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260A - 인라이너 - Google Patents

인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260A
KR20200059260A KR1020207011515A KR20207011515A KR20200059260A KR 20200059260 A KR20200059260 A KR 20200059260A KR 1020207011515 A KR1020207011515 A KR 1020207011515A KR 20207011515 A KR20207011515 A KR 20207011515A KR 20200059260 A KR20200059260 A KR 2020005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iner
welded
filling
connector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틀레브 베이라우츠
Original Assignee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5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26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1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lle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액체 또는 유동성 충진(filling) 제품을 저장하고 그리고 운송하기 위한 특히 팔레트 컨테이너(pallet container)(10)를 위한, 상부 충진 커넥터(30) 및 하부 배출 커넥터(32)를 구비하는, 다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 가요성 인라이너(inliner)(28)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레트 컨테이너에서 인라이너의 사용을 개선시키고, 특히 더 긴 운송 및 저장 시간에 걸쳐서도, 다층 필름의 배리어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는, 임의의 필름 절단 에지(68, 70)가 충진 재료와의 접촉에 대해 커버되는 방식으로, 인라이너 벽(56)에 용접되고, 필름 절단 에지(68, 70) -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의 용접된 플랜지 림(58, 66) 상의 필름 절단 에지 및 인라이너 벽(56)의 배출 개구(72)의 내부 경계 상의 필름 절단 에지 - 는 유동성 충진 재료와 접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인라이너
본 발명은 특히 위험한 액체 또는 자유 유동성 충진(filling) 제품을 저장하고 그리고 운송하도록 지지 외부 컨테이너(containers)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진/배출(retrieving) 커넥터를 갖는 다층 가요성 인라이너(inliner)에 관한 것이다.
지지 외부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팔레트 컨테이너(pallet containers), 복합 IBCs, 가요성 IBCs, 강성 페이퍼보드(paperboard)/카드보드(cardboard) 박스, 벙홀(bunghole) 드럼, 뚜껑이 달린 드럼, 캐니스터(canisters) 등일 수 있으며, 오직 얇은 벽의 인라이너를 지지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액체 충진 제품은 지지 외부 컨테이너와는 접촉하지 않고, 인라이너의 내부와만 접촉하게 된다. 사용된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값비싼 외부 컨테이너가 재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적인 인라이너 또는 필름 백만이 각각 교체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얇은 벽의 인라이너는 종종 큰 부피의 팔레트 컨테이너 내에, 특히 직육면체 형상의 복합 IBCs(이하 간단히 "IBC"라고 함) 내에 사용되어, 값비싼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를 충진 제품에 의한 오염에 대해 보호하고, 그리고 상기 값비싼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가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복합 IBCs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강성 내부 컨테이너, 서로 용접된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rods)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지지 재킷으로서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를 단단히 둘러싸는 관형 그리드 프레임(grid frame), 및 플라스틱 재료 컨테이너가 지지되고 관형 그리드 프레임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직사각형 베이스 팔레트로 이루어진다.
직사각형 강성 플라스틱 재료 컨테이너는 가장 통상적으로 2 개의 더 긴 측 방향 벽, 1 개의 더 짧은 후방 벽, 1 개의 더 짧은 전방 벽, 폐쇄 가능한 충진 커넥터를 갖는 상부 베이스, 및 컨테이너 베이스를 가지며, 여기서 보호 하우징의 형태로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 내로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고 폐쇄 가능한 배출 피팅의 보호되는 리세스형 체결을 위한 배출 커넥터를 갖는 오목한 몰딩을 갖는 하부 배출 구역이 전방 벽의 중앙의 베이스 상에 제공된다.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 내로 삽입되는 얇은 벽의 인라이너에는 대응하는 충진 및 배출 커넥터가 제공되고, 이 충진 및 배출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인라이너 그 자체와 동일한 필름 재료로 이루어지고, 충진 커넥터의 상단에서, 그리고 바닥에서, IBC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배출 피팅을 갖는 배출 커넥터에 연결되거나 또는 체결된다.
