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31U -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31U
KR20200000331U KR2020190004113U KR20190004113U KR20200000331U KR 20200000331 U KR20200000331 U KR 20200000331U KR 2020190004113 U KR2020190004113 U KR 2020190004113U KR 20190004113 U KR20190004113 U KR 20190004113U KR 20200000331 U KR20200000331 U KR 20200000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folding
fold
container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67Y1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2020190004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6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가 제공된다. 일회용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서브 측벽을 형성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접이부는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은 제2 서브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사각형이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접이선을 갖는다.

Description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FOLDED CONTAINER HAVING FO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가 제공하는 수용 공간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시에 접이 구조를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보관시에 감소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품이란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개념의 물품을 의미한다.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로 인해 생활의 편리성이 중요시되면서 일회용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그릇, 용기 등도 일회용품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용기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컵라면, 컵밥 등의 간편 조리식이 수용된 용기를 들 수 있다. 일회용 용기 내에 음식물이 수용된 형태의 물품, 즉 인스턴트 식품은 그 내부에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냉동 또는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로 포장되고, 사용자가 온수를 부어 섭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스턴트 식품은 단시간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보존도 간단하며 수송과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여행, 등산,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 조리가 용이하게 수송과 휴대가 편리한 인스턴트 식품을 지참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은 온수 등을 부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가 내부 음식물의 부피에 비해 과다하게 큰 부피를 갖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이 상대적으로 휴대가 편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더라도 일회용기가 갖는 큰 부피는 여전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개량의 여지가 충분히 존재한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일회용 용기가 갖는 문제에 착안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간편 조리식품의 완전한 조리 및 섭취를 위해서는 용기가 충분한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내부의 간편 조리식품이 냉동 또는 건조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는 내부 음식물의 부피에 비해 지나치게 큰 수용 공간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회용 용기의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일회용 용기는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제품 가격이 상업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용기를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음식물 자체의 가격이 높지 않기 때문에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본 고안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이 구조를 가지고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효율적인 접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이 절감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전개지(展開紙)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서브 측벽을 형성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접이부는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은 제2 서브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사각형이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접이선을 갖는다.
또, 상기 제1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1-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측벽은,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고, 사각형인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고, 사각형인 제4 서브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과 맞닿고,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사각형인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대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3-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3-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1 접이선과 상기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2 접이선과 맞닿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4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3-3 접이선 및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은,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5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은,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6-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 6-2 접이선, 및 하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6-1 접이선과 상기 제6-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6-3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하측변의 길이가 상측변의 길이 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모두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은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4 메인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2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2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3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3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은 각각 하측변의 길이가 상측변의 길이 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은 모두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1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2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3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접이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를 보관 또는 폐기할 경우,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져 상기 용기의 내부 수용 공간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를 사용할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닥면의 하면 또는 변이 수평면에 맞닿아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3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는 제2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4 접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1-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3-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3-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1 접이선과 상기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3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4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3-3 접이선과 맞닿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이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는 겹쳐져 평면상 사각 형상을 형성하고,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크기는, 상기 바닥부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2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제4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4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접이선, 상기 제1-2 접이선 및 상기 제1-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1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1 접이선, 상기 제3-2 접이선 및 상기 제3-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3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은 평면상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4 메인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접이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접이선들을 따라 펼치거나 접어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고,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3 접이선의 중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5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 및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6-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6-2 접이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6-1 접이선, 상기 제6-2 접이선, 및 상기 제6-3 접이선은 한 점에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3 접이선의 중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6-3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는,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로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1 접이부;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2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2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2 접이부;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2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3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3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3 접이부; 및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3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4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3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4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4 접이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 수평 접이선과 상기 제3 수평 접이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수평 접이선과 상기 제4 수평 접이선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이부는, 상기 제1 수평 접이선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며, 'X'자 형상인 X자 접이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접이부는, 상기 제3 수평 접이선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며, 'X'자 형상인 X자 접이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는 상기 수평 접이부 외 추가 접이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접이부의 하측변과 접하는 어느 변을 가지고, 정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접이부의 하측변과 접하는 어느 변을 가지고, 정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4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이부의 상측변, 상기 제2 접이부의 상측변, 상기 제3 접이부의 상측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측 가장자리는 활꼴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는 