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580A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580A
KR20200009580A KR1020180084127A KR20180084127A KR20200009580A KR 20200009580 A KR20200009580 A KR 20200009580A KR 1020180084127 A KR1020180084127 A KR 1020180084127A KR 20180084127 A KR20180084127 A KR 20180084127A KR 20200009580 A KR20200009580 A KR 20200009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protective equipment
functional protective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주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주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주컨버전스
Priority to KR102018008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580A/ko
Publication of KR2020000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모션 측정 정보를 저장하고, 모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며, 사용자의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성 보호 장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의 사고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보호 장구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개시함에 따라, 보다 안전한 레저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flatable Life Jacket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의 사고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보호 장구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개시함에 따라, 보다 안전한 레저 활동이 가능토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활동 활성화에 따라 승마, ATV, 바이크 라이딩 등 관련 관광레저 활동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레저 관광 관련 안전사고 또한 많아지고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안전시설 및 안전에 관련한 제품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보다 안전하게 레저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의 사고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보호 장구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개시함에 따라, 보다 안전한 레저 활동이 가능토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제1 모션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모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개시된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로부터 수신되는 모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의 사고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보호 장구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개시함에 따라, 보다 안전한 레저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시스템은 기능성 보호 장구(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기능성 보호 장구(100)는 승마, ATV, 바이크 라이딩 등의 레저 활동을 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비로서,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 정보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는 압력 센서의 측정 정보,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는 가스 팽창식 인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레저 활동을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스마트 와치, 스마트 밴드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모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서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모듈 또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레저 활동을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모션 센서가 측정한 모션 측정 정보와,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모션 센서가 측정한 사용자의 모션 측정 정보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수집한 주변 사운드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의의 팽창이 필요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팽창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능성 보호 장구(100)로 송신한다.
한편,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구비된 인플레이터가 팽창되는 경우에 인플레이터에 구비된 가스 카트리지 내부의 압축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공급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 검출 센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는 가스 배출 감지 정보(즉, 인플레이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승마, ATV, 바이크 라이딩 등의 레저 활동을 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를 착용한 다음,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 모듈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를 손목 부위에 착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저 활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 모듈은 주변 사운드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집되는 사운드의 평균 소음값을 산출한다(S305).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션 센서는 레저 활동을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 정보(제1 모션 측정 정보)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S310).
한편, 기능성 보호 장구(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레저 활동을 하며 신체를 움직임에 따라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구비된 모션 센서가 측정한 모션 정보(제2 모션 측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된다(S315).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션 측정 정보와 제2 모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활동 상태를 분석한다(S32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1 모션 측정 정보로부터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의 신체 부위인 손목의 평균 이동 가속도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손목의 현재 이동 가속도값이 기 산출된 평균 이동 가속도값의 소정 배수(예를 들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현재 사고 발생 등의 위험 상황에 처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자기 방어를 위해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해 있느 것으로 판단한다(S325).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2 모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수직 방향(지면 방향)으로의 이동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값과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레저 활동 중인 사용자가 지상으로 추락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의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25).
이와 같이, 전술한 S32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의 팽창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인플레이터에 구비된 통신 모듈로 송신한다(S330).
이에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설치되어 있는 인플레이터가 팽창되며(S335), 인플레이터에 구비된 가스 카트리지 내부의 압축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공급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 검출 센서는 가스 배출 감지 정보(즉, 인플레이터의 동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340).
한편, 전술한 S32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마이크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사운드를 분석하고(S345),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35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레저 활동을 하는 동안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수집된 소음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현재 수집된 사운드의 크기가 상기 평균 소음값의 소정 배수(예를 들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음으로 인해 주변 환경으로부터 마찰음, 타격음, 사용자의 비명 등의 소음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현재 사용자가 사고 등의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50).
이와 같이, 전술한 S35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의 팽창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인플레이터에 구비된 통신 모듈로 송신한다(S355).
이에 기능성 보호 장구(100)에 설치되어 있는 인플레이터가 팽창됨으로써 기능성 보호 장구(100)의 팽창 동작이 실행되며(S360),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로부터 인플레이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365).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능성 보호 장구(100)로부터 인플레이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현재 상황이 의료진의 현장 출동이 필요한 중대 사고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플레이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구조 대원의 출동이 필요하십니까? 'YES' or 'NO'"와 같은 사용자 선택 입력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고, 경보음을 듣게 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선택 입력 요청 메시지를 본 후, 'YES'를 선택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S375), 사용자가 'NO'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고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고로 인해 사용자가 의식을 잃거나, 거동할 수 없는 심각한 부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선택 정보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를 대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는 경보음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선택 정보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 알림 메시지를 생성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375).
이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응급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의 휴대폰 번호 또는 119 구조대의 서버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발송함으로써 긴급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기능성 보호 장구,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a)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제1 모션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모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개시된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능성 보호 장구로부터 수신되는 모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KR1020180084127A 2018-07-19 2018-07-19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KR20200009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27A KR20200009580A (ko) 2018-07-19 2018-07-19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27A KR20200009580A (ko) 2018-07-19 2018-07-19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80A true KR20200009580A (ko) 2020-01-30

Family

ID=6932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127A KR20200009580A (ko) 2018-07-19 2018-07-19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5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097B2 (en) System and method of worker fall detection and remote alarm notification
US202201892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US884775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for monitoring protective headgear
US11000088B2 (en) Condition responsive indication assembly
US20150302719A1 (en) Man Down Detector
US20120077439A1 (en) Method, system and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protective headgear
US2020036779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all detectors and fall detection
US10803721B2 (en)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and user device
KR20150098288A (ko) 물리적충격 및 심리적충격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US20110045795A1 (en) Portable radio with automatic motion sensing and emergency alert facility
US8264365B2 (en) Motion sensing remote microphone
JP6013660B1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6936546B2 (ja)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KR101592830B1 (ko)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6382B1 (ko) 위험 감지 기능을 갖는 소방관용 보호장비
JP2009301457A (ja) 救援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20200009580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성 보호 장구의 제어 방법
KR102140830B1 (ko) 작업스케줄 및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4565A (ko) 웨어러블 호신 센서장치
KR101397997B1 (ko) 헬스케어 유헬멧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24009B (zh) 電子掉落事件通信系統
KR102508937B1 (ko) 유해 가스 관리 시스템
CN108564775A (zh) 呼救器报警方法、系统以及电子设备
KR20190124491A (ko) 플랜트 화재 상황 대응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