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656A -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656A
KR20200029656A KR1020180106130A KR20180106130A KR20200029656A KR 20200029656 A KR20200029656 A KR 20200029656A KR 1020180106130 A KR1020180106130 A KR 1020180106130A KR 20180106130 A KR20180106130 A KR 20180106130A KR 20200029656 A KR20200029656 A KR 2020002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fibroin
melanosome
bioink
complex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594B1 (ko
Inventor
현진호
신성철
박현진
조창열
윤재준
백지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5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P 유형의 고해상도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경화되고, DLP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삼차원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빛의 투과도 조절이 가능하여 기존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속이 비어 있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고, 높은 세포적합성을 가져 세포를 함유하는 바이오잉크로 활용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 의약품 및 화장품의 동물실험 대체를 위한 인공장기의 제조, 세포 담지 및 배양을 필요로 하는 대상물의 프린팅, 3차원 고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바이오칩 및 스캐폴드 제조 등의 기술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Bioink compositions for visible light curing for 3D pri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3차원 모델링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층 가공 방식을 통해서 원하는 제품을 만드는 기술이다. 광경화 수지 표면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경화에 의해 생긴 층을 적층하는 광조형법(stereolithography; SLA)과 고체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며 3차원으로 프린팅하는 방식인 용융압출조형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방식이 고안되었다.
최근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기반기술 및 응용기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이 연구되고 응용기술이 늘어나면서 의공학분야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3D 바이오 프린팅은 3D 프린팅의 기술 중 한가지로,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구조 및 패턴으로 배열하여 조직이나 장기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최근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면 단위로 조형해서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이 개발되면서 DLP용 바이오잉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과 선의 단위가 아닌 면의 단위로 적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형속도가 월등히 빠르며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경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세포 적합성 또한 우수하여 최근 바이오프린팅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DLP용 바이오프린팅 잉크는 대부분 광경화성 고분자 전구체를 수계에 용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3차원 구조체를 제작함에 있어 빛이 고분자 전구용액을 모두 통과한다. 이 때문에, 속이 비어있는 구조체를 제작하기가 어려우며 Z 축으로의 해상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Z 축으로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잉크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첨가제(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개발을 통해 가시광선에 의해 경화되며, 가시광선의 투과도 조절을 통한 Z 축 해상도를 자유자제로 조절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 담지 후에도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오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광경화성 바이오잉크는 용융압출조형(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유형의 프린팅에 적용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또한, 기존 기술의 바이오잉크는 높은 투명도로 인하여 Z축 방향으로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공극 구조 또는 빈 공간이 있는 구조체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종래 기술에서는 생체적합성을 필수요건으로 하는 바이오잉크의 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잉크의 조성물을 제시한 사례를 찾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Z 축으로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잉크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첨가제 개발을 통해 가시광선에 의해 경화되며, 가시광선의 투과도 조절을 통한 Z 축 해상도를 자유자제로 조절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세포 담지 후에도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LP유형의 3D 프린팅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경화된다. Z축 해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공극과 빈 공간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으며, 기존 바이오잉크와 비교하여 복잡한 구조의 생체적합성 구조물 혹은 다양한 형태의 세포담지 하이드로겔 구조체를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및 하이드로겔의 전구물질인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멜라노좀"은 멜라닌을 포함하고 있는 작은 알갱이(particles)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멜라닌 나노입자(melanin nanoparticles)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실크피브로인과 멜라노좀이 결합된 복합체로서, 멜라닌 입자(멜라노좀)가 결합된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incorporated with melanin nanoparticles)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멜라노좀 나노입자(melanosome nanoparticle)가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이다.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의 공극(pore)에 흡착될 수 있다. 상기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의 공극은 나노공극(nanopor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에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0 nm 이하의 직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에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 nm 내지 100 nm 의 직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60 nm 내지 100 nm, 70 nm 내지 100 nm, 또는 80 nm 내지 10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 nm 내지 90 nm, 50 nm 내지 80 nm, 또는 50 nm 내지 7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60 nm 내지 90 nm, 또는 70 nm 내지 9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크기는 80 nm 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가시광 경화가 가능한 하이드로겔 전구용액으로서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을 포함한다. 본 발멸의 일 구현예에 다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은 증류수, PBS 또는 세포 배양 배지를 용매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다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은 증류수를 용매로 한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네오페닐글라이콜다이아크릴레이트 (NPGD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PHEMA), 하이루노닉 애시드 메타아크릴레이트 (HAMA, Hyaluronic acid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PAA),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M),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락트산 (PLA), 폴리글리콜산(PGA) 및 폴리카프로락톤 (PCL), 젤라틴,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 (GelMA, Gelatin methacryloyl),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실리콘, 고무, 아가,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폴리디옥솔란, 폴리아크릴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무수말레인산/비닐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비닐술폰 또는 티올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비닐술폰 또는 티올기를 포함하는 4-arm 또는 8-arm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록시 (4-arm PEG-hydroxyl, 20 kDa, PEG-OH)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tetraacrylate, 4-arm PEG-acrylate, PEG-4A), 폴리에틸렌 글리콜 말레이미드(4-arm PEG-maleimide, PEG-4MAL),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술폰(4-arm PEG-vinylsulfone, PEG-4VS)이다.
