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977A - Air pur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ir purific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6977A KR20190126977A KR1020180050967A KR20180050967A KR20190126977A KR 20190126977 A KR20190126977 A KR 20190126977A KR 1020180050967 A KR1020180050967 A KR 1020180050967A KR 20180050967 A KR20180050967 A KR 20180050967A KR 20190126977 A KR20190126977 A KR 20190126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ilter
- hole
- low speed
- speed ind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흡연부스, 버스 정류장 대기소, 간이주택, 간이 화장실을 포함한 이동식 부스에 설치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 미세먼지, 각종 세균을 흡입하여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purifying device for a mobile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bile booth including a smoking booth, a bus stop waiting room, a simple house, and a simple toilet to inhale odors, fine dust, and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o purify and sterilize germs to clean air. 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연부스, 버스 정류장 대기소, 간이주택, 간이 화장실을 포함한 이동식 부스에 설치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 미세먼지, 각종 세균을 흡입하여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bile booth including a smoking booth, a bus station waiting station, a simple house, a simple toilet, and a mobile booth for inhaling odors, fine dust, and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o purify and sterilize bacteria to provide clean air. It relates to an air purifier.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실내에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the air purifier is used to circulate the indoor air of a building while inhaling it with the air that is sucked from the outside to remove variou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to allow a comfortable life in the room.
근래에는 빈번히 발생하는 황사현상과 자동차 배기가스, 공사장의 비산먼지 등에 의한 대기오염 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거주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흡연실, 버스정류장 대기소, 간이 주택, 간이 화장실등도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고 있다.In order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air pollution factors caused by frequent yellow dust phenomenon, automobile exhaust gas and scattering dust at construction sites and to protect living spaces, air purifiers are also available in smoking rooms, bus stops, simple houses, and simple toilets. Is installing.
한편,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천정에 부착된 배기용 동력 환풍기나, 무동력 배기 그릴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방향제를 사용하여 냄새를 희석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화장실이나 욕실에 발산되어 배어버린 냄새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 장시간 머무르게 되어 이로 인하여 실내환경을 불결하게 만든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 means to remov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a ventilated power ventilator attached to the ceiling or a non-powered exhaust grill is installed to exhaust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or use a fragrance to dilute the odor. However, it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smell emanated from the toilet or the bathroom is not easily removed and thus stays for a long time, thereby making the indoor environment dirty.
그런데 이러한 장식용품들은 화장실 공간이 충분할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겠으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경우에는 번잡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방향제, 공기 정화장치와 같은 별도 장치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통일되지 않은 느낌과 어수선한 느낌을 주게될 뿐만 아니라, 설치 경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se decorative items may not have a problem when there is enough toilet space, but may be complicated when installed in a narrow space, especially when used together with separate devices such as air fresheners and air purifiers. Not only did not give a feeling and clutter,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installation costs.
또한,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우리나라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2010년을 기준으로 396%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In addition, the adult male smoking rate in Korea is decreasing to 396% as of 2010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du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but it is the highest smoking rate among OECD countries.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people have experience of secondhand smoke in homes, offices, restaurants, streets, etc., and many smokers admit that secondhand smoke harms others.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되고 있다.There are legal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on the prohibition of smoking in public places, but smoking in public places is open due to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 regulation and the low awareness level of smokers.
이와 더불어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건물의 실내에 비하여 공공장소에서는 별도의 흡연구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흡연자가 쉽게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하게 되고, 이로써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경우도 많았다.In addition, while the smoking area is expanding, there is no designated smoking area in public areas compared 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so that smokers can easily smoke in public areas, and thus non-smokers are often exposed to secondhand smoke. .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흡연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구역은 밀폐된 공간을 선택하여 흡연을 유도하거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흡연을 유도하도록하고 있다.Accordingly, smoking cessation zones are being expanded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s caused by smoking in public places. Smoking cessation areas in public places are recommended to induce smoking by selecting enclosed spaces or to artificially classify unenclosed spaces. have.