이슈의 세트:
상이한 액체 충진 제품에 대해 패키징, 예를 들어, 다층 인라이너가 삽입되는 팔레트 컨테이너를 선택할 때, 각각의 충진 제품에 요구되는 인라이너의 배리어 특성이 선택되어야 한다. 배리어 층들을 갖는 다층 필름 인라이너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미리 제조된 얇은 벽의 플라스틱 재료(PE, PA)로 이루어진 비교적 강성의 커넥터가 용접되지만,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임의의 배리어 층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임의의 배리어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민감한 액체 충진 제품은 예를 들어 확산 산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배리어 층을 갖는, 인라이너의 동일한 필름 재료로 이루어진 가요성 호스 커넥터가 또한 인라이너의 충진 및/또는 배출 개구에 대해 용접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대칭 필름 구조를 갖는 다층 인라이너의 경우의 이슈는, 용접된 필름 커넥터(충진 커넥터 및/또는 배출 커넥터)의 경우, 필름 커넥터 플랜지를 외부로부터 인라이너에 용접할 때 충진 제품은 항상 필름 개구의 내부 절단 에지와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필름 커넥터 플랜지를 내부로부터 인라이너에 용접할 때 필름 커넥터 플랜지의 외부 절단 에지와 접촉하게 될 것이다. 배리어 층들 사이에 통합되는 접착제 유형의 결합제 층들은 특히 용매 함유 충진 제품의 경우 손상되어 용해될 수 있으므로, 특히 다층 인라이너가 장착되고 비교적 긴 시간 기간에 걸쳐 운송되는 대형 컨테이너에서, 배리어 특성의 손실과 관련된 필름 층의 불리한 릴리즈(release)가 발생할 수 있다. 필름 복합체가 용해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충진 제품은 실제 배리어 층 이후에 침입하여 이를 회피할 수 있다.
종래 기술:
일반적인 팔레트 컨테이너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 내의 얇은 플라스틱 재료 필름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인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공개 EP 2 090 528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의 초점은 특히 스크류-장착된 배출 피팅의 도움으로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강성 배출 커넥터에서 하부 인라이너 배출 커넥터의 안전한 고정에 있다. 그러나, 여기서 인라이너 필름 벽에 용접된 인라이너 배출 커넥터는, 인라이너 필름과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미리 제조된 용접된 플랜지 림(flange rim)을 갖는 환형 슬리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된 단점들을 회피하고 완전한 배리어 특성이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용접된 필름 커넥터를 갖는 다층 인라이너의 설계 실시예를 제안하는 것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별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의 다른 유리한 설계 실시예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제안된 기술적 교시는 액체 컨테이너의 긴 운송 및 저장 기간의 경우에도 어떻게 다층 인라이너의 약점들이 개선될 수 있고, 전체 배리어 특성이 완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 그리고 민감한 충진 제품에 대한 확산 관련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지를 간단한 방식으로 전달한다. 구성 측면에서 볼 때, 이는 충진/배출 커넥터가, 기존 필름 절단 에지가 충진 제품과의 접촉에 대해 커버되는 방식으로, 인라이너 벽에 용접되고, 필름 절단 에지,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된 플랜지 림 상의 필름 절단 에지 및 인라이너 벽에서 배출 개구의 내부 측면 경계 상의 필름 절단 에지는 충진된 액체 충진 제품과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는 인라이너 벽과 동일한 다층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가 인라이너 필름과 동일한 배리어 품질을 갖는 것이 보장된다.