한편,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세포 담지에 적합한 농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10 (중량/부피)%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세포를 담지하기에 적합한 농도로서 4% 농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용액을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용액의 농도 범위가 2% 이상이면 광경화가 가능하지만, 10%까지 높아지게 되면 세포적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전구물질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세포적합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가시광선에 의해 경화되는 3D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광개시제, 조개시제, 가교제 또는 이들의 혼합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가시광 영역의 광개시제이다. 가시광 영역의 광개시제는 가시광선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전구물질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광중합시킨다. 즉,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광중합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가시광선은 예컨대, He-Ne(633nm), Ar(515nm, 488nm), YAG (532nm), He-Cd (442nm) 등의 파장 400-650 nm의 레이저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시광 개시제 또는 조개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의 전자 공여성 광개시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오신(에오신 Y 또는 에오신 B), N-페닐글리신, N,N-디알킬아닐린 화합물, 3급 아민 화합물, 유기보레이트염(organoborate salts), 엔-비닐피롤리돈 (N-vinylpyrrolidone) 등을 들 수 있다. N,N-디알킬아닐린 화합물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4-시아노-N,N-디메틸아닐린, 4-브로모-N,N-디메틸아닐린, 4-아세틸-N,N-디메틸아닐린, 4-메틸-N,N-디메틸아닐린, 4-아미노-N,N-디메틸아닐린, 4-에톡시-N,N-디메틸아닐린, 3-히드록시-N,N-디메틸아닐린, N,N,N',N'-테트라메틸-1,4-디아닐린, 2,6-디에틸-N,N-디메틸아닐린, p-t--부틸-N,N-디메틸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3급 아민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DMEA), 트리에탄올아민(TEA),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시광 광개시제 또는 조개시제는 각각 단독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에오신 와이(Eosin-Y)이고, 조개시제는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및/또는 엔-비닐피롤리돈 (N-vinylpyrrolidone)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cross linking agent)는 칼슘 클로라이드(CaCl2), MgCl2 및 AlCl3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피)%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25 내지 1 (중량/부피)%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초과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전구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프린팅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중량/부피)% 이하의 농도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1.0 (중량/부피)%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실크피브로인의 농도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오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프린팅 안정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25-1.0 (중량/부피)%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부피)% 이하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부피)%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중량/부피)% 이상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 (중량/부피)% 이상, 0.1 (중량/부피)% 이상, 0.15 (중량/부피)% 이상, 또는 0.2 (중량/부피)% 이상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2 (중량/부피)% 이상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0.2 (중량/부피)%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DLP 방식의 3D 프린팅에 사용 가능하고, Z축 방향으로의 해상도를 향상시켜 공극 구조 또는 빈 공간의 구현이 가능하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과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100-140℃ 및 10-20 psi압력의 고온고압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b) 단계 (a)의 반응물로부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분리하여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에 분산시켜 바이오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공통된 사항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a): 실크 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제조
우선,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과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100-140℃ 및 10-20 psi 압력의 고온고압에서 반응시킨다.