그러나, 밀폐된 흡연실의 경우 연기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흡연자의 직간접 피해가 크고 쾌적한 상태에서 흡연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losed smoking roo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moke is not discharged well, thus making it difficult to smoke in a pleasant and direct and indirect damage of the smoker.
또한, 개방된 흡연실은 연기가 배출되어 비흡연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open smoking room has a limit to protect the non-smokers by the smoke is emitted.
따라서,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면서도 자신의 흡연욕구를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흡연부스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public places, non-smokers can prevent secondhand smoke in advance, so that they can consider the health of non-smokers, while smokers must comply with the smoking ban in public places and do not harm others. There is a need for installation of a smoking booth that can be satisfied.
또한, 흡연부스에는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moking booth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ier for filtering contaminated air such as cigarette smoke and discharge into the atmosphere.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연기제거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의 전반적인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ir purifying device is composed of a smoke removing unit that removes smoke and removes harmful substances by inhaling cigarette smoke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which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an increase in the overall size and weight of the device.
따라서 흡연부스의 제조원가 상승 및 흡연부스의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는 부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a secondary problem occurs tha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moking booth and increases the overall size and weight of the smoking boot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흡연부스, 버스 정류장 대기소, 간이주택, 간이 화장실을 포함한 이동식 부스에 설치가 용이하고,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 미세먼지, 각종 세균을 흡입하여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easy to install in a mobile booth including a simple structure, such as smoking booths, bus station waiting stations, simple houses, bathrooms, inhalation of odors, fine dust,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It aims to provide clean air by purifying and sterilizing germs.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악취 및 각종 세균을 제거하는 제 1필터부와,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냉각기에 의해 냉각한 다음 UV 살균램프와 광플라즈마 램프에 의해 살균한 다음 헤파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한 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 2필터부로 구성된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is a first filter unit for removing odors and various bacteria in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an, and after cooling the air purified in the first filter unit by a cooler UV sterilization lamp and Provided is a mobile booth air purifying device composed of a second filter part sterilized by an optical plasma lamp and then dust is removed by a HEPA filter and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o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흡연부스, 버스 정류장 대기소, 간이주택, 간이 화장실을 포함한 이동식 부스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수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for the mobile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obile booth including a smoking booth, a bus stop waiting station, a simple house, and a simple toilet.
또한, 제 1, 2 필터부로 구성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 미세먼지, 각종 세균을 흡입하여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n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lean air by inhaling odors, fine dust,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o purify and sterilize the bacteria.
도 1은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1 필터부를 도시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1 필터부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2 필터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필터부에서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을 분리해 보인 사시도.
도 6a, b는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에서 필터 수납박스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lter part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lter unit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ilter por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in the second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storage box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ir purifier.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purification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1 필터부를 도시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1 필터부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공기 정화장치에서 제 2 필터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 2 필터부에서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을 분리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a, b는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에서 필터 수납박스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lter part in an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lter part in an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ilter part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separated from the second filt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housing box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1)는 흡연부스, 버스 정류장 대기소, 간이주택, 간이 화장실을 포함한 이동식 부스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obile booth including a smoking booth, a bus stop waiting station, a simple house, and a simple toilet.
