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436A - Mcsg 용 인출 모듈 - Google Patents

Mcsg 용 인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436A
KR20200059436A KR1020180144155A KR20180144155A KR20200059436A KR 20200059436 A KR20200059436 A KR 20200059436A KR 1020180144155 A KR1020180144155 A KR 1020180144155A KR 20180144155 A KR20180144155 A KR 20180144155A KR 20200059436 A KR20200059436 A KR 2020005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mcsg
room
module
withdraw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626B1 (ko
Inventor
유수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홍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홍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홍전기
Priority to KR102018014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MCS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치형(Trolley Type)의 MCSG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및 PT의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MCSG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T 및 PT 인출 모듈이 차단기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쇼트(short)나 지락에 의한 사고 발생 시 발생되는 ARC 압력에 대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이 가능한 하치형 인출 모듈에 차단기 및 PT가 탑재되고, 하치형 인출 모듈의 MCSG로의 인입 및 MCSG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차단기 및 PT가 MCSG 상에 연결 또는 분리되고, MCSG로부터 인출된 하치형 인출 모듈을 이용해 차단기 및 PT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기 및 PT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MCSG 용 인출 모듈{DRAWN MODULE FOR MCSG}
본 발명은 MCSG 용 인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치형(Trolley Type)의 MCSG 인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의 종류는 절연방식에 따라서 기중절연 수배전반(AIS: Air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 수배전반(GIS: Gas Insulated Switchgear) 및 고체절연 수배전반(SIS: Solid Insulated Switchgear)로 나뉘어지며, 기중절연 수배전반은 내부 격벽구조에 따라서 MCSG(Metal Clad Switchgear) 타입과 MESG(Metal Enclosed Switchgear) 타입으로 나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52호는 모선실, 접지 스위치와 변류기가 설치된 케이블실, 상기 모선실의 일측에 구비된 LV실, 상기 LV실 하측에 위치한 차단기실 및 상기 LV실과 차단기실과 접하여 설치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기실에 설치되어 차단기를 탈부착시키도록 안내하는 차단기 레일 베이스와 상기 차단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차단기를 지지하며 탈부착되는 차단기 베이스를 구비한 배전반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52호는 유지 보수를 위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차단기 설치 구조를 개시한다. 다만,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52호는 인출된 차단기의 운반을 지원하지 못한다.
아울러, 쇼트(short)나 지락에 의한 사고(예를 들어, Internal Arc) 시에 대한 보완사항으로 PT(Power Transformer)가 설치되어야 하나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52호는 PT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PT를 외함의 상부에 설치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MCSG의 부피가 증가하고 PT의 유지/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52호(2018.10.08.)
본 발명은 쇼트(short)나 지락에 의한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차단기 및 PT의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MCSG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CSG 용 인출 모듈는 상부에 탑재되는 차단기를 MCSG로부터 인출 또는 MCSG로 인입하는 차단기 인출 모듈, 상기 차단기 인출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탑재되는 PT를 MCSG로부터 인출 또는 MCSG로 인입하는 PT 인출 모듈 및 상기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과 하부 도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기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 모듈은 상부에 상기 차단기를 탑재하는 차단기 탑재판, 상기 차단기 탑재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다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이동 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PT 수용 공간, 상기 이동 다리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 바퀴, 상기 제 1 바퀴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차단기 탑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이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T 인출 모듈은 상부에 상기 PT를 탑재하는 PT 탑재판, 상기 PT 탑재판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 바퀴, 상기 제 2 바퀴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탑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이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T 및 PT 인출 모듈이 차단기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쇼트(short)나 지락에 의한 사고 발생 시 발생되는 ARC 압력에 대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이 가능한 하치형 인출 모듈에 차단기 및 PT가 탑재되고, 하치형 인출 모듈의 MCSG로의 인입 및 MCSG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차단기 및 PT가 MCSG 상에 연결 또는 분리되고, MCSG로부터 인출된 하치형 인출 모듈을 이용해 Hoist와 같은 권상기 없이 차단기 및 PT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기 및 PT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양측 외함을 제거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이 MCSG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이 MCSG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MCSG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양측 외함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SG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이 MCSG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이 MCSG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CSG(Metal Clad Switchgear)(1)는 운반이 가능한 인출 모듈에 차단기(210) 및 PT(220)가 탑재되고, 인출 모듈의 MCSG(1)로의 인입 및 MCSG(1)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차단기(210) 및 PT(220)가 MCSG(1) 상에 연결 또는 분리되고, MCSG(1)로부터 인출된 인출 모듈을 이용해 차단기(210) 및 PT(220)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기(210) 및 PT(220)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MCSG(1)는 외함(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함(1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형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외함(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부스실(100), 차단기실(200), 케이블실(300) 및 LV실(400)로 구획될 수 있다. 