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072A -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072A
KR20200048072A KR1020180129744A KR20180129744A KR20200048072A KR 20200048072 A KR20200048072 A KR 20200048072A KR 1020180129744 A KR1020180129744 A KR 1020180129744A KR 20180129744 A KR20180129744 A KR 20180129744A KR 20200048072 A KR20200048072 A KR 2020004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ain reinforcing
connecting body
concret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1362B1 (en
Inventor
서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6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은, 복수의 제1 주철근이 제1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1 기둥; 제1 기둥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연결체; 연결체에 결합되는 철골보; 철골보 및 연결체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및 슬래브에 하단부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2 주철근이 제2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제1 주철근은 연결체를 관통하여 제2 주철근에 연결되고, 제1 주철근과 제2 주철근은 연결체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ame.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beam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pilla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 connector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Cheolgolbo coupled to the connector; A slab supported by a steel beam and a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pillar in which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slab,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and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connecting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The main rebar is characterized by constraining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connecting body.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combination structure and its combination method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and more specifically,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made of a pre-concrete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to easily form a solid bonding structure. It relates to a bonding structure and a bonding method thereof.

통상적으로 철근 큰크리트 구조물 시공은 습식 공법으로 현장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며 인건비, 거푸집 비용, 공사비 등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건식 공법으로서 현장에서의 작업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양질로 만들어져 건물의 외관에 사용할 수 있고 재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도 있다. In general, the construction of a large-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arried out in the field by a wet method, and labor costs, formwork costs, and construction costs are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precast concrete method that can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work in the field as a dry construction method. In addition, the precast concrete member is made of good quality and can be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has the economical advantage of being reusabl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 중공 프리캐스트 기둥 및 그 기둥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는, 상부의 외주면이 하부의 외주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기둥을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와, 지지부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보를 걸치고 바닥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프리캐스트 보와 거푸집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제1 기둥의 상부에 연장되는 제1 주철근의 단부에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결합하는 단계와, 제1 기둥의 내부에 형성된제1 중공부와 프리캐스트 보와 바닥슬라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스플라이스 슬리브에 제2 기둥의 하부에 연장되는 제2 주철근을 삽입하는 단계와, 스플라이스 슬리브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discloses a hollow precast pillar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illar.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a step of vertically erecting a first pillar having a support portion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formed wider tha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nd putting a precast bea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form a floor slab The step of installing, the step of rebar reinforce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precast beam and the formwork, the step of coupling the splice sleeve to the end of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extending above the first column, and formed inside the first column Pouring concrete into the first hollow part, the precast beam and the floor slab, and inserting a second main reinforcing bar extending under the second column into the splice sleeve after the concrete is cured, and filling material in the splice slee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filling.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는,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사용하여 상하 기둥의 제1 주철근을 접합하는 기계이음과, 보조철근을 절곡하여 상부의 기둥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에 삽입하는 겹이음을 동시에 사용하므로 연결부위의 강도를 높이며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is a mechanical joint that joins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of the upper and lower columns using a splice sleeve, and a double joint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upper column by bending the auxiliary reinforcing bar. Since it is use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and firmly joining.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는, 프리캐스트 보가 수직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부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프리캐스트 보를 콘크리트부의 가장자리에 올려놓는 구조를 형성하고는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는 프리캐스트 보의 붕괴발생에 여전히 취약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However,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ecast beam is placed on the edge of the concrete part to prevent the precast beam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part due to the vertical load.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e is still vulnerable to collapse.