접이선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는,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1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1 측벽부,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1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2 측벽부,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2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3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3 측벽부, 및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3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4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4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1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2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3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3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4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3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4 측벽부와 상기 제4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3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4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전개지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합판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전개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전개지 두께 보다 크도록 가공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충분한 부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간에 종래에 비해 많은 수량의 용기 내지는 인스턴트 식품을 적재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가 기립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도,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 섭취용 일회용 용기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1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2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의 제3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도 4a의 제4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7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1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제2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제3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e는 도 11a의 제4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f는 도 11a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로서, 접이 구조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 및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접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내용물(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음식물, 생활용품,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음식물은 라면, 건조 스프, 액상 스프, 만두, 건조밥, 시리얼 등의 냉동 또는 건조 가공된 간편 조리 식품, 조리되어 포장된 레토르트 식품 또는 미조리 상태의 간편 조리 식품 등일 수 있고,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10)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는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판 공정 등을 통해 충분한 두께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10)는 접이 구조가 펼쳐지며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이 구조를 제외하고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 자체가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하여 용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는 최초 상태에서 용기(10)가 내부의 내용물(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일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확장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용기(10)의 상단을 이루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 본체부(110)의 수평 방향으로의 형상을 고정하고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구강이 용기(10), 즉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접촉하는 경우에 음식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은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은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반면 하단으로 갈수록 각을 갖도록 변형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은 평면상 대략 사각 형상이되,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형상은 사각 형상인 경우의 균등한 변형에 속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용기 본체부(110)의 하측에 배치된 접이부(200)는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즉, 접이부(200)는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접이부(200)는 접이 구조를 가지고 그 형상이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다. 도 1 등의 실시예에서는 접이부(200)가 완전히 접어진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용기(10)가 접어진 상태, 즉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접이부(200)는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이부(200)는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용기(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하여 바닥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대략 삼각형으로 시인되도록 접어진 상태일 수 있다. 제1 접이부(210)와 제3 접이부(230)는 서로 마주보고, 제2 접이부(220)와 제4 접이부(24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는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접이 구조, 구체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의 접이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등과 함께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 접이부(200)는 바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5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실질적인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부(250)는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와 맞닿아 변을 공유할 수 있다.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에서의 용기(10)를 하측에서 바라볼 경우,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대략 사각 형상이고, 바닥부(250)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시점에서,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크기는 바닥부(250)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용기의 폭과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의 내측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용기(10)가 접이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경사진 측벽을 구비하여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고 별도의 지지 부재 없이도 스스로 기립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2 접이부(220)는 접착 부재(400)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4 접이부(240)는 접착 부재(400)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제2 접이부(220)와 제4 접이부(240)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접이부(20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가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에 비해 하측에 겹쳐서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를 고정하는 것 만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가 용기(10)의 접이 구조를 펼칠 때까지 접착 부재(400)는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부재(400)가 접착 테이프 등의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부재(400)는 접착제 등일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접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1 접이부(2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2 접이부(2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의 제3 접이부(23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도 4a의 제4 접이부(2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개지 도면에 있어서 1점쇄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2점쇄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나타낸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展開紙)(10a)는 측벽부(110a),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를 포함하고, 바닥부(2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10a)는 도 1 등의 용기 본체부(110)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벽부(110a)는 제1 접이부(210a)의 상측변, 제2 접이부(220a)의 상측변, 제3 접이부(230a)의 상측변 및 제4 접이부(240a)의 상측변과 접하며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벽부(110a)의 상측 가장자리는 활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장자리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선 형태의 가장자리는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롤링되어 용기 본체부(110)의 확장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측벽부(110a)는 접이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접이 구조를 가지고, 이들은 함께 도 1 등의 접이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실질적으로 사각형,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상측변이 미약한 활꼴 형상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10)의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이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반면 하단으로 갈수록 각을 갖도록 변형되는 형상이기 때문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상측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형상은 이들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균등한 변형에 속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형상을 사다리꼴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상측변(활꼴 변)과 하측변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접이부(210a)의 우측변은 제2 접이부(22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1 접이부(210a)와 제2 접이부(22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또, 제2 접이부(220a)의 우측변은 제3 접이부(23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2 접이부(220a)와 제3 접이부(23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이부(230a)의 우측변은 제4 접이부(24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3 접이부(230a)와 제4 접이부(24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수평 방향의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21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511)을 가지고, 제2 접이부(22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접이선(521)을 가지며, 제3 접이부(23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접이선(531)을 가지고, 제4 접이부(24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접이선(541)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평 접이선(511)과 제2 수평 접이선(521)은 서로 맞닿고, 제2 수평 접이선(521)과 제3 수평 접이선(531)은 서로 맞닿으며, 제3 수평 접이선(531)과 제4 수평 접이선(541)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수평 접이선(511)과 제3 수평 접이선(531)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제2 수평 접이선(521)과 제4 수평 접이선(54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종이 합판 등의 찍힘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이선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면 무방하다.
