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756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3756A KR20200053756A KR1020180136999A KR20180136999A KR20200053756A KR 20200053756 A KR20200053756 A KR 20200053756A KR 1020180136999 A KR1020180136999 A KR 1020180136999A KR 20180136999 A KR20180136999 A KR 20180136999A KR 20200053756 A KR20200053756 A KR 202000537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ast water
- hull
- ballast
- movable
- ballast tank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168 La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 B63B2731/00—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선체와, 서로 격리된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선체의 자세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에 대한 밸러스트수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작용하는 중력과 부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선박의 복원력이 결정된다. 선박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 중력과 부력이 동일한 작용선상에 존재하여 어떠한 힘도 발생되지 않으나, 선박이 기울어진 경우 중력과 부력이 서로 상이한 작용선상에 존재하여 중력과 부력의 합인 힘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복원력인 것이다.
여기서, 중력은 선박의 중량에 의하여 결정되고, 부력은 해수에 잠긴 선박의 부피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수에 잠긴 선박의 부피를 증가시켜 부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의 경우 화물을 적재한 경우와 하역한 경우의 중량이 달라짐에 따라 해수에 잠기는 선박의 부피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박에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은 해수를 유입하여 선박의 중량을 상승시키거나 유입된 해수를 방출하여 선박의 중량을 회복시키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화물이 하역된 경우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은 해수를 유입하여 선박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화물이 적재된 경우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을 해수를 방출하여 선박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황에 따라 해수를 유입하거나 방출함에 따라 선박의 전체 중량이 최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충분한 복원력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111호 (2016.01.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선체와, 서로 격리된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선체의 자세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에 대한 밸러스트수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그 장축이 상기 선체의 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선체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은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상기 제어부는 해수면에 대한 상기 선체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이동시킨다.
상기 선박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으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는 밸러스트수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의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키는 밸러스트수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러스트수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 각각에 대하여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고,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부는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 각각에서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100),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 구동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체(100)에는 가이드 레일(11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선체(100)의 내측면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그 장축이 선체(100)의 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선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밸러스트수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밸러스트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내부에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0)은 그 장축이 선체(100)의 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선체(100)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선체(100)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선체(100)의 가로 방향을 제1 방향(X)이라 하고,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방향을 제2 방향(Y)이라 하며, 선체(100)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자세를 복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수면에 대하여 선체(100)가 기울어진 경우 밸러스트수를 수용하고 있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선체(100)의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선체(100)의 자세가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선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복수 개인 경우 각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 내에서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3개의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선체(10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선체(100)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넓은 상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의 길이가 제2 방향(Y)에 비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넓은 상자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 내부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선박(10)이 화물선인 경우 선체(100)의 내부는 제2 방향(Y)을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각 공간은 격벽(미도시)에 의하여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해당 격벽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선체(100)의 내부에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 및 윈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윈치(320)는 구동 모터(310)의 구동력으로 와이어(W)를 권취함으로써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당길 수 있다.
구동부(300)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양측의 구동부(300)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함에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선체(100)의 자세를 참조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체(100)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하여 선체(100)에는 자세 감지 센서(120)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세 감지 센서(120)는 해수면에 대한 선체(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이 자세 감지 센서(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자세 감지 센서(120)에 의하여 감지된 선체(100)의 자세를 참조하여 해수면에 대한 선체(100)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일측 내측벽에 구비된 윈치(320)가 와이어(W)를 권취하도록 하고, 다른 일측 내측벽에 구비된 윈치(320)가 와이어(W)를 권출하도록 각 구동 모터(310)를 제어할 수 있다.