또한, 공기정화장치(1)는 제 1, 2 필터부(2, 3)로 구성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 미세먼지, 각종 세균을 흡입하여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를 정화한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1 is composed of first and
상기 제 1필터부(2)는 통형상으로 저면에는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4)와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를 제 2 필터부(3)로 공급하도록 유입공(9)이 형성된 제 1 하우징(24)과, 상기 제 1 하우징(24)의 내부에는 흡입구(40)를 통해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6)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흡입팬(26)의 상부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도록 1개 이상 다단으로 설치된 강화활성탄소필터(6)와 상기 강화활성탄소필터(6)의 상부에는 강화활성탄소필터(6)를 통과한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도록 설치된 제올라이트필터(7)와 상기 제올라이트필터(7)의 상부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항균필터(8)와 상기 항균필터(8)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공(9)을 통해 제 2 필터부(3)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27)으로 공급한다.Reinforcing activated
상기 항균필터(8), 제올라이트필터(7), 강화활성탄소필터(6)는 필터 수납박스(20)에 수납한 다음 제 1 하우징(24)에 형성된 삽입공(23)으로 필터 수납박스(20)를 삽입 및 인출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The
즉, 상기 필터수납박스(20)는 제 1 하우징(24)에 서랍식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That is, the
상기 필터수납박스(20)는 필터수납 커버(21)와 필터 수납본체()와 구성되어 상하부방향으로 결합된다.The
또한, 제 2 필터부(3)는 제 1필터부(2)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입공(9)과 통공되도록 저면 일측에는 흡입공(27)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토출구(16)가 형성된 통형상의 제 2 하우징(25)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2 하우징(25) 내부에는 제 1 필터부(2)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공(9)과 흡입공(27)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면 냉각하도록 흡입공(27)의 상부에 냉각기(10)가 설치된다.Inside the
상기 냉각기(1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16)를 향해 저속으로 진행하도록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하고, 중앙에는 UV살균램프(11)와 광플라즈마 램프(15)를 삽입할 수 있도록 UV살균램프공(18)과 광플라즈마 램프공(19)이 각각 형성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이 설치된다.An air flow low-
상기 다수개의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중 하나는 중앙에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가장자리 양측에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형성되어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엇갈리게 적층된 상태에서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양측이 형성된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의 중앙에 UV살균램프공(18)과 광플라즈마 램프공(19)이 각각 형성된다.One of the plurality of airflow low-
상기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에 형성된 UV살균램프공(18)과 광플라즈마 램프공(19)에 각각 삽입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도록 설치된 UV살균램프(11) 및 광플라즈마 램프(15)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광플라즈마 램프(15)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토출구(16)로 배출하는 헤파필터(14)로 구성된다.Hepa filter 14 for filter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제 1, 2 하우징과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의 재질은 이산화티타늄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제 2 하우징과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의 재질은 이산화티타늄으로 형성되어 UV살균램프(20)에 의해 광합성 및 광촉매 작용이 발생하여 세균을 살균한다.Meanwhile,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the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is made of titanium dioxide, or the material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is made of titanium dioxide, so that photosynthesis and Photocatalytic action occurs to sterilize bacteria.
도 8은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공기정화장치(1)를 흡연부스에 설치한 다음 제 1 필터부(2)의 흡입팬(26)이 작동하여 흡입하면 흡입구(4)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강화활성탄소필터(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악취를 제거한 후, 제올라이트필터(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악취를 제거한 다음, 항균필터(8)를 지나며 각종 세균을 제거한 후 유입공(9)을 통해 제 2 필터부(3)로 공급되면 냉각기(10)에 의해 공기를 냉각한 다음 공기 흐름 저속 유도 격판(12)에 형성된 공기흐름 저속 유도공(17)으로 냉각된 공기가 집중되었다가 분사되는 과정을 통해 저속으로 흘러가는 공기를 UV살균램프(11)의 발광에 의해 광합성 및 광촉매 작용으로 살균하고, 광플라즈마 램프(15)의 발광에 의해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세균 등을 포함하여 유해 미생물을 살균한 다음 헤파필터(14)를 통과하여 먼지 등을 제거한 후 토출구(16)를 통해 배출하는 방식으로 정화한다.After the ai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moking booth and the
1: 공기 정화장치 2: 제 1 필터부
3: 제 2 필터부 4: 흡입구
5: 고정 브라켓 6: 강화활성탄소필터
7: 제올라이트필터 8: 항균필터
9: 유입공 10: 냉각기
11: UV살균램프 12: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
13: 제 2 필터부 커버 14: 헤파필터
15: 광플라즈마 램프 16: 토출구
17: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 18: UV살균램프공