비대칭 층 구조를 갖는 인라이너 벽에 대한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의 높은 강도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외부 필름 층들이 서로 용접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된 플랜지 림은 특별한 방식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되고, 여기서 인라이너 벽의 배출 개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 개구가 용접된 플랜지 림 내에 구성된다. 이것은 충진/배출 커넥터가 내측으로 정렬된 플랜지 림에 의해 먼저 예상 위치에서 폐쇄된 인라이너 벽에 용접되고, 플랜지 림의 용접 후에, 환형 커터 또는 원형 펀칭 공구에 의해 배출 개구가 각각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에 대해 중심이 되도록 인라이너 벽 내로 절단되거나 또는 펀칭되고, 여기서 인라이너 벽에서 배출 개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충진/배출 커넥터의 플랜지 림의 내부 경계는 각각 클린(clean) 필름 절단 에지를 갖도록 동시에 펀칭되거나 또는 트리밍(trimmed)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설계 실시예에서,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는 내부가 뒤집어져(turned inside out) 인라이너 벽의 배출 개구를 통해 당겨져서,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된 플랜지 림은 인라이너 벽의 내부 측면 상에 배치되고, 통과하여 당겨진 충진/배출 커넥터는 인라이너의 외부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제조 기술에 있어서,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된 플랜지 림을 인라이너 벽에 환형 용접하는 것은 인라이너 본체에 대한 다층 인라이너 필름의 블랭크의 완전하고 최종적인 용접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여기서 특히 중요하다. 관형 필름이 인라이너 본체를 위한 수직으로 둘러싸는 측 방향 벽 부분으로 사용되는 한, 상기 관형 필름은 환형 디스크의 형태로 용접된 플랜지 림의 용접 이전에 내부가 뒤집어지고, 내부 측면은 외부로 되며, 용접된 플랜지 림의 용접 이후에 다시 반전되어 내부 측면은 다시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 후에, 여전히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충진/배출 커넥터는 마찬가지로 내부가 뒤집어져,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는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인라이너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설계 실시예에서, 인라이너는 통상의 1000 l 팔레트 컨테이너 내로 삽입하기 위해, 다층 인라이너 필름의 3 개의 블랭크가 서로 용접되는 직육면체 설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3 개의 블랭크는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를 갖는 상부 수평 커버 부분, 하부 수평 베이스 부분, 및 베이스 상에 가요성 배출 커넥터를 갖는 수직으로 둘러싸는 측 방향 벽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큰 부피의 팔레트 컨테이너, 특히 복합 IBCs는 전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위험한 액체 또는 자유 유동성 충진 제품을 저장하고 그리고 운송하기 위해 수백만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라이너에 의해, 특히 고가의 민감한 액체 충진 제품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다중 적용 또는 다중 사용 패키징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유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설계 실시예에서, 인라이너의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에 고정 용접되고,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인라이너의 가요성 배출 커넥터는 팔레트 컨테이너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배출 커넥터로 고정 용접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 및/또는 인라이너의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요성 배출 커넥터는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의 단부면 상에서 축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거나, 또는 팔레트 컨테이너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배출 커넥터의 단부면 상에서 축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 및/또는 인라이너의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요성 배출 커넥터는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의 외부 입구 구역에서 반경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거나, 또는 팔레트 컨테이너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배출 커넥터의 외부 입구 구역에서 반경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된다.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의 용접 변형예 모두가 물론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팔레트 컨테이너, 벙홀 드럼 및 캐니스터와 같은 액체의 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자격을 갖춘 재조정(reconditioning) 시설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으로 재조정되고, 여기에는 특히 클리닝(cleaning), 테스팅, 품질 관리 및 새로운 인라이너의 삽입이 포함된다. 팔레트 컨테이너 내의 인라이너의 가요성 얇은 벽의 충진 및 배출 커넥터가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안정된 충진 및 배출 커넥터에 고정 용접될 때, 상기와 같이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에 인라이너를 고정하는 것은 고객 및 사용자, 이에 따라 액체 충진 제품을 충진하고 비우는 당사자에게 가장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간단히 내부가 뒤집어지고 강성 컨테이너 커넥터에 클램핑함으로써 인라이너 커넥터의 일반적인 체결에서 종래에 종종 발생했던 것과 같은, 주름 및 누출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인라이너의 가요성 충진 및 배출 커넥터의 트위스팅이, 스크류 캡, 벙홀 커넥터, 배출 피팅 또는 교반 공구를 스크류-장착하고 그리고 스크류를 풀 때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가 삽입되는 IBC를 정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삽입되는 인라이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용접 및 펀칭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용접된 인라이너 커넥터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IBC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상부 충진 개구의 구역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IBC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하부 배출 개구의 구역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특히 위험한 액체 또는 자유 유동성 충진 제품을 저장하고 그리고 운송하기 위한 충진 제품 부피가 대략 1000 l인 팔레트 컨테이너(IBC)가 참조 부호 10으로 식별된다. 