밸러스트수를 수용하고 있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선체(100)의 일측 내측벽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중량이 선체(100)에 작용하고 선체(100)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선체(100)의 자세를 참조하여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선체(100)의 기울기가 감소되어 선체(100)의 자세가 복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서로 격리된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내부에는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벽(210)이 구비될 수 있다. 각 분리벽(210)은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으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높이 방향 즉,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각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은 서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간의 밸러스트수의 이동은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내부 공간이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고, 밸러스트수가 단일 공간의 일부 영역만을 차지한 경우 밸러스트수의 요동에 의하여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요동하는 밸러스트수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내측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밸러스트수에 의한 충격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파손시킬 뿐만 아니라 선체(100)를 진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서로 격리된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밸러스트수에 의한 충격 발생을 감소시키면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에 수용시키고자 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3개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4~S6)에만 밸러스트수를 수용시키고, 나머지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3)은 빈 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하여 밸러스트수 공급부(500) 및 밸러스트수 배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러스트수 공급부(500)는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으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고, 밸러스트수 배출부(600)는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의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밸러스트수 공급부(500)는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 각각에 대하여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고, 밸러스트수 배출부(600)는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 각각에서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 각각에 대한 밸러스트수의 공급 및 배출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밸러스트수 공급부(500) 및 밸러스트수 배출부(600)는 제어부(4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선체(100)의 자세를 참조하여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즉각적인 중량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밸러스트수 공급부(500)를 제어하여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거나 밸러스트수 배출부(600)를 제어하여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밸러스트수 공급부(500)는 공급관(510), 공급 분기관(520), 공급 밸브(530) 및 공급 펌프(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관(510)은 밸러스트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급 분기관(52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공급관(5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분기관(520)은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별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분기관(520)에는 공급 밸브(53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 밸브(530)는 공급 분기관(520)의 이송 경로를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할 수 있다. 각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에 구비된 공급 밸브(530)가 제어됨에 따라 특정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에는 밸러스트수가 공급되고, 다른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에는 밸러스트수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급 펌프(540)는 공급관(510)을 따라 이동되는 밸러스트수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밸러스트수 배출부(600)는 배출관(610), 배출 분기관(620), 배출 밸브(630) 및 배출 펌프(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관(610)은 밸러스트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 분기관(62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배출관(6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배출 분기관(620)은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별로 배치될 수 있다.
배출 분기관(620)에는 배출 밸브(63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 밸브(630)는 배출 분기관(620)의 이송 경로를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할 수 있다. 각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에 구비된 배출 밸브(630)가 제어됨에 따라 특정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의 밸러스트수는 배출되고, 다른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1~S6)의 밸러스트수는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배출 펌프(640)는 배출관(610)을 따라 이동되는 밸러스트수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하측 3개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S4~S6)에 밸러스트수가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어부(400)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측 3개의 밸러스트 수용 공간(S1~S3) 중 적어도 일부에 밸러스트수가 공급되도록 공급 펌프(5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측 3개의 밸러스트 수용 공간(S4~S6)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도록 배출 펌프(6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자세에 따라 선체(100) 내부에서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해수면에 대하여 선체(100)가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선체(100)의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해수면에 대한 선체(100)의 자세가 기울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선체(100)의 일측이 잠긴 경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잠기지 않고 상승한 선체(100)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상승한 선체(100)의 측면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 식 밸러스트 탱크에 의하여 해당 측면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고, 상승한 선체(100)의 측면이 하강하여 선체(100)의 자세가 복원될 수 있다. 