즉, 강도 높은 지진 발생시 프리캐스트 보가 콘크리트부의 가장자리에서 조금이라도 이탈할 경우 프리캐스트 보가 급격히 붕괴할 수 있다. 물론,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는, 후크철근을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보와 중공 프리캐스트 기둥의 제1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프리캐스트 보와 중공 프리캐스트 기둥의 접합력을 높이고는 있으나, 후크철근과 콘크리트에 의한 결합구조는 강도 높은 지진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라고 보기는 어렵다. That is, in the event of a high intensity earthquake, if the precast beam deviates even slightly from the edge of the concrete part, the precast beam may collapse rapidly. Of course,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has installed a hook reinforcing bar and poured concrete into the first hollow of the precast beam and the hollow precast column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cast beam and the hollow precast colum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mbined structure of hook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is stable against high-strength earthquakes.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는, 프리캐스트 보를 콘크리트부의 가장자리에 단순히 올려놓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양쪽 프리캐스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보 사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프리캐스트 보가 올려진 콘크리트부의 가장자리가 협소하여 프리캐스트 보의 붕괴발생에 취약하다.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level the precast beam because it forms a structure that simply puts the precast beam on the edge of the concrete portion. That is, in order to level the precast beam, a separate device must be installed between both the precast pillars and the precast beam, and the edge of the concrete portion on which the precast beam is raised is narrow, making it vulnerable to collapse of the precast bea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790호 (공개일: 2015.02.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2790 (Publication date: 2015.02.04)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쉽고 견고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trong and easy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beam, while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beam are configured to easily and firmly align the precast beam and the coupling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제1 주철근이 제1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결합되는 철골보; 상기 철골보 및 상기 연결체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및 상기 슬래브에 하단부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2 주철근이 제2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주철근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철근과 상기 제2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in a first concrete portion is embedded in a first pillar; A connection member seat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Cheolgolbo coupled to the connector; A slab supported by the steel beam and the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pillar in which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slab,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wherein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s penetrate the connecting body 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The 1st reinforcing bar and the 2nd reinforcing bar are achieved by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characterized by restraining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connecting body.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하단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서 옆으로 연장되고, 상기 철골보가 결합되는 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철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illar, and the connecting body is a pilla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art; And a beam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pillar portion, and to which the steel beam is coupled, wherein the bea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pass.

상기 제1 콘크리트부와 상기 보부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너트가 개재되어 상기 보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너트는, 상기 보부의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 nu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the beam portion to support the beam portion, and the support nut may b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to level the beam portion.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상기 기둥부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Concrete may be fill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constrain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pillar por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기둥의 상단부에 연결체를 결합하는 연결체결합단계; 상기 연결체에 철골보를 결합하는 철골보결합단계; 상기 철골보 및 상기 연결체의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연결체의 상단부에 제2 기둥을 결합하는 기둥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복수의 제1 주철근이 제1 콘크리트부에 박혀있고, 상기 제2 기둥은 복수의 제2 주철근이 제2 콘크리트부에 박혀있으며, 상기 연결체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고, 상기 기둥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제2 주철근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체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결합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connecting bod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Cheolgolbo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cheolgolbo to the connection; A pouring step of forming a slab on top of the steel beam and the connecting body; And a column joining step of joining a second column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wherein the first column has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unit, and the second column has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It is embedded in a second concrete portion, and in the coupling step,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connecting body, and in the pillar coupling step,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and moves the connecting body. And it is achieved by a method of combining the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s and steel beams, characterized in that to limit the rotation.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하단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서 옆으로 연장되고, 상기 철골보가 결합되는 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철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illar, and the connecting body is a pilla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art; And a beam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pillar portion, and to which the steel beam is coupled, wherein the bea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pass.