또, 제1 접이부(210a)는 제1 수평 접이선(51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512, 5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제3 접이부(230a)는 제1 접이부(210a)와 마찬가지로, 제3 수평 접이선(53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532, 5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이부(210a) 및 제3 접이부(230a)는 볼록하게 접어지도록 구성된 접이선과 오목하게 접어지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2 접이부(22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수평 접이부 외 추가적인 접이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이부(210a)의 상측변으로부터 제1 수평 접이선(511)까지의 최소 거리는 제1 접이부(210a)의 하측변으로부터 제1 수평 접이선(511)까지의 최소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는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약 1.3배, 또는 약 1.4배, 또는 약 1.5배, 또는 약 1.6배, 또는 약 1.7배, 또는 약 1.8배, 또는 약 1.9배 또는 약 2.0배일 수 있다. 만일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1.3배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접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접이부(210a)의 세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의 수용 공간의 부피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 초과일 경우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접이부(220a)의 제2 수평 접이선(521), 제3 접이부(230a)의 제3 수평 접이선(531) 및 제4 접이부(240a)의 제4 수평 접이선(541)은 그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 보다 크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10a)를 조립하여 용기(10)를 제조할 경우, 용기는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1 수평 접이선(511), 제2 수평 접이선(521), 제3 수평 접이선(531) 및 제4 수평 접이선(541)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4 수평 접이선(541)과 제1 수평 접이선(511)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250a)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 중 어느 하나와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바닥부(250a)가 제3 접이부(23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부(250a)는 제1 접이부(21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제2 접이부(2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제4 접이부(24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벽부(110a)와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일체로 형성되되, 측벽부(110a)의 두께(즉, 전개지(10a)의 두께)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두께(즉, 전개지(10a)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10a)와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모두 각각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되고, 측벽부(110a),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적어도 일부의 층을 공유하되, 측벽부(110a)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에 비해 더 많은 층을 갖도록 합판 공정으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용기(10)의 용기 본체부(110)를 형성하는 측벽부(110a)와 접이부(200)를 형성하는 제1 접이부(210a) 내지 제4 접이부(240a)의 두께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용기(10)의 구조적 안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접이 구조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10a)를 접이 구조를 따라 조립할 경우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 및 전개지(10a)는 효율적인 접이 구조를 가지고 크기의 가변 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의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용기(10)는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를 포함하되, 용기 본체부(110)는 용기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200)는 용기의 서브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110)는 용기(10)의 상부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200)는 용기(10)의 하부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는 도 1의 용기 본체부(110) 및 도 4의 측벽부(110a)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접이부(200)는 제1 서브 측벽(210b, 210c), 제2 서브 측벽(220b, 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b, 210c), 제2 서브 측벽(220b, 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240b)는 각각 앞서 설명한 제1 접이부(210, 210a), 제2 접이부(220, 220a), 제3 접이부(230, 230a) 및 제4 접이부(240, 240a)와 상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110)가 형성하는 메인 측벽과 함께 용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210c)과 마주보는 면이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220c)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서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의 내측면은 폴리에틸렌 코팅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서브 측벽(210c)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c)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1 서브 측벽(210c)은 제1 서브 측벽(210c)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은 함께 앞서 설명한 'X'자 접이선(512, 513)에 상응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측벽(210c)이 접이 구조가 마련된 비-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서브 측벽(210c)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선의 흔적이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다.