위험 충진 제품을 각각 적용하거나 또는 사용하기 위한 팔레트 컨테이너(10)는 특정 시험 기준을 충족하고, 해당 규제 허가가 제공된다. 팔레트 컨테이너(10)의 주요 요소는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얇은 벽의 강성 내부 컨테이너(12), 지지 재킷으로서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를 단단히 둘러싸는 관형 그리드 프레임(14), 및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가 지지되고 관형 그리드 프레임(14)이 고정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16)로 이루어진다. 외부 관형 그리드 프레임(14)은 서로 용접된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18, 2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액체 충진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식별 플레이트(22)가 관형 그리드 프레임(14)의 전방 측면에 체결된다. 액체 충진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피팅(24)이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베이스의 전방에 연결된다.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가 상기 컨테이너에 충진된 충진 제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그리고 값비싼 내부 컨테이너의 복수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요성 다층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벽의 인라이너(28)는 팔레트 컨테이너(10)가 새롭게 재-충진되기 전에 각각의 경우에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인라이너(28)는 상단에서 충진 커넥터(74)에 연결되고, 바닥에서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배출 커넥터(76)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마찬가지로 직육면체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요성 인라이너(28)는 도 2에서 그 자체가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 없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도 취급될 때 항상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와 달리, 인라이너(28) 자체는, 그 얇은 벽 특성으로 인해, 치수적으로 안정적이지 않고, 오히려 가요성이고 탄력적이며 적응 가능할 수 있다. 다층 인라이너 복합 필름의 벽 두께는 대략 100 ㎛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대략 150 μm이다. 특정 면적 무게가 대략 100 내지 150 g/㎡인 경우, 이로 인해 재료 무게는 1000 l 인라이너 백의 경우 대략 0.7 내지 1.3 kg이다. 삽입된 인라이너는 비대칭 층 구조를 갖는 다층 플라스틱 재료 복합 필름으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웨이퍼-박형 복합 층은 예를 들어 HDPE/LDPE/EVOH/PET/PA/PP, 또는 그 사이에 결합제로 이루어진 층들이 배치되어 있는 SiOx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리 섬유 또는 직물 보강재가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적용에 따라, 복합 필름은 탄화수소, 산소, 방향족 물질, 또는 수증기의 확산과 관련한 차단 층을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방부 항균 코팅, 또는 은 또는 알루미늄의 증착을 함유하는 금속 포일을 구비한다.
전방 하부 배출 구역의 직육면체 가요성 인라이너(28)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보호 하우징 형태의 오목한 몰딩(26)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지향되는 벽 오목 부분(34)을 가지며, 이는 2 개의 측 방향 벽 부분(36), 즉, 여기에 성형되어 보호 하우징의 형태로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내부로 돌출되는 오목한 몰딩(26)의 내부 표면에 완전히 정확하게 맞는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배출 커넥터(32)를 갖는 1 개의 후방 벽 부분(40) 및 1 개의 상부 벽 부분(38)을 포함한다. 개선된 선명도를 위해, 여기서 인라이너(28)의 이러한 벽 오목 부분(34)은 매우 박스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벽 및 벽 전이부는 물론 또한 매우 반경 형식으로 이루어지고(radiused), 편평화되고 그리고/또는 상호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보호 하우징의 형태로 각각의 오목한 몰딩(26)에 적응되어야 한다.
제조 기술에 있어서, 가요성 인라이너(28)의 본체는 비대칭 층 구조를 갖는 다층 복합 필름의 3 개의 블랭크를 용접함으로써 조립된다. 상기 3 개의 블랭크는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30)를 갖는 상부 커버 부분(46), 벽 오목 부분(34)의 베이스의 형상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갖는 하부 수평 베이스 부분(48),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측 방향 벽 부분(36), 그리고 인라이너(28)의 벽 오목 부분(34)의 상부 벽 부분(38) 및 후방 벽 부분(40)에 대한 면의 측면에서의 서브 부분을 갖는 수직으로 둘러싸는 측 방향 벽 블랭크(52)로 이루어진다. 완전히 제조된 인라이너의 경우, 3 개의 블랭크는 상부 커버 부분(46)의 외부 에지 및 하부 베이스 부분(48)의 외부 에지 상에서 수평으로 둘러싸는 2 개의 용접 이음 부분(42, 44)에 의해 함께 용접되고, 측 방향 벽 블랭크(52)를 전방 벽의 중심에서 그리고 벽 오목 부분(34)의 중심을 통해 상단으로부터 바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용접 이음 부분(50)에 의해 폐쇄한다. 가요성 충진 커넥터(30) 및 배출 커넥터(32)의 특정 용접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충진/배출 커넥터(54)의 용접 전의 상태는 도 3에서 이중 층 인라이너 필름("트윈 인라이너(TwinLiner)")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라이너 필름의 2 개의 층은 이종 재료로 구성되므로, 따라서 단순한 비대칭 필름 구조를 나타낸다. 인라이너 필름의 비대칭 필름 구조에서, 각각의 블랭크 및 관형 충진 및 배출 커넥터의 동일한 필름 재료 또는 동일한 필름 층이 항상 서로 용접되는 것이 중요하다. 용접되는 모든 부분의 경우, 충진 제품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들의 내부 측면이 유리하게는 먼저 외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직 인라이너 벽 및 튜브형 충진/배출 커넥터의 블랭크 또는 튜브형 필름은 각각 내부가 뒤집어지는데(turned inside out), 소위 "잘못된 측면으로" 회전하게 된다. 인라이너 커넥터가 용접된 후에는, 모든 부분이 각각 그들의 원래 위치 설정으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반전된다.
