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920A -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920A
KR20190123920A KR1020180047840A KR20180047840A KR20190123920A KR 20190123920 A KR20190123920 A KR 20190123920A KR 1020180047840 A KR1020180047840 A KR 1020180047840A KR 20180047840 A KR20180047840 A KR 20180047840A KR 20190123920 A KR20190123920 A KR 2019012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preparing
stew
radish
cabb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니스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니스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니스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8004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920A/ko
Publication of KR2019012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9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양념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추 포기 김치, 상기 육수재료, 상기 부재료 및 상기 양념소스를 찌개통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찌개통에 물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념소스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육수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부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는 무채를 배제하고 무즙을 사용하여 김칫소를 제조함으로써, 무채를 사용한 김치를 사용하여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A MANUFACTURE METHOD OF KIMCHI STEW}
본 발명은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감이 좋은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면서 맞벌이 및 독신가구의 증가로 인해 식생활의 간편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편의지향적인 소비자들의 니즈에 의해 식품업계에서는 간단히 조리하여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즉석편의식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많은 시간과 식품재료들이 필요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내기보다는 언제 어디서든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즉석국의 종류는 레토르트 액상국 또는 분말스프류로 국물맛을 내는 제품들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레토르트 액상국의 경우 고온, 고압처리로 인한 전반적인 맛품질의 저하와 함께 조직감의 상실 및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날로 높아지는 소비자들의 기호성을 충족시키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분말스프류로 국물맛을 내는 기존의 대부분의 즉석국 제품들의 경우 특유의 인스턴트스러운 느낌을 배제할 수 없으며, 분말화 공정은 농축 및 드라잉 등의 다양한 가공공정이 필요하므로 식품원료 고유의 풍부한 맛을 재현해내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분말스프류들은 맛품질의 한계성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날로 늘어나고 있는 웰빙성향을 충족시켜줄 수 없는 단점을 동시에 갖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김치찌개 제조공장에서 김치찌개를 제조한 후 이를 포장하여 집으로 배달하여 즉석국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고 있으나, 이러한 포장용 김치찌개는 제조공장에서 가정집과 같은 각 소비처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시식자로 하여금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소비처 도착시에는 그 식감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제조 초기의 맛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1266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감이 좋은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양념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추 포기 김치, 상기 육수재료, 상기 부재료 및 상기 양념소스를 찌개통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찌개통에 물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념소스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육수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부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 팩에 저장된 건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쇠망에 저장된 생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상기 건육수재료, 멸치, 보리새우, 다시마 및 북어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멸치는 190 내지 210g, 상기 보리새우는 40 내지 60g, 상기 다시마는 140 내지 160g, 상기 북어머리는 40 내지 60g으로 포함되고, 상기 생육수재료는, 파뿌리, 파잎 부분, 생무 및 생양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뿌리는 210 내지 230g, 파잎 부분은 290 내지 310g, 생무는 700 내지 800g, 생양파는 190 내지 210g으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료는, 고기기반 재료, 야채기반 재료, 다진 생강 및 다진 마늘을 포함하며, 상기 고기기반 재료는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닭고기이고,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두부, 호박, 버섯 또는 감자이며, 상기 고기기반재료는 0.9 내지 1.5Kg으로 포함되고,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400 내지 600g으로 포함되며, 상기 다진 생강은 210 내지 230g으로 포함되고, 다진 마늘은 1.1 내지 1.3kg으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념소스는, 고춧가루, 후추가루, 생강가루, 다시다가루, 흰설탕, L-글루타민산 나트륨 및 기타 혼합양념을 포함하며, 상기 고춧가루는, 고운고춧가루, 굵은고춧가루 및 청양고춧가루를 포함하고,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마늘, 무, 소금, 멸치젓, 새우젓 또는 굴을 포함하며, 상기 양념소스 100 질량% 대비, 상기 고춧가루는 40 내지 60 질량%, 상기 후추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생강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다시다가루는 2 내지 5 질량%, 상기 L-글루타민산 나트륨은 5 내지 10 질량%,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20 내지 30 질량%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는,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절임배추의 사이에 상기 준비된 김칫소를 넣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 무즙을 준비하는 단계;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즙과 상기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는 무채를 배제하고 무즙을 사용하여 김칫소를 제조함으로써, 무채를 사용한 김치를 사용하여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준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
상기 배추 포기 김치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주재료가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추 포기 김치는 19 내지 21K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2).