상기 연결체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콘크리트부와 상기 보부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너트가 개재되어 상기 보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너트는, 상기 보부의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oupling step, a plurality of support nu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the beam to support the beam, and the support nuts ar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to level the beam. It can be made a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부가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 주철근은 보부를 관통하여 제2 주철근에 연결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고, 지지너트가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쉽고 견고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through the beam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beam and making a strong coupl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frame beam and a coupling method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frame beam by forming and supporting the screw to be screwed to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도 1(c)의 A-A 단면도.
도 4(b)는 도 1(c)의 B-B 단면도.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bonding a precast concrete pillar and a steel bea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1 (c).
Fig. 4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쉽고 견고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진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fram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upling the same are made to easily and firmly level the precast beam while forming a strong and easy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frame b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도 1(c)의 A-A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c)의 B-B 단면도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a precast concrete pillar and a steel fram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a combination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fram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c),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400)의 결합구조물(10)의 결합방법(S100)은, 연결체결합단계(S110), 철골보결합단계(S120), 타설단계(S130) 및 기둥결합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400)의 결합구조물(10)은 이의 결합방법(S100)의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method of coupling (S100) of the coupling structure 10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frame bea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the steel frame beam coupling step (S120), the pouring step (S130) and the pillar coupling step (S140). The coupling structure 10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frame beam 400 can be understood in detail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method (S100).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결합단계(S110)는 제1 기둥(100)의 상단부에 연결체(3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1 기둥(1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ure 2 (b),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is a step of coupling the connecting body 300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100. The first pillar 100 is provided as a precast concrete pillar.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는 공장 등에서 형틀에 성형 제조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이다. 공장에서 고정시설을 가지고 기둥, 보, 바닥판 등의 소요부재를 철재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하고, 고온다습한 증기보양실에서 단기보양하여 기성 제품화한 것으로, 공장 생산된 제품을 공사장에 운반하여 조립구조로 시공할 수 있다. Precast concrete is a reinforced concrete member molded into a mold in a factory or the like. It is a ready-made product by manufacturing the required members such as pillars, beams, and floor plates by steel formwork with a fixed facility in the factory, and short-term storage in a high-temperature and humid steam storage room. Can be constructed with.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100)은, 연결체결합단계(S110) 이전에 지반에 설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100)은 복수의 제1 주철근(120)이 제1 콘크리트부(110)에 박혀있는 구성으로서, 지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1 주철근(120)이 제1 콘크리트부(110)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된다. As shown in Figure 2 (a), the first pillar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before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As shown in FIG. 4 (b), the first pillar 100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are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art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in the ground. 120 is protruded above the top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110).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100)의 상단부에는 제1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제1 삽입홈(111)은 복수의 제1 주철근(120) 안쪽에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111)은 제1 기둥(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a),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100.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As shown in FIG. 2 (a),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illar 100.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300)는 제1 기둥(100), 제2 기둥(200) 및 철골보(4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연결체결합단계(S110)에서 제1 기둥(100)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연결체(300)는 기둥부(310) 및 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connecting body 300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first pillar 100, the second pillar 200 and the steel frame beam 400,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1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00). The connection body 300 includes a pillar portion 310 and a beam portion 320.

기둥부(310)는 제1 삽입홈(111) 및 제2 삽입홈(21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세로방향으로 긴 형강 또는 강관으로 구비된다. 보부(320)는 철골보(4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기둥부(310)에서 옆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부(320)는 기둥부(310)의 중간에서 사방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는 기둥부(310) 및 보부(320)가 H형강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The pillar 310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and is provided with a long section steel or steel pi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eam portion 320 is a portion to which the steel frame beam 400 is coupled, and extends laterally from the pillar portion 31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beam portions 320 may extend from the middle of the pillar portion 310 in all directions. 2 and 4 show that the pillar portion 310 and the beam portion 320 are provided with H-shaped steel.

H형강(H-形鋼)은 단면이 H형으로 이루어지는 형강으로서 건축물, 선박 등의 대형 구조물의 골조(骨組) 및 토목공사에 널리 사용되며, 중앙의 가로봉에 해당하는 웨브(web)와, 양쪽의 세로봉에 해당하는 플랜지(flange)로 구성된다. H-shaped steel (H-shaped) is a H-shaped steel section that is widely used for framing and civil engineering of large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nd ships, and web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horizontal bar. It consists of a flange (flang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r of.