이 예에서는, 용접 전에 충진/배출 커넥터(54)의 용접된 플랜지 림(58)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되는 것이 중요하다. 원통형 카운터 베어링(counter bearing)(62)(이 카운터 베어링은 또한 용접 튜브로도 지칭됨) 형태의 압축 공구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용접된 플랜지 림(58)은 인라이너 벽의 내부 측면에 대해 가압되고, 환형 용접 장치(60)에 의해 용접된다. 관형 충진/배출 커넥터(54)가 원통형 카운터 베어링(62) 상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힐 때, 용접된 플랜지 림(58)의 필름에는 얇은 주름이 필연적으로 형성되지만, 그러나 상기 주름은 환형 용접 장치(60)에 의한 용접된 플랜지 림(58)의 후속 용접에서 인라이너 벽에 대해 편평하고 매끄럽게 되도록 완전하게 펴지게 된다. 얇은 주름의 추가적인 필름 재료로 인해, 용접된 연결부의 증가된 강도와 관련된 용접된 영역의 리브 유형의 강화가 유도된다.
용접된 플랜지 림(58, 66) 내에 있고 클린 필름 절단 에지(68)를 갖는 관통 개구가, 원통형 카운터 베어링(62)에 대해 푸시되는 환형 펀칭 블레이드(64)에 의해 용접 직후에 구성되며, 상기 관통 개구는 클린 필름 절단 에지(70)를 갖도록 동시에, 펀칭 또는 절단되는 인라이너 벽(56) 내의 배출 개구(72)와 정확히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관형 충진/배출 커넥터(54)의 용접 후, 이는 다시 "내부가 뒤집어지고",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라이너 벽(56)에서 방금 절단된 배출 개구(72)를 통해 외부로 인라이너 본체의 외부 측면으로 당겨진다. 여기서, IBC의 상부 충진 커넥터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외부 측면이 상단에 도시되어 있고, 인라이너 본체의 내부 측면이 바닥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가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경우에도, 제조 기술에 있어서 충진 및 배출 커넥터(30, 32, 54)의 용접된 플랜지 림(58)이 인라이너 벽(56)으로 환형 용접되는 것이 폐쇄된 인라이너 본체에 대한 다층 인라이너 필름의 블랭크의 완전하고 최종적인 용접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충진 커넥터(74)가 그 위에 성형되고 가요성 인라이너(28)의 충진 커넥터(30)가 여기에 용접되어 있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충진 구역은 도 5의 부분 절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가요성 충진 커넥터(30)는 용접된 플랜지 링(66)을 통해 한편으로 인라이너(28)의 상부 측면에 용접되고, 반경 방향 용접에 의한 환형 용접 이음 부분(78)에 의해, 강성 충진 커넥터(74)의 단부면 바로 아래에 강성 충진 커넥터(74)의 내부 측면에서 상단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용접되고, 상기 용접은 각각의 경우 기밀(gas-tight) 및 액밀(liquid-tight)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강성 배출 커넥터(76)가 그 위에 성형되고 가요성 인라이너(28)의 배출 커넥터(32)가 단부면에 여기에 용접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배출 구역이 도 6의 부분 절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개선된 선명도를 위해, 여기서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의 벽에서 사각형이 절단되었고, 여기서 절단 선은 배출 커넥터(76)를 통해, 내부에 성형된 보호 하우징(26) 및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전방 벽의 작은 피스를 통해 연장되어, 컷 아웃된 사각형에서 다수의 수직선으로 식별되는 곡선형 벽 오목 부분(34)을 통해 그 내부에 지지된 인라이너(28)가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벽 오목 부분(34)의 가려진 좌측 후방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각형 컷 아웃 부분에서, 가요성 배출 커넥터(42)가 내부 또는 후방 측면에서, 각각, 좁은 용접된 플랜지 림(66)에 의해, 인라이너(28)의 벽 오목 부분(34)의 후향 벽 부분(40)에 용접되고, 외부 측면에서 축 방향 용접을 통해 단부 용접 이음 부분(80)에 의해 강성 배출 커넥터(76)의 단부 면에 용접되며, 상기 용접은 각각 기밀 및 액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인라이너(28)는 형상-적응된 벽 오목 부분(34)을 통해 강성 내부 컨테이너(12)의 오목한 몰딩(26)의 내부 표면 상에서, 제 2 스킨과 같이, 전체 면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 2 스킨 인라이너의 실질적인 이점은, 필름 백은 충진될 때 또는 액체 충진 제품이 운송 중에 움직일 때 앞뒤로 출렁거리는 경우 스래싱(thrashing)과 관련한 종래와 같은 그러한 높은 인열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왜냐하면,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내부 측면 상에, 소위 접착제로 결합된 것과 같이, 고정된 영구적인 방식으로 지지되므로, 임의의 유형의 인라이너 필름 재료의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열에 민감하고 높은 배리어 특성을 갖는 현재보다 더 비용 효율적인 필름 재료가 이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인라이너(28)의 하부 가요성 배출 커넥터(32)뿐만 아니라 상부 가요성 충진 커넥터(30)도 유리하게는 가요성 인라이너(28)의 필름 재료와 동일한 배리어 특성을 갖는 동일한 필름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28)의 경우에,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는 그 자체로 인라이너(28)와 동일한 배리어 특성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재료를 관통하는 불리한 확산 동작이 배제된다. 내부 필름의 비대칭 필름 구조의 경우에, 동일한 필름 재료 또는 동일한 외부 필름 층이 각각 충진/배출 커넥터의 용접된 플랜지 림을 라이너 벽에 환형 용접할 때 각각의 경우에 서로 용접되는 것이 중요하다.
