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18A -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 Google Patents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18A
KR20200004818A KR1020197033945A KR20197033945A KR20200004818A KR 20200004818 A KR20200004818 A KR 20200004818A KR 1020197033945 A KR1020197033945 A KR 1020197033945A KR 20197033945 A KR20197033945 A KR 20197033945A KR 20200004818 A KR20200004818 A KR 2020000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xis
working surface
special
contact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718B1 (ko
Inventor
하이코 스트로벨
세바스찬 루엘
마누엘 페이
데니스 토비아스 캐머러
Original Assignee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0000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23K20/106Features related to sono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1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형 전기 도체(28,29)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16)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될 상기 도체(28,29)의 2개의 연결 영역(26,27)을 수용하기 위한 압축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26,27)은 제1 축방향(x-축)으로 연장되며, 상기 압축 공간은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 및 앤빌의 카운터면에 의해 제2 축방향(z-축)으로의 2개의 대향 측면에서, 그리고, 제2 축방향(z-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요소의 경계 표면 및 경계 요소의 경계 표면에 의해 제3 축방향(y-축)으로 2개의 대향 측면 상에서 정의된다.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상기 작업 표면(19)의 부분이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26,27)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특수 접촉 구역(50)에서, 상기 작업 표면(19)은 나머지 작업 표면(19)에 의해 형성된 접촉 구역(30)과 상이한 표면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로드형 전기 도체(rod-shaped electrical conductors)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에 특히 적합한 청구항 18의 전제부에 따른 소노트로드(sonotrode)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는 도체의 연결 영역(connection regions) 사이에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압축 공간(compression space)을 가지며, 연결 영역의 직경이 크게 상이할 수 있는 전기 도체는 실제로는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모든 도체는 그들의 연결 영역의 상이한 직경에 상관없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되며, 상기 취급은 상기 연결 영역을 개방 압축 공간(open compression space)에 배치하고, 압축 공간을 폐쇄한 후에,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working surface)과 포개어 적층된 2개의 도체 중 적어도 하부의 연결 영역 사이의 접촉 영역(contact area)을 상기 연결 영역의 직경의 함수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초음파 진동을 상기 소노트로드로부터 상기 연결 영역까지 전달하기 위해, 작업 표면에는 프로파일 융기부(profile elevations)가 작업 표면 상에서 소노트로드의 종축(longitudinal axis)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 표면 구성(profiled surface configuration)이 제공된다. 특히 도체의 연결 영역은 직경이 매우 작을 때, 프로파일 융기부가 연결 영역에 과도한 기계적인 응력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는 데, 이는 이상적으로 가능한 용접 강도(weld strengths)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완료된 용접에서 분명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직경과 가장 작은 직경의 연결 영역 사이에서도, 높은 용접 강도의 초음파 용접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에 이용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 및 소노트로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소노트로드는 청구항 18의 특징을 가진다.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일 부분(section)이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특수 접촉 구역(special contact zon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은 나머지 작업 표면(remaining working surface)에 의해 형성된 접촉 영역과 상이한 표면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소노트로드는, 동일한 장치 및 동일한 소노트로드를 이용하여, 중간 와이어 직경 및 큰 와이어 직경을 가지는 전기 도체 사이 및 작은 와이어 직경 및 가장 작은 와이어 직경을 가지는 전기 도체들 사이 모두에서 초음파 용접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작업 표면을 제공하는 것, 즉 작업 표면을 중간 와이어 직경 및 큰 와이어 직경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접촉 구역 및 작은 와이어 직경 및 가장 작은 와이어 직경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특수 접촉 구역으로 나누는 것은, 동일한 장치와 동일한 소노트로드를 사용하여, 상이한 와이어 직경의 이상적인 초음파 처리를 달성한다.