부스실(100)이 외함(10)의 내측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부스실(100)의 좌측 및 하부 영역에 케이블실(3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스실(100) 및 케이블실(300)의 우측 영역에 차단기실(2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기실(200)의 우측 상부 영역에 LV실(400)이 형성될 수 있다. 부스실(100), 차단기실(200), 케이블실(300) 및 LV실(400)은 금속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스실(100)은 제 1 격벽(20)에 의해 케이블실(3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의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케이블실(300)은 제 2 격벽(30)에 의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LV실(400)은 밀폐된 외부 케이스를 통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제 1 격벽(20) 및 제 2 격벽(30)은 복수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함(10)은 상부에 릴리프 디바이스(relief device)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구획마다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릴리프 디바이스(11)는 케이블실(3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실(300)에서 사고(예를 들어, 화염, 폭발 등)가 발생되면 제 1 릴리프 디바이스(11)를 통해 외함(1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제 2 릴리프 디바이스(12)는 부스실(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부스실(100)에서 사고(예를 들어, 화염, 폭발 등)가 발생되면 제 2 릴리프 디바이스(12)를 통해 외함(1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제 3 릴리프 디바이스(13)는 차단기실(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실(200)에서 사고(예를 들어, 화염, 폭발 등)가 발생되면 제 3 릴리프 디바이스(13)를 통해 외함(1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릴리프 디바이스(13)는 각각의 릴리프 디바이스가 담당하는 실의 사고가 다른 실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고를 외함(1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각 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외함(10)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 릴리프 디바이스(13)는 제 1 및 제 2 격벽(30) 보다 사고에 약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외함(10)의 내부에 구획될 수 있는 부스실(100), 차단기실(200), 케이블실(300) 및 LV실(4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부스실(100)은 외함(10)의 내측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격벽(20) 및 제 2 격벽(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부스실(100)은 제 1 격벽(20)에 의해 케이블실(3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의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부스실(100)은 상부에 제 2 릴리프 디바이스(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되는 모선 부스바(110), 지지애자(120) 및 제 1 부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110)는 지지애자(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 2 격벽(3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부싱(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애자(120)는 일측에 모선 부스바(1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 2 격벽(3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애자(120)는 모선 부스바(110)를 제 2 격벽(3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부싱(130)은 일측이 제 2 격벽(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모선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부싱(130)은 일측에 상부 차단기 크립(212)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31)을 통해 상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131)를 차단기실(200)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부 차단기 크립(212)은 상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13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모선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차단기실(200)은 외함(10)의 내측에서 부스실(100) 및 케이블실(300)의 우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의해 부스실(100) 및 케이블실(3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차단기실(200)은 내부에 구비된 크립들이 각 수용구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류를 차단 또는 투입할 수 있으며, 부하측으로 전달되는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차단기실(200)은 차단기(210), PT(220), 차단기 인출 모듈(230) 및 PT 인출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에 하부 도어(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도어(50)를 개방하여 차단기(210) 및 PT(220)를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차단기(210)는 PT(220)의 상부에서 차단기 인출 모듈(2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 인출 모듈(230)에 의해 MCSG(1)로부터 인출 또는 MCSG(1)로 인입될 수 있다. 차단기(210)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모선을 통해 유입되는 전류의 차단 또는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단기 본체(211), 상부 차단기 크립(212), 하부 차단기 크립(2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본체(211)는 차단기 인출 모듈(2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 인출 모듈(230)을 이용하여 상부 차단기 크립(212) 및 하부 차단기 크립(213)을 각 수용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 설정된 방식으로 모선을 통해 유입되는 전류가 부하 부스바 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대해 차단 또는 투입할 수 있다.