일반적으로 H형강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면에 수직하게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건축물의 수직력을 지탱하는 기둥과, 기둥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수평력을 지탱해 주는 보로 구성되는 라멘구조(rahmen, rigid frames)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뼈대를 형성한다. In general, H-beam is mainly used to form the structure of a building, and is composed of a column installed vertic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vertical force of the building, and a beam coupled horizontally to the column to support the horizontal force of the building. It is combined with rahmen (rigid frames) to form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결합단계(S110)에서, 기둥부(310)의 하부가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된다. 연결체(300)는, 기둥부(310)의 하부가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한 유동이 차단된다. 기둥부(3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되기 전에) 웨브 및 플랜지에 전단연결재(shear connector)가 부착될 수 있다. 2 (b) and 4 (b), i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connecting body 300,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flow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blocked. Shear connectors may be attached to the web and the flanges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ar portion 310.

연결체결합단계(S110)에서, 기둥부(310)의 하부가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되기 전에 복수의 제1 주철근(120)에는 각각 지지너트(N)가 나사결합된다. 지지너트(N)는 그 하단이 제1 콘크리트부(110)의 상단에 접촉된다. I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the support nuts (N) ar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before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nut 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110.

연결체결합단계(S110)에서, 기둥부(310)의 하부가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주철근(120)은 보부(320)를 관통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부(320)의 상측과 하측 플랜지 각각에는 복수의 제1 주철근(120)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 주철근(120)은 복수의 관통홀(321)을 통해 보부(320)의 하측과 상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보부(320)의 위로 돌출된다. I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penetrate the beam 320 in the process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4 (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penetrate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portion 320.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penetrate the lower and upper flanges of the beam 32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1 and protrude above the beam 320.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너트(N)는, 기둥부(310)의 하부가 제1 삽입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콘크리트부(110)와 보부(320) 사이에 개재된다. 작업자는 크레인에 연결된 연결체(300)의 수평을 확인하고 나서, 복수의 지지너트(N)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보부(32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b), the plurality of support nuts (N), the first concrete portion 110 and the beam por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320). After confirming the level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connected to the crane, the operator selectively rotates the plurality of support nuts N to level the beam 320.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부(320)의 수평이 맞춰진 후, 제1 삽입홈(111)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제1 기둥(100)과 연결체(300)는 제1 삽입홈(111)에 충전된 콘크리트(C, 이하 '충전콘크리트')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한다. 기둥부(310)는 충전콘크리트(C)에 의해 이동 및 회전이 구속된다. As shown in Figure 2 (c), after the leveling of the beam portion 320,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illed with concrete. The first pillar 100 and the connecting body 300 form a solid bonding force by the concrete (C, hereinafter 'filling concrete') fill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pillar 310 is moved and rotated by the filling concrete (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결합단계(S110)가 완료되면, 철골보결합단계(S120)가 수행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보결합단계(S120)는 연결체(300)에 철골보(4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철골보(400)는 연결플레이트(410)에 의해 보부(320)에 볼트체결되거나 용접결합된다. 도 2 및 도 3는 철골보(400)의 한쪽 단부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철골보(400)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 올려져서 그 양단부가 서로 다른 연결체(300)의 보부(320)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S110) is completed, the steel beam coupling step (S12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ure 2 (d), the steel beam coupling step (S120) is a step of coupling the steel beam 400 to the connecting body (300). The steel beam 400 is bolted or welded to the beam portion 320 by the connection plate 410. 2 and 3, only one end of the steel frame beam 400 is shown. Of course, the steel frame beam 400 is lifted by using a cran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beam portion 320 of different connecting bodies 300.