결과적으로, 특수 접촉 구역은 작은 용접 커넥터들에서 완전하게 효과적일 수 있으며 프로파일 융기부로 인해 초래하는 와이어 또는 도체의 손상을 피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더 큰 직경의 와이어를 가지는 도체는 작업 표면의 접촉 구역에서 "보통의(normal)"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이것은 더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체 단면(conductor cross-section)에 상관없이 이상적인 용접 강도(weld strengths)가 동일하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장 작은 및 작은 도체 단면은 특수 접촉 구역에서 작업 표면의 "테이머(tamer)" 프로파일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중간 및 큰 도체 단면은 접촉 구역에서 "날카로운(sharp)" 프로파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경계 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압축 공간이 폐쇄될 때, 즉 슬라이더 요소(slider element)가 그 사이에 배치된 도체의 연결 영역이 허용하는 데 까지 y-축 방향으로 경계 요소의 경계 표면에 대해 이동할 때, 연결 영역들이 원하는 대로 특수 접촉 구역 내에 자리잡는다.
이것은 특히 특수 접촉 구역이 경계 요소에 평행한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작업 표면 에지(working surface edge)에 형성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구역은, 프로파일 융기부를 포함하는 표면 구성을 가지되는 데, 프로파일 용기부는 제3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로파일 융기부의 적어도 일부는 특수 접촉 구역의 영역에서 특수 프로파일 단면(profile cross-section)을 가지며, 상기 특수 프로파일 단면은 접촉 구역에서의 프로파일 단면과 상이하다.
특수 프로파일 단면이 프로파일 단면에 비해 프로파일 높이(profile height)가 감소할 경우, 특수 접촉 영역의 특히 간단한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는 프로파일 단면의 프로파일 피크부(profile peak)의 평탄부(flattened portion) 또는 라운드부(rounded portion)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특히 평탄부의 경우에서, 특수 접촉 구역이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제조 후의 부분적인 재료 제거(partial material removal)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적어도 제1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에서, 특수 접촉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제3 축방향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대칭축(axis of symmetry)에 대해 대칭인 특수 접촉부(special contact portion)를 가지는데, 특수 접촉 구역은 특히 생산하기 쉬운 특수 접촉 구역의 실시예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이다.
대칭축이 작업 표면의 중심선에 의해 형성될 경우 작업 표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접촉 구역이 가능해지고, 상기 중심선은 제3 축방향에 평행하게 진행하며,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는 연결될 도체의 연결 영역이 서로 중첩되면서 중심선을 가로질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도체 사이에 연속적인 연결을 생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대칭축의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융기부가 작업 표면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할 때 즉, 일정한 프로파일 융기부가 특수 접촉 구역을 소노트로드의 종방향으로, 즉 x-축 방향으로 2개의 서브구역(subzones)으로 분할할 때, 특히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첩 도체들(overlapping conductors)의 달성 가능한 용접 품질에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테스트는 보여준다.
특수 접촉 구역이 제1 축방향으로 접촉 구역의 길이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될 경우 또한 특히 유리하다.
특수 접촉 구역이 작업 표면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심선이 제3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경우, 장치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도체의 중첩 연결 영역(overlapping connection regions) 사이에서 용접부를 생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특수 접촉 영역이 작업 표면 단부(working surface end) 쪽으로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 특수 접촉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구역의 일 부분(a section)의 구성은 작은 주변 작업 표면 영역(small peripheral working surface region)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노트로드 작업 표면의 "배치 측면(placement side)", 즉 압축 공간에서 연결될 도체의 연결 영역이 배치되는 소노트로드 작업 표면(sonotrode working surface)의 측면이 동시에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제3 축방향으로 2mm 미만의 폭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제3 축방향으로 1.5mm 미만의 폭을 가진다. 특별한 경우에, 특히 작은 와이어 직경이 서로 연결될 때, 특수 접촉 구역이 제3 축방향으로 1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노트로드는, 작업 표면의 일 부분(a section)이며 전기 도체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하는 특수 접촉 구역에서, 나머지 작업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접촉 구역과 상이한 표면 구성을 갖는 작업 표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소노트로드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 에지에 형성된다.