상부 차단기 크립(212)은 차단기 본체(2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 본체(2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차단기 크립(212)은 선단이 제 1 부싱(130)의 상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131)에 삽입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싱(130)을 통해 모선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하부 차단기 크립(213)은 차단기 본체(211)의 일측에서 상부 차단기 크립(2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 본체(2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차단기 크립(213)은 선단이 제 2 부싱(310)의 하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311)에 삽입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 2 부싱(310)을 통해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PT(220)는 차단기실(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2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PT(220)는 PT 인출 모듈(24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PT 인출 모듈(240)에 의해 MCSG(1)로부터 인출 또는 MCSG(1)로 인입될 수 있다. PT(220)는 제 4 연결 부스바(3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 4 연결 부스바(344)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으로 부하측에 전달되는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PT(220)는 PT 본체(221) 및 PT 크립(222)을 포함할 수 있다.
PT 본체(221)는 차단기(210)의 하부에서 PT 인출 모듈(24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PT 인출 모듈(240)을 이용하여 PT 크립(222)을 PT 크립 수용구(371)에 삽입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 4 연결 부스바(3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4 연결 부스바(344)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으로 부하측에 전달되는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PT 크립(222)은 PT 본체(2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PT 본체(22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T 크립(222)은 선단이 PT 커넥터(370)의 PT 크립 수용구(371)에 삽입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 4 연결 부스바(344)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차단기 인출 모듈(230)은 하부 도어(50)의 개폐에 따라 차단기 인출 모듈(230)의 상부에 구비된 차단기(210)를 MCSG(1)의 차단기실(200)로부터 인출 또는 MCSG(1)의 차단기실(200)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기(210)의 교체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트럭, 대차, 수레와 같이 바퀴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인출 모듈(230)은 차단기 인출 모듈(230)과 하부 도어(5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경사판(60)을 이용하여 차단기(21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으며, 하부에 PT(220)를 수용할 수 있는 PT 수용 공간(235)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60)은 기 설정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지면과 맞닿아 있는 것과 동시에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MCSG(1)의 외함(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차단기 인출 모듈(230)은 상부에 차단기(210)를 탑재하는 차단기 탑재판(231), 차단기 탑재판(231)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232), 지지대(232)를 지지하는 지지판(233), 지지판(233)의 양단에 형성되는 이동 다리(234), 지지판(233) 및 이동 다리(234)에 의해 형성되는 PT 수용 공간(235), 이동 다리(234)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 바퀴(236), 제 1 바퀴(236)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레일(237) 및 차단기 인출 모듈(230)을 이동시키기 위해 차단기 탑재판(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이동 손잡이(238)를 포함할 수 있다.