실크 피브로인은 실크에서 피브로인을 감싸고 있는 세리신을 제거하는 정련과정을 거쳐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실크를 100℃에서 소듐 오일레이트와 소듐 카보네이트를 넣고 1시간 끓이면 대부분의 세리신이 용해되어 제거된다. 실프 피브로인 섬유를 9.3 M 브롬화 리튬 수용액에 용해하고, 원심분리로 불용물을 제거한다. 이 후, 초순수에 대해서 투석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실크 피브로인 용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크 피브로인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해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멜라노좀 복합체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크 피브로인 용액(또는 실크 피브로인 하이드로겔)과 다양한 농도의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멜라노좀(Melanosomes)은 특정 어류 종에서 발견되며, 어류 비늘의 색을 조절하는 안료를 함유하고 있다. 분자 모터(Molecular motors)는 신호를 받으면 안료(dye)를 함유한 멜라노좀을 세포 주변으로 운반하거나 세포 중심에 농축시킨다. 모터 단백질 다이네인(dynein)은 멜라노좀을 세포의 중심으로, 또는 미세소관의 "마이너스 단부(minus end)"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단백질 키네신(kinesin)은 멜라노좀을 세포의 주변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플러스 단부(plus end)지향 모터이다. 미세 소관의 플러스 단부는 세포 주변을 향하고 있으므로, 키네신이 멜라노좀을 주변으로 분산시키면 세포가 더 어둡게 보인다. 멜라노 좀이 중심 쪽으로 집중되면 세포가 더 밝은 색으로 보인다. 자연계에서 멜라노좀의 직경은 약 500 nm까지 관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은 오징어 먹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점성이 있는 오징어먹물 (멜라노좀 입자 70%, 정제수 20%, 염화나트륨 9%,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1%)을 증류수에 10배 희석하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막 (MWCO, 12 - 14 kDa)을 사용하여 60℃ 증류수에서 7 일간 투석하여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획득하였다.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에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0 nm 이하의 직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에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 nm 내지 100 nm 의 직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60 nm 내지 100 nm, 70 nm 내지 100 nm, 또는 80 nm 내지 10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 nm 내지 90 nm, 50 nm 내지 80 nm, 또는 50 nm 내지 7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60 nm 내지 90 nm, 또는 70 nm 내지 90 nm 의 직경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크기는 80 nm 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멜라노좀 나노입자(melanosome nanoparticle)가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을 다양한 농도의 멜라노좀 나노입자와 혼합하였다.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특정 온도와 압력 하에서, 실크 피브로인 표면의 나노공극(nanopore)에 흡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제조단계에서 전체 혼합 조성물에서 실크피브로인 및 멜라노좀의 농도비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서 실크피브로인의 농도는 1.0% 이하로,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농도는 0.2 %이상의 농도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크피브로인 용액 및 멜라노좀을 고온고압에서 반응시키는 경우,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실크피브로인의 표면에 흡착된다.
상기 흡착반응은 온도 범위 100℃-140℃의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반응은 온도 범위 110℃-130℃의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반응은 온도 범위 120℃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흡착반응은 압력 범위 10-20 psi의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흡착반응은 상기 온도 및 압력범위에서 10-30분 동안 반응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반응은 실크피브로인 및 멜라노좀을 120℃, 15 psi 조건 하에서 20분간 실시한다.
단계 (b): 실크 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분리
이어, 단계 (a)의 반응물로부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기계적 분리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증류수에 분산시켜 잉크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단계 (c):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에 분산시켜 바이오잉크를 제조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c)에서는 단계 (b)의 증류수에 분산시킨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에 분산시켜 바이오잉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증류수에 분산시킨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피)% 농도로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바이오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바이오잉크에서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농도는 0.2 (중량/부피)% 이상이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바이오잉크에서 실크피브로인의 농도는 1.0 (중량/부피)%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c)에서 추가로 가시광선 개시제, 조개시제, 가교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가시광선을 이용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가시광선 개시제인 에오신 와이(Eosin-Y), 조개시제로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및 엔-비닐피롤리돈 (N-vinylpyrrolidone) 을 첨가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바이오잉크는 DLP 방식 3D 바이오프린팅용 잉크조성물로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하이드로겔의 x, y, z 축 해상도 및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첨가량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3D 프린팅에 의한 공극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DLP 유형의 고해상도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경화되고, DLP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삼차원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c) 또한 빛의 투과도 조절이 가능하여 기존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속이 비어 있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고, 높은 세포적합성을 가져 세포를 함유하는 바이오잉크로 활용하는데 유용하다.