접촉 구역이 프로파일 용기부들(profile elevations)을 포함하는 표면 구성을 가지는 경우로서 여기에서 프로파일 용기부들은 소노트로드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프로파일 융기부들이, 특수 접촉 구역의 영역에서, 접촉 구역에서의 프로파일 단면과 상이한 특수 프로파일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특수 접촉 구역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수 프로파일 단면은 프로파일 단면에 비해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를 가진다.
또한,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단면의 프로파일 피크부의 평탄부 또는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중간부에서 횡축(transverse axis)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칭축에 대해 대칭인 특수 접촉 구역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수 접촉 구역은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이다.
대칭축이 작업 표면의 중심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중심선이 횡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경우, 소노트로드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체의 연결 영역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대칭축의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융기부는 작업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프로파일 융기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다.
특수 접촉 구역이 종축 방향으로 접촉 구역의 길이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 특수 접촉 구역의 형성은, 연결 영역이 중첩되어 질 때, 실제로 형성되는 도체의 중첩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도체의 연결 영역 사이의 연결이 생성될 때, 특수 접촉 구역은 작업 표면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중심선은 횡방향에 평행하게 진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특수 접촉 구역은 작업 표면 단부 쪽으로 배치된다.
소노트로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수 접촉 구역은 횡축 방향으로 2mm 미만의 폭을 가진다.
특히 유리하게는, 특수 접촉 구역은 횡축 방향으로 1.5mm 미만의 폭을 가지며; 또한, 특히 작은 직경을 가지는 도체의 경우에, 특수 접촉 구역이 횡축 방향으로 1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장치 및 소노트로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함께 용접될 도체의 2개의 적층된 연결 영역을 가지는 초음파 용접장치의 개방 압축 공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 공간의 폐쇄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인라인 스플라이스(in-line splice)의 제조를 위해 특수 접촉 구역에 배치된 2개의 연결 영역을 가지는 소노트로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엔드 스플라이스(end splice)의 제조를 위해 특수 접촉 구역에 배치된 2개의 연결 영역을 가지는 소노트로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작업 표면 에지 상에 형성된 특수 접촉 구역의 제1 실시예를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작업 표면 에지 상에 형성된 특수 접촉 구역의 제2 실시예를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작업 표면 에지 상에 형성된 특수 접촉 구역의 제3 실시예를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소노트로드의 작업 표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4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도 6에 도시된 특수 접촉 구역 상의 연결 영역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압축 공간(18)의 필수적인 요소를 도시하고 있는 데, 압축 공간의 단면, 즉 높이 및 폭은 조절 가능하고 제1 축방향(x-축)으로 연장되는 도체(28,29)의 연결 영역(26,27)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축방향(z-축)에서, 압축 공간(18)은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 및 제3 축방향(y-축)으로 이동 가능한 앤빌(21, anvil)의 카운터면(20)에 의해, 2개의 대향 측(opposite sides)에서 정의된다. 상기 제2 축방향에서, 압축 공간(18)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요소(23)의 경계 표면(22)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앤빌(21)과 같은 경계 요소(24)의 경계 표면(24)에 의해 2개의 대향 측면에서 정의된다.
도 1에 도시된 압축 공간(1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노트로드(16)에 의해 연결될 도체(28,29)의 2개의 연결 영역(26,27)은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 상에 위치되고, 연결 영역(26,27)은 포개어 적층되며, 도 1은 개방 압축 공간(18, open compression space)에 배치된 직후의 연결 영역(26,27)을 도시한다.