자세하게 설명되고 그 특이성을 갖는 팔레트 컨테이너에 삽입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는, 상응하게 적응된 형상으로, 물론 예를 들어 강철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벙홀 드럼 또는 캐니스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액체 컨테이너 내로 또한 삽입될 수도 있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이너의 각각의 특정 제조 또는 건설적인 설계 실시예에서는 유리하게는 다층 필름의 개방된 절단 에지가 충진 제품을 향하지 않는 필름 구성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올바른 표면은 항상 안쪽을 향한다. 이로 인해, 액체 충진 제품과 직접 접촉할 때 다층 필름의 배리어 효과는 비교적 긴 운송 및 저장 기간에 걸쳐서도 특히 완전히 보존되며, 복합 필름을 통해 내부로부터 외부로의(방향족 물질)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의(산소) 확산 동작에 의한 고가의 충진 제품에 대한 임의의 불리한 영향 또는 손상이 그로 인해 회피된다.
10 팔레트 컨테이너 62 원통형 카운터 베어링
12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 64 환형 펀칭 블레이드
14 튜브형 그리드 프레임 66 용접된 플랜지 링(28)
16 베이스 팔레트 68 필름 절단 에지, 플랜지 링
18 수평 관형 로드(12) 70 필름 절단 에지, 인라이너 벽
20 수직 관형 로드(12) 72 배출 개구, 인라이너 벽
22 식별 플레이트 74 상부 충진 커넥터 강성(12)
24 배출 피팅 76 하부 배출 커넥터 강성(12)
26 오목한 몰딩(12) 78 반경 방향 용접부, 내향
28 인라이너(필름 백) 80 축 방향 용접부, 단부면
30 충진 커넥터(28), 가요성
32 배출 커넥터(28), 가요성
34 인라이너 오목 부분(28)
36 측 방향 벽 부분(34, 28)
38 상부 벽 부분(34, 28)
40 후향 벽 부분(34, 28)
42 상부 수평 용접 이음 부분
44 하부 수평 용접 이음 부분
46 상부 수평 커버 부분(28)
48 하부 수평 베이스 부분(28)
50 전방 수직 용접 이음 부분(52)
52 측 방향 벽 블랭크(28)
54 인라이너 커넥터
56 인라이너 벽
58 인라이너 플랜지, 반경 방향 내측
60 용접 장치, 환형

Claims (10)

  1. 특히 위험한 액체 또는 자유 유동성 충진(filling) 제품을 저장하고 그리고 운송하도록 안정적인 외부 컨테이너(containers) 내로 삽입하기 위한, 인라이너 벽(56)에 용접되고 용접된 플랜지 림(flange rim)(5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배출(retrieving) 커넥터(30, 32, 54)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층 가요성 인라이너(inliner)(28)에 있어서,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는, 기존 필름 절단 에지(68, 70)가 상기 충진 제품과의 접촉에 대해 커버되는 방식으로, 상기 인라이너 벽(56)에 용접되고, 필름 절단 에지(68, 70), 상기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의 상기 용접된 플랜지 림(58, 66) 상의 상기 필름 절단 에지 및 상기 인라이너 벽(56)에서 배출 개구(72)의 내부 측면 경계 상의 상기 필름 절단 에지는 상기 충진된 액체 충진 제품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는 상기 인라이너 벽(56)과 동일한 다층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를 상기 인라이너 벽(56)에 용접할 때, 동일한 외부 필름 층들이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전에,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의 상기 용접된 플랜지 림(58, 66)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되고, 상기 용접 후에, 상기 인라이너 벽(56)에서 상기 배출 개구(72)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 개구가 상기 용접된 플랜지 림(58, 66) 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된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는 내부가 뒤집어져(turned inside out) 상기 인라이너 벽(56)의 상기 배출 개구(72)를 통해 당겨져서,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의 상기 장착된 용접된 플랜지 림(66)은 상기 인라이너 벽(56)의 내부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기술에 있어서 상기 충진/배출 커넥터(30, 32, 54)의 상기 용접된 플랜지 림(58)을 상기 인라이너 벽(56)에 환형 용접하는 것은 인라이너 본체에 대한 다층 인라이너 필름의 