철골보(400)는 도 2(d)에 H형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강(平鋼), ㄷ형강, T형강, Z형강, ㄴ형강 또는 각형 강관(角形鋼管) 등 건축구조물의 수평보로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강재(鋼材)가 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teel beam 400 is shown as H-shaped steel in FIG. 2 (d), but is not limited to such structures as flat steel, C-shaped steel, T-shaped steel, Z-shaped steel, B-shaped steel, or square steel pipes. Of course, various types of steel materials that can be composed of horizontal beams can be selec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보결합단계(S120)가 완료되면, 타설단계(S130)가 수행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단계(S130)는 철골보(400) 및 연결체(300)의 상부에 슬래브(5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래브(500)는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콘크리트는 제1 기둥(100)과 보부(320) 사이에도 타설된다. 슬래브(500)는 철골보(400) 및 연결체(300)에 의해 지지된다.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steel beam beam coupling step (S120) is completed, the pouring step (S13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ure 2 (f), the pouring step (S130) is a step of forming a slab 500 on top of the steel beam 400 and the connector 300.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lab 500 is formed by formwork installation, reinforcement, and concrete pouring. At this time, the concrete is also poured between the first pillar 100 and the beam 320. The slab 500 is supported by the steel beam 400 and the connecting body 300.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단계(S130) 이전에 복수의 제1 주철근(120)에는 각각 헤드 스플라이스 슬리브(S)가 결합된다. 헤드 스플라이스 슬리브(S)는 제1 기둥(100)의 제1 주철근(120)과 제2 기둥(200)의 제2 주철근(22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0746호 철근이음장치가 사용된다. 제1 주철근(120)의 상단부는 헤드 장착 후 슬리브(S) 내에 위치하게 된다. 타설단계(S130)에서 슬리브(S) 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슬리브(S)의 상단에는 마개가 씌워진다. 2 (e), the head splice sleeves 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before the pouring step S130. Head splice sleeve (S)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120 of the first column 100 and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220 of the second column 200, and the Republic of Korea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0746 rebar joint device is use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120 is located in the sleeve S after the head is mounted. In the pouring step (S130),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flow into the sleeve (S), the top of the sleeve (S) is covered with a stopp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500)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기둥결합단계(S140)가 수행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결합단계(S140)는 연결체(300)의 상단부에 제2 기둥(2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2 기둥(2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curing of the slab 500 concrete is completed, the column coupling step (S14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ure 2 (g), the pillar coupling step (S140) is a step of coupling the second pillar 200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300). The second pillar 200 is provided as a precast concrete pillar.

제2 기둥(200)은 복수의 제2 주철근(220)이 제2 콘크리트부(210)에 박혀있는 구성으로서, 하단부가 슬래브(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주철근(220)이 제2 콘크리트부(210)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된다. 제2 기둥(200)의 하단부에는 제2 삽입홈(211)이 형성된다. 제2 삽입홈(211)은 복수의 제2 주철근(220) 안쪽에 형성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홈(211)은 제2 기둥(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illar 2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220 are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210,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220 are made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slab 500. 2 protrudes below the bottom of the concrete portion 210.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llar 200.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is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220. As shown in FIG. 2 (g),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may be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llar 200.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결합단계(S140)에서, 기둥부(310)의 상부가 제2 삽입홈(211)에 삽입되면서 제2 콘크리트 부의 하단부는 슬래브(5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제2 기둥(200)은, 기둥부(310)가 제2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한 유동이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3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웨브 및 플랜지에 전단연결재(shear connector)가 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g), in the column coupling step (S140),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cret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500 To settle down. In the second pillar 200, the pillar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and the flow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shear connectors may be attached to webs and flange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ar portion 310.