(d) 본 발명의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 의약품 및 화장품의 동물실험 대체를 위한 인공장기의 제조, 세포 담지 및 배양을 필요로 하는 대상물의 프린팅, 3차원 고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바이오칩 및 스캐폴드 제조 등의 기술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고압멸균과정을 통해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흡착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흰색 바(bar): 500 nm.
도 1b는 가시광경화가 가능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용액에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첨가량에 따른 하이드로겔 전구용액의 투명도 변화를 보여준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DLP유형의 3D 프린터 구성을 보여준다. DLP 프로젝터가 상부에 위치하여 하이드로겔 전구용액에 이미지를 전사하여 가시광선 경화를 통해 하이드로겔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도 2b는 DLP 프린팅 과정에 대한 사진이다.
도 2c의 c, f는 각각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 계단 구조의 디자인을 보여준다. 검은색 바(bar): 500 μm.
도 2c의 d, g는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바이오잉크의 프린팅 후 제작된 하이드로겔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2c의 e, h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제를 함유하는 바이오잉크의 프린팅 후 제작된 하이드로겔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DLP 프린팅 시 사용하는 바이오잉크의 멜라노좀 입자의 농도에 따른 가시광선 조사 크기와 경화된 하이드로겔의 크기의 광학현미경사진이다. 흰색 바(bar): 200 μm.
도 3b는 멜라노좀 입자의 첨가량에 따른 가시광선 조사 크기와 경화된 하이드로겔의 크기 변화를 보여준다.
도 3c는 실크피브로인 농도 및 멜라노좀 농도에 따른 프린팅 해상도의 변화를 보여준다. 검은색 바(bar): 1 cm.
도 3d는 실크피브로인 농도 및 멜라노좀 농도에 따른 Z축 프린팅 두께 변화를 보여준다.
도 4a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SFM) 함유량에 따른 전단율에 대한 저장 탄성률 변화를 보여준다. 4% PEG4A + SFM (1% SF + 0.2 w/v % 멜라노좀)
도 4b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SFM) 함유량에 따른 전단율에 대한 손실 탄성률의 변화를 보여준다. 4% PEG4A + SFM (1% SF + 0.2 w/v % 멜라노좀)
도 4c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하이드로겔의 표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흰색 바(bar): 5 μm.
도 4d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표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흰색 바(bar): 5 μm.
도 4e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표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흰색 바(bar): 5 μm.
도 5a는 무첨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1 w/v% 실크피브로인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1 w/v%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에 섬유아세포를 담지하여 배양일에 따른 대사활성도를 보여준다.
도 5b는 상기 하이드로겔에서 세포의 13일 배양 후 라이브 앤 데드 시험을 통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녹색은 살아있는 세포를, 적색은 죽은 세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본 발명은 실크피브로인 (silk fibroin) 하이드로겔 및 멜라노좀 나노입자 (melanosome nanoparticle),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tetraacrylate, PEG-4A)를 함유하는 가시광선 경화용 고해상도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에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흡착된 형태의 복합체를 첨가물로 함유하는 DLP 프린터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첨가제의 제조
실크섬유(Bombyx mori)는 누에고치(silkworm cocoons)로부터 방사된 섬유로, 외부층의 세리신(sericin)이 단백질 기반의 내부층인 피브로인(fibroin) 2 가닥을 감싸고 있는 삼각단면을 가진 장섬유이다.
본 발명의 실크피브로인은 실크에서 피브로인을 감싸고 있는 세리신을 제거하는 정련과정을 거쳐 얻어지며, 실크를 100℃에서 소듐 오일레이트와 소듐 카보네이트를 넣고 1시간 끓이면 대부분의 세리신이 용해되어 제거된다.