상기 육수재료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국물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육수재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육수재료는, 건육수재료 및 생육수재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육수재료는 말린 상태의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멸치, 보리새우, 다시마 및 북어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예시적으로, 상기 멸치는 190 내지 210g, 상기 보리새우는 40 내지 60g, 상기 다시마는 140 내지 160g, 상기 북어머리는 40 내지 60g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육수재료는 말리지 않은 상태의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뿌리, 파잎 부분(파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부분), 생무 및 생양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예시적으로, 파뿌리는 210 내지 230g, 파잎 부분은 290 내지 310g, 생무는 700 내지 800g, 생양파는 190 내지 210g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수재료는 육수를 만든 이후에, 김치찌개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건육수재료 및 상기 생육수재료는 별도의 망 또는 팩에 저장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건육수재료는 부직포 팩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생육수재료는 쇠망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 팩에 저장된 건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쇠망에 저장된 생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육수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3).
상기 부재료는, 주재료인 배추 포기 김치 이외의 다른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육수재료와는 달리, 완성된 김치찌개에 남아있는 재료에 해당한다.
즉, 상기 육수재료의 경우, 육수를 만든 이후에 김치찌개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나, 상기 김치찌개가 완성된 이후에도 상기 완성된 김치찌개에 남아있는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료는 고기기반 재료, 야채기반 재료, 다진 생강 및 다진 마늘을 포함하며, 상기 고기기반 재료 및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상기 고기기반 재료는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닭고기일 수 있으며,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두부, 호박, 버섯 또는 감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부재료에서, 상기 고기기반재료는 0.9 내지 1.5Kg으로 포함되고,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400 내지 600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진 생강은 210 내지 230g, 다진 마늘은 1.1 내지 1.3k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양념소스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
상기 양념소스는, 고춧가루, 후추가루, 생강가루, 다시다가루, 흰설탕, L-글루타민산 나트륨 및 기타 혼합양념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고춧가루는, 고운고춧가루, 굵은고춧가루 및 청양고춧가루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마늘, 무, 소금, 멸치젓, 새우젓 또는 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념소스 100 질량% 대비, 상기 고춧가루는 40 내지 60 질량%, 상기 후추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생강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다시다가루는 2 내지 5 질량%, 상기 L-글루타민산 나트륨은 5 내지 10 질량%,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20 내지 30 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양념소스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육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양념소스를 준비하는 단계의 순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공정은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S11) 및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의 순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먼저, S12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는 예를들어, 배추 포기를 깨끗이 씻은 다음, 배추 포기를 반으로 자른 것 또는 배추 포기를 자르지 않은 것을 소금물 등에 소정 시간 동안 담금으로써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공개된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의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한편,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공정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공정인 S11단계의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김칫소는 배추 포기 김치를 담글 때, 파, 마늘, 무채, 젓갈 따위를 고춧가루에 버무려, 상기 절인배추의 사이사이에 넣는 재료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종류는 배추 포기 김치를 먹는 사람들의 기호 및 각 지방의 특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재료들은, 예를 들어, 무, 고추, 마늘, 배, 부추, 양파, 생강, 새우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김칫소는 무채를 비롯한 고형분의 크기가 크고 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을 한겹 한겹씩 펼쳐가면서 상기 김칫소를 손으로 버무려 넣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배추 포기 김치에 있어서, 상기 김칫소에 포함되는 무채의 경우, 고형분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 찌개에서 부산되는 부산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삶아진 무채로 인하여,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김칫소에 포함되는 무채를 배제하고, 상기 무채 대신 무즙을 사용함으로써, 