, 압입(indentation), HC 크랙 및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도 9의 1-4번에 해당).
그 이하이면, 즉 OCA의 두께가 10, 15 및 20㎛일 때, 폴딩 성능 및 스틸 볼(steel ball)이나 펜 메탈 팁(pen metal tip)의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현저하게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9의 5-6번에 해당).
그 이상이면, 즉 OCA의 두께가 45 및 50㎛일 때, 압입(indentation) 불량이 발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9의 8-9번에 해당).
한편, 본 발명은 비폴딩 영역에는 홈의 패턴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강성 구배를 유지하고, 홈에 의한 강성 저하 현상을 보완할 수 있는데, 이를 다음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200)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소자(2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해 낮은 탄성률을 가진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점착층은 고접착성을 가져 AF 처리 면과의 박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폴딩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광학소자(220)로서 고분자 필름은,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폴딩 특성 및 투명성을 가지고 HC(hard coating)이나 AF(anti-finger)의 표면처리에 의해 현저한 모듈러스의 상승을 동반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대략 0.8 ~ 4.5GPa이 적절하며, 그 이하이면 필름 자체의 강직성이 결여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매우 저하되고, 그 이상이면 폴딩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필름의 두께는 대략 70 ~ 125㎛가 적절하며, 그 이하이면 필름 자체의 강직성이 결여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능력이 매우 저하되고, 그 이상이면 폴딩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HC의 두께 및 경도는 2 ~ 3㎛ 및 2H가 적절하다.
또한, 점착층은 광학소자(220)와 커버 윈도우 사이의 스트레스를 디커플링 시키는 근본적인 기능과 고접착력과 고투명성을 요구한다.
HC이나 AF의 표면처리에 따른 표면 에너지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200 ~ 500gf/in의 고접착력이 필요하며, 그 이하에서는 폴딩에 의한 박리가 발생하고, 그 이상에서는 EL의 박리를 야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220)는, 상부(220a) 표면에 일정 깊이로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225)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소자(220)는, 베이스가 되는 하부(220b)와 하부(220b)의 상부에 홈(225)이 패터닝 된 상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홈(225)은,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도 10b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도 10b에서 세로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홈(225)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홈(225)은 폴딩 영역(FA)에만 복수로 패터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비폴딩 영역(NFA)에는 홈(225)이 패터닝 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홈(225)은, 광학소자(2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홈(225)이 패터닝 된 광학소자(220)의 상부(220a)는 복수의 홈(225)이 패터닝 되지 않은 광학소자(220)의 하부(220b)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며, 광학소자(2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를 가짐에 따라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홈(225)은, 폴딩 영역(FA)에만 광학소자(220)의 상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홈(225)은, 지그재그 형태 대신에 둥근 물결(round wavy)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홈(225)은, 폴딩 영역(F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비대칭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소자(2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그 위에 추가의 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의 강성 구배를 유지하고, 홈(225)에 의한 강성 저하 현상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틀림 응력(torsional stress)에 대한 저항성 증가로 힌지부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300)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소자(3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해 낮은 탄성률을 가진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3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위에 추가의 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소자(32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 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320)는, 상부(320a) 표면에 일정 깊이로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325)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소자(320)는, 베이스가 되는 하부(320b)와 하부(320b)의 상부에 홈(325)이 패터닝 된 상부(320a)를 포함할 수 있다.
홈(325)은,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도 11b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도 11b에서 세로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홈(325)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325)은, 폴딩 영역(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325a) 및 비폴딩 영역(N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325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 홈(325a) 및 복수의 제2 홈(325b)은, 폴딩 영역(FA)이 비폴딩 영역(NFA)에 비해 더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325a) 사이의 패턴 간격이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325b)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좁게 되므로, 폴딩 영역(FA)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325b) 사이의 패턴 간격이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325a)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넓게 되므로, 비폴딩 방향으로의 강성(rigidity)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제1 홈(325a) 및 복수의 제2 홈(325b)은, 그 간격이, 폴딩 영역(FA)의 중앙에서 비폴딩 영역(NFA)의 에지로 갈수록 좀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홈(325)은, 광학소자(3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복수의 홈(325)이 패터닝 된 광학소자(320)의 상부(320a)는 복수의 홈(325)이 패터닝 되지 않은 광학소자(320)의 하부(320b)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며, 광학소자(3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를 가짐에 따라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325)은, 지그재그 형태 대신에 둥근 물결(round wavy)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홈(325)은, 폴딩 영역(F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비대칭일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400)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광학소자(4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해 낮은 탄성률을 가진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4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위에 추가의 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소자(42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 200, 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420)는, 상부(420a) 표면에 일정 깊이로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425)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소자(420)는, 베이스가 되는 하부(420b)와 하부(420b)의 상부에 홈(425)이 패터닝 된 상부(420a)를 포함할 수 있다.