또, 제1 서브 측벽(210c)은 제1 서브 측벽(21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5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앞서 설명한 제1 수평 접이선(511)에 상응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제1-1 접이선(512)과 제1-2 접이선(513)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 제2 서브 측벽(220c)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2 서브 측벽(220c)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2 서브 측벽(220c)은 제2 서브 측벽(22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접이선(5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앞서 설명한 제2 수평 접이선(521)에 상응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제1-3 접이선(5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1-3 접이선(511)과 맞닿을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210c)과 마주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220c)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제1 서브 측벽(210c) 및 제2 서브 측벽(220c)과 동일한 접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서브 측벽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함께 앞서 설명한 'X'자 접이선(532, 533)에 상응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앞서 설명한 제3 수평 접이선(531)에 상응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 제3-3 접이선은 제2 접이선(521)과 맞닿을 수 있다.
또, 제4 서브 측벽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4 서브 측벽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4 서브 측벽은 제4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앞서 설명한 제4 수평 접이선(541)에 상응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제3-3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5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3-1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511)과 맞닿을 수 있다.
또, 접이부(200)는 바닥면(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250)은 용기(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경우,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면(250)은 앞서 설명한 바닥부(250)에 상응할 수 있다.
바닥면(250)은 평면상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일 수 있다. 바닥면(250)은 제1 서브 측벽(210c)의 하측변, 제2 서브 측벽(220c)의 하측변, 제3 서브 측벽의 하측변 및 제4 서브 측벽의 하측면과 맞닿아 변을 공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접이 구조를 가지되,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 중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즉, 제1-3 접이선(511) 및 제3-3 접이선)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즉, 제2 접이선(521) 및 제4 접이선)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동일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접이되도록 구성될 경우, 중력 방향으로의 압력에 매우 취약하며, 내부에 내용물, 특히 뜨거운 온수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기가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접이부(200)는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 중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 구조를 가지고 다른 일부는 오목하게 접이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서브 측벽(210c) 및 제3 서브 측벽은 각각 'X'자 형상의 제1-1 접이선(512), 제1-2 접이선(513),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더 구비하여 용기(10)의 수직 방향으로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1-1 접이선(512), 제1-2 접이선(513),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에 비해 중력 방향으로의 버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제1 서브 측벽(210c)이 오목하게 접이되는 제1-1 접이선(512)과 제1-2 접이선(513)과 함께 볼록하게 접이되는 제1-3 접이선(511)을 구비하되, 세개의 접이선이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제1 서브 측벽(210c) 자체의 지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서브 측벽이 오목하게 접이되는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과 함께 볼록하게 접이되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하되, 세개의 접이선이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제3 서브 측벽 자체의 지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와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을 포함하는 접이부(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전개지로부터 조립되도록 구성되되, 용기 본체부(110)(전개도 상 측벽부(110a))의 두께는 접이부(20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부(110)와 접이부(200)는 각각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되고, 용기 본체부(110)와 접이부(200)는 적어도 일부의 층을 공유하되, 용기 본체부(110)는 접이부(200)에 비해 더 많은 층을 갖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접이부(200)는 복수회 접어질 수 있도록 접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완전히 접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반면 용기 본체부(110)는 접이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여 내부에 온수 등의 뜨거운 내용물이 수용되는 경우에도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강건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효율적인 접이 구조를 가지고 완전히 접어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의 수용 공간의 부피 차이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용기(10)를 보관, 유통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경우에는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창고, 가방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보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 구조가 펼쳐진 후의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는,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에서의 내부 수용 공간 부피의 약 1.5배 이상, 또는 약 1.6배 이상, 또는 약 1.7배 이상, 또는 약 1.8배 이상, 또는 약 1.9배 이상, 또는 약 2.0배 이상일 수 있다.