블랭크(blanks)의 완전하고 최종적인 용접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인라이너 필름의 3 개의 블랭크가 서로 용접되는, 통상의 1000 l 팔레트 컨테이너 내로 삽입하기 위한 직육면체 설계가 제공되고, 상기 3 개의 블랭크는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30)를 갖는 상부 수평 커버 부분(46), 하부 수평 베이스 부분(48),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가요성 배출 커넥터(32)를 갖는 수직으로 둘러싸는 측 방향 벽 부분(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이너(28)의 상기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30)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74)에 고정 용접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상기 인라이너(28)의 상기 가요성 배출 커넥터(32)는 팔레트 컨테이너(10)의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배출 커넥터(76)로 고정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30) 및/또는 상기 인라이너(28)의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가요성 배출 커넥터(32)는 상기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74)의 단부면 상에서 축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팔레트 컨테이너(10)의 상기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배출 커넥터(76)의 단부면 상에서 축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심의 가요성 충진 커넥터(30, 54) 및/또는 상기 인라이너(28)의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가요성 배출 커넥터(32, 54)는 상기 상부 중심의 충진 커넥터(74)의 외부 입구 구역에서 반경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팔레트 컨테이너(10)의 상기 강성 플라스틱 재료 내부 컨테이너(12)의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배출 커넥터(76)의 상기 외부 입구 구역에서 반경 방향이 되도록 고정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이너.
KR1020207011515A 2017-09-22 2017-09-22 인라이너 Abandoned KR20200059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01135 WO2019057265A1 (de) 2017-09-22 2017-09-22 Inl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260A true KR20200059260A (ko) 2020-05-28

Family

ID=5999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515A Abandoned KR20200059260A (ko) 2017-09-22 2017-09-22 인라이너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608220B2 (ko)
EP (1) EP3684706B1 (ko)
JP (1) JP7351831B2 (ko)
KR (1) KR20200059260A (ko)
CN (1) CN111315664B (ko)
AU (1) AU2017432646B2 (ko)
CA (1) CA3076549A1 (ko)
DK (1) DK3684706T3 (ko)
ES (1) ES2907001T3 (ko)
HR (1) HRP20220245T1 (ko)
HU (1) HUE057586T2 (ko)
IL (1) IL273481B2 (ko)
MX (1) MX2020003110A (ko)
PL (1) PL3684706T3 (ko)
PT (1) PT3684706T (ko)
RU (1) RU2739958C1 (ko)
SG (1) SG11202002662YA (ko)
WO (1) WO2019057265A1 (ko)
ZA (1) ZA202002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7023A (zh) 2018-10-19 2023-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管容器及其制造方法
JP7404740B2 (ja) * 2019-09-26 2023-12-26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注出口栓および包装容器
DE102019129504B4 (de) * 2019-10-31 2021-09-23 Protechna S.A. Kunststoff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ehält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6494A (en) * 1958-10-03 1960-07-26 R L Kuss & Company Inc Container
JPS4215669Y1 (ko) * 1964-12-23 1967-09-07
US3951295A (en) * 1974-06-13 1976-04-20 Hoover Ball And Bearing Company Top opening insulated tank
US4635814A (en) * 1983-09-16 1987-01-13 Rheem Manufacturing Company Lined receptacles
DE8909750U1 (de) * 1989-08-15 1989-11-30 Sieger Plastic GmbH, 5160 Düren Abfüllstutzen oder Spund für Folienbehälter oder -beutel aus Polyethylen od.dgl.