19: 광플라즈마 램프공 20: 필터 수납박스
21: 필터 수납 커버 22: 필터 수납본체
23: 삽입공 24: 제 1 하우징
25: 제 2 하우징 26: 흡입팬
27: 흡입공1: air purifier 2: first filter part
3: second filter part 4: suction port
5: Fixed Bracket 6: Reinforced Activated Carbon Filter
7: Zeolite Filter 8: Antibacterial Filter
9: inlet hole 10: cooler
11: UV sterilization lamp 12: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13: 2nd filter part cover 14: HEPA filter
15: light plasma lamp 16: discharge port
17: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hole 18: UV sterilization lamp ball
19: optical plasma lamp hole 20: filter storage box
21: filter housing cover 22: filter housing body
23: insertion hole 24: first housing
25: second housing 26: suction fan
27: suction hole
Claims (6)
통형상으로 저면에는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4)와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를 제 2 필터부(3)로 공급하도록 유입공(9)이 형성된 제 1 하우징(24)과, 상기 제 1 하우징(24)의 내부에는 흡입구(40)를 통해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6)과,
상기 흡입팬(26)의 상부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도록 1개 이상 다단으로 설치된 강화활성탄소필터(6)와,
상기 강화활성탄소필터(6)의 상부에는 강화활성탄소필터(6)를 통과한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도록 설치된 제올라이트필터(7)와,
상기 제올라이트필터(7)의 상부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항균필터(8)와
상기 항균필터(8)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공(9)을 통해 제 2 필터부(3)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공(27)으로 공급하는 제 1 필터부(2); 와
상기 제 1필터부(2)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입공(9)과 통공되도록 저면 일측에는 흡입공(27)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토출구(16)가 형성된 통형상의 제 2 하우징(25)과,
상기 제 2 하우징(25) 내부에는 제 1 필터부(2)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공(9)과 흡입공(27)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면 냉각하도록 흡입공(27)의 상부에 설치된 냉각기(10)와,
상기 냉각기(1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16)를 향해 저속으로 진행하도록 공기 흐름 저속 유도공(17)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하고, 중앙에는 UV살균램프(11)와 광플라즈마 램프(15)를 삽입할 수 있도록 UV살균램프공(18)과 광플라즈마 램프공(19)이 각각 형성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과,
상기 공기 흐름 저속 유도격판(12)에 형성된 UV살균램프공(18)과 광플라즈마 램프공(19)에 각각 삽입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도록 설치된 UV살균램프(11) 및 광플라즈마 램프(15)와,
상기 광플라즈마 램프(15)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토출구(16)로 배출하는 헤파필터(14)로 구성된 제 2 필터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In the air purifier,
The first housing 24 having a cylindrical inlet port (9) for suctioning the air in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let hole (9)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o supply the purified air to the second filter unit 3, and the first Inside the housing 24, the suction fan 26 for suck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inlet 40,
Reinforcing activated carbon filter 6 installed in one or more stages to remove the odor contained in the sucked ai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fan 26,
The zeolite filter 7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activated carbon filter 6 to remove odor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inforced activated carbon filter 6;
An antimicrobial filter 8 is installed on the zeolite filter 7 to remov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he first filter portion (2) for supply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ntimicrobial filter (8) to the suction hole (2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portion (3) through the inlet hole (9); Wow
A suction hole 27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part 2 to be in contact with the inlet hole 9, and a second cylindrical housing 25 having a discharge port 16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cooler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hole 27 to cool when the air purified by the first filter unit 2 is sucked into the second housing 25 through the inlet hole 9 and the suction hole 27. 10,
An air flow low-speed induction hole 17 is form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er 10 moves toward the discharge port 16 at a low speed,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UV sterilization lamp 11 and the optical plasma lamp 15. UV sterilization lamp hole 18 and the optical plasma lamp hole (19) is formed so that each can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12 and installed in a row,