실크피브로인 용액은 실프 피브로인 섬유를 9.3M 브롬화 리튬 수용액에 용해하고, 원심분리로 불용물을 제거한 후, 초순수에 대해서 투석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얻었다.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오징어먹물(멜라노좀 입자 70%, 정제수 20%, 염화나트륨 9%,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1%)로부터 추출하였다. 오징어 먹물 구입시 함께 혼합되어있는 염화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투석과정을 통해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즉, 점성이 있는 오징어먹물을 증류수에 10배 희석하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막 (MWCO, 12 - 14 kDa)를 사용하여 60℃ 증류수에서 7일간 투석하여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획득하였다.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증류수에 분산된 상태로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크피브로인 흡착에 사용하였다.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을 다양한 농도의 멜라노좀 나노입자(증류수에 분산된 상태)와 혼합하였다. 이후 120℃에서 20분간 고압고온 멸균기를 이용하여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에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흡착되도록 유도하였다.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이어 증류수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농도를 0.25, 0.5, 0.75, 1.0 (중량/부피)%로 농도를 맞춰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용액의 멜라노좀 나노입자 농도는 각각 0.05, 0.1, 0.15, 0.2 (중량/부피)% 이고, 실크 피브로인의 농도는 각각 0.25, 0.5, 0.75, 1.0 (중량/부피)% 이다(도 3c 참조).
실시예 2.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바이오잉크의 제조
가시광경화가 가능한 하이드로겔 전구용액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G-4A)를 합성하기 위해 포암 폴리에틸렌 글리콜 (4-arm PEG)을 다이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3당량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acryloyl chloride)와 3당량의 트리에틸아민 (triethylamine)을 첨가하여 30분간 얼음물에서 교반하고 24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에틸이써 (ethyl ether)에 침전 및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3.5 kDa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투석막으로 3일간 투석과정을 거쳐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G-4A)를 제조하였다.
증류수에 희석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4% (w/v)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용액에 분산시켜, 최종적으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0.25, 0.5, 0.75 및 1 (중량/부피)% 농도로 포함하는 바이오잉크를 제조하였다. 가시광선을 이용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가시광선 개시제인 에오신 와이(Eosin-Y)를 0.1 mM 농도로 용해시키고, 조개시제로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0.3% 및 엔-비닐피롤리돈 (N-vinylpyrrolidone) 0.3%로 용해하여 바이오잉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표면 분석 및 색도 분석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표면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1a는 고해상도 DLP 프린팅을 위한 첨가제로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에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흡착하여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량에 따른 바이오잉크의 투명도를 사진으로 보여준다. "SNU"라는 글자가 인쇄된 종이를 밑에 받친 뒤, 나타나는 글자를 통해 탁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를 살펴보면,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공극이 존재하는 구조를 보이며, 3000 RPM에서 원심분리과정을 거치면 하이드로겔이 침전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경우 약 80 nm 직경의 균일한 입자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3000 RPM에서 원심분리를 하여도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과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혼입하고 고압 고온 멸균 과정을 거치게 되면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00 RPM에서 복합체를 원심분리한 결과 상등액이 맑고 투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 대부분의 멜라노좀 나노입자가 실크피브로인 표면에 흡착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를 살펴보면,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첨가제의 첨가량에 따라 바이오잉크의 투명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바이오잉크의 경우 맑고 투명하여 “SNU"글자가 잘 보이는 반면 첨가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SNU"글자가 점차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경화 바이오잉크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첨가제의 활용에 따라 가시광선의 투과도의 변화를 줄 수 있어 DLP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해상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실험예 2. 투명 바이오잉크와 불투명 바이오잉크의 프린팅 안정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체의 프린팅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 투명 바이오잉크를 활용하여 제조하기 어려운 구조체를 제조해보았다.
구체적으로, 프린팅 안정도 측정을 위한 디자인은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와 계단구조를 디자인하여 프린팅을 진행하였다. 하나의 바닥 층과 5개의 외벽층 그리고 하나의 천장 층을 각각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은 바이오잉크와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제가 함유된 바이오잉크를 활용하여 프린팅하였다. 그 결과 투명한 바이오잉크를 통해 제조된 구조물은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공극이 메워진 구조(도 2c의 d)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첨가제가 함유된 바이오잉크로 제조된 구조체의 경우 공극이 형성(도 2c의 e)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마지막 천장층을 프린팅에 있어서 첨가제가 들어가 투명도가 낮아진 바이오잉크에서 가시광선의 투과한계거리가 형성되어 경화될 수 있는 한계 두께로 인해 공극이 안정적으로 형성된 결과이다.