또, 용기(10)를 사용할 경우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펼쳐서 사용하여 충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충분한 양의 온수 등을 인입할 수 있어 조리를 가능케할 수 있다. 또, 접이선들이 용기(10)의 중력 방향으로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바닥면(250)의 하면 또는 4개의 변이 수평면에 맞닿아 별도의 보강 부재 없이도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10)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와 펼쳐진 상태에서 서브 측벽을 형성하는 접이부(200)가 모두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되고, 이종의 재료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은박 재질 등을 불포함하여 종이 등으로 형성할 경우, 전자레인지 등의 사용이 가능해져 보다 다양한 활용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컵라면 등의 경우 온수를 부어 충분히 가열 조리하기 위해서 내부의 건조된 내용에 비해 컵라면 용기가 지나치게 큰 부피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우유 등을 부어 섭취하는 시리얼 제품의 경우에도 충분한 양의 우유를 인입하기 위해서 포장된 시리얼은 내용물의 양에 비해 용기의 부피가 지나치게 큰 실정이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에 따를 경우 최초 라면 또는 시리얼 등이 수용되어 보관 내지는 판매되는 상태에서는 도 1 등과 같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온수 또는 우유 등을 붓는 경우에 비로소 도 6 등과 같이 부피를 증가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또, 컵라면 외 다른 종류의 즉석 조리 식품, 예컨대 한그릇으로 포장된 반조리 레토르트 식품, 부대찌개 등의 찌개류 식품, 캠핑형 식품 등의 경우에도 부피의 최소화를 위해 별도의 용기없이 포장된 상태로 제공하고, 중탕 등을 이용하여 조리를 완성하고 있는 실정이나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이러한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및 전개지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20)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이 각을 갖지 않는 원 형상이 아니라 사각 형상인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와 상이한 점이다.
용기(20)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610, 620, 630, 640)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내용물(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는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판 공정 등을 통해 충분한 두께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용기 본체부(600)는 최초 상태에서 용기(20)가 내부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600)는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상부 측벽, 즉 메인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측벽은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의 내측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변과 하측변이 대략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 본체부(600)의 내측면은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 및 하단은 모두 평면상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용기 본체부(600)의 하측에 배치된 접이부(700) 또한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즉, 접이부(700)는 용기 본체부(600)의 하단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정사각형상일 수 있다. 용기(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접이부(700)는 용기(2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이부(700)는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용기 본체부(600)의 하단으로부터 용기(2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20)의 바닥을 형성하여 바닥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 접이부(710)와 제3 접이부(730)는 서로 마주보고, 제2 접이부(720)와 제4 접이부(74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접이부(720)는 제4 접이부(740)를 하측에서 덮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접이 구조, 구체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이선에 대해서는 전개지와 함께 후술한다.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를 포함하되,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600)는 용기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700)는 용기의 서브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이부(700)는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710c)과 제3 서브 측벽은 서로 마주보고 제2 서브 측벽(720c)과 제4 서브 측벽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메인 측벽(610)과 대략 평행하고, 제2 서브 측벽(720c)은 제2 메인 측벽(620)과 대략 평행하며, 제3 서브 측벽은 제3 메인 측벽(630)과 대략 평행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4 메인 측벽(640)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600)(즉, 메인 측벽부)와 접이부(700)(즉 서브 측벽부)의 내측면의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의 하측변은 제1 서브 측벽(710c)의 상측변과 접하고, 제2 메인 측벽(620)의 하측변은 제2 서브 측벽(720c)의 상측변과 접하며, 제3 메인 측벽(630)의 하측변은 제3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제4 메인 측벽(640)의 하측변은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변과 하측변이 대략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또,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또는 우측변의 경사는 각각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경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서브 측벽(710c)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은 함께 'X'자 형상의 접이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측벽(710c)이 접이 구조가 마련된 비-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서브 측벽(710c)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선의 흔적이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다.