무채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즙을 포함하는 김칫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준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준비하는 공정은, 무즙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김치의 경우, 김칫소에 고형분의 크기가 매우 큰 무채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채의 사용을 배제하여 김칫소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무즙은 일반적인 무를 갈아서 만든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즙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무즙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준비하는 공정은,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채를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의 경우, 무채를 제외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양념은, 일반적으로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김칫소에서 무채를 제외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양념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김칫소에서 무채를 제외한 상태를, 본 발명에서의 혼합양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은 양파, 마늘, 부추, 배, 당근, 꿀, 굴, 멸치, 새우젓, 생강, 물엿, 고추, 콩나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양념에 무채를 제외시킨 경우를 본 발명에서의 혼합양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준비하는 공정은, 상기 무즙과 상기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혼합하여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
이때, 상기 무즙과 상기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은 1 : 0.5 ~ 2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즙은 5kg, 양파는 0.3kg, 마늘은 0.3kg, 부추는 0.1kg, 배 0.02kg, 당근 0.5kg, 꿀 0.02kg, 굴 0.3kg, 멸치 0.3kg, 새우젓 0.3kg, 생강 0.14kg, 물엿 0.02kg, 고추 0.6kg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무즙과 상기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의 비율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또는 혼합양념의 지역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김칫소를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는 무채를 배제하고 무즙을 사용하여 김칫소를 제조함으로써, 무채를 사용한 김치를 사용하여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의 문제점, 즉,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 찌개에서 부산되는 부산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삶아진 무채로 인하여,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혼합양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다만, 본발명에서 하기에서 설명되어지는 혼합양념의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후술할 바와 같이, 도 4에서의 혼합양념은 콩나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콩나물을 포함한 재료의 전처리 공정을 포함한다(S210).
선적으로 콩나물을 찌기 이전의 전처리공정은 콩나물을 정선한 후 흙냄새 및 비린내를 제거하고, 먹기 곤란하거나 또는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부위인 머리와 잔뿌리 또는 꼬리부분을 제거하며, 상기 깨끗하게 손질된 콩나물을 말끔하게 세척하기 위한 공정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콩나물과 함께 버무려지는 각종 야채류의 부재료를 동시에 손질,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부재료는 당근과, 쪽파, 미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재료는 본 발명에서 채를 썬 당근 400g으로 이루어지고, 파는 뿌리를 절단하고 말끔하게 세척한 후 쪽파머리 부분만을 700g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미나리는 3∼4Cm 크기의 미나리줄기 부분만을 930g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처리 공정을 거친 콩나물을 포함한 재료의 찜공정을 포함한다(S220).
찜공정은 전처리된 콩나물을 아삭한 맛을 유지하는 상태로 익히는 동시에 수분함유량을 최대한 줄여 최종적으로 콩나물을 포함하는 김칫소를 제조한 후 수분이 흘러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일반적인 콩나물을 물에 삶아서 요리할 경우 수분의 흡수량이 과다하여 음식을 제조한 후에도 많은 수분이 흘러 나오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처리된 콩나물을 물에 삶는 획일적인 방법을 탈피하여 찜통에 비린내 제거수를 넣어 가열한 후 여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찔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물이 아닌 비린내 제거수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찌는 이유는 일반적인 물의 경우 콩나물의 성분 중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라고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과정을 돕게 됨으로써 비린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서는 물에 마늘과 소금을 혼합시킨 비린내 제거수를 사용함으로써 아리나제라는 효소가 함유된 마늘과 소금이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맛과 풍미를 개선함은 물론 영양소가 파괴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비린내 제거수는 통상 물과 마늘, 소금의 비율을 10 : 1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물 3000ml에 마늘 300g과 소금 150g을 혼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즉, 전처리된 콩나물을 비린내 제거수를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로 약 5분30초∼6분 사이로 찜으로써 비린내를 제거함은 물론 콩나물 특유의 아삭아삭한 맛을 유지하는 반면 수분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공정은 콩나물을 찌기 위한 공정이기는 하나, 상술한 각종 야채류의 부재료를 동시에 찔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찜 공정을 거친 콩나물을 포함한 재료의 식힘 공정을 포함한다(S230).