홈(425)은,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도 12b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도 12b에서 세로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홈(425)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425)은, 폴딩 영역(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425a) 및 비폴딩 영역(NFA)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425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 홈(425a)은, 복수의 제2 홈(425b)에 비해 더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425a) 사이의 패턴 간격이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425b)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좁게 되므로, 폴딩 영역(FA)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복수의 제2 홈(425b) 사이의 패턴 간격이 폴딩 영역(FA)에서의 복수의 제1 홈(425a) 사이의 패턴 간격보다 넓게 되므로, 비폴딩 방향으로의 강성(rigidity)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제1 홈(425a)은 복수의 제2 홈(425b)에 비해 그 폭이 더 넓게 패터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홈(425)은, 광학소자(4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425)은, 지그재그 형태 대신에 둥근 물결(round wavy)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홈(425)은, 폴딩 영역(F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비대칭일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 광학소자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500)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광학소자(5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해 낮은 탄성률을 가진 보호필름일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520)는, 패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위에 추가의 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소자(52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 200, 300, 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520)는, 상부(520a) 표면에 일정 깊이로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525)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소자(520)는, 베이스가 되는 하부(520b)와 하부(520b)의 상부에 홈(525)이 패터닝 된 상부(520a)를 포함할 수 있다.
홈(525)은,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도 13b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홈(525)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폴딩되는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패터닝 된 복수의 홈(525) 각각은, 폴딩 영역(FA)에 패터닝 된 제1 홈(525a) 및 비폴딩 영역(NFA)에 패터닝 된 제2 홈(5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홈(525) 각각은, 지그재그 형태가, 폴딩 영역(FA)이 비폴딩 영역(NFA)에 비해 촘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경우, 폴딩 영역(FA)에서의 제1 홈(525a)의 지그재그 형태가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제2 홈(525b)의 지그재그 형태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되어 있으므로, 폴딩 영역(FA)에서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제2 홈(525b)의 지그재그 형태가 폴딩 영역(FA)에서의 제1 홈(525a)의 지그재그 형태보다 엉성하게 패터닝 되어 있어, 비폴딩 방향으로의 강성(rigidity)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525)은, 광학소자(520)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525)은, 지그재그 형태 대신에 둥근 물결(round wavy)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홈(525)은, 폴딩 영역(F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비대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광학소자 사이에 있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광학소자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광학소자의 상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복수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은, 그 간격이, 상기 폴딩 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의 에지(edge)로 갈수록 좀더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폭이 더 넓게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지그재그 형태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지그재그 형태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 하부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광학소자 사이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복수로 패터닝 되며,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은, 그 간격이, 상기 폴딩 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의 에지(edge)로 갈수록 좀더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폭이 더 넓게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100'", 200, 300, 400, 500: 폴더블 표시장치
111: 표시패널
112: 커버 윈도우
113: 백 플레이트
114: 프레임
115, 115a, 115b, 115c, 115d: 점착층
120, 220, 320, 420, 520: 광학소자
120a, 220a, 320a, 420a, 520a: 상부
120b, 220b, 320b, 420b, 520b: 하부
125, 225, 325, 425, 525: 홈
125a, 325a, 425a, 525a: 제1 홈
125b, 325b, 425b, 525b: 제2 홈
130: 기능층
140: 프라이머
FA: 폴딩 영역
NFA: 비폴딩 영역

Claims (20)

  1.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광학소자 사이에 있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삼각파 형태, 사인파 형태 및 펄스파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광학소자의 전체 두께 대비 10-20%의 두께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광학소자의 상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복수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그 간격이, 상기 폴딩 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의 에지(edge)로 갈수록 좀더 넓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폭이 더 넓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폴딩되는 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지그재그 형태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한, 폴더블 표시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지그재그 형태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6.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 하부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부의 광학소자;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광학소자 사이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소자는, 상부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groove)이 반복적으로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패터닝 된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폴딩 영역에만 복수로 패터닝 되며,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폴딩 영역이 상기 비폴딩 영역에 비해 촘촘하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그 간격이, 상기 폴딩 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의 에지(edge)로 갈수록 좀더 넓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복수의 제2 홈에 비해 폭이 더 넓게 패터닝 된, 폴더블 표시장치.