기둥결합단계(S140)에서, 기둥부(310)의 상부가 제2 삽입홈(2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주철근(120)과 복수의 제2 주철근(220)은 헤드 스플라이스 슬리브(S)에 의해 연결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0746호를 참조하면, 헤드가 장착된 제2 주철근(220)의 하단부는 슬리브(S) 내에 삽입되고, 슬리브(S)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충전된다. 기둥결합단계(S140) 수행 전에 슬리브(S)의 상단에 씌워진 마개는 제거된다. In the column coupling step (S140),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22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310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are head splice sleeves. (S). Referring to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0746,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220 in which the head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sleeve S, and the shrinkage mortar is filled in the sleeve S. Before performing the column coupling step (S140), the cap on the top of the sleeve (S) is remov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후 제2 삽입홈(211)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제2 기둥(200)과 연결체(300)는 제2 삽입홈(211)에 충전된 콘크리트(미도시)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한다. 제2 기둥(200)은 충전된 콘크리트에 의해 이동 및 회전이 구속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may be filled with concrete. The second pillar 200 and the connecting body 300 form a solid bonding force by concrete (not shown) fill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The second pillar 200 is moved and rotated by the filled concrete.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결합단계(S140)에서, 제1 주철근(120)과 제2 주철근(220)은 서로 연결되어 연결체(300)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400)의 결합구조물(10)은, 기둥부(310)의 제1 삽입홈(111) 및 제2 삽입홈(211) 삽입구조, 충전콘크리트(C)의 기둥부(310) 유동구속, 제1 주철근(120)과 제2 주철근(220)의 연결체(300) 이동 및 회전 구속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강도 높은 지진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g), in the column coupling step (S140),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120 and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rain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connecting body 300.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10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frame bea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 insertion structure of the pillar portion 310 , Column (310) flow confinement of the filling concrete (C),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120 and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220 by forming the movement and rotation restraint structure, stable structure against high-strength earthquake To form.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부가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 주철근은 보부를 관통하여 제2 주철근에 연결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고, 지지너트가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프리캐스트 보의 수평을 쉽고 견고하게 맞추도록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및 이의 결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through the beam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beam and making a strong coupl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frame beam and a coupling method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frame beam by forming and supporting the screw to be screwed to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respectively.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of this technology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결합구조물
100 : 제1 기둥 200 : 제2 기둥
110 : 제1 콘크리트부 210 : 제2 콘크리트부
111 : 제1 삽입홈 211 : 제2 삽입홈
C : 충전콘크리트 220 : 제2 주철근
120 : 제1 주철근 300 : 연결체
N : 지지너트 310 : 기둥부
S : 슬리브 320 : 보부
400 : 철골보 321 : 관통홀
410 : 연결플레이트 500 : 슬래브
10: coupling structure
100: first column 200: second column
110: first concrete portion 210: second concrete portion
111: first insertion groove 211: second insertion groove
C: Filling concrete 220: Second main rebar
120: first primary reinforcing bar 300: connecting body
N: support nut 310: pillar
S: Sleeve 320: Beam
400: steel frame beam 321: through hole
410: connection plate 500: slab

Claims (7)