상기 찜공정을 통해 아삭하고 비린내가 제거된 콩나물은 뜨거운 상태이므로 이를 고춧가루와 양념이 골고루 배일 수 있도록 식히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콩나물을 10∼15℃ 물 위의 채반에 올려 놓고 서서히 식히면 식힘과정에서 콩나물에 함유된 적정상태의 수분이 쉽게 건조됨을 방지하여, 아삭한 맛과 영양소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공정에서는, 상술한 각종 야채류의 부재료를 동시에 식힐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식힘 공정을 거친 콩나물의 제1차 버무림 공정을 포함한다(S240).
본 공정은 다른 양념들을 배제한 채 고춧가루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식혀진 콩나물에 고춧가루가 골고루 입혀지거나 베이도록 하고, 이로 인해 콩나물에 함유된 수분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혀진 콩나물에 곱게 빻은 고춧가루 520g을 넣고 1차적으로 골고루 버무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차 버무림 공정을 거친 콩나물과 부재료를 혼합하여 버무리는 제2차 버무림 공정을 포함한다(S240).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차 버무림 공정을 통해 고춧가루가 골고루 버무려진 콩나물에 식힘 공정을 거친 채를 썬 당근, 쪽파머리, 미나리줄기 등의 부재료를 함께 혼합하여 제2차 버무림 공정을 진행할 수 잇다.
이때, 상기 콩나물 및 부재료가 혼합된 재료에, 예를 들면, 소금 180g, 설탕 610g, 마늘 110g, 3배 사과식초 380g의 양념을 넣고 골고루 2차적으로 버무리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최종적인 콩나물을 포함하는 혼합양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준비된 절임배추의 사이에 상기 준비된 김칫소를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S20).
상기 준비된 절임배추의 사이에 상기 준비된 김칫소를 넣는 단계는 수작업을 통해, 상기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김칫소를 넣는 단계일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공정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는 달리, 즉, 수작업에 의해 절임배추의 배춧잎 사이에 김칫소를 넣기 이전에, 그 전단계의 공정으로, 일정 혼합기를 통해,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 절임배추와 김칫소를 혼합함으로써, 절임배추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일정 부분 김칫소가 포함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추 포기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상기 배추 포기 김치, 상기 육수재료, 상기 부재료 및 상기 양념소스를 찌개통에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S5).
상기 찌개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찌개통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상기 찌개통에 물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85℃ 내지 110℃의 온도에서 90 분 내지 110 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상기 육수재료에서 육수가 우러나와, 상기 육수 및상기 양념소스가 상기 배추 포기 김치 및 상기 부재료에 자연스럽게 배어들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의 제조방법은, 상기 찌개통으로부터 상기 육수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육수재료의 경우, 육수를 만든 이후에 김치찌개로부터 제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 팩에 저장된 건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쇠망에 저장된 생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육수재료를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팩과 상기 쇠망을 상기 찌개통으로부터 들어 냄으로써, 상기 찌개통으로부터 상기 육수재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김치찌개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추 포기 김치의 경우, 상기 김칫소에 포함되는 무채의 경우, 고형분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 찌개에서 부산되는 부산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삶아진 무채로 인하여,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김칫소는 무채를 배제하고 무즙을 사용하여 김칫소를 제조함으로써, 무채를 사용한 김치를 사용하여 김치찌개를 끓였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를;
    양념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추 포기 김치, 상기 육수재료, 상기 부재료 및 상기 양념소스를 찌개통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찌개통에 물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념소스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육수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부재료는 상기 배추 포기 김치 100 중량부 대비 9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 팩에 저장된 건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쇠망에 저장된 생육수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상기 건육수재료, 멸치, 보리새우, 다시마 및 북어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멸치는 190 내지 210g, 상기 보리새우는 40 내지 60g, 상기 다시마는 140 내지 160g, 상기 북어머리는 40 내지 60g으로 포함되고,