도 2c의 f에 보이는 계단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투명 바이오잉크를 활용하여 제조한 구조체의 경우 가시광선이 바이오잉크 내로 무한정 투과하기 때문에 초기에 형성된 층까지 경화가 이루어졌다. 반면, 첨가제가 들어간 바이오잉크의 경우 의도하였던 디자인과 같은 구조로 하이드로겔이 경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제를 함유하는 바이오잉크는 프린팅 안정도가 기존 투명한 바이오잉크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량에 따른 프린팅 해상도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함유 바이오잉크의 조성물 내 첨가제 함유량에 따른 프린팅 해상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복합 바이오잉크[4% PEG4A + SFM (1% 실크피브로인 + 0.05, 0.1, 0.15, 또는 0.2% 멜라노좀)] 내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농도에 따른 X, Y 해상도를 분석하였다. 가시광선 조사 영역을 200, 400, 600, 800, 1000, 및 1200 마이크로미터로 각각 조절하여 경화된 하이드로겔의 크기를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여 도 3b에 나타내었다.
가시광선이 조사된 영역의 크기와 측정된 크기가 일치하는 경우, 이상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바이오잉크로 설정하였다. 첨가제(멜라노좀)의 농도를 0 - 0.2 %로 조절하여 경화된 하이드로겔의 폭을 광학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이 실험에서 실크피브로인의 농도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1 (중량/부피)% 농도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첨가제(멜라노좀)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측정된 폭의 크기가 조사한 가시광선 폭의 크기에 점차 근접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도 3a-3b 참조). 이를 통해 첨가제(멜라노좀)의 유무가 X, Y 축으로의 해상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첨가제(멜라노좀)의 농도가 0.2% 이상인 경우에도 이상값(가시광선 조사된 부위의 폭)에 가까운 결과가 나타났다(데이터 미첨부).
도 3c는 실크피브로인 농도와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복합화 시 농도에 따른 X, Y 해상도의 변화를 맵핑한 그림을 보여준다. 진한 색으로 채워질수록 X, Y축으로 높은 해상도를 보이는 바이오잉크의 조성물이다.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화 시 사용된 실크피브로인과 멜라노좀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X, Y축으로의 해상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d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제조 시 사용되는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의 농도와 멜라노좀 입자의 농도에 따라 가시광선으로 경화된 하이드로겔의 두께를 평가한 결과이다. 복합화된 멜라노좀의 농도가 Z 축으로의 하이드로겔 두께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는 약간의 두께감소효과를 보인다. 이를 통해 X, Y 축으로의 해상도뿐만 아니라 Z 축으로의 해상도에도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첨가제가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량에 따른 하이드로겔 강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레오미터 (digital rheometer)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측정을 위한 시료는 8 mm 직경을 가지고 2 mm 두께의 규격으로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0, 0.25, 0.5, 0.75 및 1 w/v% 의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을 함유하는 바이오잉크로 각각 구조체를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를 평행 플레이트 지오메트리 (parallel plate geometry)에 위치시키고 전단율 모드 (shear strain-sweep mode)로 1 Hz의 진동수로 측정하였다. 이때 가해지는 힘을 0.2 N으로 고정하고 간극을 2 mm로 유지하여 측정하였다.
도 4a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함유량에 따른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전단율에 따른 저장탄성률 결과를 보여준다.
도 4b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함유량에 따른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전단율에 따른 손실탄성률 결과를 보여준다.
도 4c, 4d 및 4e는 각각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 하이드로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함유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동결건조 후 표면 사진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결과이다.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저장탄성저장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첨가제가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첨가에 따른 섬유아세포 대사활성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2에어 제조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체의 세포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바이오잉크에 섬유아세포 (NIH 3T3 cells)를 1.5 X 106 cells/ml의 농도로 첨가하여 가시광선 경화를 유도한 뒤, 알라마블루 시험 (alamarBlue assay)를 통해 섬유아세포의 하이드로겔 내 대사활성도를 배양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5a는 무첨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만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 및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에, 각각 섬유아세포를 담지하여 배양일에 따른 대사활성도 결과를 보여준다.