PT 인출 모듈(240)은 하부 도어(50)의 개폐에 따라 PT 인출 모듈(240)의 상부에 구비된 PT(220)를 MCSG(1)의 차단기실(200)로부터 인출 또는 MCSG(1)의 차단기실(200)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PT(220)의 교체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트럭, 대차, 수레와 같이 바퀴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T 인출 모듈(240)은 PT 인출 모듈(240)과 하부 도어(5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경사판(60)을 이용하여 PT(22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다. 경사판(60)은 기 설정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지면과 맞닿아 있는 것과 동시에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MCSG(1)의 외함(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PT 인출 모듈(240)은 상부에 PT(220)를 탑재하는 PT 탑재판(241), PT(220) 탑재판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 바퀴(242), 제 2 바퀴(242)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레일(243) 및 PT 인출 모듈(240)을 이동시키기 위해 PT 탑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이동 손잡이(24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실(300)은 외함(10)의 내측에서 부스실(100)의 좌측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격벽(20) 및 제 2 격벽(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실(300)은 제 1 격벽(20)에 의해 부스실(1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의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실(300)은 상부에 제 1 릴리프 디바이스(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부싱(310), 제 1 CT(320), 제 2 CT(330), 어싱스위치(350), 연결 부스바(340),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 및 PT 커넥터(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싱(310)은 일측이 제 2 격벽(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측에 제 1 CT(3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부싱(310)은 제 1 CT(320)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 1 연결 부스바(3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 부스바(341) 상의 전류를 제 1 CT(320)에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싱(310)은 일측에 하부 차단기 크립(213)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형성된 제 2 관통공(32)을 통해 하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311)를 차단기실(200)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하부 차단기 크립(213)은 하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31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 1 CT(320)는 로고스키 코일 타입일 수 있으며, 제 2 부싱(3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CT(320)는 내측에 제 1 연결 부스바(341)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 부스바(341) 상의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제 2 CT(330)는 바 타입일 수 있으며, 제 1 연결 부스바(341)에 의해 제 1 CT(320)와 연결 및 제 2 연결 부스바(342)에 의해 어싱스위치(3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CT(330)는 제 1 CT(3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 부스바(341)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코일(미도시) 및 제 1 코일과 유도 결합되는 제 2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코일은 일측이 제 1 연결 부스바(341)과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 2 연결 부스바(3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1 코일은 제 2 코일과 유도 결합될 수 있다.
제 2 코일은 제 2 CT(330) 내부에서 제 1 코일과 유도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CT(330)가 제 2 코일을 통해 제 1 코일 상의 전류가 검출할 수 있다.
연결 부스바(340)는 제 1 CT(320), 제 2 CT(330), 어싱스위치(350) 및 PT 커넥터(370)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연결 부스바(340)는 제 1 연결 부스바(341), 제 2 연결 부스바(342), 제 3 연결 부스바(343) 및 제 4 연결 부스바(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스바(341)은 일측이 제 2 부싱(3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측에 제 1 CT(3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CT(3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스바(341)은 타측이 제 1 코일의 일측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스바(342)는 일측이 제 1 코일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 2 CT(33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스바(342)는 타측 일면에 어싱스위치(3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타측 타면에는 제 3 연결 부스바(3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3 연결 부스바(343)은 “
Figure pat00001
” 타입일 수 있으며, 일측이 제 2 연결 부스바(3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타측이 제 4 연결 부스바(344)의 일측과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 4 연결 부스바(344)는 “
Figure pat00002