DE4023274A1 (de) * 1990-07-21 1992-01-23 Schenk Helga Fuellstutzen fuer einen fluessigkeitsbehaelter
US5480057A (en) * 1991-06-27 1996-01-02 Entapack Pty. Ltd Bulk container having flexible inner container and rigid outer container
DE9202045U1 (de) * 1992-02-18 1992-09-17 Mauser-Werke GmbH, 5040 Brühl Palettencontainer
FR2691439A1 (fr) * 1992-05-20 1993-11-26 Weber Franck Insert pour conteneurs de produits chimiques à ouverture partielle, en particulier pour bidons ou touries.
US5351849A (en) * 1993-03-12 1994-10-04 Eugene Jagenburg Container for free-flowing material
US5851072A (en) * 1996-11-26 1998-12-22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Spout construction for bulk box liquid liner
DE10313481B4 (de) * 2003-03-26 2005-07-07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S7798711B2 (en) * 2004-07-27 2010-09-21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JP4392804B2 (ja) * 2007-04-06 2010-01-06 豊田合成株式会社 圧力容器
DE102008009586A1 (de) * 2008-02-16 2009-09-03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09016451B3 (de) * 2009-04-04 2011-01-20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mit einem Armaturengehäuse aus Kunststoff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elektrisch geerdeten Anschlussflansches zur Befestigung der Entnahmearmatur an dem Entleerstutzen des Innenbehälters des Transport- und Lagerbehälters
RU100496U1 (ru) * 2010-05-13 2010-12-20 Оао "Трас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озлива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JP2017527464A (ja) * 2014-07-16 2017-09-2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取り付け具を有する可撓性容器およびその生産方法
DE202014007695U1 (de) * 2014-09-26 2014-11-11 Mauser-Werke Gmbh Adapterplatte
WO2016045800A1 (de) * 2014-09-28 2016-03-31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FR3037319A1 (fr) * 2015-06-12 2016-12-16 Sotralentz Packaging Conteneur a palette empilable muni d'une armature superieure de renf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684706T3 (da) 2022-03-07
IL273481A (en) 2020-05-31
EP3684706B1 (de) 2021-12-08
SG11202002662YA (en) 2020-04-29
EP3684706A1 (de) 2020-07-29
PT3684706T (pt) 2022-02-07
CN111315664A (zh) 2020-06-19
US20200270044A1 (en) 2020-08-27
AU2017432646B2 (en) 2024-08-22
IL273481B1 (en) 2023-05-01
CN111315664B (zh) 2022-06-17
ZA202002104B (en) 2022-12-21
AU2017432646A1 (en) 2020-04-30
RU2739958C1 (ru) 2020-12-30
ES2907001T3 (es) 2022-04-21
PL3684706T3 (pl) 2022-03-28
JP2021502928A (ja) 2021-02-04
JP7351831B2 (ja) 2023-09-27
BR112020005665A2 (pt) 2020-10-20
IL273481B2 (en) 2023-09-01
MX2020003110A (es) 2020-10-12
WO2019057265A1 (de) 2019-03-28
HUE057586T2 (hu) 2022-05-28
CA3076549A1 (en) 2019-03-28
HRP20220245T1 (hr) 2022-04-29
US11608220B2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1072A (en) Spout construction for bulk box liquid liner
AU628851B2 (en) Container unit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material in liquid form
RU2705990C1 (ru) Вкладыш для паллет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KR20200059260A (ko) 인라이너
RU2733819C2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внутренний резервуар с вкладышем
CN112672961B (zh) 托盘容器
JP6747125B2 (ja) 2重容器
GB2310651A (en) Aseptic packaging system and flexible bag therefor
BR112020005665B1 (pt) Revestimento flexível multicam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6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