도 2는 폐쇄 구성에서의 압축 공간(18)을 도시하는 데, 여기에서 압축 공간(18)을 정의하는 구성요소, 즉 소노트로드(16), 앤빌(21), 슬라이더 요소(23) 및 경계 요소(25)는 서로에 대해 이동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체(28,29)의 연결 영역(26,27)이 마찰 용접 공정에서 소노트로드의 기계적인 진동을 받을 때, 부피가 현재 축소되어 있는 상기 압축 공간(18)이 연결 영역(26,27)이 압축되고 서로 연결되어 용접 스플라이스(weld splice)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mold, 4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표면(19)은 접촉 구역(30) 및 특수 접촉 구역(31)을 가지며; 이 경우에, 도체(28,29)의 연결 영역(26,27)은 단면이 너무 작아서 하부 도체(28)의 연결 영역(26)이 작업 표면(19)의 특수 접촉 구역(31)과 단독으로 접촉한다. 압축 공간(18)이 도 2에 도시된 폐쇄 구성이 되고 소노트로드(16)가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활성화되면, 상기 초음파 진동은 오직 특수 접촉 구역(31)의 영역에서 연결 영역(26)에 전달된다.
연결 영역(26,27)보다 상당히 큰 단면을 가지는, 점선으로 도시된 연결 영역(32,3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큰 단면을 가지는 연결 영역(32,33)의 대부분(major portion)은 작업 표면(19)의 접촉 구역(30)과 접촉할 것이고,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small portion)만이 특수 접촉 구역(31)과 접촉할 것이다.
도 3 내지 7의 예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 표면(19)은, 작업 표면(19)을 가로지르는 소노트로드(16)의 종축(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 융기부(34)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표면 구성을 가진다. 작업 표면 에지(35)를 따라 형성된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에서, 적어도 일부 프로파일 융기부(34)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촉 구역(30)의 영역에서의 프로파일 융기부(34)의 프로파일 단면(37)과 상이한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이 제공된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은, 프로파일 단면(37)에 비해 감소되고 접촉 구역(30)의 영역에서 프로파일 단면(37)에 형성된 프로파일 피크부(39)의 평탄부(38)에 의해 형성되는, 프로파일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평탄부(38)는 특수 접촉 구역(31)에서 "테이머(tamer)" 프로파일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영역(16)이 접촉 구역(30)에서 프로파일 융기부(34)의 "더 날카로운(sharper)" 프로파일 단면(37)에 영향받는 경우에 비해 소노트로드(16)의 종방향으로 소노트로드(16)에 의해 진동을 받을 때, 도 3 및 도 4 에서 하부에 있는 연결 영역(26)에 대한 기계적인 응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3은 인라인 스플라이스(in-line splice)를 제조하기 위한 도체(28,29)의 배열을 도시하고, 소노트로드(16)에는 작업 표면(19) 상에, 도 5 에서 확대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특수 접촉 구역(50)이 제공된다. 도 4는 엔드 스플라이스(end splice)를 제조하기 위한 도체(28,29)의 배열을 도시하고, 소노트로드(16)에는 작업 표면(19) 상에 특수 접촉 구역(52)이 제공되어 있는 데, 이것은 도7 에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종축(L)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경우에 종축(L)에 직각으로 배치된 횡축(Q)에 평행하게 배치된 대칭축(S)에 대해 대칭인 특수 접촉부(53)를 가지는 특수 접촉 구역(50)의 구성을 도시한다. 대칭축(S)은 이 경우에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과 일치하기 때문에, 특수 접촉 구역(50)은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이다.