또,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서브 측벽(71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8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81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811)은 제1-1 접이선(812)과 제1-2 접이선(813)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2 서브 측벽(720c)은 제2 서브 측벽(72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접이선(8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이선(82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접이선(821)은 제1-3 접이선(8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1-3 접이선(811)과 맞닿을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710c)과 마주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720c)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제1 서브 측벽(710c) 및 제2 서브 측벽(720c)과 동일한 접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 제3-3 접이선은 제2 접이선(821)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사각형 형상의 제4 서브 측벽은 제4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제3-3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8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3-1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811)과 맞닿을 수 있다.
이하,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의 접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는 도 7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0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1 접이부(7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제2 접이부(7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제3 접이부(73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e는 도 11a의 제4 접이부(7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f는 도 11a의 바닥부(75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를 더 참조하면,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0a)는 제1 메인 측벽(610a), 제2 메인 측벽(620a), 제3 메인 측벽(630a) 및 제4 메인 측벽(640a)을 포함하고, 제1 접이부(710a), 제2 접이부(720a), 제3 접이부(730a), 제4 접이부(740a) 및 바닥부(7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a), 제2 메인 측벽(620a), 제3 메인 측벽(630a) 및 제4 메인 측벽(640a)은 함께 도 7 등의 용기 본체부(600)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a)은 제2 메인 측벽(62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 또, 제2 메인 측벽(620a)은 제3 메인 측벽(63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측벽(630a)은 제4 메인 측벽(64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
제1 접이부(710a), 제2 접이부(720a), 제3 접이부(730a) 및 제4 접이부(740a)는 각각 수평 방향의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71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811)을 가지고, 제2 접이부(72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접이선(821)을 가지며, 제3 접이부(73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접이선(831)을 가지고, 제4 접이부(74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접이선(841)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평 접이선(811), 제2 수평 접이선(821), 제3 수평 접이선(831) 및 제4 수평 접이선(841)은 각각 전술한 제1-3 접이선(811), 제2 접이선(821), 제3-3 접이선 및 제4 접이선과 상응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접이선(811)과 제3 수평 접이선(831)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제2 수평 접이선(821)과 제4 수평 접이선(84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 제1 접이부(710a)는 제1 수평 접이선(81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812, 8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X'자 접이선(812, 813)은 전술한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과 상응할 수 있다. 또, 제3 접이부(730a)는 제3 수평 접이선(83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832, 8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X'자 접이선(832, 833)은 전술한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과 상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750a)는 제3 접이부(73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750a)는 제3 접이부(730a)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접이선(85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5 접이선(851)은 용기(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710c)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에 의해 도 8에 표현된 것과 같이 제2 접이부(720)는 제4 접이부(740) 측으로 접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측벽(710a)(또는 제3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제1-1 접이선(812)과 제1-2 접이선(813)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바닥부(750a)의 제5 접이선(851)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최단 거리(D1)이 길이(D2)의 절반 보다 작을 경우, 접이 구조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용기(2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접이 구조에 무리가 가하여 구조가 파괴되거나, 또는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2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1a)의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점이 도 11a 등의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0a)와 상이한 점이다.
이 경우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접이선(85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5 접이선(851)은 용기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1a)를 이용하여 제조된 용기는 도 7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바닥부(751a)는 제4 접이부(74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2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2a)의 바닥부(752a)는 바닥부(752a)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853)과 제6-2 접이선(854)을 구비하고, 제6-1 구비선(853)과 제6-2 구비선(854)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는 제6-3 접이선(85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6-1 접이선(853) 및 제6-2 접이선(854)은 각각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일 수 있다. 또, 제6-3 접이선(852)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일 수 있다. 제6-3 접이선(852)은 용기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서브 측벽(730a)(또는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바닥부(752a)의 제6-3 접이선(852)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최단 거리(D3)가 길이(D4)의 절반 보다 작을 경우,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접어진 상태에서, 제6-1 접이선(853)과 제6-2 접이선(854)의 교점이 돌출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어 접이 구조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 또는 용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110: 용기 본체부
110a: 측벽부
200: 접이부
210: 제1 접이부
220: 제2 접이부
230: 제3 접이부
240: 제4 접이부
250: 바닥부
300: 용기 뚜껑
400: 접착 부재

Claims (14)

  1.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3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는 제2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4 접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1-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3-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3-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1 접이선과 상기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3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4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3-3 접이선과 맞닿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는 겹쳐져 평면상 사각 형상을 형성하고,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크기는, 상기 바닥부의 크기 보다 큰,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2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제4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4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제1-1 접이선, 상기 제1-2 접이선 및 상기 제1-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1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3-1 접이선, 상기 제3-2 접이선 및 상기 제3-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3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되는,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 처리된 상태인,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은 평면상 사각 형상인,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4 메인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사각형인, 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접이부의 두께보다 큰,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접이선들을 따라 펼치거나 접어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하도록 구성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접이선을 구비하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3 접이선의 중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5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큰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3 접이선을 구비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 및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6-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6-2 접이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6-1 접이선, 상기 제6-2 접이선, 및 상기 제6-3 접이선은 한 점에서 교차하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3 접이선의 중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6-3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큰 용기.