” 타입일 수 있으며, 일측이 제 3 연결 부스바(343)와 밀착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PT 커넥터(37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결 부스바(343)과 제 4 연결 부스바(344)가 밀착 고정되는 영역은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에 부하 측으로 연장되는 부하 부스바(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어싱스위치(350)는 제 2 연결 부스바(342)의 타측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샤프트, 강봉과 같은 연결 수단을 통해 핸들(351)과 연결될 수 있다. 어싱스위치(350)는 핸들(351)의 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핸들(351) 조작에 의해 제 2 연결 부스바(342)와 접속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싱스위치(350)가 제 2 연결 부스바(342)에 접속되면 고장 전류의 잔여 전류가 어싱스위치(350)의 접지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부하 부스바 연결부(360)는 제 3 연결 부스바(343)과 제 4 연결 부스바(344)가 밀착 고정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부하 측으로 연장되는 부하 부스바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PT 커넥터(370)는 일측이 제 4 연결 부스바(344)의 타측과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 2 격벽(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PT 커넥터(370)는 일측에 PT 크립(222)을 수용하기 위한 PT 크립 수용구(3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격벽(30)에 형성된 제 3 관통공(33)을 통해 PT 크립 수용구(371)를 차단기실(200)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PT 크립(222)는 PT 크립 수용구(37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 4 연결 부스바(344)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T(220)는 제 4 연결 부스바(344)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으로 부하측에 전달되는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LV실(400)은 외함(10)의 내측에서 차단기실(200)의 우측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밀폐된 외부 케이스를 통해 차단기실(200)과 상호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LV실(400)은 내측에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기, 제 1 CT(320) 및 제 2 CT(330), PT(220), 차단기(210) 등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동작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회로 및 조작기와 같은 컴포넌트가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LV실(400) 내측에는 Low Voltage 상에서 동작하는 MCSG(1) 컴포넌트가 밀집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LV실(400)은 일측에 상부 도어(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를 통해 컴포넌트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MCSG
10 : 외함
11 : 제 1 릴리프 디바이스 12 : 제 2 릴리프 디바이스
13 : 제 3 릴리프 디바이스
20 : 제 1 격벽
30 : 제 2 격벽
31 : 제 1 관통공 32 : 제 2 관통공
33 : 제 3 관통공
40 : 상부 도어
50 : 하부 도어
60 : 경사판
100 : 부스실
110 : 모선 부스바
120 : 지지애자
130 : 제 1 부싱
131 : 상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
200 : 차단기실
210 : 차단기
211 : 차단기 본체 212 : 상부 차단기 크립
213 : 하부 차단기 크립
220 : PT
221 : PT 본체 222 : PT 크립
230 : 차단기 인출 모듈
231 : 차단기 탑재판 232 : 지지대
233 : 지지판 234 : 이동 다리
235 : PT 수용 공간 236 : 제 1 바퀴
237 : 제 1 가이드 레일 238 : 제 1 이동 손잡이
240 : PT 인출 모듈
241 : PT 탑재판 242 : 제 2 바퀴
243 : 제 2 가이드 레일 244 : 제 2 이동 손잡이
300 : 케이블실
310 : 제 2 부싱
311 : 하부 차단기 크립 수용구
320 : 제 1 CT
330 : 제 2 CT
340 : 연결 부스바
341 : 제 1 연결 부스바 342 : 제 2 연결 부스바
343 : 제 3 연결 부스바 344 : 제 4 연결 부스바
350 : 어싱스위치
351 : 핸들
360 : 부하 부스바 연결부
370 : PT 커넥터
371 : PT 크립 수용구
400 : LV실

Claims (3)

  1. 외함 내부에 구획되는 차단기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탑재되는 차단기를 MCSG로부터 인출 또는 MCSG로 인입하는 차단기 인출 모듈;
    상기 차단기 인출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탑재되는 PT를 MCSG로부터 인출 또는 MCSG로 인입하는 PT 인출 모듈; 및
    상기 차단기 인출 모듈 및 PT 인출 모듈과 하부 도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기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SG 용 인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모듈은
    상부에 상기 차단기를 탑재하는 차단기 탑재판,
    상기 차단기 탑재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다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이동 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PT 수용 공간,
    상기 이동 다리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 바퀴,
    상기 제 1 바퀴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차단기 탑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이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SG 용 인출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 인출 모듈은
    상부에 상기 PT를 탑재하는 PT 탑재판,
    상기 PT 탑재판의 내측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 바퀴,
    상기 제 2 바퀴의 동선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탑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이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SG 용 인출 모듈.