KR1020180157274A 2018-12-07 2018-12-07 폴더블 표시장치 KR2020006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4A KR20200069799A (ko) 2018-12-07 2018-12-07 폴더블 표시장치
US16/688,931 US11334117B2 (en) 2018-12-07 2019-11-19 Foldable display device
US17/720,749 US20220236769A1 (en) 2018-12-07 2022-04-14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4A KR20200069799A (ko) 2018-12-07 2018-12-07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99A true KR20200069799A (ko) 2020-06-17

Family

ID=7097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74A KR20200069799A (ko) 2018-12-07 2018-12-07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334117B2 (ko)
KR (1) KR20200069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42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이 포함된 커버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64248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636B1 (ko) * 2018-10-11 2023-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68705B1 (ko) * 2019-03-21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7089B1 (ko) * 2019-04-23 2019-09-30 이혜란 스마트펜 수용부를 구비한 폴더블기기용 힌지 구조
US11343927B2 (en) * 2019-09-20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84120A (ko) * 2019-10-14 2022-06-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폴더블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59090A (ko) * 2019-11-13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43982A (ko) * 2020-05-20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06672A (ko)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067675B (zh) * 2020-08-07 2024-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屏及其维修方法、电子设备
WO2022035165A1 (ko) * 2020-08-12 2022-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EP4141613A4 (en) * 2020-09-29 2023-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12164318B (zh) * 2020-10-14 2021-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支撑件及可折叠显示模组
CN113554943B (zh) * 2020-11-28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边缘防护结构及折叠显示终端
KR20220092664A (ko) * 2020-12-24 2022-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879492A (zh) * 2021-01-29 2021-06-0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JP2022162871A (ja) * 2021-04-13 2022-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保護部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15331558B (zh) * 2022-08-23 2023-07-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106A (ja) * 2000-12-20 2002-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性フィルム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60132945A1 (en) * 2003-06-06 2006-06-22 Koichi Sano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TWI417609B (zh) * 2007-11-09 2013-12-01 Eternal Chemical Co Ltd 光學膜
EP2328695A1 (en) * 2008-08-07 2011-06-08 Uni-Pixel Displays, Inc. Microstructures to reduce the apperance of fingerprints on surfaces
JP5075234B2 (ja) * 2009-09-02 2012-11-2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2012224804A (ja)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5952242B2 (ja) 2013-09-04 2016-07-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US10317578B2 (en) * 2014-07-01 2019-06-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lf-cleaning smudge-resistant structur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WO201608518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760061B1 (ko) * 2015-07-06 2017-07-21 주식회사 지2터치 시인성 개선을 위한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1839293B1 (ko) * 2017-04-04 2018-03-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색 투명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54720A (zh) * 2016-05-18 2019-01-04 鲁姆斯有限公司 头戴式成像设备
KR20180098466A (ko) * 2017-02-25 201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너가 둥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901461B2 (en) * 2017-05-03 2021-01-26 Innolux Corporation Flexible touch display cover window layer design
TWI766655B (zh) * 2017-06-08 2022-06-01 美商谷歌有限責任公司 具有薄且高模數層之折疊式顯示器中性軸管理
KR102418967B1 (ko) * 2017-10-26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42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이 포함된 커버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64248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2069838B2 (en) 2021-02-01 2024-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6769A1 (en) 2022-07-28
US20200183457A1 (en) 2020-06-11
US11334117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9799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075599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83027B1 (ko) 표시장치
US202103046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084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302604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EP3809235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86387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681387B2 (en) Touch sensor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337614B1 (ko)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20011476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212515752U (zh) 触摸传感器模块、窗口堆叠结构和图像显示装置
TWI421740B (zh) 觸控顯示面板及電子裝置之製造方法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US1202910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130588A (zh) 显示设备
JP2018081186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65466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14478B1 (ko)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60131931A1 (en) Display device
KR102703404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6561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금속 박막의 타발 장치 및 타발 방법
US2022006325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lacing window module of display device
TWI850111B (zh) 顯示裝置
US11980049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