KR2020190004113U 2019-10-10 2019-10-10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KR200491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13U KR200491467Y1 (ko) 2019-10-10 2019-10-10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13U KR200491467Y1 (ko) 2019-10-10 2019-10-10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59U Division KR200491023Y1 (ko) 2019-07-02 2019-07-02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31U true KR20200000331U (ko) 2020-02-10
KR200491467Y1 KR200491467Y1 (ko) 2020-04-10

Family

ID=694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13U KR200491467Y1 (ko) 2019-10-10 2019-10-10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6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627A (ja) * 2005-06-19 2006-12-28 Han Tei Kk 折畳み椀
EP1790573A1 (en) * 2005-11-25 2007-05-30 Livio Ragno Container with variable volume
KR100738813B1 (ko) * 2006-07-20 2007-07-12 오일용 용적축형식 변형용기
KR200439766Y1 (ko) * 2007-05-18 2008-05-06 심규정 인스턴트식품용 용기
JP4324110B2 (ja) * 2002-10-09 2009-09-02 ベルサウルト フランコイス とくにポップコーン製造用のコーン粒を提示および調理するための一回限り使用の装置
JP2011011821A (ja) * 2009-06-02 2011-01-20 Matsuzaki:Kk 紙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4110B2 (ja) * 2002-10-09 2009-09-02 ベルサウルト フランコイス とくにポップコーン製造用のコーン粒を提示および調理するための一回限り使用の装置
JP2006347627A (ja) * 2005-06-19 2006-12-28 Han Tei Kk 折畳み椀
EP1790573A1 (en) * 2005-11-25 2007-05-30 Livio Ragno Container with variable volume
KR100738813B1 (ko) * 2006-07-20 2007-07-12 오일용 용적축형식 변형용기
KR200439766Y1 (ko) * 2007-05-18 2008-05-06 심규정 인스턴트식품용 용기
JP2011011821A (ja) * 2009-06-02 2011-01-20 Matsuzaki:Kk 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67Y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957A (en) Food scoop with condiment compartment
JP4439736B2 (ja) 関節運動自在容器
US6588652B2 (en) Food tray with condiment compartment
US20170295974A1 (en) Pop-up Tray
AU5412801A (en) Container
RU179706U1 (ru) Складная упаковка
JP4955513B2 (ja) 紙製容器
KR200491023Y1 (ko)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
NZ566699A (en) Fast food or hamburger box
WO2002016213A2 (en) A tray container and blank
KR20210004014A (ko) 일회용 용기
KR20230024980A (ko) 덮개
KR20200000331U (ko)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접어진 용기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CA2849236C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JP6755549B2 (ja) 容器の中皿構造
JPH08113273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WO2001051363A2 (en) Container having reinforcing means
JP4846639B2 (ja) 折畳みカップ状容器
KR101829232B1 (ko) 조립식 종이 용기
JP7202611B2 (ja) 包装箱
KR102244370B1 (ko) 조리시에 부피가 확대가능한 일회용 식품용기
JP2000168761A (ja) 紙製包装用容器
JP3065871U (ja) トレ―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