    상기 생육수재료는, 파뿌리, 파잎 부분, 생무 및 생양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뿌리는 210 내지 230g, 파잎 부분은 290 내지 310g, 생무는 700 내지 800g, 생양파는 190 내지 210g으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고기기반 재료, 야채기반 재료, 다진 생강 및 다진 마늘을 포함하며,
    상기 고기기반 재료는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닭고기이고,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두부, 호박, 버섯 또는 감자이며,
    상기 고기기반재료는 0.9 내지 1.5Kg으로 포함되고, 상기 야채기반 재료는 400 내지 600g으로 포함되며, 상기 다진 생강은 210 내지 230g으로 포함되고, 다진 마늘은 1.1 내지 1.3kg으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소스는, 고춧가루, 후추가루, 생강가루, 다시다가루, 흰설탕, L-글루타민산 나트륨 및 기타 혼합양념을 포함하며, 상기 고춧가루는, 고운고춧가루, 굵은고춧가루 및 청양고춧가루를 포함하고,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마늘, 무, 소금, 멸치젓, 새우젓 또는 굴을 포함하며,
    상기 양념소스 100 질량% 대비, 상기 고춧가루는 40 내지 60 질량%, 상기 후추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생강가루는 3 내지 7 질량%, 상기 다시다가루는 2 내지 5 질량%, 상기 L-글루타민산 나트륨은 5 내지 10 질량%, 상기 기타 혼합양념은 20 내지 30 질량%로 포함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추 포기 김치를 준비하는 단계는,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 절임배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절임배추의 사이에 상기 준비된 김칫소를 넣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김칫소를 준비하는 단계는, 무즙을 준비하는 단계;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무즙과 상기 무채를 제외한 혼합양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KR1020180047840A 2018-04-25 2018-04-25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Ceased KR20190123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40A KR20190123920A (ko) 2018-04-25 2018-04-25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40A KR20190123920A (ko) 2018-04-25 2018-04-25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20A true KR20190123920A (ko) 2019-11-04

Family

ID=6857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840A Ceased KR20190123920A (ko) 2018-04-25 2018-04-25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9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21B1 (ko) * 2021-11-11 2022-11-29 윤임정 콤부차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20240080205A (ko) 2022-11-28 2024-06-07 김기숙 김치찌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614A (ko)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신사강 포장용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614A (ko)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신사강 포장용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21B1 (ko) * 2021-11-11 2022-11-29 윤임정 콤부차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20240080205A (ko) 2022-11-28 2024-06-07 김기숙 김치찌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5133B (zh) 一种低温油炸马铃薯片及其制备方法
JPH0771452B2 (ja) 米穀を主に含む油揚食品の製造方法
KR101232842B1 (ko) 매운 등갈비 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등갈비 찜
KR20170037790A (ko)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8627B1 (ko) 딱새우 떡어묵 제조방법
KR101190171B1 (ko)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KR101074354B1 (ko) 명란 소스 제조방법
KR20190123920A (ko) 김치찌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2855A (ko) 육전 물냉면 제조방법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CN106174081A (zh) 一种特色烤肉干及其制作方法
KR101804452B1 (ko) 가정 대체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101791630B1 (ko) 파 풍미 소스 그 제조방법
KR102413055B1 (ko) 야끼우동 제조방법
KR100411351B1 (ko) 김치 함유 소스를 이용한 탕수육의 제조방법
CN105495155A (zh) 牛排焖饭的制作方法
KR102121008B1 (ko) 해물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해물찜
CN102232509A (zh) 酱面的制作方法
KR101923194B1 (ko) 파 풍미 강정치킨 제조방법
KR20050008472A (ko) 누룽지를 이용한 퓨전음식의 제조방법
JP6816935B1 (ja) 野菜天ぷらの製造方法
CN109198420A (zh) 常温保存的蛋炒饭
KR102743164B1 (ko) 치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킨 플래터
KR20190083248A (ko) 볶음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갑오징어명란불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