KR1020180144155A 2018-11-21 2018-11-21 Mcsg 용 인출 모듈 KR10216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55A KR102163626B1 (ko) 2018-11-21 2018-11-21 Mcsg 용 인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55A KR102163626B1 (ko) 2018-11-21 2018-11-21 Mcsg 용 인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436A true KR20200059436A (ko) 2020-05-29
KR102163626B1 KR102163626B1 (ko) 2020-10-08

Family

ID=7091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155A KR102163626B1 (ko) 2018-11-21 2018-11-21 Mcsg 용 인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6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02B1 (ko) * 2020-09-21 2021-03-17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KR102318815B1 (ko) * 2021-06-28 2021-10-28 네오피스 주식회사 자석을 갖는 헤드를 구비한 진공 차단기 인출입장치
WO2023204393A1 (ko) * 2022-04-19 2023-10-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인입출 장치 및 이를 운반하는 카트 장치
WO2023204394A1 (ko) * 2022-04-19 2023-10-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인입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23A (ja) * 2001-03-27 2002-10-04 Fuji Electric Co Ltd 盤内設置機器の引出し装置
JP2010017051A (ja) * 2008-07-07 2010-01-21 Hitachi Ltd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KR101633567B1 (ko) * 2011-12-08 2016-06-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기어
KR101733705B1 (ko) * 2016-12-20 2017-05-08 주식회사 서호산전 진공 차단기 인입출 안전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KR101795930B1 (ko) * 2016-05-09 2017-11-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출입장치
KR101907575B1 (ko) * 2017-01-24 2018-10-1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 외함
KR101907952B1 (ko) 2017-01-26 2018-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23A (ja) * 2001-03-27 2002-10-04 Fuji Electric Co Ltd 盤内設置機器の引出し装置
JP2010017051A (ja) * 2008-07-07 2010-01-21 Hitachi Ltd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KR101633567B1 (ko) * 2011-12-08 2016-06-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기어
KR101795930B1 (ko) * 2016-05-09 2017-11-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출입장치
KR101733705B1 (ko) * 2016-12-20 2017-05-08 주식회사 서호산전 진공 차단기 인입출 안전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KR101907575B1 (ko) * 2017-01-24 2018-10-1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 외함
KR101907952B1 (ko) 2017-01-26 2018-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02B1 (ko) * 2020-09-21 2021-03-17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KR102318815B1 (ko) * 2021-06-28 2021-10-28 네오피스 주식회사 자석을 갖는 헤드를 구비한 진공 차단기 인출입장치
WO2023204393A1 (ko) * 2022-04-19 2023-10-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인입출 장치 및 이를 운반하는 카트 장치
WO2023204394A1 (ko) * 2022-04-19 2023-10-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인입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626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9436A (ko) Mcsg 용 인출 모듈
JP4727736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291835B1 (ko)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및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배전반
KR101633567B1 (ko) 스위치 기어
CN203504044U (zh) 铠装中置式开关柜
KR20080005869A (ko) 배전용 개폐장치
EP1983625A1 (en) Removable compartment for use in a functional unit of an electrical switchgear
KR101203912B1 (ko) 스위치 기어
JP2000209714A (ja) 多重極遮断器組立体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90119539A (ko)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KR200422854Y1 (ko) 입출식 배치함을 갖는 수배전반
KR20190101691A (ko) 부싱형 변류기를 적용한 배전반
KR20200059437A (ko) 메탈 클레드 스위치기어
CN205985912U (zh) 一种金属封闭式中置移开型开关柜
CN205985915U (zh) 一种具有电动机控制电路和安全锁的开关柜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CN105305285A (zh) 移开式交流金属封闭高压中置式开关设备及安装方法
JP2011142746A (ja) 金属閉鎖型スイッチギヤ用試験治具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CN205985914U (zh) 一种具有电动机控制电路和安全锁的开关柜
CN209626791U (zh) 一种金属铠装移开式开关柜
CN205985930U (zh) 一种金属封闭式中置移开型开关柜
CN205985932U (zh) 一种金属封闭式中置移开型开关柜
CN205985913U (zh) 一种金属封闭式中置移开型开关柜
JP2017077115A (ja) スイッチギヤ用高圧・低圧兼用試験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