일단, 선체(100)의 자세가 복원된 경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선체(100)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박(10)은 화물(M)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하여 크레인(CR)으로 화물(M)을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선박(10)의 일측으로 중량이 집중되고, 이로 인하여 해수면에 대한 선체(100)의 자세가 기울어질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가 크레인(CR) 및 화물(M)의 반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선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작용하는 하중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선체(100)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크레인(CR) 및 화물(M)의 중량에 따라 제어부(400)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에 수용시킬 밸러스트수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130)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0)의 단면은 "디귿"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3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30)의 장축을 따라 가이드 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1)는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에 구비된 바퀴(220)의 홈에 삽입되어 바퀴(220)가 가이드 레일(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측면에는 바퀴(220)가 구비될 수 있다. 바퀴(220)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와 가이드 레일(130)간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30)은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레일(130)이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를 지지함에 따라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200)는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에서 선체(100)의 내측면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선체
110, 130: 가이드 레일 120: 자세 감지 센서
131: 가이드 돌기 200: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
210: 분리벽 220: 바퀴
300: 구동부 310: 구동 모터
320: 윈치 400: 제어부
500: 밸러스트수 공급부 510: 공급관
520: 공급 분기관 530: 공급 밸브
540: 공급 펌프 600: 밸러스트수 배출부
610: 배출관 620: 배출 분기관
630: 배출 밸브 640: 배출 펌프
110, 130: 가이드 레일 120: 자세 감지 센서
131: 가이드 돌기 200: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
210: 분리벽 220: 바퀴
300: 구동부 310: 구동 모터
320: 윈치 400: 제어부
500: 밸러스트수 공급부 510: 공급관
520: 공급 분기관 530: 공급 밸브
540: 공급 펌프 600: 밸러스트수 배출부
610: 배출관 620: 배출 분기관
630: 배출 밸브 640: 배출 펌프
Claims (5)
-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선체;
서로 격리된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선체의 자세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에 대한 밸러스트수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그 장축이 상기 선체의 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선체에 배치되는 선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은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선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수면에 대한 상기 선체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밸러스트 탱크를 이동시키는 선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으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는 밸러스트수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의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키는 밸러스트수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러스트수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 각각에 대하여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고,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부는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수 수용 공간 각각에서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키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999A KR20200053756A (ko) | 2018-11-09 | 2018-11-09 |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999A KR20200053756A (ko) | 2018-11-09 | 2018-11-09 |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756A true KR20200053756A (ko) | 2020-05-19 |
Family
ID=7091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999A KR20200053756A (ko) | 2018-11-09 | 2018-11-09 |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375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111U (ko) | 2014-07-01 | 2016-01-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
-
2018
- 2018-11-09 KR KR1020180136999A patent/KR2020005375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111U (ko) | 2014-07-01 | 2016-01-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1294B1 (ko) | 이중 흘수 선박 | |
KR101066670B1 (ko) | 흘수조절이 자유로운 유동 밸러스트구조를 구비한 공기쿠션선박 | |
KR20180034998A (ko) | 밸러스트수 조절 장치 | |
KR20220133150A (ko) | 컨테이너 선박 | |
JP5878179B2 (ja) | 浮遊貨物運搬船及び積み荷及び荷下ろし方法 | |
KR20200053756A (ko) | 선박 | |
KR20100084435A (ko) |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 |
JP2010076490A (ja) | 自動車運搬船の姿勢制御装置 | |
KR20220131211A (ko) | 컨테이너 선박 | |
CN112272638A (zh) | 船舶 | |
KR20130099553A (ko) | 복원성이 향상된 선박 | |
KR101595477B1 (ko) |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 |
KR101102347B1 (ko) | 부유체 스태빌라이저 | |
WO2014013584A1 (ja) | 船舶 | |
KR20110125503A (ko) |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 |
JP6992942B2 (ja) | ばら積み貨物船 | |
KR20200061936A (ko) | 축전지를 이용한 발라스트수 프리 선박 | |
KR20140067682A (ko) | 독립형 안티 롤링 탱크 | |
KR20160057064A (ko) | 액체 화물 운반선 | |
KR101904618B1 (ko) |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 |
KR101459618B1 (ko)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 |
KR20170120865A (ko) | 동요 제어가 용이한 해상 부유체 | |
KR20190058900A (ko) |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 |
KR20130003809A (ko) | 선박용 밸러스트 탱크의 자유표면 조절장치 | |
KR102347318B1 (ko) | 안티 롤링 및 안티 힐링 기능을 구비한 선박 안정화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