UV sterilization lamp 11 and optical plasma lamps inserted into the UV sterilization lamp hole 18 and the optical plasma lamp hole 19 formed in the air flow low speed induction plate 12 to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respectively. 15) with,
Mobile booth ai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filter portion 3 consisting of a hepa filter 14 for filter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lasma lamp 15 to discharge to the discharge port (16). Purifi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967A KR20190126977A (en) | 2018-05-03 | 2018-05-03 | Air purif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967A KR20190126977A (en) | 2018-05-03 | 2018-05-03 | Air purific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6977A true KR20190126977A (en) | 2019-11-13 |
Family
ID=6853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0967A Ceased KR20190126977A (en) | 2018-05-03 | 2018-05-03 | Air purific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26977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03129A (en) * | 2020-11-20 | 2021-02-26 | 皖西南产品质量监督检验中心 | A waste gas collection processing system for petrochemical |
KR102284619B1 (en) | 2020-05-21 | 2021-08-04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vehicles |
KR20220160370A (en) | 2021-05-27 | 2022-12-06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system for vehicles |
KR20220161603A (en) | 2021-05-27 | 2022-12-07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system for vehicles |
KR20230171097A (en) | 2022-06-13 | 2023-12-20 | 이명수 | Clean Room Air Purifier |
KR102627358B1 (en) * | 2023-08-30 | 2024-01-19 | 주식회사 삼원기업 | vehicle disinfection device |
KR102660129B1 (en) * | 2023-08-30 | 2024-04-23 | 주식회사 삼원기업 | Aseptic Disinfection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6522A (en) | 2012-03-20 | 2013-09-30 | 정진영 | Air clean appratus of smoking booth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0967A patent/KR2019012697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6522A (en) | 2012-03-20 | 2013-09-30 | 정진영 | Air clean appratus of smoking booth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4619B1 (en) | 2020-05-21 | 2021-08-04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vehicles |
CN112403129A (en) * | 2020-11-20 | 2021-02-26 | 皖西南产品质量监督检验中心 | A waste gas collection processing system for petrochemical |
KR20220160370A (en) | 2021-05-27 | 2022-12-06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system for vehicles |
KR20220161603A (en) | 2021-05-27 | 2022-12-07 | (주)한엑스 | Mobile virus screening system for vehicles |
KR20230171097A (en) | 2022-06-13 | 2023-12-20 | 이명수 | Clean Room Air Purifier |
KR102627358B1 (en) * | 2023-08-30 | 2024-01-19 | 주식회사 삼원기업 | vehicle disinfection device |
KR102660129B1 (en) * | 2023-08-30 | 2024-04-23 | 주식회사 삼원기업 | Aseptic Disinf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26977A (en) | Air purification device | |
US7674436B1 (en) | Portabl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 |
KR100789954B1 (en) |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for Elevator | |
KR100766577B1 (en) | Elevator air cleaner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JP2005214611A (en) |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device | |
KR20090058815A (en) | Car Air Purifier | |
CN101322852B (en) | Toilet air purification device | |
KR20180067271A (en) | A teat exchanger type equipped with Ventilation System for smoking booths | |
KR200490019Y1 (en) | Purifying air purifier using cottonwood | |
US7722708B2 (en) |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20210027324A (en) | Air purifying filter unit and portable air cleaner having the same | |
CN102029096A (en) | Air cleaner | |
KR20080085964A (en) | Elevator Air Purifier | |
TW200408789A (en) | Air clean apparatus | |
KR20130103936A (en) | Removing apparatus of cigarette smoke, bad smell and dust | |
US11826499B2 (en) | System for treating air | |
KR20150103483A (en) | Smoking room of intelligence type | |
KR20100106173A (en) | Air sterilization ventilation system | |
KR100903404B1 (en) | Elevator Air Purifier | |
KR102110122B1 (en) | Air cleaner | |
KR100635515B1 (en) | Elevator air cleaning system using blower | |
JP5051337B2 (en) | Disinfection barrier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150128371A (en) | Movable smoking booth | |
KR101917621B1 (en) | Desktop smoking filter device | |
KR200332364Y1 (en) | air cleaner of ceiling-attached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