복수의 제1 주철근이 제1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결합되는 철골보;
상기 철골보 및 상기 연결체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및
상기 슬래브에 하단부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2 주철근이 제2 콘크리트부에 박혀있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주철근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철근과 상기 제2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A first pilla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 connection member seat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Cheolgolbo coupled to the connector;
A slab supported by the steel beam and the connecting body; And
A lower end is seated on the slab,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inforcing bars includes a second pillar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connecting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are precast concrete pillars and steel beams, characterized in that constrain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connec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하단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서 옆으로 연장되고, 상기 철골보가 결합되는 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철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illar,
The connecting body,
A pillar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It includes a beam extending from the pillar portion to the side, the steel beam is coupled,
A coupling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fram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are respectively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부와 상기 보부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너트가 개재되어 상기 보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너트는, 상기 보부의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A plurality of support nu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the beam to support the beam,
The support nut,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the steel bea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is screwed to level the bea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상기 기둥부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inserting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ng groove are precast concrete pillars and a steel beam coup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crete is filled to constrain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pillars.
제1 기둥의 상단부에 연결체를 결합하는 연결체결합단계;
상기 연결체에 철골보를 결합하는 철골보결합단계;
상기 철골보 및 상기 연결체의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연결체의 상단부에 제2 기둥을 결합하는 기둥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복수의 제1 주철근이 제1 콘크리트부에 박혀있고,
상기 제2 기둥은 복수의 제2 주철근이 제2 콘크리트부에 박혀있으며,
상기 연결체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고,
상기 기둥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주철근은 상기 제2 주철근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체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결합방법.
A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connecting bod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Cheolgolbo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cheolgolbo to the connection;
A pouring step of forming a slab on top of the steel beam and the connecting body; And
And a column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second column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The first pillar has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ortion,
In the second pillar, a plurality of second main rebars are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ortion,
In the connecting body coupling step,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penetrates the connecting body,
In the step of coupling the pillar, the first main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inforcing bar, and a method for combining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beam with a precast concrete colum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의 상단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하단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서 옆으로 연장되고, 상기 철골보가 결합되는 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철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결합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illar,
The connecting body,
A pillar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It includes a beam extending from the pillar portion to the side, the steel beam is coupled,
The beam portion is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recast concrete column and a steel fram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einforcing bars are respectively 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결합단계에서, 상기 제1 콘크리트부와 상기 보부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너트가 개재되어 상기 보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너트는, 상기 보부의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제1 주철근에 각각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결합구조물 결합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coupling step, a plurality of support nu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the beam to support the beam,
Wherein the support nu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steel frame beam, characterized in that each screwed to the first main reinforcement to level the beam.
KR1020180129744A 2018-10-29 2018-10-29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Active KR102201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44A KR102201362B1 (en) 2018-10-29 2018-10-29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44A KR102201362B1 (en) 2018-10-29 2018-10-29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72A true KR20200048072A (en) 2020-05-08
KR102201362B1 KR102201362B1 (en) 2021-01-08

Family

ID=7067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44A Active KR102201362B1 (en) 2018-10-29 2018-10-29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3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330A (en) * 1989-10-20 1991-06-11 Takenaka Komuten Co Ltd Framing structure consisting of ferro-concrete pillar and steel skeleton beam/ferro-concrete pillar
KR101451167B1 (en) * 2013-07-26 2014-10-1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Hollow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KR20150012790A (en) 2013-07-26 2015-02-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Hollowed Precast Column And Constructure Method Thereof
JP2015101890A (en) * 2013-11-25 2015-06-04 大成建設株式会社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330A (en) * 1989-10-20 1991-06-11 Takenaka Komuten Co Ltd Framing structure consisting of ferro-concrete pillar and steel skeleton beam/ferro-concrete pillar
KR101451167B1 (en) * 2013-07-26 2014-10-1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Hollow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KR20150012790A (en) 2013-07-26 2015-02-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Hollowed Precast Column And Constructure Method Thereof
JP2015101890A (en) * 2013-11-25 2015-06-04 大成建設株式会社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362B1 (en)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561B2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1937680B1 (en) Prefabricated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03628B1 (en)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69586B1 (en) Rh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JP6855296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2597084B1 (en) Steel Ccomposite Rahmen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7000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PC Column Vertical Reinforcing Bars
KR101011252B1 (en) Frame of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for Parental Section and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CN108755730A (en) A kind of assembled pile foundation wharfs nod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44344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269141B1 (en)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KR102296982B1 (en)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KR100923564B1 (en) Precast bridge deck using steel plat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KR20200111543A (en) The Integrated PC double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productivit
KR100860592B1 (en) Temporary Structure for PC Block Lamination
KR102201362B1 (en) Built-up structure consisting of 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and built-up method of the same
KR100626326B1 (en) Concrete structure
KR200406615Y1 (en) Tee type precast concrete panel
KR100456192B1 (en) Composition of precast concrete wall and precast concrete column for outdoor to sustain external force
CN114635503A (en) Fair-faced concrete wall flexibly connected with concrete fram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JPH0434161A (en) Centrifugally molded hollow pc concrete column and column construction method
KR20170089447A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692151B1 (en) A deck support frame
JP7610953B2 (en) Beam and slab joi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