무첨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과 비교하여 실크피브로인 및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경우 약 2배정도 높은 대사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첨가제가 세포의 증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0일간의 배양 이후 무첨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에서는 더 이상 섬유아세포가 증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반면, 첨가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의 경우 지속적으로 세포가 성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도 5b는 라이브 앤 데드 시험을 통해 13일간 배양한 섬유아세포의 형광 사진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경화용 고해상도 바이오잉크를 이용하여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하이드로겔에 비해 우수한 세포안정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멜라노좀 나노입자(melanosome nanoparticle)가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인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실크피브로인 하이드로겔 표면의 공극(pore)에 흡착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노좀 나노입자는 50 nm 내지 100 nm 의 직경인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네오페닐글라이콜다이아크릴레이트 (NPGD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PHEMA), 하이루노닉 애시드 메타아크릴레이트 (HAMA, Hyaluronic acid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PAA),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M),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락트산 (PLA), 폴리글리콜산(PGA) 및 폴리카프로락톤 (PCL), 젤라틴,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 (GelMA, Gelatin methacryloyl),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실리콘, 고무, 아가,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폴리디옥솔란, 폴리아크릴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무수말레인산/비닐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은 아크릴레이트, 비닐술폰 또는 티올기를 포함하는 4-arm 또는 8-arm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잉크 조성물은 광개시제, 조개시제, 가교제 또는 이들의 혼합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는 전체 바이오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피)% 농도인 것인 바이오잉크 조성물.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의 제조방법:
    (a)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과 멜라노좀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100-140℃ 및 10-20 psi 압력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b) 단계 (a)의 반응물로부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분리하여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실크피브로인-멜라노좀 복합체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화합물 용액에 분산시켜 바이오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잉크에서 멜라노좀 나노입자의 농도는 0.2 (중량/부피)% 이상인 것인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잉크에서 실크피브로인의 농도는 1.0 (중량/부피)% 이하인 것인 제조방법.
KR1020180106130A 2018-09-05 2018-09-05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30A KR102145594B1 (ko) 2018-09-05 2018-09-05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30A KR102145594B1 (ko) 2018-09-05 2018-09-05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56A true KR20200029656A (ko) 2020-03-19
KR102145594B1 KR102145594B1 (ko) 2020-08-18

Family

ID=6995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130A KR102145594B1 (ko) 2018-09-05 2018-09-05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5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4575A (zh) * 2020-09-27 2021-01-05 嘉兴饶稷科技有限公司 一种光固化黏土打印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6501B1 (ko) * 2020-05-29 2021-05-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햄스터 볼 점막 주머니를 이용한 바이오 잉크 적합성 평가 방법
CN112972765A (zh) * 2021-02-22 2021-06-18 苏州大学 丝素蛋白3d打印生物墨水及其应用
CN113398330A (zh) * 2021-05-17 2021-09-17 四川大学 一种可构建多层级仿生孔结构的3d打印生物墨水及其制备方法和打印方法
WO2021215789A1 (ko) * 2020-04-21 2021-10-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배양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21048A (ko) 2020-08-12 2022-0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3d 바이오 프린팅용 바이오 잉크 및 3d 프린팅 방법
KR20220096560A (ko) 2020-12-31 2022-07-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 및 로커스트콩검을 포함하는 3d 바이오 프린팅용 바이오 잉크 및 3d 프린팅 방법
CN115386259A (zh) * 2022-09-28 2022-11-25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防干抗冻光敏水凝胶墨水及其制备方法和高精度光固化水凝胶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221B1 (ko) 2022-01-07 2024-07-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치환도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3d 바이오프린팅용 바이오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40038590A (ko) 2022-09-16 2024-03-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프린팅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5391A (ja) * 2003-04-10 2007-06-14 タフツ ユニバーシティー 濃縮された水性シルクフィブロイン溶液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11208133A (ja) * 2010-03-12 2011-10-20 Hitoshi Kanazawa 医療用器材