도 5에 도시된 특수 접촉 구역(50)과 달리, 도 6에 도시된 특수 접촉 구역(51)은, 대칭축(S)의 영역에서, 대칭축(S)을 따라 형성되고 작업 표면(19)의 전체 폭(B)을 가로질러 일정한 프로파일 단면(37)이 제공되는 프로파일 융기부(34)를 가지는데, 이 경우에 대칭축은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과 다시 일치한다. 이것은 중간 프로파일 융기부(34)에 의해 분리된 2개의 특수 접촉부(54,55)를 초래하고; 연속 프로파일 융기부(34)에 의해 형성된 "중간 치형부(middle tooth)"는, 서로 연결될 도체(28,29)의 연결 영역(26,27)이 도 3 에 따라 배열될 때, 인라인 스플라이스의 특히 높은 "박리 강도(peel strength)"를 허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도 7은 엔드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는 데 특히 적합한 특수 접촉 구역(52)의 디자인을 도시하며, 도 4에 도시된 특수 접촉 구역(52)에서 작업 표면(19) 상에 연결 영역(26,27)의 상대적인 배열은 엔드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접촉 구역(52)은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에 대해 비대칭인데, 중심선은 횡축(Q)에 평행하게 진행하며, 횡축은 이 경우에 종축(L)에 직각으로 진행한다. 특수 접촉 구역(52)은 작업 표면 단부(56) 쪽으로 배치되는데, 이 경우에서 자유 소노트로드 단부(57, free sonotrode end)에 배치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배치면(E)이 이에 따라 정의되는 데, 이것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업 표면(19)에서의 특수 접촉 구역(52)의 디자인 또는 배열의 경우에 엔드 스플라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연결 영역(26,27)이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에 최선으로 공급되거나, 도 4 에서의 소노트로드(16)에 관한 묘사에 관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압축 공간(18)으로 도입되는 방식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특수 접촉 구역(51) 상의 하부 연결 영역(26)의 배열을 명확하게 하는 데, 소노트로드(16)의 종축(L)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프로파일 융기부(34)의 종방향으로 특수 접촉 구역(51)의 폭(b)가 연결 영역(26)의 직경(d)에 따라 명확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연결 영역은, 이 경우에, 7개의 개별 와이어(40) 또는 도체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별 와이어(40)의 직경은 약 0.158mm이고, 따라서 연결 영역(26)의 직경은 약 0.5mm이다.
이 경우에, 특수 접촉 영역(51)의 폭(b)은 연결 영역(26)의 직경보다 약간 더 넓게 선택되며, 이는 연결 영역(26)이 특수 접촉 구역(51)의 영역에서 오직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한다.

Claims (33)

  1. 로드형 전기 도체(28,29) 용접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연결될 상기 도체(28, 29)의 2개의 연결 영역(26,27)을 수용하기 위한 압축 공간(18)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26,27)은 제1 축방향(x-축)으로 연장되며, 상기 압축 공간(18)은 제2 축방향(z-축)의 2개의 대향 측에서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 및 앤빌(21)의 카운터면(20)에 의해 그리고 제3 축방향(y-축)으로 2개의 대향 측에서 상기 제2 축방향(z-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요소(23)의 경계 표면(22) 및 경계 요소(25)의 경계 표면(24)에 의해 정의되되,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상기 작업 표면(19)의 일 부분이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26,27)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하는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에서, 상기 작업 표면(19)은 나머지 작업 표면(19)에 의해 형성된 접촉 구역(30)과 상이한 표면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경계 요소(25)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경계 요소(25)에 평행한 작업 표면 에지(35)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4.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구역(30)은 프로파일 융기부(34)들을 포함하는 표면 구성을 가지되, 상기 프로파일 융기부(34)들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로파일 융기부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의 영역에서, 상기 접촉 구역(30)의 프로파일 단면(37)과 상이한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은 상기 프로파일 단면(37)에 비해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는 상기 프로파일 단면(37)의 프로파일 피크부(39)의 평탄부(38) 또는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7.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축방향(x-축)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에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0,51)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대칭축(S)에 대해 대칭인 특수 접촉부(53,54,5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0,51)은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축(S)은 상기 작업 표면의 중심선(M)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중심선(M)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1)은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축(S)의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융기부(34)는 상기 작업 표면(19)의 전체 폭(B)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2.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제1 축방향(x-축)으로 상기 접촉 구역(30)의 길이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2)은 상기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에 대해 비대칭이고, 상기 중심선(M)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2)은 작업 표면 단부(56) 쪽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5.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으로 2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제3 축방향(y-축)으로 1.5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제3 축방향으로 1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18. 로드형 전기 도체(28,29)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16)로서,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19)의 일 부분이고 전기 도체(28,29)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26,27)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하는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에서, 상기 작업 표면(19)은 나머지 작업 표면(19)에 의해 형성된 접촉 구역(30)과 상이한 표면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종축(L)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작업 표면 에지(35)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구역(30)은 프로파일 융기부들(34)을 포함하는 표면 구성을 가지되 상기 프로파일 융기부들은 상기 소노트로드(16)의 종방향(L)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의 영역에서, 상기 접촉 구역(30)에서의 프로파일 단면(37)과 상이한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프로파일 단면(36)은 상기 프로파일 단면(37)에 비해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프로파일 높이(h)는 상기 프로파일 단면(37)의 프로파일 피크부(39)의 평탄부(38) 또는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종축(L)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에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은 횡축(Q)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대칭축(S)에 대해 대칭인 특수 접촉부(53,54,5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은 전체 길이(l)에 걸쳐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축(S)은 상기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중심선(M)은 상기 횡축(Q)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축(S)의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융기부(34)는 상기 작업 표면(19)의 상기 전체 폭(B)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8. 제18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종축(L) 방향으로 상기 접촉 구역(30)의 길이의 일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29. 제18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2)은 상기 작업 표면(19)의 중심선(M)에 대해 비대칭이고, 상기 중심선(M)은 상기 횡축(Q)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30. 제1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52)은 작업 표면 단부(56) 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31.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횡축(Q) 방향으로 2mm 미만의 폭(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횡축(Q) 방향으로 1.5mm 미만의 폭(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접촉 구역(31,50,51,52)은 상기 횡축(Q) 방향으로 1mm 미만의 폭(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형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장치용 소노트로드.
KR1020197033945A 2017-05-15 2018-05-07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KR102510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8164 2017-05-15
DE102017208164.3 2017-05-15
PCT/EP2018/061735 WO2018210603A1 (de) 2017-05-15 2018-05-07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von stabförmigen elektrischen leitern sowie sonotrode für eine derartige 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18A true KR20200004818A (ko) 2020-01-14
KR102510718B1 KR102510718B1 (ko) 2023-03-15

Family

ID=6224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45A KR102510718B1 (ko) 2017-05-15 2018-05-07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58235B2 (ko)
EP (1) EP3624981B1 (ko)
JP (1) JP7159211B2 (ko)
KR (1) KR102510718B1 (ko)
CN (1) CN110650816B (ko)
MA (1) MA49132B1 (ko)
MX (1) MX2019013616A (ko)
PL (1) PL3624981T3 (ko)
RS (1) RS62255B1 (ko)
SI (1) SI3624981T1 (ko)
WO (1) WO201821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9809A1 (de) * 2017-08-29 2019-02-28 Schunk Sonosystems Gmbh Verfahren zum Schweißen von elektrischen Leitern sowie Ultraschallmetallschweißvorrichtung
DE102019134763B4 (de) * 2019-12-17 2021-08-19 Auto-Kabel Management Gmbh Schweißvorrichtung sowie Schweiß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offschlüssigen Verbindung zwischen einem Leiter und einem Anschlussteil