KR20160035917A (ko) * 2014-09-24 2016-04-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및 뼈 재생을 위한 실크 피브로인 다공성 3차원 지지체 제작 방법
JP2017533750A (ja) * 2014-10-27 2017-11-16 シルク バイオマテリアルズ エス.アール.エル. 連結された絹フィブロインマイクロファイバーとナノファイバーからな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の生産方法、そのようにして得られ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および移植可能な医療デバイスとしての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5391A (ja) * 2003-04-10 2007-06-14 タフツ ユニバーシティー 濃縮された水性シルクフィブロイン溶液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11208133A (ja) * 2010-03-12 2011-10-20 Hitoshi Kanazawa 医療用器材
KR20160035917A (ko) * 2014-09-24 2016-04-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및 뼈 재생을 위한 실크 피브로인 다공성 3차원 지지체 제작 방법
JP2017533750A (ja) * 2014-10-27 2017-11-16 シルク バイオマテリアルズ エス.アール.エル. 連結された絹フィブロインマイクロファイバーとナノファイバーからな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の生産方法、そのようにして得られ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および移植可能な医療デバイスとしてのその使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vaprasad Manchineella 외 5명. Pigmented Silk Nanofibrous Composite for Skeletal Muscle Tissue Engineering. Adv. Healthcare Mater. 2016 May, vol.5(10), pages.1222-1232*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789A1 (ko) * 2020-04-21 2021-10-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배양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6501B1 (ko) * 2020-05-29 2021-05-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햄스터 볼 점막 주머니를 이용한 바이오 잉크 적합성 평가 방법
KR20220021048A (ko) 2020-08-12 2022-0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3d 바이오 프린팅용 바이오 잉크 및 3d 프린팅 방법
CN112174575A (zh) * 2020-09-27 2021-01-05 嘉兴饶稷科技有限公司 一种光固化黏土打印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96560A (ko) 2020-12-31 2022-07-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 및 로커스트콩검을 포함하는 3d 바이오 프린팅용 바이오 잉크 및 3d 프린팅 방법
CN112972765A (zh) * 2021-02-22 2021-06-18 苏州大学 丝素蛋白3d打印生物墨水及其应用
CN113398330A (zh) * 2021-05-17 2021-09-17 四川大学 一种可构建多层级仿生孔结构的3d打印生物墨水及其制备方法和打印方法
CN115386259A (zh) * 2022-09-28 2022-11-25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防干抗冻光敏水凝胶墨水及其制备方法和高精度光固化水凝胶及其应用
CN115386259B (zh) * 2022-09-28 2023-11-14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防干抗冻光敏水凝胶墨水及其制备方法和高精度光固化水凝胶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594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94B1 (ko) 3d 프린팅을 위한 가시광선 경화용 바이오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im et al. Precisely printable and biocompatible silk fibroin bioink for digital light processing 3D printing
Li et al. Stereolithography apparatus and digital light processing-based 3D bioprinting for tissue fabrication
Huang et al. Silkworm silk-based materials and devices generated using bio-nanotechnology
Tang et al. Nanocellulose/PEGDA aerogel scaffolds with tunable modulus prepared by stereolithography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Zhang et al. Bioink design for extrusion-based bioprinting
Shin et al. Melanin nanoparticle-incorporated silk fibroin hydrogels for the enhancement of printing resolution in 3D-projection stereolithography of poly (ethylene glycol)-tetraacrylate bio-ink
CN108367100A (zh) 水凝胶的光活化制备
KR101983741B1 (ko) 바이오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679888B (zh) 光固化成型复合水凝胶基质前驱体及其制备方法和带有其的支架
Mondal et al. Acrylated epoxidized soybean oil/hydroxyapatite-based nanocomposite scaffolds prepared by additive manufacturing for bone tissue engineering
TWI655285B (zh) 光聚合組成物及其應用
Jing et al. Two-photon polymerization for 3D biomedical scaffolds: Overview and updates
CN109662941A (zh) 由纳米胶体颗粒组装的、高强度、自修复、可注射复合胶体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74816A (zh) 高强度生物医用水凝胶材料及浴支撑水凝胶3d打印方法
CN113559328B (zh) 一种生物墨水及其制备方法
Randhawa et al. Recent advances in 3D printing of photocurable polymers: types, mechanism, and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Fang et al. Hydrogels for 3D bioprinting in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Current progress and challenges
CN114432496A (zh) 一种天然高分子有机纳米复合的可注射可二次力学增强的双网络水凝胶的制备方法
Wangpraseurt et al. Bioprinted living coral microenvironments mimicking coral‐algal symbiosis
Kumar Synthetic polymer-derived single-network inks/bioinks for extrusion-based 3D printing towards bioapplications
Dutta et al. Trackable and highly fluorescent nanocellulose-based printable bio-resins for image-guided tissue regeneration
CN110755685A (zh) 一种3d打印瓜尔胶水凝胶支架及其制备方法
Kunwar et al. Three-dimensional printing of double-network hydrogels: recent Progres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Tajik et al. 3D Printing of Hybrid-Hydrogel 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A Critical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