DE202021106253U1 (de) * 2021-11-16 2021-12-08 Kabatec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zum Spannen von mehreren Leiter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355A (ja) * 2000-06-28 2002-07-10 American Technology Inc スプライス溶接機
KR20150086548A (ko) * 2012-12-03 2015-07-28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소노트로드를 포함하는 상승부들 및 상대 전극을 포함하는 컷아웃들을 사용하는 전기 전도체를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5065C1 (de) * 1987-06-06 1994-05-19 Stapla Ultraschalltechnik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lektrischer Leiter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003917B2 (ja) * 1995-04-28 2000-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超音波溶着方法
JP4013691B2 (ja) 2002-07-31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方法および超音波溶接機
DE102004033575B3 (de) * 2004-07-09 2006-04-13 Schunk Ultraschalltechnik Gmbh Anordnung zum Verschweißen von Werkstücken
JP2006088147A (ja) * 2004-08-24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超音波接合用ホーンおよび超音波溶融接合方法
JP4792945B2 (ja) 2005-01-28 2011-10-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超音波接合装置および接合構造体
CN100522449C (zh) * 2005-01-28 2009-08-05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超声波接合装置及接合构造体
DE102005004899A1 (de) * 2005-02-02 2006-08-03 Schunk Ultraschalltechnik Gmbh Verdichtungsraum sowie ein einen Verdichtungsraum begrenzendes Werkzeug
JP5884752B2 (ja) * 2013-03-14 2016-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音波接合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2013106349A1 (de) 2013-05-13 2014-11-13 Schunk Sonosystems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des Verdichtungsgrades eines Knotens
DE102013107637A1 (de) * 2013-07-18 2015-01-22 Schunk Sono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notens durch Schweißen
DE102013222939B3 (de) * 2013-11-11 2015-04-30 Schunk Sonosystems Gmbh Vorrichtung zum Verschweißen von elektrischen Leitern
JP2017152224A (ja) * 2016-02-25 2017-08-31 住友電装株式会社 芯線と接合対象物との接合物、端子、超音波接合装置、及び、芯線と接合対象物との接合方法
KR102186301B1 (ko) * 2016-12-27 2020-12-03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초음파 접합용 공구 및 초음파 접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355A (ja) * 2000-06-28 2002-07-10 American Technology Inc スプライス溶接機
KR20150086548A (ko) * 2012-12-03 2015-07-28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소노트로드를 포함하는 상승부들 및 상대 전극을 포함하는 컷아웃들을 사용하는 전기 전도체를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9449A (ja) 2020-07-02
US11358235B2 (en) 2022-06-14
US20210146470A1 (en) 2021-05-20
CN110650816A (zh) 2020-01-03
WO2018210603A1 (de) 2018-11-22
EP3624981B1 (de) 2021-06-30
MA49132A (fr) 2020-03-25
CN110650816B (zh) 2022-02-25
RS62255B1 (sr) 2021-09-30
MA49132B1 (fr) 2021-09-30
SI3624981T1 (sl) 2021-11-30
JP7159211B2 (ja) 2022-10-24
PL3624981T3 (pl) 2021-12-27
KR102510718B1 (ko) 2023-03-15
EP3624981A1 (de) 2020-03-25
MX2019013616A (es)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71B1 (ko) 두 개의 용접들에 대해 동일한 폭으로 용접함으로써 노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20200004818A (ko) 로드형 전기 도체 용접장치 및 이러한 장치의 소노트로드
KR101394099B1 (ko) 초음파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전도체들 사이의 용접연결부를 제조하는 방법
US10406628B2 (en) Device for welding electrical conductors
JPS60107281A (ja) 電線接続装置
KR101876171B1 (ko) 전기 전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400676B2 (ja) 超音波溶接方法
JP6974317B2 (ja) 被切断材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
CN104955604A (zh) 在使用具有超声焊极的突起部和具有对应电极的凹进部的情况下用于焊接电导体的超声波焊接设备以及方法
JP2004220933A (ja) 電線の超音波溶接装置及び超音波溶接方法
JP2016185009A (ja) 電線の接続方法、接続装置、及び端子付き電線
JP2018113181A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WO2019013331A1 (ja) 導体接続装置及び導体接続方法
KR102600716B1 (ko) 초음파에 의해 전기 도체를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초음파 금속 용접 장치
CN111834855B (zh) 制造带端子的电线的方法以及对电线进行阻尼的方法
CN110087821B (zh) 导电构件的制造方法及导电构件
WO2018155721A1 (ja) 電線配列治具、及び、超音波接合装置
JP2017126520A (ja) 端子付電線およ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US20230275364A1 (en) Multistage Welding Of Splices By Means Of An Ultrasonic Welding Device
JP4391312B2 (ja) 超音波溶接装置
JP2005144532A (ja) 超音波溶接装置及び超音波溶接方法
JP2013242991A (ja) 電線の接合構造
CN117529857A (zh) 加工电导体的方法和设备
JP2022136634A (ja) 導体の接合構造および導体の超音波接合方法
JP2022135164A (ja) 導体の接合構造および導体の超音波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